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201B1 -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201B1
KR102070201B1 KR1020180130841A KR20180130841A KR102070201B1 KR 102070201 B1 KR102070201 B1 KR 102070201B1 KR 1020180130841 A KR1020180130841 A KR 1020180130841A KR 20180130841 A KR20180130841 A KR 20180130841A KR 102070201 B1 KR102070201 B1 KR 10207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ramen
water
amou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준
Original Assignee
이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준 filed Critical 이형준
Priority to KR102018013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어 라면의 조리를 위한 재료가 수용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부,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시각 장애인이 본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촉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력체들 및 손잡이부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부력체들이 물의 양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력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INSTANT NOODLE VESSEL FOR BLIN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라면 조리를 위한 물의 양 조절, 라면의 가열 등 라면 조리의 전(all) 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 문제로 시력이 현저히 낮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의 경우, 오감 중 시각에 의한 인지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나머지 청각, 후각, 촉각 등에 의한 인지에 의존하여 일상 생활을 지낸다.
이러한 시각 장애인을 위해서 일상 생활에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요리 기구 및 장치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요리 과정에서 필요한 불, 칼 등의 위험요소들을 시각 장애인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다만, 인스턴트 음식(대표적으로 라면 등)에 대한 조리의 경우, 전술한 위험요소들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주도적으로 음식을 요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시각 장애인이 완벽한 요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구 및 장치에 대한 개발은 어려울 수 있으나, 요리 과정에서의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스턴트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 및 장치에 대한 개발은 현 시점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848호 (2017.09.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라면 조리 과정에서 도출되는 위험 요소(ex. 불 등)을 최소화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도 시각 장애인 스스로 라면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라면의 조리를 위한 재료가 수용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부,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시각 장애인이 본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촉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력체들 및 손잡이부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부력체들이 물의 양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력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는 뚜껑부의 개폐를 위해 뚜껑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뚜껑 손잡이부, 라면의 조리 과정에서 본체부의 내부에 생성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홀(hole)들 및 뚜껑부를 본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뚜껑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부력체들은 물의 양에 따라 부력체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무게는 동일하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 가이드부의 내벽에는 부력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며, 단차에 맞물리도록 부력체들의 외주면의 일 영역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 부력체 가이드부 및 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외면을 감싸는 제 1 단열부재, 복수개의 부력체들 및 본체부의 외면을 소정의 높이까지 감싸는 제 2 단열부재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시각장애인용 라면 용기에 의하면, 라면 조리 과정에서 도출되는 위험요소(ex. 불 등)을 최소화하여 고온으로 인한 화상 등의 신체적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라면 조리에 필요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등 라면 조리의 전(all) 과정을 용기 하나로 시각장애인 스스로가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가 덮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부력체들을 이용하여 물의 양을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가 덮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일종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200)가 덮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뚜껑부(200)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뚜껑부(200)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부력체들(400)을 이용하여 물의 양을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라면의 조리를 위한 재료가 수용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부(200), 본체부(1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0), 시각 장애인이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촉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력체들(400) 및 손잡이부(300)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본체부(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부력체들(400)이 물의 양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력체 가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이는 시각 장애인이 라면 면발의 모양에 따라 알맞은 형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측면이 경사진 원통 형상을 가지는 컵라면 면발의 경우, 원통 형상의 본체부(100)를 가지는 라면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사각 형상의 봉지라면 면발의 경우,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00)를 가지는 라면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체부(100)의 형상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최소 400ml 이상의 물을 수용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62g 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컵라면의 경우, 라면 면발이 익혀지기 위해서는 1인 기준으로 약 270ml 정도의 물이 필요한 반면, 컵라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봉지라면의 경우, 라면 면발이 익혀지기 위해서는 1인 기준으로 약 400ml 이상의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라면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각 장애인이 라면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체부(100)는 최소 400ml 이상의 물을 수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200)는 뚜껑부(200)의 개폐를 위해 뚜껑부(200)의 중심에 형성되는 뚜껑 손잡이부(210), 라면의 조리 과정에서 본체부(100)의 내부에 생성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홀(hole)들 및 뚜껑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뚜껑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잠금부는 잠금부는 본체부(10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의 상부 측면에는 잠금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부 측면 전체에 외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므로, 잠금부는 손잡이부(300)가 형성된 일 영역을 제외하고 어느 방향에서든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잠금부와 본체부(100)의 결합을 위해 결합 부위를 찾지 않고도 손쉽게 뚜껑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300)에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점자 표시는 후술할 부력체(400)에 감지되는 물의 양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에 두 개의 손잡이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손잡이부(300)에는 컵라면의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27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손잡이부(300)에는 봉지라면의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40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자 표시는 손잡이부(300)의 외면을 감싸는 제 1 단열부재(6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에 제 1 단열부재(610)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손잡이부(300)에만 점자 표시가 형성되면 시각 장애인이 점자 표시를 인식하기 어려워지므로 제 1 단열부재(610)에도 손잡이부(300)와 마찬가지로 물의 양을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 1 단열부재(610) 중 하나의 제 1 단열부재(610)에는 컵라면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27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제 1 단열부재(610)에는 봉지라면의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40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부력체들(400)은 물의 양을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인들이 촉각을 이용하여 물의 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체부(100)에 물이 수용됨에 따라 부력체(400)가 떠오르면서 부력체 가이드부(500) 외측(i.e. 본체부(100)의 개방된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게 되면,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를 통해 부력체(400)를 촉각으로 감지하면서 부력체(400)가 나타내는 물의 양이 얼마인지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부력체들(400)은 물의 양에 따라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무게는 동일하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라면의 용량에 따라 라면의 조리 시에 필요한 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들(400) 각각을 통해 각기 다른 물의 양을 나타낼 필요가 있는데, 물이 차오름에 따라 부력체(400)가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짐으로써 물의 양을 달리 나타낼 수 있다. 즉, 부력체들(400)에 동일한 부력이 작용하도록 부력체들(400) 각각은 무게 및 접촉 면적은 동일하되 물의 양에 따라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용기는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와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는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와 무게 및 물과의 접촉면적은 동일하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부력체(400) 중 어떤 부력체가 270ml 또는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지는 손잡이부(300) 및 제 1 단열부재(610)에 형성된 점자 표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물이 본체부(100)의 바닥면에서부터 차오르면서 부력체들(400)은 본체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서서히 떠오르게 되는데, 물이 본체부(100)에 270ml까지 수용되면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가 먼저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여전히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내부에 머무를 수 있다. 물이 지속적으로 차올라 본체부(100)에 400ml까지 수용되면,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도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력체(400)의 길이를 달리하여 물의 양을 나타냄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타인의 도움 없이도 라면의 용량에 맞게 스스로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 가이드부(500)는 부력체(400)의 상하 수직방향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손잡이부(300)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본체부(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은 시각 장애인들이 손잡이부(300)를 통해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력체 가이드부(500)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노출되는 부력체(400)를 시각 장애인이 손쉽게 감지하고, 부력체(400)가 나타내는 물의 양이 얼마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된 손잡이부(300)의 인접 영역에 부력체(40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300)에 각각 270ml, 40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27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된 손잡이부(300)의 위치와 상응하는 본체부(100)의 내벽에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가 내부에 포함된 부력체 가이드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400ml를 나타내는 점자 표시가 형성된 손잡이부(300)의 위치와 상응하는 본체부(100)의 내벽에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가 내부에 포함된 부력체 가이드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내벽에는 부력체들(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들(400)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물의 양을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을 나타내는 부력체(400)는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부력체 가이드부(500)를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모두 비워지는 경우, 부력체(400)가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아래 방향으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내벽에는 본체부(100)의 상부면 방향 및 본체부(100)의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단차에 맞물리도록 부력체들(400)의 외주면의 일 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력체들(400)의 돌출된 영역이 부력체 가이드부(500)의 단차에 맞물림으로써, 본체부(100)의 상부면 방향 또는 본체부(100)의 바닥면 방향으로 부력체(4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부력체들(400) 각각의 돌출된 일 영역은 부력체(400)의 길이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는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7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10)의 돌출된 일 영역은 400ml의 물의 양을 나타내는 부력체(420)의 돌출된 일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라면을 익히기 위한 불이 라면 조리 과정에서의 위험 요소로 작용하므로, 간접적으로 라면을 익힐 수 있도록 전자레인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라면 용기가 마이크로파에 의해 쉽게 내부에서 열이 발생해야 하며, 동시에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300), 부력체 가이드부(500) 및 본체부(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대략 165도의 녹는점을 가지며, 마이크로파에 의해 내열 온도가 약 100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가볍고, 기계적 강도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손잡이부(300), 부력체 가이드부(500) 및 본체부(100)가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라면을 손쉽게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용기는, 손잡이부(300)의 외면을 감싸는 제 1 단열부재(610), 본체부(100)의 외면을 소정의 높이까지 감싸는 제 2 단열부재(620) 및 뚜껑 손잡이부(210)를 감싸는 제 3 단열부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라면 용기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시각 장애인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2 단열부재(620)는 시각 장애인의 화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기 자체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단열부재(610), 제 2 단열부재(620) 및 제 3 단열부재(630)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은 고온 또는 저온에서 형태가 쉽게 변하지 않는 무독성 소재로서, 피부와의 밀착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즉, 제 1 단열부재(610), 제 2 단열부재(620) 및 제 3 단열부재(630)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라면 용기에서 발생한 열로 인한 시각 장애인의 화상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소재를 통해 시각 장애인이 미끌림없이 라면 용기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용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용기의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라면 용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200)가 덮인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뚜껑부(200)가 열린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200)는 손잡이부(300)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220)를 포함하며, 손잡이부(300)는 뚜껑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함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뚜껑부(200)의 돌출부(220)가 손잡이부(300)의 함몰부(310)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부(300)와 뚜껑부(200)는 서로 결합되어 뚜껑부(200)가 본체부(100)의 상부면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0)와 뚜껑부(200)가 결합되고 난 이후 제 1 단열부재(610)가 손잡이부(300) 및 뚜껑부(200)의 돌출부(2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됨으로써, 뚜껑부(200)와 손잡이부(300)를 더욱 견고히 결합시켜 뚜껑부(2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200: 뚜껑부
210: 뚜껑 손잡이부 220: 뚜껑부의 돌출부
300: 손잡이부 310: 손잡이의 함몰부
400: 복수개의 부력체들 500: 부력체 가이드부
610: 제 1 단열부재 620: 제 2 단열부재
630: 제 3 단열부재

Claims (5)

  1.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라면의 조리를 위한 재료가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한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시각 장애인이 상기 본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촉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력체들; 및
    상기 손잡이부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들이 상기 물의 양에 따라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력체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들에는 컵라면의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270ml를 나타내는 제 1 부력체 및 봉지라면의 조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400ml를 나타내는 제 2 부력체가 포함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가 각각 나타내는 물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점자가 형성되는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뚜껑부의 개폐를 위해 상기 뚜껑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뚜껑 손잡이부, 상기 라면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생성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홀(hole)들 및 상기 뚜껑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뚜껑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들은 상기 물의 양에 따라 상기 부력체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무게는 동일하되 길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가이드부의 내벽에는 상기 부력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에 맞물리도록 상기 부력체들의 외주면의 일 영역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부력체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을 감싸는 제 1 단열부재,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들 및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소정의 높이까지 감싸는 제 2 단열부재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KR1020180130841A 2018-10-30 2018-10-30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KR10207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41A KR102070201B1 (ko) 2018-10-30 2018-10-30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41A KR102070201B1 (ko) 2018-10-30 2018-10-30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201B1 true KR102070201B1 (ko) 2020-01-29

Family

ID=6932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41A KR102070201B1 (ko) 2018-10-30 2018-10-30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956A (zh) * 2020-11-16 2021-02-19 浙江博德无障碍设备有限公司 一种盲人专用电磁炉
KR20240001873A (ko) 2022-06-28 2024-01-04 김준환 시각장애인용 냄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55Y1 (ko) * 2003-05-09 2003-08-19 김종현 전자렌지용 증숙조리기
KR101195196B1 (ko) * 2011-01-20 2012-11-01 남우창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보조 장치
KR101399364B1 (ko) * 2013-10-02 2014-05-27 문제구 락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냄비
KR20170101848A (ko) 2017-08-18 2017-09-06 김준구 다기능 컵라면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55Y1 (ko) * 2003-05-09 2003-08-19 김종현 전자렌지용 증숙조리기
KR101195196B1 (ko) * 2011-01-20 2012-11-01 남우창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보조 장치
KR101399364B1 (ko) * 2013-10-02 2014-05-27 문제구 락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냄비
KR20170101848A (ko) 2017-08-18 2017-09-06 김준구 다기능 컵라면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956A (zh) * 2020-11-16 2021-02-19 浙江博德无障碍设备有限公司 一种盲人专用电磁炉
KR20240001873A (ko) 2022-06-28 2024-01-04 김준환 시각장애인용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201B1 (ko) 시각 장애인용 라면 용기
JP7469315B2 (ja) ポータブルランチボックス
US9686826B2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US8247751B2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US8546731B2 (en) Electrical appliance for cooking food
WO2019204287A9 (en)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EP2826721A1 (en) Self-heating container for pre-cooked food
EP2193731B1 (en) Food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cooking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EP2956035A1 (en) Pressure cooker
EP2852539B1 (en) Food packaging
CN110063658A (zh) 用于至少部分封闭烹饪器皿开口的装置、烹饪器皿系统和电动厨房多用机
JP2009511112A (ja) 内部蒸気呼吸用調整装置付き加熱調理具
DE60003294D1 (de) Gefäss zum Kochen von Nahrungsmitteln
EP0288862A1 (en) Container with whistling device for thermally cooking food
KR20170111665A (ko) 티 인퓨져
US5423247A (en) Environmental steam energy storage
JP4774033B2 (ja) 電子レンジ用即席食品容器
KR20200070042A (ko) 다단 커버
KR200201018Y1 (ko)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
JP3194548U (ja) おかゆ製造用容器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KR200473274Y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가열용기
KR200283338Y1 (ko) 뚝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