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464B1 -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464B1
KR102072464B1 KR1020190103562A KR20190103562A KR102072464B1 KR 102072464 B1 KR102072464 B1 KR 102072464B1 KR 1020190103562 A KR1020190103562 A KR 1020190103562A KR 20190103562 A KR20190103562 A KR 20190103562A KR 102072464 B1 KR102072464 B1 KR 10207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ressure
sealant
weigh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케미칼
Priority to KR102019010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6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handling roofing or sealing material in roll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가 장입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장입되는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실란트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제공부; 상기 용기본체 상단측에 보강시트를 권취하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보강시트권취부; 상기 압력제공부의 압력 제공에 따라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용기본체 선단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실란트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보강시트권취부에 권취되어 있는 보강시트가 배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 전면부 하단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가이드부; 및, 상기 용기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압력제공부에서의 무게추압력이 실란트에 제공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하여 압력제거부를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하여,
건축물의 옥상 등 슬라브의 바닥면이나 건축물 내부의 각층별 바닥면 또는 지하 바닥면 등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방수 공사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장입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에서 무게출을 이용한 자중 압력 제공에 의해 외부로 일정 두께를 갖으며 배출되도록 하되 그 배출되는 실란트와 동시에 보강시트도 배출되며 바닥면에 도포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방수 공사 시간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비숙련 및 숙련자에 의한 작업에 따라 방수 두께층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균일한 두께에 의한 방수 두께층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Waterproof Construction System Using Weight Trends}
본 발명은 방수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 구조물의 옥상이나 바닥면 등의 바탕면 방수를 위한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액상의 고점도 우레탄 실란트(Sealant)가 장입되는 수용용기를 구성하고, 방수시트가 상기 실란트의 배출과 동시에 인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실란트가 균일한 두께를 이루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를 이용하여 압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용기가 방수 시공 영역을 통과할 때 일정한 두께를 이루며 액상 실란트와 방수시트가 동시에 배출되며 바탕면의 방수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와 같은 무기질 재료의 하지에는 균열로 인하여 건물의 내구성을 약화시켜 건물의 노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누수 및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자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물의 슬래브(옥상), 옹벽, 샌드위치 패널 지붕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과 토목구조물의 슬래브 및 옹벽과 같이 직접 수분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구조물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한 옥상 방수 공사와 관련된 여러 다양한 형태의 공법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공법 중 건물 외부 방수를 위해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는, 예를 들어 방수시트를 사용한 시트방수공법, 도막방수재료를 사용한 도막방수공법 및 시트와 도막을 함께 사용한 복합도막방수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여러 방수공법 중에서 최근에는 방수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것은 물론 그 시공 기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공법인 시트방수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방수공법은 방수시트를 건물 옥상 등의 구조물의 바닥 면에 부착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 또는 수지 시트나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 등의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건물의 옥상 등과 같은 시공 구조물의 바닥 면에 펼쳐서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수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방수 공사 영역에 걸쳐 작업자가 붓이나 로울러 등으로 바닥면에 실링제 역할을 하는 실란트를 1차 도포 처리하고 그 표면에 보강 시트를 일일이 작업자가 손으로 부착하는 작업을 한 다음, 다시 그 보강 시트 표면에 실란트를 도포 처리하는 작업을 하여 왔다.
이와 같은 작업이 통상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도포 처리되는 실란트의 두께가 숙련자 및 비숙련자의 작업에 따라 균일하지 못함은 물론 상당한 방수 공사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83910 호 (2011년11월15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이나 내부의 바닥면, 지하 바닥면 등에 방수 공사를 시행할 때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고점도 실란트의 바닥면 도포 두께를 균일하게 하면서도 보강 시트도 동시에 배출되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비효율적 작업 방식에서 탈피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가 장입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장입되는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실란트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제공부;
상기 용기본체 상단측에 보강시트를 권취하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보강시트권취부;
상기 압력제공부의 압력 제공에 따라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용기본체 선단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실란트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보강시트권취부에 권취되어 있는 보강시트가 배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 전면부 하단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옥상 등 슬라브의 바닥면이나 건축물 내부의 각층별 바닥면 또는 지하 바닥면 등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방수 공사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장입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에서 무게출을 이용한 자중 압력 제공에 의해 외부로 일정 두께를 갖으며 배출되도록 하되 그 배출되는 실란트와 동시에 보강시트도 배출되며 바닥면에 도포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방수 공사 시간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비숙련 및 숙련자에 의한 작업에 따라 방수 두께층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균일한 두께에 의한 방수 두께층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시공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2는 도 1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압력제공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개괄적인 정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 상단부측에, 압력제공부가 구비되어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고점도의 실란트 상층표면으로 압력이 제공되어, 실란트와 보강시트권취부에 권선되어 있는 보강시트와 고점도의 실란트가 배출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해 바닥면에 방수 시공 처리된 개괄적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영역 방수 처리 후, 타 영역으로의 방수 공사를 위해 본 발명의 용기본체를 이동하기 전 압력제공부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제거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용기본체(100)와 압력제공부(200), 보강시트권취부(300) 및 배출가이드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액상의 고점도 실란트(Sealant)가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상방이 개구되어 상기 실란트의 장입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저면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하여 구륜휠(110)을 구비한다.
아울러 용기본체(100)의 후단측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용기본체(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부(120)를 구성한다.
상기 압력제공부(200)는 용기본체(100)에 장입되어 수용되어 있는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본체(100) 하단 전면측에 구비되는 배출가이드부(400)를 통하여 실란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란트는 액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점도성을 갖는 것으로 그 점도가 높아 통상의 액상 물질과 같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 보다는, 외부의 압력 제공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갖는 실란트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력제공부(200)를 구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력제공부(200)는 자중에 의하여 실란트의 상측 표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0)에 장입되어 있는 실란트의 상측 표면과 접하며 커버되는 압력평판부재(210)와, 상기 압력평판부재(210)의 중앙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220)와, 상기 체결부재(220)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력평판부재(2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무게추(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평판부재(210)는 용기본체(10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데 용기본체(100)가 도면에서와 같은 사각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압력평판부재(210)는 용기본체(100)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사각형태를 취하게 되고, 용기본체(100)가 원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이와 대응하여 압력평판부재(210) 또한 원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평판부재(210)의 중앙에는 결합공(211)이 천공되어 있으며, 결합공(211)의 내주면은 암나사 가공된다.
상기 체결부재(220)는 상기 압력평판부재(2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211)과 체결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예컨데 전술한 결합공(211)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12)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재(220)의 하단부에는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부재(220)를 결합공(211)측과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20)의 원할한 체결을 위해 그 상단부에는 둥근 원형태의 손잡이부(2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21)의 상단에는 걸림구(223)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220)와 압력평판부재(210)의 체결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무게추(230)를 고정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무게추(2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는 체결홈(231)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220)가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이어서 그 체결부재(220)의 하단부측 숫나사부(222)와 압력평판부재(210)의 결합공(21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12)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게추(230)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게추(230)는 체결부재(220)와 압력평판부재(21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압력평판부재(210) 상면을 자중에 의해 압력을 가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무게추(230)의 중량 등은 작업 성질 등에 따라 다양한 중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할 수 있는바 상기 무게추(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는 상기 체결홈(231)과 체결부재(220)와의 체결 구조에 의해, 다수의 무게추(230)를 실시간 또는 작업전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제공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장입되는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에 압력을 제공하여 후술하게 되는 배출가이드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보강시트권취부(300)는 상기 용기본체(100) 상단측에 보강시트(310)를 권취하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보강시트(310)를 권취하여 그 보강시트(310)의 일단측이 용기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후 후술하게 되는 배출가이드부(4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강시트(310)를 권취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데, 예컨데 도 1 내지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권선되어 롤 형태를 갖는 보강시트(310)의 회전축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구(320)를 구성하여 권선된 보강시트(310)를 장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장착된 보강시트(310)의 끝단부를 인출하여 용기본체(100)의 저면측까지 인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저면측까지 보강시트(310)가 인입되도록 한 후, 용기본체(100) 내부로 고점도의 액상 실란트를 장입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듯이 액상 실란트 내부에 보강시트(310)가 내입된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배출가이드부(400)는 상기 압력제공부(200)의 압력 제공에 따라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용기본체(100) 선단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실란트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보강시트권취부(300)에 권취되어 있는 보강시트(310)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가이드부(400)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 전면부 하단측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배출가이드부(400)는 도 5 에서 보듯이 고점도 액상 실란트와 상기 보강시트(310)가 동시에 배출되는데, 점도가 높은 실란트에 의해 상기한 압력제공부(200)의 무게추(230)에 의한 압력제공에 따라 배출가이드부(400)측으로 실란트가 배출되어질 때 점성에 의해 보강시트(310) 또한 배출되는 실란트와 함께 배출가이드부(400)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공사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1)에 방수공사 처리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방수공사가 처리되면 바닥면(1)에 1차실란트층(2)이 형성되고 이어서 그 상면으로 방수시트층(3)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시트층(3) 상면으로 2차실란트층(4)이 동시에 형성되며 방수 공사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바닥면(1)의 일 영역의 방수공사가 완료된 후 타 영역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를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압력제공부(200)에서의 압력이 실란트에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압력제거부(500)를 구성한다.
상기 압력제거부(5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곽테두리부(130)로부터 대향되며 수직상 연결되는 수직지지바(510)와, 상기 수직지지바(510)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환봉부재(520)와, 상기 환봉부재(520) 중앙 하단으로 연결되는 탄성부재(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3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530) 하단부측에 후크(5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531)는 전술한 상기 손잡이부(221)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구(223)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압력제거부(500)에 의해 바닥면(1)의 일부 영역에서의 방수 공사가 완료된 후 타 영역으로 용기본체(100)를 이송시킬 때 압력제공부(200)에서 무게추(230)가 상기 압력평판부재(2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압력제거부(500)의 탄성부재(530) 하단으로 이어지는 후크(531)를 손잡이부(221) 상단의 걸림구(223)에 걸게 된다.
상기 걸림구(223)에 탄성부재(530)가 연결되면 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평판부재(210)와 함께 무게추(230)의 자중력이 상쇄되어 용기본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점도의 실란트가 상기한 배출가이드부(50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이 제공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바닥면 2; 1차실란트층
3; 방수시트층 4; 2차실란트층
100; 용기본체 110; 구륜휠
120; 핸들부 130; 외곽테두리부
200; 압력제공부 210; 압력평판부재
211; 결합공 212; 암나사부
220; 체결부재 221; 손잡이부
222; 숫나사부 223; 걸림구
230; 무게추 231; 체결홈
300; 보강시트권취부 310; 보강시트
320; 고정구 400; 배출가이드부
500; 압력제거부 510; 수직지지바
520; 환봉부재 530; 탄성부재
531; 후크

Claims (5)

  1.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가 장입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장입되는 고점도 액상의 실란트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실란트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제공부;
    상기 용기본체 상단측에 보강시트를 권취하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보강시트권취부;
    상기 압력제공부의 압력 제공에 따라 고점도 액상 실란트가 용기본체 선단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실란트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보강시트권취부에 권취되어 있는 보강시트가 배출되도록 상기 용기본체 전면부 하단측으로 구비되는 배출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공부는 상기 용기본체에 장입되어 있는 실란트의 상측 표면과 접하며 커버되는 압력평판부재와;
    상기 압력평판부재의 중앙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력평판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무게추;
    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압력제공부에서의 무게추 압력이 실란트에 제공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하여 압력제거부를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외곽테두리부로부터 대향되며 수직상 연결되는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환봉부재와, 상기 환봉부재 중앙 하단으로 연결되는 탄성부재(5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외주면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는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KR1020190103562A 2019-08-23 2019-08-23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KR10207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62A KR102072464B1 (ko) 2019-08-23 2019-08-23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62A KR102072464B1 (ko) 2019-08-23 2019-08-23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464B1 true KR102072464B1 (ko) 2020-02-03

Family

ID=6962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62A KR102072464B1 (ko) 2019-08-23 2019-08-23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4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9831A (zh) * 2020-03-05 2020-07-03 许杨 一种桶装肥料包装用贴标签涂胶装置
CN111764599A (zh) * 2020-07-10 2020-10-13 储小燕 一种珍珠棉地板膜铺装施工方法
CN111962825A (zh) * 2020-07-31 2020-11-20 新十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吊顶装饰装修施工方法
CN112031348A (zh) * 2020-09-15 2020-12-04 浙江铠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墙壁高效粉刷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59A (ja) * 1995-09-05 1997-03-18 Sekisui Chem Co Ltd シートの連続張付け装置
US20040197129A1 (en) * 2001-09-14 2004-10-07 Kugler William E.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astic or granular material to a roofing surface
JP2007063873A (ja) * 2005-08-31 2007-03-15 Aoi Techno Service Kk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KR101083910B1 (ko) 2009-02-20 2011-11-15 이헌구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0265720B2 (en) * 2016-12-14 2019-04-23 Sika Technology Ag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material with resin and subsequently laying the material saturated with the resin onto a su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59A (ja) * 1995-09-05 1997-03-18 Sekisui Chem Co Ltd シートの連続張付け装置
US20040197129A1 (en) * 2001-09-14 2004-10-07 Kugler William E.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astic or granular material to a roofing surface
JP2007063873A (ja) * 2005-08-31 2007-03-15 Aoi Techno Service Kk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KR101083910B1 (ko) 2009-02-20 2011-11-15 이헌구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0265720B2 (en) * 2016-12-14 2019-04-23 Sika Technology Ag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material with resin and subsequently laying the material saturated with the resin onto a surfa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9831A (zh) * 2020-03-05 2020-07-03 许杨 一种桶装肥料包装用贴标签涂胶装置
CN111359831B (zh) * 2020-03-05 2021-08-17 李秉京 一种桶装肥料包装用贴标签涂胶装置
CN111764599A (zh) * 2020-07-10 2020-10-13 储小燕 一种珍珠棉地板膜铺装施工方法
CN111962825A (zh) * 2020-07-31 2020-11-20 新十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吊顶装饰装修施工方法
CN112031348A (zh) * 2020-09-15 2020-12-04 浙江铠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墙壁高效粉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464B1 (ko) 무게추를 이용한 방수 시공장치
US20240035287A1 (en) Fiber enforced thin brick sheet and process
US7380382B2 (en) Drywall repair patch
CN101974975A (zh) 灰渣混凝土空心隔墙板施工工法
CN104563503B (zh) 高层与超高层住宅现浇钢筋混凝土高空自动化建造方法
CN112352084B (zh) 型框单元及混凝土结构物施工方法
CN110295697A (zh) 建筑外立面镂空砖安装结构及其安装工艺
CN103806647A (zh) 大跨度混凝土双向密肋梁模壳的安装和拆除工艺
EP3147423A1 (en) A device for the laying of tiles or the like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110593321B (zh) 地下室外墙后浇带超前封闭预制卡槽免支模体系施工方法
KR101097482B1 (ko) 보호재 일체형 방수시트 및 보호재 일체형 시트도막복합방수공법
KR102049494B1 (ko) 절개를 통한 옥상 누수 방지구조 및 누수 방지공법
EP3006642A1 (en) Building panels comprising a construction plate and a mesh structure
EP1982026B1 (en) Method for repairing sanitary facilities of a block of flats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CN109457717A (zh) 一种大厚度桩筏基础减荷隔离层的结构及施工方法
KR2002864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RU182307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ITMO20070036A1 (it) Manufatto per il rivestimento a mosaico di superfici, particolarmente pareti e pavimenti.
EP1624123A2 (en) Form panel and use of the same for the erection of roofs
KR20170056123A (ko) 콘크리트 수분의 누수 방지장치
KR101083910B1 (ko)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97725B1 (ko) 방수 시공용 입체 메쉬 시트
US11668093B2 (en) Lintel support, masonry support kit, and lintel suppor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