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99B1 -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99B1
KR102072599B1 KR1020130081708A KR20130081708A KR102072599B1 KR 102072599 B1 KR102072599 B1 KR 102072599B1 KR 1020130081708 A KR1020130081708 A KR 1020130081708A KR 20130081708 A KR20130081708 A KR 20130081708A KR 102072599 B1 KR102072599 B1 KR 10207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roll printing
silane
formula
bin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520A (ko
Inventor
전지민
장원영
최용석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5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화학 약품에 노출되어도 우수한 밀착성을 유지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에 노출되어도 색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Ink composition for roll printing}
본 발명은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회로소자 및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미세패턴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에 의해 형성되는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는 원하는 패턴을 정밀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과 포토레지스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재료들의 사용된다는 점, 그리고 코팅 등의 공정에서 많은 양의 포토레지스트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공정의 하나로서 롤 프린팅 혹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미세패턴을 얻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롤 프린팅에 의한 미세 패턴의 형성에는 옵셋 인쇄, 반전 옵셋 인쇄, 롤-투-롤(roll-to-roll)인쇄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며, 컬러 필터의 구성 요소인 R(Red), G(Green), B(Blue)의 컬러 및 BM(Black Matrix) 패턴뿐만 아니라 박막트랜지스터(TF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전극 형성용 패턴과 격벽 재료의 패턴 전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이러한 패턴은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경우에, 패턴 형성 이후에 후속 공정에서 식각액, 현상액 등 수많은 화학 약품에 노출되는데 이에 의해 패턴의 밀착성이 떨어져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후속 공정에 의해 색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패턴이 화상표시장치의 비표시부에 적용되는 경우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비표시부는 소비자에게 보여지는 최상부층이므로 색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상품성이 없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39652호에는 무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백색잉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39652호
본 발명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색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화학식 1]
M+ (C6F5)4B-
(식 중, 상기 M+는 할로늄 양이온, 아이오도실 양이온, 술폭소늄 양이온 또는 디아조늄 양이온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히드록시알킬기, 벤질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토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음).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3중량%로 포함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테트락시(아세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메틸트리스(아세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페닐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페닐트리스(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디메틸메톡시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메톡시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비스(아세톡시)실란, 메틸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메톡시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글리콜 에테르계, 아세테이트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알코올계 및 고리형 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C.I.안료 화이트 4, 5, 6, 6:1, 7, 18, 18:1, 19, 20, 22, 25, 26, 27, 28 및 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8. 위 6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1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 0.5 내지 10중량% 및 용제 3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화학 약품에 노출되어도 우수한 밀착성을 유지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에 노출되어도 색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화학 약품에 노출되어도 우수한 밀착성을 유지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에 노출되어도 색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M+ (C6F5)4B-
(식 중, 상기 M+는 할로늄 양이온, 아이오도실 양이온, 술폭소늄 양이온 또는 디아조늄 양이온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축비(shrinkage ratio) 특성이 좋아 잉크 조성물과 피인쇄체 간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밀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고 내화학성이 개선되어 다수의 화학 약품의 처리를 거치는 후처리 공정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2
(식 중,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히드록시알킬기, 벤질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토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른 열중합개시제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경우, 상기 내화학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5
.
본 발명에 따른 열중합개시제는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 함량 범위에서는 적절한 중합도와 코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피인쇄체와의 밀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패턴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이다.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는 내열성을 현저히 개선하므로,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로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되는 패턴을 형성하였을 때, 고온의 후속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색상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실록산계 수지는 실란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록산계 수지에 포함되어 중합되는 실란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테트락시(아세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메틸트리스(아세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페닐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페닐트리스(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디메틸메톡시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메톡시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비스(아세톡시)실란, 메틸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일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0.5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내열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글리콜 에테르계, 아세테이트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알코올계, 고리형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노말 부틸아세테이트, 2차 부틸아세테이트, 3차 부틸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락테이트, 에틸락테이트, 부틸락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1-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케톤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밀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리형 에스테르계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γ-부티롤락톤을 들 수 있다.
용제는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30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이 적정의 착색력을 유지하고 인쇄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화상표시장치, 터치스크린 패널 등의 백색의 비표시부 패턴(화이트 매트릭스)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색 무기 안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안료 화이트 4, 5, 6, 6:1, 7, 18, 18:1, 19, 20, 22, 25, 26, 27, 28, 32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사 효율과 백색도의 측면에서 C.I.안료 화이트 6 또는 화이트 22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I.안료 화이트 6에 포함된 TiO2는 가격이 저렴하고 굴절율이 높아 반사율이 우수하므로 효과적인 백색 착색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TiO2는 루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는 필요에 따라 레진 처리, 산성 기 또는 염기성 기가 도입된 안료 유도체 등을 이용한 표면 처리, 고분자 화합물 등에 의한 안료 표면에의 그라프트 처리, 황산미립화법 등에 의한 미립화 처리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기 용제나 물 등에 의한 세정 처리, 이온 교환법 등에 의한 이온성 불순물의 제거처리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착색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타 백색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는 요구되는 색 특성에 따라 그 함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착색제가 1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적정 수준의 인쇄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차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충진제, 경화제,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플루오린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BYK-Chemie 사의 BYK-077, BYK-085, BYK-300, BYK-301, BYK-302,BYK-306, BYK-307, BYK-310, BYK-320, BYK-322, BYK-323, BYK-325, BYK-330, BYK-331, BYK-333, BYK-335,BYK-341v344, BYK-345v346, BYK-348, BYK-354, BYK-355, BYK-356, BYK-358, BYK-361, BYK-370, BYK-371, BYK-375, BYK-380, BYK-39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플루오린계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DIC(DaiNippon Ink &Chemicals) 사의 F-114, F-177, F-410, F-411, F-450, F-493, F-494, F-443, F-444, F-445, F-446, F-470, F-471, F-472SF, F-474, F-475, F-477, F-478, F-479, F-480SF, F-482, F-483, F-484, F-486, F-487, F-172D, MCF-350SF, TF-1025SF, TF-1117SF, TF-1026SF, TF-1128, TF-1127, TF-1129, TF-1126, TF-1130, TF-1116SF,TF-1131, TF1132, TF1027SF, TF-1441, TF-1442, TF-1535; AGC 세이지 케미컬의 S-381, S-383, S-393, SC-101, Sc-105, KH-40, SA-100, S-611, S-386, S-221, S-231, S-243, S-420, S-65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C.I.안료 화이트 6 50중량%,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3중량% 및 잔량의 노말 부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밀베이스를 수득한 후, 23℃에서 교반 하에 상기 밀베이스 80중량%, 바인더 수지로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3:1:2의 몰비로 포함하여 중합된 중합체 3중량%, 열중합개시제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0.5중량% 및 계면활성제로 TF-1535(DIC) 1% 혼합하고, 노말 부틸 아세테이트를 잔량으로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시간 교반하여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6

실시예 2
열중합개시제의 함량을 4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중합개시제의 함량을 0.05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열중합개시제로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7

실시예 5
열중합개시제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3062560591-pat00008

비교예 1
열중합개시제로 SI-100L(삼신화학)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열중합개시제로 SI-60L(삼신화학)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바인더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인 메타크릴산과 벤질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2중량%를 사용하고,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TOAGOSEI ㈜ 제조) 1중량%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1) 내화학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을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터로 코팅하고, 100℃에서 120초간 선굽기한 후 실온에서 3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를 다시 2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생성된 도막의 내알칼리성, 내산성 및 내박리액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내알칼리성은 1%의 수산화칼륨 수용액, 내산성은 MA-So2(동우화인켐), 내박리액성은 SAM-19(동우화인켐)에 2분간 침지한 후의 밀착성 변화로 평가하였다. 각 약액의 온도는 50℃로 하였다.
밀착성은 JIS K5400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테이프 필링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 95개 이상의 격자무늬 존재(매우 양호)
○: 90개 이상의 격자무늬 존재(양호)
△: 80개 이상 90개 미만의 격자무늬 존재(보통)
×: 80개 미만의 격자무늬 존재(불량)
(2) 내열성 평가
상기 도막을 230℃의 오븐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색차계(i-5, X-rite사)로 YI-D1925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인쇄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롤 프린팅용 잉크조성물을 유리기판에 인쇄한 후 최종 전사된 기판의 패턴 모양, 형성도 및 홀의 유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롤에 코팅된 잉크가 기판에 완전히 전사됨.
△: 롤에 코팅된 잉크가 기판에 완전히 전사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남아있음.
×: 다량의 잉크가 롤에 남아 있음.
구분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박리액성 내열성
(YI-D1925)
인쇄성
실시예 1 -6.3
실시예 2 -6.24
실시예 3 -6.07
실시예 4 -6.28
실시예 5 -6.34
비교예 1 -6.24
비교예 2 X X -5.99
비교예 3 1.3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알칼리, 산성, 박리액에 노출시킨 후에도 밀착성이 양호하여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YI-D1925 값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아, 가열 후에도 황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내열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내알칼리성이 떨어지고, 내산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의 잉크 조성물로 형성한 도막은 YI-D1925 값이 매우 높아, 이로부터 내열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3 내지 5로 표시되는 열중합개시제,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9102156458-pat00010

    [화학식 4]
    Figure 112019102156458-pat00011

    [화학식 5]
    Figure 112019102156458-pat00012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3중량%로 포함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바인더 수지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테트락시(아세톡시)실란,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메틸트리스(아세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페닐트리이소시아네이트실란, 페닐트리스(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디메틸메톡시아세톡시실란, 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메톡시이소시아네이트실란, 디메틸비스(아세톡시)실란, 메틸페닐디메톡시실란, 디페닐메톡시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글리콜 에테르계, 아세테이트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알코올계 및 고리형 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C.I.안료 화이트 4, 5, 6, 6:1, 7, 18, 18:1, 19, 20, 22, 25, 26, 27, 28 및 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 중 1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 0.5 내지 10중량% 및 용제 3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1020130081708A 2013-07-11 2013-07-11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10207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08A KR102072599B1 (ko) 2013-07-11 2013-07-11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08A KR102072599B1 (ko) 2013-07-11 2013-07-11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20A KR20150008520A (ko) 2015-01-23
KR102072599B1 true KR102072599B1 (ko) 2020-02-04

Family

ID=5257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708A KR102072599B1 (ko) 2013-07-11 2013-07-11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50B1 (ko) 1999-12-21 2007-08-30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요오도늄 염 및 광개시제로서의 이의 용도
JP2008075062A (ja) 2006-07-03 2008-04-03 Fujifilm Corp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刷物、及び、平版印刷版の製造方法
JP2012077236A (ja) * 2010-10-05 2012-04-19 Jnc Corp 熱硬化性着色組成物及びそれを焼成して得られる硬化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27B1 (ko) * 2008-10-20 2016-09-01 바스프 에스이 술포늄 유도체 및 잠재성 산으로서의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50B1 (ko) 1999-12-21 2007-08-30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요오도늄 염 및 광개시제로서의 이의 용도
JP2008075062A (ja) 2006-07-03 2008-04-03 Fujifilm Corp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刷物、及び、平版印刷版の製造方法
JP2012077236A (ja) * 2010-10-05 2012-04-19 Jnc Corp 熱硬化性着色組成物及びそれを焼成して得られる硬化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20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8691B2 (ja) 感光性組成物
KR101846977B1 (ko)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KR20120102090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것으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JP6455636B1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膜
JP5327345B2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部材。
JP2010097210A (ja) 感光性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1129312A1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部材
JP2013196997A (ja) 導電性組成物
JPWO2013146183A1 (ja) 感光性黒色樹脂組成物及び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
JP6226104B1 (ja) 着色樹脂組成物
KR20170046585A (ko) 감광성 조성물
JP2008249987A (ja) 感光性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2019214492A (ja) ガラス強化基板
JP6489288B1 (ja) 透明樹脂組成物、透明被膜および透明樹脂被覆ガラス基板
KR101295450B1 (ko) 블랙 매트릭스용 잉크 조성물
KR102072599B1 (ko)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102035490B1 (ko)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KR20140047773A (ko) 내마모성이 향상된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소자
JP2018120069A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およびタッチパネル部材
KR20150008521A (ko) 백색 비표시부 패턴 형성용 조성물
WO2023157713A1 (ja) 樹脂組成物、遮光膜、遮光膜の製造方法および隔壁付き基板、表示装置
KR101802227B1 (ko) 롤 프린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막
KR102079605B1 (ko) 롤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JP2023119574A (ja) 樹脂組成物、遮光膜、遮光膜の製造方法、隔壁付き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2021063144A (ja) 着色樹脂組成物、着色被膜および着色樹脂被覆ガラス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