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600B1 - 인공치아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600B1
KR101171600B1 KR1020100113109A KR20100113109A KR101171600B1 KR 101171600 B1 KR101171600 B1 KR 101171600B1 KR 1020100113109 A KR1020100113109 A KR 1020100113109A KR 20100113109 A KR20100113109 A KR 20100113109A KR 101171600 B1 KR101171600 B1 KR 10117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unit
tooth
tool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819A (ko
Inventor
최진경
Original Assignee
최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경 filed Critical 최진경
Priority to KR102010011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9Production methods using a copy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7Dust removing devices on working places in dental laboratories, e.g. workin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5/0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 B23Q35/04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using a feeler or the like travelling along the outline of the pattern, model or drawing; Feelers, patterns, or mode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의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율에 따라 인공치아 가공시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절가능하며,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고, 4축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부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견본치아가 설치되는 견본치아 고정부와; 가공되는 공작물이 설치되는 공작물 고정부와; 상기 견본치아의 외부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의 전후이동,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의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측정부와; 상기 센싱된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위치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작물 고정부에 설치된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의 크기 및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단순 조작에 의해 치아의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확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측정부와 가공부를 전기적 제어로 분리하여 분진이 발생되는 가공부를 별도로 구획 밀폐가능하여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치아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AN ARTIFICIAL TOOTH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치아의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율에 따라 인공치아 가공시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절가능하며, 측정부와 가공부를 분리 구획할 수 있어서 가공부에서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가공시 장치 조작에 대한 힘이 적게 들고, 4축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부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치나 잇몸 질환 혹은 외상 등의 원인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었을 때에는 손상된 치아를 인공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복구함으로써 음식물을 씹는 기능과 외모, 발음 등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치료 과정을 보철이라 한다.
이 보철에 사용되는 인공치아의 재료로는 주로 금과 같은 금속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이 금속 재료들의 색은 치아의 색과 서로 달라 색상의 차이로 자연스럽지 못하고 자연상태에서 필연적으로 산화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기존 금속 재료를 대체하기 위해 생체재료로서 세라믹 종류의 인공치아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 세라믹 종류의 인공치아 재료 중에서 특히 지르코니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르코니아는 지르코늄을 함유한 올세라믹 종류의 재질로서, 이 지르코늄은 이미 산화된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하여 위에서 말한 산화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강도와 경도가 매우 높고, 투광성이 있으며, 첨가 성분에 따라서 색상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실제 치아와 거의 유사한 인공치아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인공치아의 제조 과정은 견본치아를 제작한 후, 견본치아를 참조하여 지르코니아를 절삭 및 표면 연삭을 통해 밀링 가공을 하고, 이어서 약 1500℃ 정도에서 소결하여 안정된 결정체를 얻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되는데, 이 지르코니아는 소결과정을 통해 대략 20~30%의 크기 축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20~30% 정도 크게 가공을 하여야 하며, 더욱이 이 소결작업시 치아의 크기 및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20~30% 이내에서 세밀한 확대 비율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확대 비율은 치아의 크기와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사람의 치아는 위치(앞니, 송곳니, 어금니)에 따라 그 크기가 서로 다르며, 치아의 위치가 동일하더라도 개개인마다 그 크기 및 형상이 서로 다르고, 또한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의해 소결에 따른 수축율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어서, 이러한 조건에 의해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방법은 크게 총형가공과 NC(numerical control) 가공으로 구분된다.
총형가공은 견본치아의 굴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부와 이 측정부의 움직임에 의해 가공부의 절삭핀(공구, cutter)이 세팅된 확대 비율에 의해 이동하면서 지르코니아를 확대가공하는 방법이며, 이 총형가공의 하나로 공개특허 제2010-0092211호(발명의 명칭 :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제시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장치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30); 상기 베이스(230)의 상부에서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재로 사용되는 상기 모형치아와 인공치아로 가공될 가공모재를 고정시키는 작업대(210); 및 상기 작업대(210)의 좌우이동에 대응하여 좌우 이동가능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각각의 핸드피스(230, 220)를 구동시켜 둘 중 하나의 핸드피스로 상기 가이드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나머지 하나의 절삭핸드피스(220)로 가공모재를 절삭하여 상기 가이드재와 형상은 동일하며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이동하여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 가이드핸드피스(23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절삭핸드피스(220)의 구동은 가이드 레일과 스케일장치 등의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수동으로 변화시켜 인공치아의 확대율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써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능률은 큰 차이를 보이고 확대 비율 재설정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가이드핸드피스(230)의 움직임에 의해 절삭핸드피스(220)를 동시에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시 가이드핸드피스(230)와 절삭핸드피스(220)를 동시에 움직이는 힘이 요구된다.
또한 인공치아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으나 절삭핸드피스(220)가 이동되는 절삭부가 독립된 구획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아 가공시 발생된 분진을 모두 수거하지 못하며, 이에 가공시 발생된 분진이 작업자의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총형 가공 방법을 이용한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상하?전후?좌우 방향의 3축 이송축만 사용하는 방법으로 인공치아를 가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3축을 사용한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치아의 굴곡, 뒤틀린 면 등을 세밀하게 가공할 수 없어서 보철치료 후 인공치아에 의한 이질감 등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NC 가공이 있는데, 이 NC 가공은 견본치아를 3차원 스캔으로 측정하여 이를 CAD/C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된 스캔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이에 확대율을 적용하여 NC 데이터로 전환하며 NC 조각기에서 NC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방법이다.
상기 NC 가공 방법의 하나로 특허 제982778호(발명의 명칭 : 5축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제시된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이 장치는 상기 총형 가공 장치에서 분진의 발생 및 3축의 이송축에 의한 문제점 등을 개선한 것으로, 상기 방법에 의한 장치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로는 가공된 가공 대상물의 칩 조각들을 처리하기 위한 칩 처리 탱크(190)가 구비되며, 작업 공간인 중앙부 좌측으로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170)가 바닥 기준 프레임 상면으로 구비되며, 우측으로는 가공 대상물을 클램핑하는 지그(141)에 따른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가공 공간은 작업 테이블 및 상기 작업 테이블 상면으로 가공 대상물이 설치되는 클램프(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클램프(140)의 A축 및 B축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하부로는 공구(110)를 탑재한 스핀들을 장착한 주축이 X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NC 제어에 의하여 이송되도록 하고, 가공 대상물이 전후 방향 Y축으로 이동되도록 위치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NC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상기 장치는 프로그램된 장치를 독립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어서 분진의 집진이 용이하여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견본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는 장치와 이 3차원으로 스캔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공치아를 가공하는 NC 조각기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서 넓은 작업 공간이 요구되며, CAD/CAM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숙지하여야 하는 고급인력이 요구되고, 더욱이 장치를 이루는 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가격이 높아 전체적인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NC 가공 장치로 가공되는 인공치아는 가공시 전체적인 공정이 기계장치에 의존하여 가공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이의 오류 발생이 빈번히 발생되며,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가공되는 총형가공에 비해 자연스러운 가공이 되지 못하여 보철치료 후 이식된 가공치아에 의해 느끼는 이질감이 크고, 본래 치아와의 맞물림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치아의 크기 및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확대율을 세밀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측정부와 가공부를 분리 구획할 수 있어서 분진을 집진하기가 용이한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공시 힘이 적게 들며, 4축을 변위가능토록 구성하여 뒤틀림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공부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이 목적은 견본치아가 설치되는 견본치아 고정부와; 가공되는 공작물이 설치되는 공작물 고정부와; 상기 견본치아의 외부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의 전후이동,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의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측정부와; 상기 센싱된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위치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작물 고정부에 설치된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총형 가공장치의 장점과 NC 가공장치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견본치아를 스캔하는 측정부와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측정부와 가공부를 분리 구획할 수 있으므로 분진이 발생되는 가공부를 구획 밀폐하여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어서 이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치아의 크기 및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단순 조작에 의해 치아의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확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작업자는 측정부를 움직이는 힘만으로도 가공부를 이동 제어할 수 있어서 가공시 소요되는 힘이 적게 들고, 전후, 좌우, 상하 및 회동축으로 구성되는 4축의 변위에 따라 견본치아와 가공치아의 재 장착없이 1번의 장착으로 견본치아와 거의 유사한 인공치아를 가공할 수 있어서 보철치료 후 인공치아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공부의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체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구의 이송/회전속도 등을 조절가능하여 인공치아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총형 연마가공에 의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NC 가공에 의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가공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A축을 회동하기 위한 일실시예 따른 사시도(a, b),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성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공치아의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율에 따라 인공치아 가공시 확대율을 세밀하게 조절가능하며, 측정부와 가공부를 분리 구획할 수 있어서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고, 4축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최후 이동지점으로의 가공부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치아 가공장치는 크게 견본치아 고정부, 공작물 고정부, 제어부 및 가공부로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4축의 정의를 설명한다.
좌우 방향의 이동축을 X축, 전후 방향의 이동축을 Y축, 상하 높이 방향의 이동축을 Z축으로 하여 기본 3축을 설정하고, X축 기준 회전축을 A축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견본치아(310)를 스캔하는 측정부(400)와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가공부(600)를 서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측정부(400)에서 스캔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가공부(6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측정부(400)와 연결되는 제어부(500) 및 제어부(500)와 연결되는 가공부(600)는 전기신호로 상호 연결되며, 이때 측정부(400)에서 제어부(500)로 송출되는 전기신호는 측정부(400)에서 센싱된 위치정보신호이고, 제어부(500)에서 가공부(600)로 송출되는 전기신호는 가공부(6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신호는 전기선(도면에 미표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측정부(400), 제어부(500) 및 가공부(600)로 전달되는 전기신호의 구조적 결합을 간소화하기 위해 무선통신으로 전송되는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은 와이브로, HSDPA, 와이파이, 와이맥스, ZIGBEE, Bluetooth, UWB, IrDA, SWAP 및 RF 통신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측정부(400)는 견본치아(3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가 구비되며, 이 측정자(410)의 3차원 스캔을 위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하축 기준인 Z축가동슬라이더(420)와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좌우축 기준인 X축가동슬라이더(430)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전후축 기준인 Y축가동슬라이더(440)가 마련되고, 이때 측정자(410)는 상하축 기준인 Z축가동슬라이더(4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Z축?X축?Y축가동슬라이더(420, 430, 440)의 위치를 각각 센싱하는 변위센서(422, 432, 44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공부(600)는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공구(610)가 설치되며 수직이동이 가능하며 상하축 기준인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좌우축 기준인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전후축 기준인 Y축구동슬라이더(640) 및 각각의 Z축?X축?Y축구동슬라이더(620, 630, 640)를 각각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들(623, 633, 643)로 이루어지되, 이 구동모터들(623, 633, 643)은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견본치아 고정부(300)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축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공작물 고정부(700)도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동되는 축에 대응하여 동일한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하/전후/좌우의 3축과 전후/좌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축이 틸팅되도록 구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여 총 4개의 축이 변위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선택되는 하나의 축은 좌우축 기준인 X축이 될 수 있으며, 물론 Y축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공작물 고정부(700)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은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동각을 센싱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또한 이 센싱된 회동각도를 전기신호로 하여 제어부(500)에 송출 전송하며, 제어부(500)에서는 견본치아 고정부(300)에서 송출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센싱된 회동각에 근거한 공작물 고정부(700)를 회동시키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견본치아 고정부(300)에는 치아의 모형에 따라 제작된 견본치아(310)가 설치되며 공작물 고정부(700)에는 인공치아로 가공되는 공작물(710)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견본치아 고정부(300) 및 공작물 고정부(700)는 X축 기준 회전축인 A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는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공작물 고정부(700)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데,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은 구성으로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동각을 센싱하여 이를 공작물 고정부(700)를 회동하는 전기적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기어를 이용한 기계적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전기적 구성을 살펴보면, 견본치아 고정부(300)는 좌우축의 기준인 A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견본치아(310)의 회동각을 센싱하는 회동감지센서(330)를 포함하고, 제어부(500)는 회동감지센서(330)에서 센싱된 회동각을 수신하여 회동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공작물 고정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송출되는 상기 회동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작물(710)을 A축 회동시키는 회동모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공작물 고정부(700)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토록 하는 기계적 구성은, 도 5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구성(a) 및 웜과 웜기어로 이루어지는 구성(b)으로 실시될 수 있다.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5의 (a))은,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견본치아(310)는 견본치아측 종동기어(34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견본치아측 종동기어(340)와 맞물리는 견본치아측 구동기어(341)를 포함하고, 공작물 고정부(700)의 공작물(710)은 공작물측 종동기어(36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작물측 종동기어(360)에 맞물리는 공작물측 구동기어(361)를 포함하고, 견본치아측 구동기어(341)와 공작물측 구동기어(361)는 A축샤프트(350)에 의해서 연결되어 공작물(710)이 A축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웜과 웜기어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5의 (b))은,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견본치아(310)는 견본치아측 웜기어(37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견본치아측 웜기어(370)와 맞물리는 견본치아측 웜(371)을 포함하고, 공작물 고정부(700)의 공작물(710)은 공작물측 웜기어(38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작물측 웜기어(380)에 맞물리는 공작물측 웜(381)을 포함하고, 견본치아측 웜(371)과 공작물측 웜(381)은 A축샤프트(350)에 의해서 연결되어 공작물(710)이 A축 회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견본치아(310)의 A축 회동과 상기 공작물(710)의 A축 회동은 동일한 각도로 회동되도록 1: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동각을 센싱하여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동각에 따라 공작물 고정부(700)를 회동하도록 하는 전기적 구성에서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공작물 고정부(700)의 거리는 센싱신호를 수신하고 이 센싱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전선을 충분히 길게하여 분리 구성될 수 있으나, 기어를 이용하는 기계적 구성에서의 이격거리는 회동을 전달하는 A축샤프트(35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A축 샤프트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공작물 고정부(700)의 이격거리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공작물 고정부(700)를 별도의 구획된 구간에 안치시켜서 상기 공작물 가공시 공작물 고정부(700)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X축 기준 회전축인 A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710)의 가공시 인공치아의 측면 및 밑면을 초기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의 측면 및 밑면 가공을 위해 인공치아의 상부를 가공한 후 견본치아 및 공작물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재설치의 과정이 필요 없으며, 재설치 과정에 따른 소요시간이 없어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재설치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견본치아(310)의 외부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의 전후이동,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의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측정부(400, 도 3 참조)는 작업자가 이동 지시하는 방향에 따라 측정자(410)를 이동 변위시키는 경우, 이동된 변위의 위치를 센싱하여 이를 제어부(500)에 송출하는 것으로, 견본치아(310)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견본치아(31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와; 측정자(410)가 고정되며 Z축가동레일(4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Z축변위센서(422)를 포함하는 Z축가동슬라이더(420)와; Z축가동레일(421)의 일측이 고정되며, X축가동레일(4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우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X축변위센서(432)를 포함하는 X축가동슬라이더(430) 및 X축가동레일(431)에 고정되며, Y축가동레일(441)에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Y축변위센서(442)를 포함하는 Y축가동슬라이더(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부(400)의 구성에서 X축가동슬라이더(430)와 Y축가동슬라이더(440)는 그 결합관계가 상호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Z축가동슬라이더(420)가 슬라이딩되는 Z축가동레일(421)은 Y축가동슬라이더(440)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Y축가동슬라이더(440)가 슬라이딩되는 Y축가동레일(441)은 X축슬라이더(4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가 측정자(410)를 이동시키면 측정자(410)는 작업자의 의도한 대로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 변위되며, 이 이동 변위의 위치값을 각 슬라이더에 마련된 변위센서에서 이를 센싱한다.
변위센서는 대상물의 물리 변화량을 다양한 소자로 검지하여 그 변화량을 거리로 환산함으로써 센서에서 대상물의 거리 이동을 계측하는 기기이며, 사용되는 소자에 따라 광학식 변위 센서, 리니어 근접 센서, 초음파 변위 센서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400)의 각 Z축?X축?Y축변위센서(422, 432, 442)에서 센싱된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위치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500)가 구성된다.
이 제어부(500)는 비율을 조절가능하며 측정부(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대한 비율을 적용하여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다른 제어부(5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6 및 도 7과 같이 XYZA축 세팅모듈(510), 비율적용모듈(520),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540), 공구위치 표시모듈(550) 및 지체시간모듈(560)을 포함한다.
XYZA축 세팅모듈(510)은 좌우축 기준인 X축, 전후축 기준인 Y축, 상하축 기준인 Z축 및 X축 기준 회전축인 A축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공구위치 표시모듈(550)에 의해 표시되는 공구의 위치값을 기준으로 가공될 공작물(710)의 X축 위치, Y축 위치, Z축 위치 및 A축의 회동각도 등을 설정하는 버튼이 마련된 축세팅 입력부(511)와; 상기 측정부(400)의 측정자(410)의 위치 변동에 연동되지 않고 상기 축세팅 입력부(511)의 입력신호에 따라 공구(610)의 위치를 변위시키도록 설정하는 링크해제버튼(512) 및 측정자(410)의 위치 변동에 연동되어 공구(610)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링크연결버튼(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A축 회동을 제어하는 버튼은 시계방향의 회동을 제어하는 버튼(CW)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제어하는 버튼(CCW)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율적용모듈(520)은 측정부(400)에서 센싱된 위치값에 따라 미리 세팅된 비율에 근거하여 공구(610)가 이동되는 위치값을 계산하고 송출하는 것으로서, 이동위치의 비율을 세팅하는 비율 입력부(521)와 이를 표시하는 비율 표시부(522)가 마련되며, 상기 측정부(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 비율적용모듈(520)의 비율표시부(522)는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으며, 비율 세팅의 편리성을 위해서 비율 입력부(521)는 일단위, 십단위 및 백단위 별로 각각 분리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율적용모듈(520)에 의하면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확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은 X축, Y축 및 Z축의 각 X축구동슬라이더(630), Y축구동슬라이더(640) 및 Z축구동슬라이더(620)의 슬라이딩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비율적용모듈(520)에 의거한 위치제어신호로 상기 공구(61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공구(610)의 이송속도를 세팅하는 이송속도 입력부(531)와 이를 표시하는 이송속도 표시부(532)가 구비된다.
즉, X축구동슬라이더(630), Y축구동슬라이더(640) 및 Z축구동슬라이더(620)의 슬라이딩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결국 공구(610)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공구(610)의 이송속도는 상기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에 세팅된 이송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은 X축구동슬라이더(630), Y축구동슬라이더(640) 및 Z축구동슬라이더(620)를 구동하는 각각의 X축구동모터(633), Y축구동모터(643) 및 Z축구동모터(6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540)은 공작물(710)을 가공하여 인공치아를 제작하는 공구(6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공구(610)의 회전속도를 세팅하는 회전속도 입력부(541)와 이를 표시하는 회전속도 표시부(542)가 구비된다.
즉, 이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540)은 공구(610)을 회전시키는 가공모터(611)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공구위치 표시모듈(550)은 공구(610)의 3차원으로 표현되는 위치와 A축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공구(610)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552)가 구비된다.
지체시간모듈(560)은 측정자(410)의 위치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공구(61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까지의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측정자(410)의 위치와 미리 세팅된 비율에 근거한 공구(610)의 위치를 매칭시키기까지의 지연시간을 계산한다. 즉, 측정부(400)의 측정자(410)의 위치로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공구(610)의 위치이동을 제어하되, 이송속도와 공구의 회전속도에 근거하여 공구의 최종위치까지 소요되는 지체시간을 계산하여 이를 표시하는 지체시간표시부(562)가 구비된다.
이를 부연하면, 측정자(410)의 위치 변위는 견본치아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되나 공구(610)는 공작물(710)을 절삭가공하면서 이동되어 공구(710)의 위치 변위는 즉각적인 위치변위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국 측정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구(610)의 위치이동에는 소정의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팅된 비율, 측정자(4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이동거리, 공구(610)의 회전속도 및 공구이송속도 등에 근거한 예상 지연시간을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의 속도를 느낄 수 있어서 작업의 지루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체시간모듈(560)에 의해 표시되는 지체시간이 "0"인 경우에는 측정자(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구(610)가 위치하였다는 의미이다.
도 7의 도면부호 570은 전원을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제어부로, 이 전원제어부는 공구(610)를 회동시키는 시작버튼(571), 공구(610)의 회동을 임시 멈추도록 하는 일시정지버튼(572), 인공치아 가공장치로의 전원을 투입하거나 차단하는 전원투입차단부(573)로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500)의 제어를 받아 공구(610)의 이송으로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가공부(600, 도 3 참조)가 마련되는데,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가공부(600)는 Z축구동레일(6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Z축구동모터(623)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Z축구동슬라이더(620)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가공모터(611)에 의해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X축구동레일(6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X축구동모터(63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X축구동레일(631)에 고정되며, Y축구동레일(641)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Y축구동모터(64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Y축구동슬라이더(6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가공부(600) 구성은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Z축구동슬라이더(620)에 가공모터(6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절삭가공하는 공구(610)를 설치하고, 좌우 방향의 X축구동슬라이더(630)에 공작물 고정대(72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공작물 고정대(720)에 공작물(71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X축구동슬라이더(630)를 전후회동시키는 Y축구동슬라이더(6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이 가공부(600)는 별도의 독립된 2개의 구성으로 구동됨을 도시하였으나,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하나의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따른 가공부(600)의 구성은 가공모터 고정대(612)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가공모터(611)에 의해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가공모터 고정대(612)와 결합되며, Z축구동레일(6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Z축구동모터(623)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Z축구동레일(621)의 고정되며, X축구동레일(6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X축구동모터(63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X축구동레일(631)에 고정되며, Y축구동레일(641)에 마련되고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Y축구동모터(64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Y축구동슬라이더(6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공부(6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각의 축에 설치된 구동모터들(623, 633, 643)이 구동되고 이 구동모터들(623, 633, 643)은 회전축에 마련된 각각의 샤프트들(622, 632, 642)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샤프트들(622, 632, 642)의 회전으로 각각의 구동레일들(621, 631, 641)에 마련된 각각의 슬라이더(620, 630, 640)가 각각의 구동레일들(621, 631, 641)의 범위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위치를 변위시킨다.
상기의 구성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견본치아(310)의 외부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부(400)와 공구(610)에 의해 공작물(710)이 가공되는 가공부(600)는 서로 분리되되 이를 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는 측정부(400)의 동작만으로 가공부(6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어서 가공 작업에 따른 힘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가공부(600)는 별도의 구획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서, 가공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공치아 가공장치의 동작순서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 가공장치에 대한 동작의 순서는,
① 우선 준비된 견본치아(310)와 공작물(710)을 각각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공작물 고정부(700)에 고정 설치한다.
② 다음으로 제어부(500)의 전원버튼으로 전원을 투입하고, XYZA축 세팅모듈(510)의 링크해제버튼(512)으로 측정부(400)의 측정자(410)에 의해 공구(610)가 연동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측정자(410) 및 공구(610)를 이동하여 초기위치를 세팅한다.
③ 그 후에, 비율적용모듈(520)의 확대 비율,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의 공구이송속도,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540)의 공구 회전속도를 입력하고,
④ XYZA축 세팅모듈(510)의 링크연결버튼(513)으로 측정자(410)와 공구(610)가 연동되도록 설정한다.
⑤ 시작버튼(571)의 입력으로 공구(610)를 회전시키고, 측정자(410)를 이동하여 견본치아(31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작물(710)을 가공한다.
⑥ 공작물(710)의 일측면이 가공 완료되면 일시정지버튼(572)의 동작으로 공구(610)를 일시정지시키고, 필요에 따라 A축을 회동하여 공작물(710)의 측면과 밑면을 절삭하여 인공치아를 가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아의 크기 및 지르코늄의 함유 정도에 따라 단순 조작에 의해 치아의 확대 비율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확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측정부와 가공부를 전기적 제어로 분리하여 분진이 발생되는 가공부를 별도로 구획 밀폐가능하여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4축의 변위에 따라 견본치아와 가공치아의 재 장착없이 1번의 장착으로 견본치아와 거의 유사한 인공치아를 가공할 수 있어 보철치료 후 인공치아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부의 이동속도에 따른 지체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체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구의 이송/회전속도 등을 조절가능하게 하여 인공치아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300 : 견본치아 고정부 310 : 견본치아
320 : 견본치아 고정대 330 : 회동감지센서
340 : 견본치아측 종동기어 341 : 견본치아측 구동기어
350 : A축샤프트 360 : 공작물측 종동기어
361 : 공작물측 구동기어 370 : 견본치아측 웜기어
371 : 견본치아측 웜 380 : 공작물측 웜기어
381 : 공작물측 웜 400 : 측정부
410 : 측정자 420 : Z축가동슬라이더
421 : Z축가동레일 422 : Z축변위센서
430 : X축가동슬라이더 431 : X축가동레일
432 : X축변위센서 440 : Y축가동슬라이더
441 : Y축가동레일 442 : Y축변위센서
500 : 제어부 510 : XYZA축 세팅모듈
511 : 축세팅 입력부 512 : 링크해제버튼
513 : 링크연결버튼 520 : 비율적용모듈
521 : 비율입력부 522 : 비율표시부
530 :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 531 : 이송속도 입력부
532 : 이송속도 표시부 540 :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
541 : 회전속도 입력부 542 : 회전속도 표시부
550 : 공구위치 표시모듈 552 : 위치 표시부
560 : 지체시간모듈 562 : 지체시간 표시부
570 : 전원제어부 571 : 시작버튼
572 : 일시정지버튼 573 : 전원투입차단부
600 : 가공부 610 : 공구
611 : 가공모터 612 : 가공모터 고정대
620 : Z축구동슬라이더 621 : Z축구동레일
622 : Z축샤프트 630 : X축구동슬라이더
631 : X축구동레일 632 : X축샤프트
640 : Y축구동슬라이더 641 : Y축구동레일
642 : Y축샤프트 700 : 공작물 고정부
710 : 공작물 720 : 공작물 고정대
730 : 회동모터

Claims (21)

  1. 견본치아(310)가 설치되는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가공되는 공작물(710)이 설치되는 공작물 고정부(700)와;
    상기 견본치아(310)의 외부 형상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의 전후이동,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의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측정부(400)와;
    상기 센싱된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세팅된 비율에 따라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제어부(500)의 위치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에 설치된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가공부(6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0)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500) 및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는 상기 가공부(600)는 전기신호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0)에서 상기 제어부(500)로 송출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측정부(400)에서 센싱된 위치정보신호이고,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가공부(600)로 송출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가공부(6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견본치아(31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와;
    상기 측정자(410)가 설치되며 상하축 기준인 Z축가동슬라이더(420)와;
    좌우축 기준인 X축가동슬라이더(430)와;
    전후축 기준인 Y축가동슬라이더(440) 및
    상기 각각의 Z축?X축?Y축가동슬라이더(420, 430, 440)의 위치를 각각 센싱하는 변위센서(422, 432, 4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600)는
    상기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상기 공구(610)가 설치되며 상하축 기준인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좌우축 기준인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전후축 기준인 Y축구동슬라이더(640) 및
    상기 각각의 Z축?X축?Y축구동슬라이더(620, 630, 640)를 각각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구동모터(623, 633, 6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는 수평방향으로 선택되는 하나의 축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는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회동되는 축에 대응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하나의 축은 좌우축 기준인 X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와 공작물 고정부(700)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는 회동각도를 센싱하여 센싱된 회동각도를 전기신호로 하여 제어부(500)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에서 송출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된 회동각에 근거한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견본치아(310)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견본치아(310)의 외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측정자(410)와;
    상기 측정자(410)가 고정되며 Z축가동레일(4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Z축변위센서(422)를 포함하는 Z축가동슬라이더(420)와;
    상기 Z축가동레일(421)의 일측이 고정되며, X축가동레일(4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우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X축변위센서(432)를 포함하는 X축가동슬라이더(430) 및
    상기 X축가동레일(431)에 고정되며, Y축가동레일(441)에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이동에 따른 변위를 센싱하는 Y축변위센서(442)를 포함하는 Y축가동슬라이더(4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600)는
    Z축구동레일(6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Z축구동모터(623)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상기 Z축구동슬라이더(62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가공모터(611)에 의해 상기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X축구동레일(6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X축구동모터(633)에 의해 좌우이동되는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상기 X축구동레일(631)에 고정되며, Y축구동레일(641)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Y축구동모터(64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Y축구동슬라이더(6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600)는
    가공모터 고정대(612)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가공모터(611)에 의해 상기 공작물(710)을 가공하는 공구(610)와;
    상기 가공모터 고정대(612)와 결합되며, Z축구동레일(621)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Z축구동모터(623)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Z축구동슬라이더(620)와;
    상기 Z축구동레일(621)에 고정되며, X축구동레일(631)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X축구동모터(633)에 의해 좌우이동되는 X축구동슬라이더(630)와;
    상기 X축구동레일(631)에 고정되며, Y축구동레일(641)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Y축구동모터(643)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Y축구동슬라이더(6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는 전후축의 기준인 A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견본치아(310)의 회동각을 센싱하는 회동감지센서(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동감지센서(330)에서 센싱된 회동각을 수신하여 회동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는 상기 제어부(500)에서 송출되는 상기 회동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공작물(710)을 A축 회동시키는 회동모터(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상기 견본치아(310)는 견본치아측 종동기어(34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견본치아측 종동기어(340)와 맞물리는 견본치아측 구동기어(341)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의 상기 공작물(710)은 공작물측 종동기어(36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작물측 종동기어(360)에 맞물리는 공작물측 구동기어(361)를 포함하고,
    상기 견본치아측 구동기어(341)와 상기 공작물측 구동기어(361)는 A축샤프트(350)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710)이 A축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 고정부(300)의 상기 견본치아(310)는 견본치아측 웜기어(37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견본치아측 웜기어(370)와 맞물리는 견본치아측 웜(371)을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 고정부(700)의 상기 공작물(710)은 공작물측 웜기어(380)의 축상에 A축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작물측 웜기어(380)에 맞물리는 공작물측 웜(381)을 포함하고,
    상기 견본치아측 웜(371)과 상기 공작물측 웜(381)은 A축샤프트(350)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710)이 A축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본치아(310)의 A축 회동과 상기 공작물(710)의 A축 회동은 동일한 각도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비율을 조절가능하며 상기 측정부(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한 비율을 적용하여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좌우축 기준인 X축, 전후축 기준인 Y축, 상하축 기준인 Z축 및 X축 기준 회전축인 A축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XYZA축 세팅모듈(510) 및
    이동위치의 비율을 세팅하는 비율 입력부(521)와 이를 표시하는 비율 표시부(522)가 마련되며, 상기 측정부(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세팅된 비율에 의하여 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율적용모듈(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비율적용모듈(520)에 의거한 위치제어신호로 공구(61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공구(610)의 이송속도를 세팅하는 이송속도 입력부(531)와 이를 표시하는 이송속도 표시부(532)가 구비되는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과;
    상기 공구(6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공구(610)의 회전속도를 세팅하는 회전속도 입력부(541)와 이를 표시하는 회전속도 표시부(542)가 구비되는 공구회전속도 제어모듈(540) 및
    상기 공구(610)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552)를 구비하는 공구위치 표시모듈(5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공구(610)의 이송속도는 상기 공구이송속도 제어모듈(530)에 세팅된 이송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측정부(400)의 측정자(410)의 위치로 상기 세팅된 비율에 따라 상기 공구를 위치이동을 제어하되, 상기 이송속도와 공구의 회전속도에 근거하여 공구의 최종위치까지 소요되는 지체시간을 계산하여 이를 표시하는 지체시간 표시부(562)가 구비된 지체시간모듈(5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장치.
KR1020100113109A 2010-11-15 2010-11-15 인공치아 가공장치 KR10117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09A KR101171600B1 (ko) 2010-11-15 2010-11-15 인공치아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109A KR101171600B1 (ko) 2010-11-15 2010-11-15 인공치아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819A KR20120051819A (ko) 2012-05-23
KR101171600B1 true KR101171600B1 (ko) 2012-08-06

Family

ID=4626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109A KR101171600B1 (ko) 2010-11-15 2010-11-15 인공치아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08B1 (ko) * 2015-09-22 2017-02-14 이민수 문양 제작장치
KR101794681B1 (ko) * 2016-11-30 2017-11-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3차원 스캐너 및 그 구동방법
KR102073325B1 (ko) 2018-11-14 2020-02-03 주식회사 피스티스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US20230210643A1 (en) * 2022-01-06 2023-07-06 Zeus Tech Co., Lt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rtificial tooth process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3789A (zh) * 2018-03-23 2019-10-01 桂林电子科技大学 小型四轴数控雕刻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93B1 (ko) 2008-07-01 2010-09-02 주식회사바텍 치아 보철물 가공기
KR100980476B1 (ko) 2008-08-21 2010-09-07 주식회사 덴티움 치과 가공물 제작용 모방 밀링장치
KR100982778B1 (ko) 2009-09-07 2010-09-16 염명희 5축 인공치아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93B1 (ko) 2008-07-01 2010-09-02 주식회사바텍 치아 보철물 가공기
KR100980476B1 (ko) 2008-08-21 2010-09-07 주식회사 덴티움 치과 가공물 제작용 모방 밀링장치
KR100982778B1 (ko) 2009-09-07 2010-09-16 염명희 5축 인공치아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08B1 (ko) * 2015-09-22 2017-02-14 이민수 문양 제작장치
KR101794681B1 (ko) * 2016-11-30 2017-11-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3차원 스캐너 및 그 구동방법
KR102073325B1 (ko) 2018-11-14 2020-02-03 주식회사 피스티스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보철 일체형 어버트먼트 가공 방법
US20230210643A1 (en) * 2022-01-06 2023-07-06 Zeus Tech Co., Lt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rtificial tooth processing machine
US11806201B2 (en) * 2022-01-06 2023-11-07 Zeus Tech Co., Lt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rtificial tooth proces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819A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600B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CA2392325C (en) Machine tool for production of basic structures for dental prostheses
US513539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abricated parts in dentistry
US5224049A (en) Method, system and mold assembly for use in preparing a dental prosthesis
Andersson et al. Accuracy of machine milling and spark erosion with a CAD/CAM system
US7670272B2 (en) Milling machine with tool changer positionable within motion system envelope
KR100982778B1 (ko) 5축 인공치아 가공장치
CN104519825B (zh) 口腔内牙体自动制备设备,用于进行局部牙体修复或者周围神经修复
CN106037966B (zh) 一种口腔修复体cad/金属3d自动化加工方法
US20020137002A1 (en) Milling/grind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medical workpieces
Kim et al. Trueness of milled prostheses according to number of ball-end mill burs
CN104382663B (zh) 全瓷义齿磨削系统及制作义齿的方法
WO1991015163A1 (en) Computerized dental system and related instrumentation and methods
CN100489493C (zh) 三维口腔修复体体外磨削修复模拟试验机
US20060269373A1 (en) Milling machine
JPWO2009035142A1 (ja) 歯科補綴物計測加工システム
US20140189991A1 (en) Milling machine having six (6) axis motion system
KR101810038B1 (ko)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CN204260860U (zh) 全瓷义齿磨削系统
EP1895471B1 (en) Program to make of cutting data for inner face of dental prosthesis
KR20180065790A (ko) 치아 프렙 로봇
KR20180060518A (ko) 고정밀 6축 동시 제어가 가능한 치과형 밀링장치
JP2018183866A (ja) 工作機械
KR20010026892A (ko) 급속 치아 가공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치아 가공장치
KR20100092211A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