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777B1 -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777B1
KR102069777B1 KR1020180084482A KR20180084482A KR102069777B1 KR 102069777 B1 KR102069777 B1 KR 102069777B1 KR 1020180084482 A KR1020180084482 A KR 1020180084482A KR 20180084482 A KR20180084482 A KR 20180084482A KR 102069777 B1 KR102069777 B1 KR 10206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nd portion
degrees
raised
need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임
박연숙
Original Assignee
신영임
박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임, 박연숙 filed Critical 신영임
Priority to KR102018008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형의 두겹 밴드부의 마감 부분이 타 부분과 비교해서 특별히 간격이 넓거나 돌출되는 스티치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착용감이 향상되고 피부에 밴드 자국도 많이 남지 않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되는 밴드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는 단계; (b)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하는 단계; (c)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는 단계; 및 (d)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Ring-shaped Band for Socks and the Sock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형의 두겹 밴드부의 마감 부분이 타 부분과 비교해서 특별히 간격이 넓거나 돌출되는 스티치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착용감이 향상되고 피부에 밴드 자국도 많이 남지 않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은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사이에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고 덧버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환형의 밴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밴드부는 신축성을 좋게 하기 위해 내측과 외측이 2겹으로 포개진 구조로 편성한다(KR 특허공개 제2018-0001908호, KR 등록실용신안 제0452389호 참조).
그리고, 상기 환형 밴드부를 편성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 2겹으로 포갠 상태에서 내측과 외측의 단부를 따라 원형의 스티치 루프(SL)를 형성하여 고정, 마감하기 위해 니들 실린더의 상측단 중앙에 설치된 공지의 환편기를 사용한다(KR 특허공개 제1983-0002903호, KR 실용신안공고 제1983-0002440호, KR 특허공개 제1992-0001009호 참조).
상기 환편기는 다이알, 다이알 싱커, 싱커 다이알 등으로 명칭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KR 특허공개 제1983-0002903호에서는 싱커베드(Sinker bed)의 니들 실린더가 상측단에 고정되어 있고, 싱커(Sinker)가 방사 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게 지지된 방사방향 슬로트(Slot)를 포함하며, 싱커는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바늘(편침)과 연동한다.
그런데, 환형의 밴드부를 상기 환편기의 다이알로 마감하는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스티치 루프가 타 부분에 비해 간격이 넓고 돌출되는 큰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덧버선을 신었을 때 착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밴드 자국이 많이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 제0452389호 (2011.02.16) KR 특허공개 제1983-0002903호 (1983.05.21) KR 등록실용신안 제0477861호 (2015.07.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측과 외측이 2겹으로 포개진 원형의 밴드부 단부가 타 부분과 같은 작은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덧버선을 신었을 때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밴드 자국이 많이 남지 않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은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되는 밴드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는 단계; (b) 니들 실린더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하는 단계; (c)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는 단계; 및 (d)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해서, 환형 밴드부(B)의 후면 단부 테두리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도록 마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1 배열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바늘 중에서 홀수 번째의 바늘만을 사용하거나 짝수 번째의 바늘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의 1:1 배열 상승은 회동하는 작동편이 구비된 엑추에이터에 의해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쟈크를 개별적으로 상승시켜 바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사는 밴드부를 제외한 덧버선의 다른 부분을 이루는 실보다 신축성이 더 우수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사는 고무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는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하되,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하며,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고,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해서, 환형 밴드부(B)의 후면 단부 테두리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도록 마감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환형의 두겹 밴드부의 마감 부분이 타 부분과 비교해서 특별히 간격이 넓거나 돌출되는 스티치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덧버선을 신었을 때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피부에 밴드 자국도 많이 남지 않게 된다.
둘째, 공지된 형태의 환편기 다이알 (싱커)를 사용하지 않고 덧버선 편직기의 엑추에이터나 캠에 의해 환형의 두겹 밴드부의 마감 부분에 스티치 루프로 형성하기 때문에 밴드부 작업시 부품간 간섭에 의한 파손이나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덧버선 편직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덧버선 편직기의 엑추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편성되는 앞꿈치부,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사이에 발이 삽입되는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고 덧버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편성되는 환형의 밴드부(B)로 구성된다.
상기 도 1 및 도 2, 도 9는 덧버선의 전면(외측)과 후면(내측)을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을 통해서 보이는 환형 밴드부가 착용시 실제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덧버선을 편직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을 이루는 베이스 블록(302)과 보디 블록(304), 상기 베이스 블록과 보디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레이싱캠(308), 상기 보디 블록의 상부 좌측에 설치되는 1F 레이싱캠(314), 상기 1F 레이싱캠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사이드캠(도면에 미도시), 상기 1F 레이싱캠과 상기 우측 사이드캠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캠(324), 및 상기 가이드캠 하부에는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좌향 다운픽커(318)를 구비하여 니들 실린더(104) 외측에 설치되는 레이싱캠 조립체, 및 몸통을 이루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 상부에 설치되는 트랜스퍼캠,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우향다운픽커를 구비하여 니들 실린더 외측에 설치되는 트랜스퍼캠 조립체(300)를 포함하고, 돌기(107)가 니들 실린더 외부로 돌출되는 쟈크; 니들 실린더 내부에서 쟈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싱캠 및 트랜스퍼캠의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 바늘(102); 및 상기 쟈크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2)가 구성된다.
즉, 상기 덧버선 편직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KR 실용신안등록 제0452389호에 기재되어 있는 몸통을 이루는 베이스 블록과 보디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과 보디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레이싱캠, 상기 레이싱캠을 전후진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보디 블록의 상부 좌측에 설치되는 1F 레이싱캠, 상기 1F 레이싱캠을 전후진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1F 레이싱캠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사이드캠,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ㄱ'자 형상의 좌향 다운픽커 및 상기 좌향 다운픽커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상부베이스 상부의 실린더 외측에 설치되는 레이싱캠 조립체가 구성된다.
그리고, 몸통을 이루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 상부에 설치되는 트랜스퍼캠, 상기 트랜스퍼캠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ㄱ'자를 옆으로 뒤집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향 다운픽커 및 상기 우향 다운픽커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여 상부베이스 상부의 실린더 외측에 설치되는 트랜스퍼캠 조립체가 구성된다.
또한, 돌기가 니들 실린더 외부로 돌출되는 쟈크와, 니들 실린더 내부에서 쟈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싱캠 및 트랜스퍼캠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 바늘, 및 상기 쟈크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덧버선 편직기는 쟈크를 구동시키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엑추에이터(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엑추에이터(2)는 좌측판(6)에 작동편 지지대(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판(4)의 좌우에는 좌측판(6)과 우측판(7)을 결합하며 지지판(4)의 상측에는 상판(5)을 결합하고, 작동편 회전축(11)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는 작동편(3)은 빗살형으로 된 작동편 지지대(10) 사이에서 작동된다.
그리고, 지지판(4)의 좌, 우측에는 좌측판(6)과 우측판(7)을 각각 체결볼트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작동편 회전축(11)의 바로 옆에는 작동편 회전축과 나란히 잠금장치축(12)과 스토퍼축(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판(6) 상에는 작동편 지지대(10) 외에 전자석 및 전자석 지지대(14)가 설치된다.
여기서, 작동편 회전축(11)과 잠금장치축(12) 및 스토퍼축(13)은 상판(5)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작동편(3)은 작동편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다수의 작동편(3) 중에서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작동편(3)은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실린더의 외주에 설치된 쟈크의 회전반경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3)에 쟈크의 일부가 걸려서 쟈크가 상승된다.
여기서, 작동편 회전축(11)과 잠금장치축(12) 및 스토퍼축(13)은 상판(5)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작동편(3)은 작동편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다수의 작동편(3) 중에서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작동편(3)은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실린더의 외주에 설치된 쟈크의 회전반경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3)에 쟈크의 일부가 걸려서 쟈크가 상승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2겹으로 포개진 구조로 편성되는 밴드부(B)의 전면(외측)과 후면(외측)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전면 시작부(F1)를 준비하는 단계(S100), (b) 전면 시작부(F1)를 고정하는 단계(S200), (c) 전면(F)과 후면(B)을 연속 편성하는 단계(S300) 및 (d) 후면 마감부(B1)를 고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a) 전면 시작부(F1)를 준비하는 단계(S100)는 니들 실린더(104)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102)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F1)를 준비한다.
상기 탄성사는 밴드부(B)를 제외한 덧버선의 다른 부분, 즉 바닥부, 앞꿈치부, 뒤꿈치부 등을 이루는 실보다 신축성이 더 우수한 실인 것을 말하며, 예들 들어 고무사나 스판덱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b) 전면 시작부(F1)를 고정하는 단계(S200)는 (b)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102)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한다. 즉, 전면 시작부(F1)를 촘촘하게 엮어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1:1 배열은 니들 실린더(104)에 배치된 바늘(102) 중에서 홀수 번째의 바늘만을 사용하거나 짝수 번째의 바늘만을 상승시켜 사용(편성에 가담)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 전체 배열은 니들 실린더(104)에 배치된 바늘(102)의 홀수 번째의 바늘과 짝수 번째의 바늘 전체를 상승시켜 사용(편성에 가담)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의 1:1 배열 상승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는 작동편(3)이 구비된 엑추에이터(2)에 의해 니들 실린더(104)에 설치된 쟈크를 개별적으로 상승시켜 바늘(10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늘(102)의 사용은 편직기에 구비된 엑추에이터(2)에 의해 니들 실린더(104)의 쟈크를 상승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캠에 의해 니들 실린더(104)의 쟈크를 상승시켜 바늘(102)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c) 전면(F)과 후면(B)을 연속 편성하는 단계(S300)는 니들 실린더(104)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102)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F)으로부터 후면(B)까지 연속해서 원하는 넓이까지 편성한다.
상기 원형 밴드부(B)는 2겹으로 포개져서 마무리되기 때문에 전면(F)과 후면(B)은 동일한 넓이로 편성한다.
마지막으로, (d) 후면 마감부(B1)를 고정하는 단계(S400)는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해서, 환형 밴드부(B)의 후면 단부 테두리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도록 마감, 고정한다. 즉, 환형 밴드부(B)의 전면(F)과 후면(B)을 겹친 상태에서 후면 마감부(B1)를 전면(B) 단부와 촘촘하게 엮어 스티치 루프(SL)를 형성해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형의 두겹 밴드부(B)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지된 형태의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기 때문에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타 부분과 비교해서 특별히 간격이 넓거나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환형 밴드부(B)의 후면(내측) 단부(테두리)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기 때문에 덧버선을 신었을 때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고 피부에 밴드 자국도 많이 남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발의 앞꿈치쪽으로부터 발바닥의 중간 부분까지만을 감싸는 짧은 형태의 미니 덧버선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형태의 환편기 다이알 (싱커)를 사용하지 않고 덧버선 편직기의 엑추에이터나 캠에 의해 환형의 두겹 밴드부의 마감 부분에 스티치 루프로 형성하기 때문에 밴드부 작업시 부품간 간섭에 의한 파손이나 불편함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는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하되,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환형 밴드부(B)가 2겹으로 편성되면, 편직기를 이용하여 나머지 뒤꿈치부, 바닥부, 앞꿈치부 등의 부분을 밴드부(B)에 연속적으로 편성하면 덧버선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덧버선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부 개방부를 따라 환형 밴드부가 구비되는 양말과 같은 제품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덧버선이라는 용어는 양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2...바늘 104...니들 실린더
2...엑추에이터 3...작동편
B...환형의 밴드부 SL...스티치 루프

Claims (7)

  1.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되는 밴드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는 단계;
    (b)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하는 단계;
    (c)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는 단계; 및
    (d)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해서, 환형 밴드부(B)의 후면 단부 테두리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도록 마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1 배열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바늘 중에서 홀수 번째의 바늘만을 사용하거나 짝수 번째의 바늘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1:1 배열 상승은 회동하는 작동편이 구비된 엑추에이터에 의해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쟈크를 개별적으로 상승시켜 바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사는 밴드부를 제외한 덧버선의 다른 부분을 이루는 실보다 신축성이 더 우수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사는 고무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제조방법.
  6. 덧버선의 상부 개구부를 따라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2겹의 환형으로 편성하되,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준비하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 시작부를 고정하며,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1:1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속해서 편성하고, 환편기의 다이알 싱커로 마감하지 않고 니들 실린더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전체 배열로 상승시킨 바늘에 탄성사를 걸어서 후면 마감부를 전면에 겹쳐지게 고정해서, 환형 밴드부(B)의 후면 단부 테두리 마감 부분의 스티치 루프(SL)가 전면(F)과 후면(F)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도록 마감하여 제조되는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7. 상기 제 6 항의 환형 밴드부를 갖는 덧버선.
KR1020180084482A 2018-07-20 2018-07-20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06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82A KR102069777B1 (ko) 2018-07-20 2018-07-20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82A KR102069777B1 (ko) 2018-07-20 2018-07-20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77B1 true KR102069777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82A KR102069777B1 (ko) 2018-07-20 2018-07-20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03A (ko) 1979-06-10 1983-05-31 리차드 엔. 제임스 플라즈마 분사방법 및 장치
KR100452389B1 (ko) 1999-12-14 2004-10-08 프로탄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케이블 tv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
KR100477861B1 (ko) 1996-12-27 2005-11-25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카드이용형유기기
KR101459025B1 (ko) * 2013-05-29 2014-11-07 박철환 밴드부를 포함하는 덧버선과 편직방법 및 그 장치
KR101458950B1 (ko) * 2014-02-28 2014-11-07 이진석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KR101802184B1 (ko) * 2016-10-31 2017-11-28 박철환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03A (ko) 1979-06-10 1983-05-31 리차드 엔. 제임스 플라즈마 분사방법 및 장치
KR100477861B1 (ko) 1996-12-27 2005-11-25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카드이용형유기기
KR100452389B1 (ko) 1999-12-14 2004-10-08 프로탄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케이블 tv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
KR101459025B1 (ko) * 2013-05-29 2014-11-07 박철환 밴드부를 포함하는 덧버선과 편직방법 및 그 장치
KR101458950B1 (ko) * 2014-02-28 2014-11-07 이진석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KR101802184B1 (ko) * 2016-10-31 2017-11-28 박철환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5494A (en) Pocket sock and method of knitting same
US6457332B1 (en) Footwear garment, method of manufacture and knitting machine
US20060169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ock having a looped tab
CN105636470A (zh) 鞋面和鞋面的编织方法
US11447898B2 (en) Circular knitted garment with apertures
JP6596011B2 (ja) 足被覆衣類、そのような足被覆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ニットウエアまたは靴下類のための環状機械
US572740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cks having a closed toe with a single-cylinder knitting machine
KR101232701B1 (ko) 몸통 통모양부에 트임부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및 그편성방법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KR101287867B1 (ko)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JP2014505803A (ja) ダイヤル上に複数の編針を伴っている形式の、男子用靴下の為の丸編機
KR20130119855A (ko) 편침 안내 구조, 편침, 편성 방법, 편물 및 장갑
KR102069777B1 (ko) 덧버선의 환형 밴드부 및 그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CS220775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mainly for stockings
US20180343927A1 (en) Sock with double-layer foot portion and bottom toe seam
IT201900005900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tessuto a maglia traforato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JPH07189090A (ja) 踵等の編成方法
US11486069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intarsia knitted item by means of a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WO2006075380A1 (ja) 靴下編機
US3208241A (en) Run-stop for hosiery
US20030089135A1 (en) Circular hosiery machines with needles on the cylinder and in the bed plate, in particular for terry fabric
EP0036194A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the type having two needle beds for knitting rib patterned tubular fabrics
JPH09250002A (ja) 二重編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IT201900005896A1 (it)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IT201900005892A1 (it)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er la realizzazione di tessuto a maglia trafor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