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325B1 -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325B1
KR102073325B1 KR1020180139485A KR20180139485A KR102073325B1 KR 102073325 B1 KR102073325 B1 KR 102073325B1 KR 1020180139485 A KR1020180139485 A KR 1020180139485A KR 20180139485 A KR20180139485 A KR 20180139485A KR 102073325 B1 KR102073325 B1 KR 10207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aw material
rotation
ji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티스
Priority to KR102018013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1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5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a single rotating 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8Devices for clamp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철 형성에 용이하도록 원자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회동 가능한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자재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가 삽입되는 어댑터 고정홈이 형성된 회동부와, 베이스부 및 회동부에 삽입되어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동제한부를 포함하고, 회동부는 회동축의 양측에 제한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베이스부는 회동축과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회동축과 동일 수직선상에 한 쌍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회동제한부는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을 관통한 후 제한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JIG FOR ONE BODY ABUTMENT WITH CROWN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필요에 따라 회동 가능한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분에 식립되어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 구조 또는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임플란트의 종류로는 크게 브리지 타입 임플란트(bridge type dental implant)와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crown type dental implant)으로 나누어진다. 브리지 타입 임플란트는 서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인공치아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철물을 시술하는 것이고,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는 하나의 인공치아 형태의 보철물을 시술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는 보통 고정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보철(Crown)로 구성된다. 고정체는 환자의 턱뼈에 식립되고,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 고정체에 고정되어 임플란트를 고정체에 고정하며, 보철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임플란트 고정체 및 턱뼈에 전달하고, 보철은 누락된 치아의 형상 및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디자인되어 인공치아의 외형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어버트먼트와 보철은 별도로 생산되어 스크류와 같은 고정방식에 의해 상호 체결된 상태로 구강 내에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구강 내에서 기능적인 교합을 수행할 때 반복되는 압축력, 인장력 및 외부 충격에 의해 체결이 약해지거나 어버트먼트가 손상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의 가공을 위한 원자재 가공용 지그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원자재 가공용 지그는 하나의 원자재가 하나의 고정축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원자재를 절삭하여 어버트먼트 및 보철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고정축이 피로현상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정밀한 가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원자재 가공용 지그는 생산율이 극히 낮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손상이 방지되며,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고, 생산율이 향상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160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상이 방지되며,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고, 생산율이 향상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베이스부에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자재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가 삽입되는 복수의 어댑터 고정홈이 형성되는 회동부와, 베이스부 및 회동부에 삽입되어,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동제한부를 포함하고, 회동부는 회동축의 양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제한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베이스부는 회동축과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회동축과 동일 수직선상에 한 쌍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회동제한부는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을 관통한 제한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부는 복수의 어댑터 고정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고정홈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고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각 연결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는 각각 회동제한부가 삽입되는 제한부 삽입홈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부 체결공이 형성되고, 회동부 체결공에는 회동부 체결볼트가 설치되어, 고정부재가 연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어댑터 고정홈 마다 어댑터 고정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 고정공과, 어댑터 고정홈과 수평으로 연통되는 수평 고정공이 형성되고, 수직 고정공 및 수평 고정공은 각각 어댑터와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제1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원자재의 타단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원자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1중앙선과 직교하는 제2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회동축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회동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1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원자재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원자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제2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회동축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회동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제1관통공의 절반은 하부몸체에 형성되며, 나머지 절반은 상부몸체에 형성되고, 제2관통공은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몸체 체결공이 형성되며, 각 몸체 체결공에는 몸체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자재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를 회동부의 어댑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원자재 고정 단계와, 베이스부의 제1관통공 및 회동부의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회동제한부를 삽입하는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와, 원자재의 상부를 절삭 가공하는 제1절삭 가공 단계와, 베이스부를 180° 회전시켜 원자재의 하부를 절삭하는 제2절삭 가공 단계와, 제1관통공 및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된 회동제한부를 분리하는 회동제한부 분리 단계와, 회동부를 90° 회동시키고, 분리된 회동제한부를 베이스부의 제2관통공 및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삽입하는 회동제한부 재배치 단계와, 원자재의 타단을 절삭하는 제3절삭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위치에서 원자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가공 과정에서 원자재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정밀하게 어버트먼트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의 일부분을 회동시켜 원자재의 삼면을 가공장치와 마주보는 곳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그에 의해 가려진 부분을 가공하기 위해 원자재를 지그에 재고정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가공 비용 및 가공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의 회동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의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의 원자재와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1)의 회동부(20)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1, 이하 지그)는 베이스부(10), 회동부(20) 및 회동제한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지그(1)의 외측 둘레를 형성하며, 회동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 중심에 중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01)에는 회동부(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회동부(20)에 형성된 회동축(23)이 베이스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는 중공(101)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일단에 커넥터(a')가 형성되며, 커넥터(a')에 의해 어댑터(b)와 결합된 원자재(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a')와 원자재(a)는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회동축(23)과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관통공(1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축(23)과 동일 수직선상에 한 쌍의 제2관통공(113, 1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베이스부(10)에 팔각형 형상의 중공(101)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부(1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 3 및 도 4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체결볼트(13) 및 고정볼트(14, 24)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베이스부(10)는 하부몸체(11) 및 상부몸체(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몸체(11)와 상부몸체(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몸체(11)는 내부 중심에 중공(111)이 형성되고, 회동부(20)에 결합된 원자재(a)의 타단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원자재 고정홈(114)이 형성되고, 회동부(20)의 각 회동축(23)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회동축 고정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원자재 고정홈(114)은 제1중앙선(L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회동축 고정홈(115)은 제1중앙선(L1)과 직교하는 제2중앙선(L2)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1)는 제1회동축 고정홈의 양측에 제1관통공(102)의 일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회동축 고정홈(115)의 하측에 하나의 제2관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는 하부몸체의 중공(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공(121)이 내부 중심에 형성되고, 제1원자재 고정홈(114)에 삽입되지 않은 원자재의 타단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원자재 고정홈(124)이 형성되고, 제1회동축 고정홈(115)에 삽입되지 않은 회동축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회동축 고정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원자재 고정홈(124)은 제1중앙선(L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회동축 고정홈(125)은 제2중앙선(L2)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원자재 고정홈(114)과 제2원자재 고정홈(124)이 이루는 홈의 형상은 평면부가 형성된 원자재(a)의 타단측 일부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2)는 제2회동축 고정홈(125)의 양측에 제1관통공(102)의 나머지 일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회동축 고정홈(125)의 상측에 하나의 제2관통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몸체(11) 및 상부몸체(12)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몸체 체결공(116, 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 체결공(116, 126)에는 몸체 체결공(116, 126)과 체결 가능한 체결볼트(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 체결공(116, 126)은 형성 위치에 따라 그 크기가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몸체 체결공(116, 126)은 제1원자재 고정홈(114) 사이, 제2원자재 고정홈(124) 사이 및 각 회동축(2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자재 고정홈(124)에 삽입된 원자재(a)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부몸체(12)는 제2원자재 고정홈(124)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 고정공(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고정공(127)에는 고정볼트(14)가 삽입되어 원자재(a)와 상부몸체(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회동부(20)는 원자재(a)와 결합된 어댑터(b)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성요소로서, 베이스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회동부(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회동부(20)는 한 쌍의 고정부재(21), 한 쌍의 연결부재(22) 및 한 쌍의 회동축(2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고정부재(21)는 다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 어댑터(b)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어댑터 고정홈(211)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댑터 고정홈(211)은 어댑터(b)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어댑터(b)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부재(21)는 회동제한부(30)가 삽입 가능한 제한부 삽입홈(215)이 양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한부 삽입홈(215)의 내주면은 회동제한부(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 고정홈(211)에 삽입된 어댑터(b)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부재(21)는 어댑터 고정홈(211) 마다 어댑터 고정홈(211)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 고정공(213) 및 어댑터 고정홈(211)과 수평으로 연통되는 수평 고정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 고정공(213) 및 수평 고정공(214) 각각에는 고정볼트(24)가 삽입되어 어댑터(b)와 고정부재(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부재(22)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고정부재(21)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2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2)는 고정부재(21)의 제한부 삽입홈(2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연통되도록 제한부 삽입홈(2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2)와 고정부재(21)는 각각 결합을 위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부 체결공(212, 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부 체결공(212, 222)에는 회동부 체결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회동축(23)은 연결부재(22)의 회동을 돕는 구성요소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연결부재(22)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2)의 일면은 고정부재(21)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자재(a)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b)가 고정부재(21)에 결합되고, 원자재(a)의 타단이 베이스부(10)에 결합됨으로써, 원자재(a)가 지그(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가공 시 발생되는 진동이 분산되어 지그(1) 내 피로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부(20)에 다수의 원자재(a)가 고정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30)는 회동부(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0)의 제1관통공(102) 또는 제2관통공(113, 123)을 통과하여, 연결부재(22)의 제한부 삽입홈(221)을 통과하고, 고정부재(21)의 제한부 삽입홈(215)으로 삽입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30)가 제1관통공(102)을 통과하여 고정부재(21) 및 연결부재(22)의 제한부 삽입홈(215, 221)으로 삽입되는 경우, 회동부(20)에 결합된 원자재(a)가 베이스부(10)와 수평인 상태에서 회동부(2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회동제한부(30)가 제2관통공(113, 123)을 통과하여 고정부재(21) 및 연결부재(22)의 제한부 삽입홈(215, 221)으로 삽입되는 경우, 회동부(20)에 결합된 원자재(a)가 베이스부(10)와 수직인 상태에서 회동부(2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회동제한부(30)를 제1관통공(102)에 통과시켜 원자재(a)와 베이스부(10)를 수평인 상태로 고정시킨 후, 원자재(a)의 상부 및 하부를 가공해 원자재(a)가 절단되도록 한 후, 회동제한부(30)를 제1관통공(102)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회동제한부(30)를 제2관통공(113, 123)에 통과시켜 회동부(20)에 결합된 원자재(a1)와 베이스부(10)를 수직인 상태로 고정시킨 후, 회동부(20)에 결합된 원자재(a1)의 타단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회동부에 결합된 원자재(a1)는 절단된 상태로, 타단은 절단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원자재(a)를 회동부(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고정한 채로, 삼방향에서 원자재(a)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은 원자재 고정 단계(S100),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S200), 제1절삭 가공 단계(S300), 제2절삭 가공 단계(S400), 회동제한부 분리 단계(S500), 회동제한부 재배치 단계(S600) 및 제3절삭 가공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재 고정 단계(S100)는 원자재(a)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b)를 회동부(20)의 어댑터 고정홈(211)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원자재(a)를 회동부(20)에 고정할 때에는 원자재(a)에 어댑터(b)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어댑터(b)를 회동부(20)의 어댑터 고정홈(211)에 삽입한 후, 수평 고정공(214) 및 수직 고정공(213)을 통해 고정볼트(24)를 삽입하여 원자재(a)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S200)는 원자재(a)와 베이스부(10)가 수평인 상태가 고정되도록 회동부(20)의 회동을 제한하는 단계로서, 회동제한부(30)를 베이스부(10)의 제1관통공(102) 및 회동부(20)의 제한부 삽입홈(215, 221)에 삽입할 수 있다.
제1절삭 가공 단계(S300)는 원자재 고정 단계(S100)에서 회동부(20)에 고정된 원자재(a)의 상부를 절삭 가공하는 단계로서, 황삭, 중삭 및 정삭 단계를 거치며 원자재(a)의 상부를 절삭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원자재(a)를 절삭 가공하는 가공장치는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절삭 가공 단계(S400)는 제1절삭 가공 단계(S300)에서 가공되지 않은 원자재(a)의 하부를 절삭 가공하는 단계로서, 베이스부(10)를 180° 회전시켜 원자재(a)의 하부를 가공장치와 마주보는 곳에 배치시킨 후, 원자재(a)의 하부를 황삭, 중삭 및 정삭 단계를 거치며 절삭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원자재(a)는 제1절삭 가공 단계(S300) 및 제2절삭 가공 단계(S400)를 거치며 절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부재(21)에 결합된 원자재(a1)는 절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절삭 가공 단계(S300) 및 제2절삭 가공 단계(S400)에서 회동부(20)는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S200)로 인해 회동되지 않는다.
회동제한부 분리 단계(S500)는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S200)에서 제1관통공(102) 및 제한부 삽입홈(215, 221)에 삽입된 회동제한부(3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회동제한부 재배치 단계(S600)는 원자재(a)와 베이스부(10)가 수직인 상태가 고정되도록 회동부(20)를 일정각도 회동한 후, 다시 회동을 제한하는 단계로서, 회동부(20)를 90° 회동시키고, 회동제한부 분리 단계(S500)에서 분리된 회동제한부(30)를 베이스부(10)의 제2관통공(113, 123) 및 회동부(20)의 제한부 삽입홈(215, 221)에 삽입할 수 있다.
제3절삭 가공 단계(S700)는 고정부재(21)에 결합된 원자재(a1)의 타단을 절삭 가공하는 단계로서, 황삭, 중삭 및 정삭 단계를 거치며 원자재(a1)의 타단을 절삭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원자재(a1)의 타단은 제1절삭 가공 단계(S300) 및 제2절삭 가공 단계(S400)를 거치면서 일부 절삭 가공될 수 있으나, 지그(1)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정밀한 가공이 불가하다. 즉, 본 발명은 회동부(20)를 회동시켜 원자재(a1)의 타단을 가공장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자재(a1)를 지그(1)에 재고정하지 않아도 됨으로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자재 고정 단계(S100)는 한 쌍의 고정부재(21)에 형성된 어댑터 고정홈(211)마다 어댑터(b)를 고정시키고, 한 쌍의 고정부재(21)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부재(22)와 결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원자재 고정 단계(S100) 이후, 추가 원자재 고정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원자재 고정 단계는 원자재(a)의 타단을 베이스부(10)의 원자재 고정홈(114, 124)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원자재(a)를 베이스부(10)에 고정할 때에는 상부몸체(12)와 하부몸체(11) 사이에 회동부(20)에 고정된 원자재(a)를 회동축 고정홈(115, 125)에 위치시킨 후, 몸체 체결공(116, 126)에 몸체 체결볼트(13)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 체결볼트(13)를 결합시킨 후, 상부몸체(12)에 형성된 수직 고정공(127)을 통해 고정볼트(14)를 삽입하여 원자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원자재 고정 단계(S100) 내지 제3절삭 가공 단계(S700)를 거쳐 완성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는 보철 부분에 포세린(Porcelain)을 피복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그
10 : 베이스부
20 : 회동부
30 : 회동제한부

Claims (7)

  1.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를 가공하기 위한 원자재를 고정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축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자재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가 삽입되는 복수의 어댑터 고정홈이 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회동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회동축의 양측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제한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동축과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과 동일 수직선상에 한 쌍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제한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복수의 어댑터 고정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홈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고정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각 연결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회동제한부가 삽입되는 제한부 삽입홈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부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 체결공에는 각각 회동부 체결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어댑터 고정홈 마다 상기 어댑터 고정홈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수직 고정공과, 상기 어댑터 고정홈과 수평으로 연통되는 수평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공 및 상기 수평 고정공은, 각각 어댑터와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제1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원자재의 타단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원자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앙선과 직교하는 제2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회동축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회동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원자재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원자재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앙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회동축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2회동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관통공의 절반은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며, 나머지 절반은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몸체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몸체 체결공에는 몸체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7. 원자재의 일단에 결합된 어댑터를 회동부의 어댑터 고정홈에 고정시키는 원자재 고정 단계와,
    베이스부의 제1관통공 및 회동부의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회동제한부를 삽입하는 회동제한부 삽입 단계와,
    상기 원자재의 상부를 절삭 가공하는 제1절삭 가공 단계와,
    상기 베이스부를 180° 회전시켜, 원자재의 하부를 절삭하는 제2절삭 가공 단계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된 회동제한부를 분리하는 회동제한부 분리 단계와,
    상기 회동부를 90° 회동시키고, 분리된 회동제한부를 베이스부의 제2관통공 및 제한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삽입하는 회동제한부 재배치 단계와,
    상기 원자재의 타단을 절삭하는 제3절삭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KR1020180139485A 2018-11-14 2018-11-14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KR10207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85A KR102073325B1 (ko) 2018-11-14 2018-11-14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85A KR102073325B1 (ko) 2018-11-14 2018-11-14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25B1 true KR102073325B1 (ko) 2020-02-03

Family

ID=6962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485A KR102073325B1 (ko) 2018-11-14 2018-11-14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25B1 (ko) * 2020-07-10 2021-03-29 이지복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상기 장치로 가공된 인공치아
WO2022019477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하스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CN114273947A (zh) * 2021-12-30 2022-04-05 苏州玛瑞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夹具及其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00B1 (ko) 2010-11-15 2012-08-06 최진경 인공치아 가공장치
KR20130049631A (ko) * 2011-11-04 2013-05-14 염명희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장치
KR101559463B1 (ko) * 2014-11-28 2015-10-13 주식회사 피스티스 워크
KR101889014B1 (ko) * 2017-03-22 2018-08-16 주식회사 피스티스 어버트먼트 가공용 워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00B1 (ko) 2010-11-15 2012-08-06 최진경 인공치아 가공장치
KR20130049631A (ko) * 2011-11-04 2013-05-14 염명희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장치
KR101559463B1 (ko) * 2014-11-28 2015-10-13 주식회사 피스티스 워크
KR101889014B1 (ko) * 2017-03-22 2018-08-16 주식회사 피스티스 어버트먼트 가공용 워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25B1 (ko) * 2020-07-10 2021-03-29 이지복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상기 장치로 가공된 인공치아
WO2022010081A1 (ko) * 2020-07-10 2022-01-13 이지복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상기 장치로 가공된 인공치아
WO2022019477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하스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3194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하스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6218B1 (ko) * 2020-07-24 2022-07-28 주식회사 하스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CN114273947A (zh) * 2021-12-30 2022-04-05 苏州玛瑞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夹具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25B1 (ko)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ES2274172T3 (es) Pieza de prolongacion para un implante dental, ayuda de transferencia y procedimiento para establecer una base para un elemento de retencion.
JP6566955B2 (ja) エノスザールな単一義歯移植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CA1300936C (en) Device for fixing a dental prosthesis
CN102125466A (zh) 用于定制的植入基牙材料和采用其制造基牙的方法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US11224919B2 (en) Method for correcting an axial position of a workpiece support
KR20140107382A (ko) 골내 단일 치아 임플란트
KR101967710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KR200479385Y1 (ko)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KR101933577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US7695280B1 (en) Dental implant and drill for forming socket for the same
KR101035503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자재
KR102407250B1 (ko) 임플란트 3d 프린팅 모형용 랩 아날로그
KR20210106724A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WO2016170376A1 (en) Structure enabling continuous angular adjustment for fixing a single dental device into an implant
KR101813877B1 (ko) 고정용 가이드가 부설된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작용 이중결합 지그
CN102781364A (zh) 连接构件和牙齿修复体
KR101870418B1 (ko) 복수의 어버트먼트 생산을 위한 지그
CN111683619B (zh) 改进的用于假牙的固定销支撑件及其制造方法
EP4044960B1 (en) Dental bar
TWI826521B (zh) 用於形成義齒之坯料及製造義齒之方法
BR112021015076A2 (pt) Ferramenta de fresagem para encaixar um parafuso em uma estrutura dentá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