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217B1 - 배열 회수기 - Google Patents

배열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217B1
KR102069217B1 KR1020180043483A KR20180043483A KR102069217B1 KR 102069217 B1 KR102069217 B1 KR 102069217B1 KR 1020180043483 A KR1020180043483 A KR 1020180043483A KR 20180043483 A KR20180043483 A KR 20180043483A KR 102069217 B1 KR102069217 B1 KR 10206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r
pair
inlet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050A (ko
Inventor
도시오 무라타
요시카즈 심포
요시히로 고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11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01N3/04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without contact between liquid and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48Arrangements for sealing connectors to header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02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heat 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부와, 상기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출구부로 구성된 한 쌍의 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배기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입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는 도입관과, 상기 출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배기관의 외측에 도출하는 도출관과, 상기 입구부와 상기 도입관의 사이, 및 상기 출구부와 상기 도출관의 사이를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에 있어서,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상기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 O링으로 구성된 상기 한 쌍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

Description

배열 회수기{EXHAUST HEAT RECOVERY DEVICE}
본 개시는, 배열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062915호 공보에는, 배기관(덕트부)의 내부에 마련된 열교환기(증발부)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062915호 공보의 배열 회수기에서는, 열교환기에 열 매체(작동유체)를 도입하는 도입관(응축측 연결부)과, 열교환기로부터 배기관의 외측에 열 매체를 도출하는 도출관(증발측 연결부)의 각각이, 열교환기에 마련된 한 쌍의 구부(口部)(조인트)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관(도입관 또는 도출관)이 구부에 접속되는 배열 회수기에 있어서, 구부와 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배기관을 유통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직접 노출되는 시일 구조에서는, 구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를 기계 가공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구부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를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는 배열 회수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양태의 배열 회수기는, 배기가스가 유통되는 배기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기가스와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부와, 상기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출구부로 구성된 한 쌍의 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배기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입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는 도입관과, 상기 출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배기관의 외측에 도출하는 도출관과, 상기 입구부와 상기 도입관의 사이, 및 상기 출구부와 상기 도출관의 사이를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에 있어서,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상기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 O링으로 구성된 상기 한 쌍의 시일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열 매체가, 도입관에 의해 배기관의 외측으로부터 입구부를 개재하여 열교환기에 도입된다. 열교환기에 도입된 열 매체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배기관을 유통하는 배기가스의 사이에서 열교환한다. 배기가스의 사이에서 열교환한 열 매체는, 도출관에 의해, 열교환기로부터 출구부를 개재하여 배기관의 외측에 도출된다.
여기에서, 제 1 양태에서는, 입구부와 도입관의 사이, 및 출구부와 도출관의 사이를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 O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양태에서는, 한 쌍의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당해 적어도 일방을 O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로서 O링을 이용하므로, 구부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를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2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에 삽입되며, 상기 O링은,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제 2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O링이,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O링이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O링을 구부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에 O링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O링이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제 3 양태의 배열 회수기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이, 상기 배기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O링은, 상기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제 3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O링은,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도입관 및 도출관의 각각의 외면과,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의 열이 O링에 전해지기 어려워, 배기가스의 열에 의한 O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4 양태의 배열 회수기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유통 방향 둘레에 상기 열교환기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관의 사이를 시일하면서 또한, 그 사이에서 완충하는 완충재를 구비한다.
제 4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배기가스의 유통 방향 둘레에 열교환기의 주위에 배치된 완충재는, 열교환기와 배기관의 사이를 시일하면서 또한, 열교환기와 배기관의 사이에서 완충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에서 발생한 진동 등이, 열교환기를 개재하여 O링에 전해지기 어려워, O링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제 5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이 삽입되며, 상기 O링은,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하여, 상기 O링에 대한 가스 유통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상기 배기가스의 상기 O링에의 진입을 억제하는 가스 시일을 구비한다.
제 5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가스 시일이, O링에 대한 가스 유통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기가스의 O링에의 진입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O링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기 어려워, O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6 양태의 배열 회수기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이, 상기 배기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O링은, 상기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제 6 양태의 배열 회수기에 의하면, O링은,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도입관 및 도출관의 각각의 내면과,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의 열이 O링에 전해지기 어려워, 배기가스의 열에 의한 O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7 양태의 배열 회수기는,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구부는, 탄화 규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탄화 규소는 고경도이기 때문에, 탄화 규소로 형성된 한 쌍의 구부의 각각과, 도입관 및 도출관의 각각의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당해 구부에 대하여 행하는 기계 가공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계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일 부재가 접촉하는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는 연마 가공이나, 시일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기계 가공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개시에서는, 시일 부재가 O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시일 부재 등을 이용한 시일 구조(시일 범위가 넓은 시일 구조)에 비하여, 탄화 규소로 형성된 구부와 O링의 접촉 면적이 작아, 탄화 규소로 형성된 구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공 범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부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를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기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열 회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기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와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배기관 구조(10))
우선,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열 회수기(30)가 적용된 배기관 구조(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배기관 구조(10)의 단면도이다.
배기관 구조(10)는, 자동차 등의 차량용의 배기관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대기(차량의 밖)로 배출하기 위한 관 구조이다. 상세하게는, 배기관 구조(1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관(20)과, 배열 회수기(30)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20)은, 통 형상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일방향으로 유통된다. 각 도에서는, 배기가스가 유통되는 가스 유통 방향이, 화살표 A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배기관(20)은, 상세하게는, 배기관 본체(22)와, 커버부(24)를 가지고 있다.
배기관 본체(22)는, 통 형상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기관 본체(22)에는, 배열 회수기(30)의 후술의 열교환기(32)를 배기관 본체(22)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24)는, 수용구(27)를 덮는 것과 함께, 일례로서 체결 부재(23)에 의해 배기관 본체(22)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부(24)에는, 배열 회수기(30)의 후술의 입구부(34) 및 출구부(35)를 넣을 수 있는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는, 예를 들면, 200℃ 이상 800℃ 이하의 범위의 온도를 가진다.
배열 회수기(30)는, 배기관(20)을 유통하는 배기가스와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함으로써 당해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그 열을 재이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열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Long Life Coolant:LLC)가 이용된다. 열 매체는, 배기가스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다. 열 매체로서 냉각수를 이용할 경우에는, 열 매체의 온도는, 예를 들면, 최고 130℃ 정도가 된다.
배열 회수기(30)는,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32)와, 입구부(34) 및 출구부(35)(한 쌍의 구부의 일례)와, 도입관(36)과, 도출관(37)과, O링(38,39)(한 쌍의 시일 부재의 일례)과, 시일재(33)(완충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32)는, 배기관(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배기관(20)의 내부를 유통하는 배기가스와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32)는, 열교환기 본체(321)와, 유입로(341) 및 유출로(351)가 형성된 유로 형성부(323)를 가지고 있다.
유로 형성부(323)는, 열교환기 본체(321)의 상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유입로(341)는, 열교환기 본체(321)의 상면에 있어서, 입구부(34)로부터의 열 매체를 도 1의 지면 앞쪽(도 2의 -D방향) 및 도 1의 지면 안쪽(도 2의 +D방향)으로 유통시킨다. 유출로(351)는, 열교환기 본체(321)의 상면에 있어서, 열교환기 본체(321)로부터의 열 매체를 출구부(35)를 향하여 도 1의 지면 안쪽(도 2의 -E방향) 및 도 1의 지면 앞쪽(도 2의 +E방향)으로 유통시킨다.
열교환기 본체(321)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321)의 측면(32F)로부터 측면(32R)(도 1 참조)으로 화살표 A방향을 따라 배기가스를 유통시키는 복수의 가스 유로(32A)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유로(32A)는, 화살표 A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차원 형상(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가스 유로(32A)의 입구 및 출구는, 각각, 측면(32F) 및 측면(32R)(도 1 참조)의 각각에 이차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 본체(321)의 내부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 매체를 유입로(341)(입구부(34))로부터 유출로(351)(출구부(35))를 향하여 유통시키는 복수의 매체 유로(32B)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매체 유로(32B)는, 복수의 가스 유로(32A)와 번갈아서 배치되어 있으며, 칸막이벽에 의해 가스 유로(32A)와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 유로(32B)를 유통하는 열 매체와, 가스 유로(32A)를 유통하는 배기가스의 사이에서, 전술의 칸막이벽을 개재하여 열교환이 이뤄진다.
또한, 열교환기(32)는, 열교환기 본체(321) 및 유로 형성부(323)를 포함하여,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다. 탄화 규소는, 고경도이며,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다.
입구부(34)는, 열 매체를 열교환기(32)의 내부(유입로(341))에 도입하기 위한 구부이다. 입구부(34)는, 열교환기(32)의 유로 형성부(323)와 일체로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입구부(34)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32)의 유로 형성부(323)에 있어서의 가스 유통 방향(A방향) 하류측 부분의 상단부(유입로(341)의 상방 부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34)의 선단부는, 배기관(20)의 커버부(24)의 개구(25)를 통하여, 배기관(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입구부(34)에는, 유입로(341)와 연통하는 도입로(34A)가 형성되어 있다.
출구부(35)는, 열 매체를 열교환기(32)의 내부(유출로(351))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구부이다. 출구부(35)는, 열교환기(32)의 유로 형성부(323)와 일체로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출구부(35)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32)의 유로 형성부(323)에 있어서의 가스 유통 방향(A방향) 상류측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출구부(35)의 선단부는, 배기관(20)의 커버부(24)의 개구(25)를 통하여, 배기관(2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구부(35)에는, 유출로(351)와 연통하는 도출로(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34) 및 출구부(35)는, 선단부가 배기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입구부(34)의 내측(내면측)의 공간 및 출구부(35)의 내측(내면측)의 공간은, 배기관(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32)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부가, 입구부(34) 및 출구부(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321) 및 유로 형성부(323)를 포함하는 열교환기(32)와, 입구부(34)와, 출구부(35)가, 일체로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32), 입구부(34) 및 출구부(35)는, 예를 들면, 탄화 규소 소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입관(36)은, 열 매체를 배기관(20)의 외측으로부터 입구부(34)를 개재하여 열교환기(32)에 도입하는 도입관이다. 도입관(36)은, 하류 단부(하단부)가 입구부(34)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입관(36)의 하류 단부가, 입구부(34)에 삽입되어 있다.
O링(38)은, 입구부(34)의 내측에 있어서, 입구부(34)와 도입관(3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O링(38)은, 도입관(36)의 외면과 입구부(34)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입관(36)의 외면과 입구부(34)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O링(38)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상방측)의 위치에서, 도입관(36)의 외면과 입구부(34)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이와 같이, O링(38)은, 입구부(3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보다도 저온인 열 매체에 접촉되지만,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O링(38)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O링(38)은,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JIS B 0142 참조),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O링(38)은, 직경 방향으로 압축(탄성) 변형된 상태로, 도입관(36)의 외면과 입구부(34)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출관(37)은, 열 매체를 열교환기(32)로부터 출구부(35)를 개재하여 배기관(20)의 외측에 도출하는 도출관이다. 도출관(37)은, 상류 단부(하단부)가 출구부(35)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출관(37)의 상류 단부가, 출구부(35)에 삽입되어 있다.
O링(39)은, 출구부(35)의 내측에 있어서, 출구부(35)와 도출관(3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O링(39)은, 도출관(37)의 외면과 출구부(35)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출관(37)의 외면과 출구부(35)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O링(39)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상방측)의 위치에서, 도출관(37)의 외면과 출구부(35)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이와 같이, O링(39)은, 출구부(3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보다도 저온인 열 매체에 접촉되지만,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O링(39)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O링(39)은,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JIS B 0142참조),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O링(39)은, 직경 방향으로 압축(탄성) 변형된 상태로, 도출관(37)의 외면과 출구부(35)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34)와 도입관(36)의 사이, 및 출구부(35)와 도출관(37)의 사이의 각각을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가, O링(38,3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일재(33)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유통 방향(A방향) 둘레에 열교환기(32)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시일재(33)는, 열교환기(32)의 측면(32M,32N), 바닥면(32T) 및 상면(32J)에 배치되어 있다. 시일재(33)는, 열교환기(32)의 측면(32M,32N) 및 바닥면(32T)의 전체 면에 배치되어 있다. 시일재(33)는, 열교환기(32)의 상면(32J)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입구부(34) 및 출구부(35)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재(33)는, 배기관(20)(배기관 본체(22) 및 커버부(24))의 내주면과 열교환기(32)의 측면(32M,32N), 바닥면(32T) 및 상면(32J)의 사이에, 압축 변형 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32)와 배기관(20)의 사이가 시일되어, 배기관(20)의 개구(25)에의 배기가스의 진입이 억제된다. 즉, 시일재(33)는, 배기관(20)의 개구(25)에의 배기가스의 진입을 억제하는 가스 시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시일재(33)가, 배기관(20)의 내주면과, 열교환기(32)의 측면(32M,32N), 바닥면(32T) 및 상면(32J)에 눌러 붙여짐으로써, 열교환기(32)가 배기관(20)에 보지(保持)된다. 또한, 시일재(33)는, 열교환기(32)와 배기관(20)의 사이에서 완충하는 완충재로서도 기능한다. 시일재(33)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시트나, 팽창 흑연 시트 등이 이용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열 회수기(30)에 의하면, 열 매체가, 도입관(36)에 의해 배기관(20)의 외측으로부터 입구부(34)의 도입로(34A)를 개재하여 열교환기(32)의 유입로(341)에 도입된다(도 1 참조). 유입로(341)에 도입된 열 매체는, 열교환기 본체(321)의 매체 유로(32B)를 유통한다. 한편, 배기관(20) 내의 배기가스는, 열교환기 본체(321)의 가스 유로(32A)를 유통한다. 그리고, 열교환기 본체(321)의 매체 유로(32B)를 유통하는 열 매체는, 가스 유로(32A)를 유통하는 배기가스의 사이에서 열교환한다. 배기가스의 사이에서 열교환한 열 매체는, 열교환기(32)의 유출로(351) 및 출구부(35)의 도출로(35A)를 유통한 후, 도출관(37)에 의해, 배기관(20)의 외측에 도출된다. 이에 의해, 배기관(20)을 유통하는 배기가스의 열이 회수된다. 그리고, 그 열이, 배기관(20)의 외측에서 재이용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34)와 도입관(36)의 사이, 및 출구부(35)와 도출관(37)의 사이의 각각을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 O링(38,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열화되기 어려워,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를 O링(38,39)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로서 O링(38,39)을 이용하므로, 입구부(34) 및 출구부(35)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를 염가이면서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열 회수기(30)에서는, 열교환기(32), 입구부(34) 및 출구부(35)는, 탄화 규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화 규소는, 고경도이기 때문에, 열 매체에 대한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계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기계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일 부재(O링)가 접촉하는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를 작게 하는 연마 가공이나, 시일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기계 가공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배열 회수기(30)에는, O링(38,39)에 의해, 입구부(34)와 도입관(36)의 사이, 및 출구부(35)와 도출관(37)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O링(38,39)은,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시일 부재 등을 이용한 시일 구조(시일 범위가 구부(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축방향으로 넓은 시일 구조)에 비하여,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접촉 면적이 작아, 입구부(34) 및 출구부(35)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공 범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열 회수기(30)에는, O링(38)은, 배기관(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입구부(3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39)은, 배기관(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된 출구부(3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O링(38,39)이, 고온이 되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O링(38,39)을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에 O링(38,39)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O링(38,39)이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O링(38,39)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도입관(36) 및 도출관(37)의 각각의 외면과,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의 열이, O링(38,39)에 전해지기 어려워, 배기가스의 열에 의한 O링(38,39)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유통 방향(A방향) 둘레에 열교환기(32)의 주위에 배치된 시일재(33)는, 열교환기(32)와 배기관(20)의 사이에서 완충하는 완충재로서도 기능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20)에서 발생한 진동 등이, 열교환기(32)를 개재하여 O링(38,39)에 전해지지 않아, O링(38,39)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배열 회수기(30)가 적용된 배기관 구조(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배기관 구조(210)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배기관 구조(210)는, 자동차 등의 차량용의 배기관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대기(차량의 밖)로 배출하기 위한 관 구조이다.
배기관 구조(210)의 배기관(20)에 있어서의 커버부(24)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도입관(36) 및 도출관(37)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입관(36)의 하류 단부 및 도출관(37)의 상류 단부가, 커버부(24)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 구조(210)에서는, 배열 회수기(30)에 있어서의 입구부(34)의 선단부가, 도입관(36)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O링(38)은, 도입관(36)의 내측에 있어서, 입구부(34)와 도입관(3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O링(38)은, 입구부(34)의 외면과 도입관(36)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구부(34)의 외면과 도입관(36)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O링(38)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상방측)의 위치에서, 입구부(34)의 외면과 도입관(36)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이와 같이, O링(38)은, 도입관(36)의 내측에 있어서,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보다도 저온인 열 매체에 접촉되지만,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상태의 배기가스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O링(38)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38)은, 직경 방향으로 압축(탄성) 변형된 상태로, 입구부(34)의 외면과 도입관(36)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 구조(210)에서는, 배열 회수기(30)에 있어서의 출구부(35)의 선단부가, 도출관(37)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O링(39)은, 도출관(37)의 내측에 있어서, 출구부(35)와 도출관(3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O링(39)은, 출구부(35)의 외면과 도출관(37)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출구부(35)의 외면과 도출관(37)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O링(39)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상방측)의 위치에서, 출구부(35)의 외면과 도출관(37)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이와 같이, O링(39)은, 도출관(37)의 내측에 있어서,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보다도 저온인 열 매체에 접촉되지만,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O링(39)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O링(39)은, 직경 방향으로 압축(탄성) 변형된 상태로, 출구부(35)의 외면과 도출관(37)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34)의 기단부(하단부) 및 출구부(35)의 기단부(하단부)는, 기단측(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외경이 대경화(大俓化)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재(33)(가스 시일의 일례)는, O링(38,39)에 대한 가스 유통 방향(A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된 상류 부분(33A) 및 하류 부분(33B)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시일재(33)는, O링(38,39)에 대한 가스 유통 방향(A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배기관(20)을 화살표 A방향으로 유통하는 상태의 배기가스가 O링(38,39)측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O링(38,39)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기 어려워, O링(38,39)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가,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열화되기 어려워,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를 O링(38,39)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로서 O링(38,39)을 이용하므로, 입구부(34) 및 출구부(35)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를 염가이면서 또한,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O링(38,39)은, 배기관(20)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도입관(36) 및 도출관(37)의 각각의 내면과,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한다. 이 때문에, 배기관(20)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의 열이 O링(38,39)에 전해지기 어려워, 배기가스의 열에 의한 O링(38,39)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열 매체로서, 냉각수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열 매체로서는, 열교환에 이용되는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전술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 본체(321) 및 유로 형성부(323)를 포함하는 열교환기(32)와, 입구부(34)와, 출구부(35)가, 일체로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32)와 입구부(34)와 출구부(35)는, 별체로 형성된 후에 조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열교환기(32)와 입구부(34)와 출구부(35)는, 탄화 규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전술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양방이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일방이, 탄화 규소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타방은, 탄화 규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된 후에 조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입구부(34) 및 출구부(35)의 일방이, 탄화 규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 일방에 대하여, O링 이외의 시일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전술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시일재(33)는, 가스 유통 방향(A방향) 둘레에 열교환기(32)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재(33)로서는, 예를 들면, 열교환기(32)의 상면(32J)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입구부(34) 및 출구부(35)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만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9)

  1. 배기가스가 유통되는 배기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기가스와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부와,
    상기 열교환기에 형성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출구부로 구성된 한 쌍의 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배기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입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도입하는 도입관과,
    상기 출구부에 접속되며, 상기 열 매체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배기관의 외측에 도출하는 도출관과,
    상기 입구부와 상기 도입관의 사이, 및 상기 출구부와 상기 도출관의 사이를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에 있어서, 당해 한 쌍의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배기관을 유통하고 있는 배기가스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또한, 상기 열 매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 O링으로 구성된 상기 한 쌍의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에 삽입되며,
    상기 O링은,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배열 회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은, 상기 배기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O링은, 상기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외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내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배열 회수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유통 방향 둘레에 상기 열교환기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관의 사이를 시일하면서 또한, 그 사이에서 완충하는 완충재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배기관의 사이를 시일하면서 또한, 그 사이에서 완충하는 완충재를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이 삽입되며,
    상기 O링은,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하고,
    상기 O링에 대한 가스 유통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된 가스 시일을 구비하는 배열 회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은, 상기 배기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O링은, 상기 배기관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도입관 및 상기 도출관의 각각의 내면과, 상기 한 쌍의 구부의 각각의 외면의 사이를 시일하는 배열 회수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구부는, 탄화 규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배열 회수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매체는, 냉각수인 배열 회수기.
KR1020180043483A 2017-04-18 2018-04-13 배열 회수기 KR102069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2335A JP6795445B2 (ja) 2017-04-18 2017-04-18 排熱回収器
JPJP-P-2017-082335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50A KR20180117050A (ko) 2018-10-26
KR102069217B1 true KR102069217B1 (ko) 2020-01-22

Family

ID=6379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483A KR102069217B1 (ko) 2017-04-18 2018-04-13 배열 회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3558B2 (ko)
JP (1) JP6795445B2 (ko)
KR (1) KR102069217B1 (ko)
CN (1) CN108730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0304A (ja) * 2017-09-27 2019-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熱回収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5651Y (zh) * 1992-09-25 1993-06-09 徐杰 汽车废气余热利用消声换热器
JP2015102051A (ja) * 2013-11-26 2015-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grクーラ
JP2016118322A (ja) *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688U1 (de) * 2003-10-29 2004-03-11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JP2008189234A (ja) * 2007-02-07 2008-08-21 Denso Corp 排気熱回収器
JP5154842B2 (ja) * 2007-06-12 2013-0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の継ぎ手構造
JP2009008318A (ja) * 2007-06-27 2009-01-15 Denso Corp 排熱回収装置
JP2009062915A (ja) 2007-09-07 2009-03-26 Denso Corp 排熱回収器
JP4995706B2 (ja) * 2007-12-14 2012-08-08 フタバ産業株式会社 排気熱回収装置
KR101125004B1 (ko) * 2009-12-04 2012-03-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및 오일 통합 열교환형 배기열 회수장치
JP5331026B2 (ja) * 2010-02-18 2013-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熱回収装置
JP5769675B2 (ja) * 2012-08-10 2015-08-26 フタバ産業株式会社 排気熱回収装置
CN102966418A (zh) * 2012-11-27 2013-03-13 华南理工大学 一种利用余热能的定压加热发电系统
JP6216118B2 (ja) * 2013-01-11 2017-10-18 フタバ産業株式会社 熱交換器
US9989322B2 (en) * 2013-03-01 2018-06-05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recovery device with improved lightweight flow coupling chamber and insertable valve
US20140251579A1 (en) * 2013-03-05 2014-09-11 Wescast Industries, Inc. Heat recovery system and heat exchanger
CA2925508A1 (en) * 2013-09-30 2015-04-02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integrated co-axial inlet/outlet tube
DE102013223241B4 (de) * 2013-11-14 2021-12-09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Wärmeträgermediumanschluss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e Wärmetauscheranordnung eines Fahrzeugheizgeräts
DE102016001391A1 (de) * 2015-02-23 2016-08-25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WÄRMETAUSCHER ZUR KÜHLUNG ElNER STRÖMUNG VON VERDlCHTETER LUFT UNTER VERWENDUNG ElNES FLÜSSlGEN KÜHLMlTTELS
DE112016002290T5 (de) * 2015-05-21 2018-03-01 Ngk Insulators, Ltd. Wärmeaustauschkomponente
JP2016223717A (ja) 2015-06-01 2016-12-28 イビデン株式会社 熱交換器
CN205895441U (zh) * 2016-08-18 2017-01-18 天津大学 一种耦合三元催化器的燃料重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5651Y (zh) * 1992-09-25 1993-06-09 徐杰 汽车废气余热利用消声换热器
JP2015102051A (ja) * 2013-11-26 2015-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grクーラ
JP2016118322A (ja) *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30000A (zh) 2018-11-02
JP2018178924A (ja) 2018-11-15
CN108730000B (zh) 2020-09-29
KR20180117050A (ko) 2018-10-26
JP6795445B2 (ja) 2020-12-02
US10563558B2 (en) 2020-02-18
US20180298803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387B2 (en) Heat exchanger with double-walled tubes
KR102069217B1 (ko) 배열 회수기
US9897397B2 (en) Oil cooler
US11092384B2 (en) Thermal stress relief for heat sinks
KR20150118090A (ko) 열교환기
JP2015102051A (ja) Egrクーラ
JP2016142490A (ja) 自動車用配管の熱交換器
JP2007225137A (ja) 排気ガス冷却装置用多管式熱交換器および伝熱管
JP2006200490A (ja) 排気再循環システムの排気冷却装置
KR20130065174A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2194670B1 (ko) 배열 회수기
US9708944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a coolant to a heat exchanger, preferably for an exhaust gas cool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WO2016098555A1 (ja) 熱交換器
CN108981425B (zh) 热交换器和废热回收结构
JP2017002811A (ja) 排熱回収器
CN105423799B (zh) 再制造热交换器的壳体的方法和再制造的壳体
JP2008290478A (ja) 航空機用熱交換器
JP2014109391A (ja) 熱交換器
CN203769924U (zh) 汽车散热器
JP2014214967A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JP2014222138A (ja) 熱交換器
JP2009115429A (ja) 熱交換用パイプ、熱交換器及び自然冷媒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4224655A (ja) 熱交換器
JP2015206475A (ja) 熱交換器
JP2016109358A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