KR101768436B1 -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36B1
KR101768436B1 KR1020160168782A KR20160168782A KR101768436B1 KR 101768436 B1 KR101768436 B1 KR 101768436B1 KR 1020160168782 A KR1020160168782 A KR 1020160168782A KR 20160168782 A KR20160168782 A KR 20160168782A KR 101768436 B1 KR101768436 B1 KR 10176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plate
frame
pressing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동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디자인 filed Critical (주)동연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16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10)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등받이프레임(130)이 결합 지지되고, 등받이(120)가 등받이프레임(130)에 의해 전후방 회동이 가능하게 사방이 지지 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에 체결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중앙 내주면 상에는 등받이(120)와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지지장치(200,300)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200, 300)는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등받이(120)가 회동되어 후방으로 밀리게 될 때, 회동지지장치(200,300)의 상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등받이(120)의 상단 부위와 밀착되어 가압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회동지지장치(200,300) 내의 탄성부재(240,250,340)가 탄성 압축됨과 동시에 회동지지장치(200,300)의 하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힌지 회동을 통해 연동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에 밀착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Chair of revolution a board back}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등받이의 전후방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의 하단 부위가 전방쪽으로 회동되어 허리부위를 받쳐주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대부분 착석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 줄 수 있는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경우 바른 자세로 좌석에 착석된 사용자의 등부분과 허리를 지지할 수 있게 등부분부터 허리로 이어지는 인체 곡선에 대응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의자에 착석된 사용자의 허리가 등받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는 경우 등받이를 통해 분산되던 사용자의 하중이 좌석을 통해서만 분산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가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방향으로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 인체 구조상 등부분이 펴지면서 허리부분은 등받이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등받이에 기대는 자세가 됨으로써 허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의자에서의 자세 변경에 대한 허리 지지 가능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구조의 의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28912호(2002.3.2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는 허리가 위치되는 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직선운동되는 허리받이(B)가 등받이(A)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의자는 허리받이(B)가 직선적으로 진퇴되도록 되어 있어, 좌대 (C)상에서 전후방으로의 착석자의 위치 이동시에도 사용자의 착석자세가 바른 자세로 착석했을 경우에는 허리받이(B)의 지지 위치가 착석자의 허리 위치에 대응되기 때문에 의도하는 허리 지지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 의자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부터 등이 전방으로 휘는 방향으로 약간 구부리거나 뒤로 젖히는 자세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좌대(C)를 기준으로 인체의 허리 위치의 높이가 바뀌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허리받이(B)가 불편함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좌대(C)로부터 허리받이(B)가 일정한 높이에서 직선 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의 신체조건에 따라 허리 높이가 다른 경우 이를 적응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0호(2011.2.15. 공고)에는 '허리지지용 의자'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4860호에 개시된 의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되는 착석부(10)와, 상기 착석부(10)에 착석된 사용자의 등부분과 대향되게 착석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30)의 상부에 힌지(2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석부(10)에 착석된 사용자의 허리부분까지 지지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등받이부(20)와, 상기 등받이부(20)의 하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력을 인가할 수 있게 등받이부(20)와 등받이 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는 코일형태로 감긴 비틀림부(48)와, 상기 비틀림부(48)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지지부(46, 44)를 갖게 A자 형태로 형성된 토션스프링(42)이 적용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30)의 등받이부(20)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등받이부(20)를 향하여 돌출되되 토션스프링(42)의 비틀림부(48)를 관통하여 토션스프링(42)을 지지하는 지지핀(3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토션스프링(42)의 제1지지부(46)를 수용하는 지지홈(33c)이 형성된 제1결합편(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20)에는 제1결합편(33)이 수용되는 수용홈(33c)을 갖으며 토션스프링(42)의 제2지지부(44)를 지지하는 지지홈(23c)이 형성된 제2결합편(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37)은 중공을 갖되 종단 부분이 변형 가능하게 부분 절개된 변형부(37c)를 갖으며, 상기 힌지(29)는 제2결합편(23)에 상호 이격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관통공(24)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되 지지핀(37)의 중공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변형부(37c)에 대응되는 부분이 외경이 작게 인입된 허리부(29c)를 갖게 형성되어 힌지(29)의 지지핀(37) 내로의 삽입과정에서 변형부(37c)는 힌지(29)의 통과를 허용하되 허리부(29c)가 진입되면 허리부(29c)쪽으로 오므라들어 힌지(29)의 후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1결합편(33)이 억지끼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문헌에는 등받이 프레임(30)의 상단에 힌지(29) 고정된 등받이부(20)가 착석자의 등에 밀착되면서 탄력 지지되는 의자가 제안된 바가 있으나, 상기 등받이부(20)가 착석자의 등에 접하면서 전후로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착석자의 등에 고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게 되어 수험생이나 정신을 집중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에 개시된 등받이부(20)의 전후방 회동이 가능한 의자의 경우에는 등받이부(20)의 상단 부위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등받이부(20)의 하단부위는 엉덩이 부분으로 좌석부 뒤쪽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등받이부(20) 하단 부위가 후방으로 회동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바, 등받이부(20)의 하단 부위가 등받이부(20)의 상단을 중심으로 전방쪽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허리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한편, 상기한 선행 문헌 외에도 의자의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혹은 등받이의 틸팅 가능한 의자와 관련된 선행 문헌이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46664호(2010.3.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88호(2011.1.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47268호(2015. 8.26. 공고) 등에는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탄성 회동됨으로써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보다 안락함을 느끼게 되고 장시간 의자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의자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28912호(2002.3.23. 공고, 명칭: 의자용 허리받이)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0호(2011.2.15. 공고, 명칭: 허리지지용 의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47268호(2015. 8.26. 공고, 명칭: 등받이판의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46664호(2010.3.9. 공고, 명칭: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88호(2011.1.20. 공고, 명칭: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다양한 형태로 등받이의 각도가 조정되거나 틸팅되는 의자 등받이와 다른 형태로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등받이를 갖춘 의자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등받이의 전후방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의 하단 부위가 전방쪽으로 회동되어 허리부위를 받쳐주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등받이프레임이 결합 지지되고, 등받이가 등받이프레임에 의해 전후방 회동이 가능하게 사방이 지지 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중앙 내주면 상에는 등받이와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지지장치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는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에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등받이가 회동되어 후방으로 밀리게 될 때, 회동지지장치의 상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등받이의 상단 부위와 밀착되어 가압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회동지지장치 내의 탄성부재가 탄성 압축됨과 동시에 회동지지장치의 하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힌지 회동을 통해 연동되어 등받이의 하단 부위에 밀착되어 등받이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지지장치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중간 내주면 상에 설치되면서 중앙 부위에 회동고정부가 돌출 구비된 판상 구조의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회동고정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된 회동부를 통해 체결 조립됨과 아울러 이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호형의 곡면구조를 가지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단회동판과 하단회동판으로 이루어진 회동판과, 상기 상단회동판 및 하단회동판에 각각 대향되게 결합되어 등받이와 밀착되는 넓은 판상 구조의 상단밀착판과 하단밀착판으로 이루어진 밀착판과, 상기 회동고정부와 회동부를 중심으로 고정판과 회동판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게 배치되어 등받이에 가해지는 압력이 회동판에 전달될 때 회동판이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동 압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 변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고정판과 회동판을 연결하는 회동고정부와 회동부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이 탄성부재의 양단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로 벌어진 탄성 부위가 고정판과 회동판의 상측 방향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안착 배치되도록 고정판과 회동판 사이에 세워진 디귿자 형상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탄성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에 코일 형태로 감겨있는 권선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자유단이 연장 형성된 구조의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 자유단이 각각 고정판과 회동판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권선부는 회동고정부와 회동부를 관통하는 힌지축에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며, 이러한 탄성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지지장치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면 중앙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의 양측면을 따라 측면지지판이 형성 구비되어 있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수용홈 내에 안착 수용되어 측면지지판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매개로 중앙 부위가 지지 고정됨과 아울러, 장착판과의 사이에서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판상의 누름부와 이 누름부를 기준으로 양측단에서 디귿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밀착판연결부로 이루어진 누름틀과, 상기 밀착판연결부의 전단면에 체결 조립되어 등받이의 전후방 회동에 맞춰 등받이에 밀착되면서 등받이의 가압력을 전달받는 넓은 판상 구조를 갖는 밀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장착판과 누름틀 사이를 힌지 고정하는 힌지축의 위쪽에 해당하는 누름틀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하면서 누름틀에 의해 탄성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판은 상단밀착판과 하단밀착판으로 구분되어 상하로 배치된 밀착판연결부에 상하로 각각 분리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축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측면지지판을 관통함과 동시에 누름틀의 저면 일측에 접촉할 수 있게 조립 형성된 레버축 구조를 갖는 탄성조절레버축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조절레버축의 중앙 부위에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편심캠부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캠부와 누름틀의 접촉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성 압축력이 단계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등받이의 전후방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의 하단 부위가 전방쪽으로 회동되어 허리부위를 받쳐주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등받이의 전후방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지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0328912호에 개시된 의자에 허리받이를 설치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014860호에 개시된 허리지지용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등받이부와 등받이프레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회동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에 설치된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써, 도 6은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부 분해사시도로써, 도 9는 가압 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가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와 등받이프레임에 설치된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써, 도 12는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회동지지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A)(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제3실시예의 밀착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작용 관계를 개략적으로 각각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는, 통상적인 의자와 마찬가지로, 좌판(110)과 등받이(120)가 지지 기능을 갖는 등받이프레임(130)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바, 크게 좌판(110), 등받이(120), 등받이프레임(130), 지지다리(140), 팔걸이(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좌판(110)은 사용자가 앉기 위한 통상의 구성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40) 및 중심축(141)에 의해 안착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판(110)은 통상의 좌판프레임(111) 상에 쿠션감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판프레임(111)에는 사용자가 좌판(110)에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등받이(12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프레임(130)이 연결 구성된다.
즉,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은 등받이(120)의 사방을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은 내부가 빈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사각프레임(132)과, 상기 사각프레임(132)의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프레임(133)과, 상기 수직프레임(133)의 하단 중앙 부위에서 연장되어 좌판프레임(111)에 끼움 결합되는 프레임조립부(131)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은 좌판프레임(111)의 후방에 프레임조립부(131)를 통해 끼워져 체결 조립되고, 이 프레임조립부(131)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프레임(132) 상에 등받이(120)를 지지 고정하는 부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에 있어서 등받이프레임(130)의 전체적인 골격은 대략 사각의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등받이프레임(13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프레임(132) 내부가 빈 상태에서 중앙 부위에 수직프레임(133)이 형성된 형상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프레임(132) 자체가 수직프레임(133)과 구별되지 않고 빈 공간없는 완전한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120)의 배면 상단 좌우 측에 형성된 결합부(120a)와,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 상단 좌우 측에 형성된 회동링크부(132a)가 상호 체결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120)의 배면 하단 좌우 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부(120b)와,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 하단 좌우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32b)가 상호 체결 결합됨으로써, 등받이(120)가 등받이프레임(130) 상에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다리(140)는 좌판(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중심축(141)에 조립되어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방사형의 다리로 구성되고, 각각의 다리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바퀴(142)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팔걸이(150)는 좌판프레임(11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착석한 사용자가 팔을 걸어 놓거나, 착석 또는 일어설 때에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60 및 161은 등받이프레임(130)에 조립되어 착석자의 머리 부위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160)와, 이 헤드레스트(160)를 등받이프레임(130)에 연결 조립하는 연결프레임(161)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상적인 의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능적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130)상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지지장치(200)에 의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등받이(120)의 하단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120)와 등받이프레임(130)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지지장치(20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중간 내주면 상에 설치되는 고정판(210)과, 이 고정판(210)에 탄성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회동판(220)과, 이 회동판(220)의 상하면에 대향되게 결합된 밀착판(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판(210)은 판상구조를 갖고 등받이프레임(130)을 구성하는 수직프레임(133)의 중앙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로써, 판상구조의 중앙 부위 양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회동고정부(211)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10)의 회동고정부(211)를 통해서 회동판(220)이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10)은 수직프레임(133) 성형시 회동고정부(211)를 수직프레임(133) 상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수직프레임(133) 자체가 고정판(210) 역할을 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나, 등받이프레임(130)의 전체적인 금형 설계 등을 고려할 때 별도의 단품으로 제조되어 용접 등에 의해 수직프레임(133) 상에 결합되거나 체결구(213)에 의해 체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회동판(220)은 고정판(2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임의의 외력에 따라 상하 회동하는 부위로써, 중앙의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상단회동판(222)과 하단회동판(2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회동판(222)과 하단회동판(221)은 각각 호형의 곡면구조를 가지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중앙의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대략 갈매기 날개 형상(혹은, 물결파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210)의 회동고정부(211)와 회동판(220)의 회동부(223)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호 맞물려 회동되는 집게구조로 체결됨으로써, 회동지지판(220)이 고정지지판(210)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조립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210)과 회동판(220) 사이에는 세워진 디귿자 형태를 갖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40)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장착 조립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회동판(220)에 전달될 때 회동판(220)이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동 압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 변위되는 탄성부재로써, 회동판(220)에 작용하는 압력이 해제될 때, 회동된 회동판(220)이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게 되는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탄성부재(240)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좌우 균형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40)의 양단은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을 연결하는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이 탄성부재(240)의 양단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로 벌어진 탄성 부위(즉, 스프링부재의 몸통 부위)가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의 상측 방향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안착 배치됨에 따라 회동판(220)이 회동될 때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회동판(220)이 회동되면서 등받이(120)를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압력이 제거되면 등받이(12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120)와 회동판(220) 사이에는 등받이(120)에 접촉 밀착되어 받쳐 줄 수 있는 밀착판(230)이 배치되게 된다.
즉, 상기 밀착판(230)은 회동판(220)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등받이(120)와 일정한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가 등받이(120)에 외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될 때, 등받이(120)가 밀착판(230)과 접촉됨에 따라 밀착판(230)이 회동판(220)의 회동 작용에 따라 등받이(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착판(230)은 상단회동판(222)과 하단회동판(221)에 각각 분리 장착될 수 있도록 상단밀착판(232)과 하단밀착판(231)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상단밀착판(232)과 하단밀착판(231)은 회동판(220)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등받이(12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상기 상단밀착판(232)과 하단밀착판(231)의 형상은 첨부도면에 형성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120)의 곡면 형상에 맞춰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회동지지장치(200)가 등받이(120)와 등받이프레임(130)사이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앉은 자세에 따라 등받이(120)에 압력이 전해지게 되면, 등받이(120)의 상단쪽이 후방 쪽으로 회동되면서 상단밀착판(232)에 먼저 밀착되어 상단회동판(222)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단회동판(222)과 연장 연결된 하단회동판(221)은 회동고정부(211) 및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 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하단밀착판(221)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와 밀착되면서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주면서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120)가 사용자의 허리 쪽으로 자연스럽게 밀착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쿠션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120)와 등받이프레임(130)사이에 구현된 회동지지장치(200)에서는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탄성부재(240)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되므로,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등받이(120)의 회동 각도가 전후 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되고, 상기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120)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회동지지장치(200)와 비교할 때, 탄성부재(250)의 형상 구조에 차이를 두고 있는바, 상기 탄성부재(250)의 차이로 인해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에는 힌지축(212)이 관통 삽입되고, 이 힌지축(212)에 관통하여 탄성부재(250)가 설치됨으로써 지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250)는 중앙에 코일 형태로 감겨있는 권선부(25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자유단(252)이 연장 형성된 구조의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50)의 양측 자유단(252)이 각각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탄성부재(250)의 권선부(251)는 힌지축(212)에 관통되게 끼움 삽입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회동지지장치의 탄성부재(2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지장치(300)는, 크게 장착판(310), 누름틀(320), 밀착판(330), 탄성부재(340), 힌지축(350) 및 탄성조절레버축(3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장착판(310)은 사각의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 일측에 밀착 고정되는 부위로써, 회동지지장치(300)를 등받이프레임(130)에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장착판(310)의 전면 중앙에는 수용홈(311)이 형성되어 누름틀(320)이 안착 조립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311)의 중앙 상단에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340)가 안착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착판(310)의 수용홈(311)을 따라 양측면에는 측면지지판(312)이 형성 구비되어 힌지축(350)을 매개로 누름틀(32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누름틀(320)은 장착판(310)의 수용홈(311) 내에 안착 수용되어 힌지축(350)을 매개로 지지 고정되는 부위로써, 수용홈(311)에 안착되어 탄성부재(340)를 가압하는 판상의 누름부(321)와 이 누름부(321)를 기준으로 양측단에서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밀착판연결부(322)로 이루어진 형상구조를 갖는다.
상기 누름틀(320)은 수용홈(311) 내에 누름부(321)가 수용된 상태로 누름틀(320)의 중앙 부위가 힌지축(350)을 매개로 측면지지판(312) 사이에서 힌지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 고정되어 있고, 누름틀(320)의 양측단 밀착판연결부(322)에는 각각 밀착판(330)이 체결 조립되게 된다.
즉, 상기 누름틀(320)은 밀착판연결부(322)에 조립된 밀착판(330)를 통해 전해지는 가압력에 따라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수용홈(311) 내에서 일정각도로 틸팅 작용을 하면서 탄성부재(340)를 가압하게 되는 부위인 것이다.
상기 밀착판연결부(322)는 누름틀(320)의 누름부(321) 양단에서 격자형 구조를 갖고 연장 돌출되고 그 끝단면에 체결공(323)이 구비됨으로써, 밀착판(330)이 밀착판연결부(322)의 체결공(323)에 볼트(333) 조립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밀착판(330)은 등받이(120)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누름틀(320)에 그대로 전달해 주는 부위로써, 등받이(12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넓은 판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상기 밀착판(330)은 등받이(120)의 전후방 회동에 맞춰 밀착되면서 등받이(120)를 지지하는 부위로써, 평상시에는 등받이(120)와 일정한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다가 등받이(120)에 착석자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등받이(120)가 후방쪽으로 회동될 때 등받이(120)와 밀착판(330)이 서로 접촉 밀착되면서 가압될 수 있도록 조립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330)은 상하 분리되어 상단밀착판(331)과 하단밀착판(33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상단밀착판(331)과 하단밀착판(332)은 각각 밀착판연결부(322)의 전단면에 볼트(333)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특히, 상기 밀착판(33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밀착판(331)과 하단밀착판(332)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1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40)는 장착판(310)의 수용홈(311) 내에서 누름틀(320)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통상의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40)는 장착판(310)과 누름틀(320) 사이를 힌지 고정하는 힌지축(350)의 위쪽에 해당하는 누름틀(320)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함으로써, 밀착판(330)을 통해서 누름틀(3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아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누름틀(320)에 의해 탄성 압축되게 된다.
이렇게 탄성 압축되는 탄성부재(340)는 누름틀(32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될 때, 누름틀(320)과 밀착판(33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조절레버축(360)은 레버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힌지축(350)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측면지지판(312)을 관통함과 동시에 누름틀(320)의 저면 일측에 접촉할 수 있게 조립 형성된 레버축 부재로써, 상기 탄성부재(340)의 탄성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레버축(360)의 중앙 부위에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편심캠부(361)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편심캠부(361)와 누름틀(320)의 접촉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40)의 탄성 압축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조절레버축(360)의 단계별 회전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탄성부재(340)의 탄성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써, 상기 탄성조절레버축(360)의 회전 위치를 2단 혹은 3단 이상의 다단구조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 및 도 13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장치(300)를 통해서 등받이의 사용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착석자가 도 12와 같이 좌판(110)에 착석하여 등받이(120)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착석자의 자세 변화나 기타의 요인으로 등받이(120)를 밀어내는 형태로 가압하게 될 때, 등받이(120)에 가압되는 외력에 따라 상단밀착판(331) 및 누름틀(320)에 그대로 전달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틀(320)이 가압력에 의해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면서 하단밀착판(332)이 일정각도로 틸팅 작용하여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등받이(120) 하단 부위가 착석자의 허리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름틀(320)이 일정각도로 틸팅되는 동안 탄성부재(340)가 가압되어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고, 상기 등받이(12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는 순간 탄성부재(34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누름틀(320)과 등받이(12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의자 110 : 좌판
111 : 좌판프레임 120 : 등받이
130 : 등받이프레임 131 : 프레임조립부
132 : 사각프레임 133 : 수직프레임
200, 300 : 회동지지장치 210 : 고정판
211 : 회동고정부 212, 350 : 힌지축
220 : 회동판 221 : 하단회동판
222 : 상단회동판 223 : 회동부
230 : 밀착판 231 : 하단밀착판
232 : 상단밀착판 240, 250, 340 : 탄성부재
310 : 장착판 311 : 수용홈
312 : 측면지지판 320 : 누름틀
321 : 누름부 322 : 밀착판연결부
330 : 밀착판 331 : 상단밀착판
332 : 하단밀착판 360 : 탄성조절레버축

Claims (7)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10)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등받이프레임(130)이 결합 지지되고, 등받이(120)가 등받이프레임(130)에 의해 전후방 회동이 가능하게 사방이 지지 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에 체결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중앙 내주면 상에는 등받이(120)와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지지장치(200)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200)는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등받이(120)가 회동되어 후방으로 밀리게 될 때, 회동지지장치(200)의 상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등받이(120)의 상단 부위와 밀착되어 가압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회동지지장치(200) 내의 탄성부재(240,250)가 탄성 압축됨과 동시에 회동지지장치(200)의 하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힌지 회동을 통해 연동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에 밀착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20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중간 내주면 상에 설치되면서 중앙 부위에 회동고정부(211)가 돌출 구비된 판상 구조의 고정판(210)과, 이 고정판(210)의 회동고정부(211) 상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중앙에 돌출 형성된 회동부(223)를 통해 체결 조립됨과 아울러 이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호형의 곡면구조를 가지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단회동판(222)과 하단회동판(221)으로 이루어진 회동판(220)과, 상기 상단회동판(222) 및 하단회동판(221)에 각각 대향되게 결합되어 등받이(120)와 밀착되는 넓은 판상 구조의 상단밀착판(232)과 하단밀착판(231)으로 이루어진 밀착판(230)과, 상기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게 배치되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회동판(220)에 전달될 때 회동판(220)이 회동부(22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회동 압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 변위되는 탄성부재(240, 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40)는 그 양단이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을 연결하는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이 탄성부재(240)의 양단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로 벌어진 탄성 부위가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의 상측 방향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안착 배치되도록 고정판(210)과 회동판(220) 사이에 세워진 디귿자 형상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탄성부재(24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50)는 중앙에 코일 형태로 감겨있는 권선부(25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자유단(252)이 연장 형성된 구조의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250)의 양측 자유단(252)이 각각 고정판(210)과 회동판(22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재(250)의 권선부(251)는 회동고정부(211)와 회동부(223)를 관통하는 힌지축(212)에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며, 이러한 탄성부재(25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5.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10)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등받이프레임(130)이 결합 지지되고, 등받이(120)가 등받이프레임(130)에 의해 전후방 회동이 가능하게 사방이 지지 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에 체결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중앙 내주면 상에는 등받이(120)와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지지장치(300)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300)는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120)에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등받이(120)가 회동되어 후방으로 밀리게 될 때, 회동지지장치(300)의 상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등받이(120)의 상단 부위와 밀착되어 가압력을 전달받게 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회동지지장치(300) 내의 탄성부재(340)가 탄성 압축됨과 동시에 회동지지장치(300)의 하단에 배치 구성되는 부재가 힌지 회동을 통해 연동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에 밀착되어 등받이(120)의 하단 부위를 전방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장치(30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13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면 중앙에 수용홈(31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311)의 양측면을 따라 측면지지판(312)이 형성 구비되어 있는 장착판(310)과, 상기 장착판(310)의 수용홈(311) 내에 안착 수용되어 측면지지판(312)을 관통하는 힌지축(350)을 매개로 중앙 부위가 지지 고정됨과 아울러, 장착판(310)과의 사이에서 탄성부재(340)를 가압하는 판상의 누름부(321)와 이 누름부(321)를 기준으로 양측단에서 디귿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밀착판연결부(322)로 이루어진 누름틀(320)과, 상기 밀착판연결부(322)의 전단면에 체결 조립되어 등받이(120)의 전후방 회동에 맞춰 등받이(120)에 밀착되면서 등받이(120)의 가압력을 전달받는 넓은 판상 구조를 갖는 밀착판(330)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340)는 장착판(310)과 누름틀(320) 사이를 힌지 고정하는 힌지축(350)의 위쪽에 해당하는 누름틀(320)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하면서 누름틀(320)에 의해 탄성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330)은 상단밀착판(331)과 하단밀착판(332)으로 구분되어 상하로 배치된 밀착판연결부(322)에 상하로 각각 분리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50)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측면지지판(312)을 관통함과 동시에 누름틀(320)의 저면 일측에 접촉할 수 있게 조립 형성된 레버축 구조를 갖는 탄성조절레버축(3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조절레버축(360)의 중앙 부위에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편심캠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캠부(361)와 누름틀(320)의 접촉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40)의 탄성 압축력이 단계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KR1020160168782A 2016-12-12 2016-12-12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KR10176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82A KR101768436B1 (ko) 2016-12-12 2016-12-12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82A KR101768436B1 (ko) 2016-12-12 2016-12-12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436B1 true KR101768436B1 (ko) 2017-08-17

Family

ID=5975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782A KR101768436B1 (ko) 2016-12-12 2016-12-12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4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377A (zh) * 2020-03-13 2020-05-29 广州市沃时家具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稳定型办公椅
CN112056848A (zh) * 2020-10-27 2020-12-11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弹性可调的整体式沙发
CN113180953A (zh) * 2021-06-15 2021-07-30 宁波欣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起背机构
CN111202377B (zh) * 2020-03-13 2024-06-04 广东沃时家具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稳定型办公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486333B1 (ko) * 2014-10-21 2015-01-26 주식회사 대신산업 사무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486333B1 (ko) * 2014-10-21 2015-01-26 주식회사 대신산업 사무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377A (zh) * 2020-03-13 2020-05-29 广州市沃时家具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稳定型办公椅
CN111202377B (zh) * 2020-03-13 2024-06-04 广东沃时家具有限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稳定型办公椅
CN112056848A (zh) * 2020-10-27 2020-12-11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弹性可调的整体式沙发
CN112056848B (zh) * 2020-10-27 2024-05-28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弹性可调的整体式沙发
CN113180953A (zh) * 2021-06-15 2021-07-30 宁波欣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起背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943B2 (en) Adjustable office arm chair structure with articulation for the synchronous movement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EP3508095B1 (en) Chair structure and chair
US5887946A (en)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US4695093A (en) Work chair
US6945602B2 (en) Tilt control mechanism for chair
JPH0470004B2 (ko)
EP1163865A2 (en) Ergonomic chair
JP2016222240A (ja)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FR2676630A1 (fr) Mecanisme d'interconnexion destine a supporter une assise et un dossier d'un fauteuil.
KR101768436B1 (ko) 의자용 등받이 회동지지장치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JP2003024175A (ja) 椅子の背もたれの支持機構
JP4160742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US7431397B2 (en) Chair
CA2543258A1 (en)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KR101788642B1 (ko) 의자용 등받이 슬라이드 장치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JPH07315089A (ja) 車両用シートのペルビスサポート機構
KR102104759B1 (ko)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JPH0753620Y2 (ja) 按摩器付腰掛椅子
JPH09322838A (ja) 椅 子
KR102320665B1 (ko)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JP2000262350A (ja) 椅子の肘掛け高さ調節装置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