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91B1 - 미세침 롤러 - Google Patents

미세침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91B1
KR102069091B1 KR1020170116171A KR20170116171A KR102069091B1 KR 102069091 B1 KR102069091 B1 KR 102069091B1 KR 1020170116171 A KR1020170116171 A KR 1020170116171A KR 20170116171 A KR20170116171 A KR 20170116171A KR 102069091 B1 KR102069091 B1 KR 10206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otating plate
hub
plat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079A (ko
Inventor
강명호
강선아
Original Assignee
강명호
강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호, 강선아 filed Critical 강명호
Priority to KR102017011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91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58 priority patent/WO2019050224A1/ko
Publication of KR2019002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침 롤러(1)에 관한 것으로,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롤(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판(3); 상기 회전판(3)의 원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롤(10)이 회전할 때 피부를 자극하는 미세침(5); 상기 회전판(3)의 일측 판면(11) 중심에 형성되는 제1 허브(7); 및 상기 회전판(3)의 타측 판면(11) 중심에 형성되는 제2 허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3)이 이웃한 회전판(3)과 적층될 때, 상기 제1 허브(7)는 이웃한 제2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8)는 이웃한 제1 허브(7)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이 이웃한 회전판(3)과 상대회전 없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재를 성형하여 미세침과 회전판을 일체로 제작하므로, 생산 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곡면에도 적용이 잘되어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세침 롤러{Microneedle Roller}
본 발명은 미세침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미세침이 돌출된 회전롤을 피부에 대고 굴림으로써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침 롤러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약품이나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피부를 기계적으로 자극하여 피부의 활성이나 상태를 고양시키고자 하는 장치들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의 하나로 등록특허 제10-0907332호에 개시된 롤러장치를 들 수 있다. 이 롤러장치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미세바늘(103)이 돌출된 복수의 서브몸체(105)를 메인몸체(107)의 외주면 상에 축방향으로 가공된 복수의 삽입홈(109)에 각각 삽입한 뒤, 메인몸체(107)의 설치봉(111)을 손잡이에 끼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롤러장치(101)는 미세바늘(103), 서브몸체(105), 그리고 메인몸체(107)가 모두 별도로 제작되고, 미세바늘(103)은 서브몸체(105) 사출성형 시 서브몸체(105)와 하나로 되는 등 생산과정이 복잡하고, 따라서 제품단가가 올라가며, 메인몸체(107)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롤러장치(101)의 폭을 임의로 가감할 수 없는 등의 사용 상 불편이 있고, 특히 미세바늘(103)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생산단가가 증대되고, 금속 성분이 피부에 침투함으로써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에 따라 미세바늘(103)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미세바늘(103)의 첨부 직경을 100㎛ 이하로 형성하기 곤란하여 피부 자극 효과가 저하되고, 피부 침투 시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10105호에 개시된 미세침 롤러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미세침 롤러는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침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미세침 디스크(203)와 스페이서 디스크(205)를 축방향으로 교대하여 적층함으로써 미세침이 돌출된 회전체(207)를 만들고, 이 회전체(207)에 회전축(209)에 끼워 손잡이(211) 선단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또한 미세침, 미세침 디스크(203), 스페이서 디스크(205), 및 회전축(208)을 모두 별도로 생산하여야 하므로, 생산과정이 복잡하고, 특히 회전축(208)에 미세침 디스크(203)와 스페이서 디스크(205)를 교대로 끼워 넣은 후, 회전축(208) 양단을 손잡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조립하는 조립과정이 복잡해지며, 따라서 제품단가가 증대되고, 또, 미세침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생산단가가 증대되고, 또한 얼굴이나 신체부위의 굴곡이 있는 부위에도 딱딱한 평탄한 면으로 접촉이 되어 특정부위에 가중된 통증을 유발하며 금속 성분이 피부에 침투함으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07332 KR 20-2010-0010105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미세침 롤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한 번의 수지재 성형을 통해 미세침과 회전판을 일체로 제작하고, 회전판을 지지하는 회전축을 생략함으로써, 전체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생산과정을 간소화하며,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회전롤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롤이 얼굴이나 신체의 굴곡이 있는 부위에 닿을 때 회전롤의 원통형 외형이 굴곡부위의 모양과 일치하게 변하게 함으로써, 미세침이 굴곡부위를 따라 균일하게 닿아서 특정부위에 통증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침을 수지재의 성형에 의해 제작하면서도 미세침 첨부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사용 시 피부에 유발되는 통증을 줄이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롤을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롤이 회전할 때 피부를 자극하는 미세침; 상기 회전판의 일측 판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1 허브; 및 상기 회전판의 타측 판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2 허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이 이웃한 회전판과 적층될 때, 상기 제1 허브는 이웃한 제2 허브와, 상기 제2 허브는 이웃한 제1 허브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이 이웃한 회전판과 상대회전 없이 체결되도록 하는 미세침 롤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허브와 상기 제2 허브는 각각 상기 회전롤의 어느 한 쪽 측단에 배치된 때 걸이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심에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허브는 원주방향 배치가 각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허브는 원주방향 각도 위상차 없이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외측 양단에 상기 회전롤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과 상기 미세침은 열가소성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미세침은 첨부의 직경이 1 내지 100㎛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첨부의 내각은 10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세침은 높이가 0.1 내지 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PLA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SAN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PEEK 수지, PPS 수지, 폴리케톤 수지 및 복합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일군의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세침 롤러에 따르면, 미세침과 회전판을 한 번의 열가소성 수지재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허브를 통해 회전판을 결합함으로써 회전판을 끼우기 위한 회전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생산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작 편리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허브를 통해 이웃한 회전판들 또는 손잡이를 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예컨대 이웃한 두 개의 회전판을 조립할 때,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돌기와 위 부채꼴 공간을 정렬시키기만 하면 예컨대, 일측 회전판의 전방돌기와 타측 회전판의 전방돌기가 마주보게 되더라도, 한 쪽 회전판을 직경을 지나는 선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뒤집지 않아도, 일측 회전판의 전방돌기가 타측 회전판의 후방돌기와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한 쪽 회전판을 180도 뒤집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는 만큼 조립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회전판을 적층시킨 회전롤의 길이를 회전판 개수의 증감을 통해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등 사용 편리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회전판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회전롤은 조립 시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 허브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지므로, 얼굴이나 신체의 굴곡이 있는 부위에 닿을 때, 외주면이 굴곡부위의 모양과 일치하게 변화도록 하여, 미세침이 굴곡부위를 따라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따라서 얼굴 등의 특정부위에 통증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편리성과 안전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침을 금속재로 제작하지 않으므로, 금속성분의 피부 침투로 인한 통증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속성 미세침을 사용하지 않고도 미세침의 첨부 직경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 시 피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침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미세침 롤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 롤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전판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도 7은 도 5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갖는 회전판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배면도.
도 10은 도 5의 회전판을 걸이부와 이웃한 회전판에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 롤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침 롤러는 도 3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회전판(3), 미세침(5), 제1 허브(7), 및 제2 허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회전판(3)은 원통형태의 회전롤(10)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가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롤(10)을 만든다. 이때, 각각의 회전판(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택에 따라 삼각 내지 팔각 판과 같은 다각판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미세침(5)은 피부를 자극하여 미세침 롤러(1)의 사용효과를 가져오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판(3) 원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바, 회전롤(10)이 회전할 때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이때, 미세침(5)은 회전판(3)과 일체로 형성되는 바, 회전판(3)과 함께 열가소성 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침(5)은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원뿔형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삼각 내지 팔각 뿔형등과 같이 다각뿔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성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재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PLA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SAN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PEEK 수지, PPS 수지, 폴리케톤 수지 및 복합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미세침(5)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첨부(P)의 직경이 1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으며, 첨부(P)의 내각(θ)은 10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첨부(P)의 직경은 성형에 의해서는 1㎛ 미만으로 제작이 불가하고, 직경이 100㎛를 넘을 경우에는 피부 압착 시 첨부(P)의 침투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첨부(P)의 내각(θ)이 10도 미만일 때 침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반대로 60도를 초과할 때는 마찬가지로 피부 압착 시 첨부(P)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미세침(5)은 높이가 0.1 내지 3.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높이가 0.1㎜ 미만일 경우 침의 기능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큰 상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제1 및 제2 허브(7,8)는 각각의 회전판(3)을 이웃한 회전판(3)과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내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허브(7)는 회전판(3)의 전방측 판면(11) 중심에, 제2 허브(8)는 회전판(3)의 후방측 판면(11)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바, 회전판(3) 축선을 중심으로 판면(11) 상에 배치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13,14)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돌기(13,14)는 회전판(3)이 이웃한 회전판(3)과 적층될 때, 이웃한 회전판(3)의 제2 및 제1 허브(8,7)를 형성하는 돌기(14,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허브(7,8)의 요철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판(3)이 회전롤(10)을 형성하도록 조립된 때, 제1 허브(7)는 이웃한 제2 허브(8)와 결합되며, 제2 허브(8)는 이웃한 제1 허브(7)와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3)은 이웃한 회전판(3)과 상대회전 없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 허브(7,8)는 회전롤(10)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손잡이(9)의 걸이부(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심에 끼움부(17)를 형성한다. 이때, 끼움부(17)는 원통형의 걸이부(15)를 회전 가능하게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주면이 원호 형태로 만곡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탄면 또는 볼록면의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며, 전후방돌기(13,14)가 360도 원을 그리면서 복수로 배치되므로 심지어 모서리 형태로 되어도 걸이부(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후방돌기(13,14)는 다양한 형태와 개수로 변형이 가능한데, 도 5 내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면이 원뿔대의 둘레면을 전개시킨 형태를 갖도록 동일 모양, 동일 개수로 제작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도 5 내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경우, 제1 허브(7) 전방돌기(13)가 4개 구비되며, 제2 허브(8)는 후방돌기(14)가 4개 구비되므로, 전방돌기(13) 사이에 후방돌기(14)를 끼워 맞출 수 있도록 각 돌기(13,14)의 부채꼴 횡단면의 중심각이 45도로 되며, 각 돌기(13,14) 사이의 부채꼴 공간의 중심각도 45도로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허브(7,8)는 전후방돌기(13,14) 사이에 이웃한 돌기(14,13)가 각각 끼워질 때 회전판(3)과 이웃한 회전판(3)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돌기(13,14)의 사이각만큼 원주방향으로 각도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각이 45도인 부채꼴의 후방돌기(14) 4개가 축선을 중심으로 45도 각도를 두고 이격 배치된 제2 허브(14)는 이웃한 회전판(3)의 제1 허브(13)와 45도 각도위상차를 가지므로, 회전판(3) 적층 시 후방돌기(14)가 이웃한 회전판(3)의 전방돌기(13) 사이의 공간에 끼워맞춤되며, 이에 따라 회전판(3)은 이웃한 회전판(3)과 상대회전을 일으키지 않고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허브(7,8)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별도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0의 제1 및 제2 허브가 원주방향으로 즉,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위상차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허브(7,8)는 형태 및 배치 등이 완전히 일치된다. 따라서, 이웃한 회전판(3)의 제2 및 제1 허브(8,7)와 결합될 때, 즉, 예컨대 후방돌기를 이웃한 회전판의 전방돌기 사이의 공간에 끼우고자 할 때, 이웃한 회전판(3)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다만, 위와 같이, 인접한 전방돌기(13)와 전방돌기(13) 사이의 부채꼴 공간 또는 인접한 후방돌기(14)와 후방돌기(14) 사이의 부채꼴 공간의 횡단면 형태가 부채꼴 모양의 전후방돌기(13,14)를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전후방돌기(13,14)의 횡단면 형태와 동일하고, 또 전방돌기(13)와 후방돌기(14)의 형태와 개수 그리고 배치가 동일한 경우, 이웃한 두 개의 회전판(3)을 조립할 때,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돌기(13)와 위 부채꼴 공간을 정렬시키기만 하면 예컨대, 일측 회전판(3)의 전방돌기(13)와 타측 회전판(3)의 전방돌기(13)가 마주보게 되더라도, 한 쪽 회전판(3)을 직경을 지나는 선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지 않아도, 일측 회전판(3)의 전방돌기(13)가 타측 회전판(3)의 후방돌기(14)와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허브(7,8)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후방돌기(13,14)의 형태와 개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전방돌기(13)를 중심에 십(十)자형 홈(19)을 갖는 원통형 돌기로, 후방돌기(14)를 위 홈(19)에 끼워맞춤되는 십(十)자형 돌기로 각각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전후방돌기(13,14)는 공히 손잡이(9)의 걸이부(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17)가 중심에 형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 롤러(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세침 롤러(1)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태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태든 제1 및 제2 허브(7,8)의 형태와 무관하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회전판(3)을 축방향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도 3에서는 회전판(3)을 조립하여 형성한 회전롤(10)의 양측단을 손잡이(9)에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롤(10)을 피부에 대고 돌릴 수 있다면, 회전롤(10)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홈이나 상자 안에 넣는 등 다양한 도구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 손잡이(9)는 선단 부분 내측에 걸이부(15)가 돌출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 양측단의 제1 및 제2 허브(7,8) 끼움부(17)를 끼워 지지하게 된다. 이때, 허브(7,8)를 형성하는 전후방돌기(13,14)의 끼움면(21)은 도시된 것처럼,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탄면이나 볼록한 곡면, 심지어 모서리 형태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각각의 회전판(3)을 회전롤(10)로 조립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앞쪽 회전판(3)의 후방돌기(14)를 뒤쪽 회전판(3)의 전방돌기(13)에 끼우는 것으로 간단히 완료된다. 이때, 회전판(3) 각각의 전후방돌기(13,14) 즉, 제1 및 제2 허브(7,8)가 서로 예컨대 45도의 각도 위상차를 가지므로, 앞뒤 회전판(3)을 위상차 없이 즉, 두 회전판(3)을 나란히 놓은 상태에서 어느 한 쪽을 45도 돌리지 않고도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허브(7,8)가 거울상처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면, 앞뒤 회전판(3)을 결합할 때 어느 한 쪽 회전판(3)을 예컨대 45도 돌려야 하고, 이 경우 미세침(5)이 도 10과 같이 22.5도 간격이 아니라면, 회전롤(10)의 미세침(5)이 회전롤(10) 축선과 나란하게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회전판(3)은 회전롤(10)로 조립되어 사용될 때, 제1 및 제2 허브(7,8) 각각이 이웃한 회전판(3)의 제2 및 제1 허브(8,7)와 각각 결합되는 바, 결합을 위해 회전축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돌기(13) 및 돌기(14)와 이웃한 돌기(14) 및 돌기(13) 사이에 유격을 둘 경우, 반경방향으로 유동성을 가진다. 따라서, 미세침 롤러(1) 사용 시 회전롤(10)이 얼굴이나 신체의 굴곡이 있는 부위에 닿을 때, 회전롤(10)의 외주면이 굴곡부위의 모양과 일치하게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롤(10)은 미세침(5)이 굴곡부위를 따라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얼굴 등의 특정부위에 통증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미세침 롤러(1)의 사용 편리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미세침 롤러 3 : 회전판
5 : 미세침 7, 8 : 제1 및 제2 허브
9 : 손잡이 10 : 회전롤
11 : 판면 13, 14 : 전후방돌기
15 : 걸이부 17 : 끼움부
19 : 십자형 홈 21 : 끼움면
P : 첨부

Claims (8)

  1.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회전롤(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회전판(3);
    상기 회전판(3)의 원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롤(10)이 회전할 때 피부를 자극하는 미세침(5);
    상기 회전판(3)의 일측 판면(11) 중심에 형성되는 제1 허브(7); 및
    상기 회전판(3)의 타측 판면(11) 중심에 형성되는 제2 허브(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3)이 이웃한 회전판(3)과 적층될 때, 상기 제1 허브(7)는 이웃한 제2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8)는 이웃한 제1 허브(7)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이 이웃한 회전판(3)과 상대회전 없이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허브(7)와 상기 제2 허브(8)는 각각 상기 회전롤(10)의 어느 한 쪽 측단에 배치된 때 걸이부(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심에 형성된 끼움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7,8)는 원주방향 배치가 각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7,8)는 원주방향 각도 위상차 없이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5)는 외측 양단에 상기 회전롤(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9)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과 상기 미세침(5)은 열가소성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미세침(5)은 첨부(P)의 직경이 1 내지 100㎛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첨부(P)의 내각(θ)은 10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세침(5)은 높이가 0.1 내지 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PLA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SAN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PEEK 수지, PPS 수지, 폴리케톤 수지 및 복합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일군의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침 롤러.
KR1020170116171A 2017-09-11 2017-09-11 미세침 롤러 KR10206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1A KR102069091B1 (ko) 2017-09-11 2017-09-11 미세침 롤러
PCT/KR2018/010158 WO2019050224A1 (ko) 2017-09-11 2018-08-31 미세침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1A KR102069091B1 (ko) 2017-09-11 2017-09-11 미세침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79A KR20190029079A (ko) 2019-03-20
KR102069091B1 true KR102069091B1 (ko) 2020-01-22

Family

ID=6563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71A KR102069091B1 (ko) 2017-09-11 2017-09-11 미세침 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9091B1 (ko)
WO (1) WO20190502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59Y1 (ko) 2005-06-27 2005-09-08 (주)클리니칼레졸루션아시아 마이크로니들 롤러
KR200428918Y1 (ko) 2006-06-09 2006-10-16 황득생 마이크로 니들 롤러
JP2008029710A (ja) * 2006-07-31 2008-02-14 Hamamatsu Kagaku Gijutsu Kenkyu Shinkokai マイクロニードル型パ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5732B1 (ko) 2008-12-02 2009-02-26 주식회사다내글로벌 피부자극기
KR200451185Y1 (ko) * 2007-02-15 2010-12-01 (주)클리니칼레졸루션아시아 모듈식 마이크로니들 롤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32B1 (ko) 2006-07-05 2009-07-13 조철민 미세바늘들을 갖는 롤러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0105U (ko)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퓨어메디 피부 자극을 위한 미세침 롤러
KR101373739B1 (ko) * 2012-05-29 2014-03-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바늘 어레이 기판 및 제조 방법
EP3111986B1 (en) * 2014-02-27 2024-03-27 Toppan Printing Co., Ltd. Microneedle unit and microneedle receptacle
KR20180055253A (ko) * 2016-11-16 2018-05-25 강명호 열가소성 수지재의 미세침 패치 성형용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59Y1 (ko) 2005-06-27 2005-09-08 (주)클리니칼레졸루션아시아 마이크로니들 롤러
KR200428918Y1 (ko) 2006-06-09 2006-10-16 황득생 마이크로 니들 롤러
JP2008029710A (ja) * 2006-07-31 2008-02-14 Hamamatsu Kagaku Gijutsu Kenkyu Shinkokai マイクロニードル型パ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1185Y1 (ko) * 2007-02-15 2010-12-01 (주)클리니칼레졸루션아시아 모듈식 마이크로니들 롤러
KR100885732B1 (ko) 2008-12-02 2009-02-26 주식회사다내글로벌 피부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79A (ko) 2019-03-20
WO2019050224A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945C2 (ru) Торцевая заглушка для бумажных рулонов без сердечника
JPH05506167A (ja) スタッド付き履物用のスタッド及びソケット
CN101888826A (zh) 盘针辊轮
EP3082917B1 (en) Infusion set adhesive systems
JP5226858B2 (ja) おもちゃブロック、おもちゃブロック接続要素、およびおもちゃブロ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おもちゃブロック要素
KR100753872B1 (ko) 마이크로 니들 롤러와 그 제조 방법
TW201434505A (zh) 微型針施作器
CN105981263A (zh) 转子
KR102069091B1 (ko) 미세침 롤러
JP6072820B2 (ja) ドーミング制御を備える改良されたシェービングヘッド
JP2011056250A (ja) 不均一なディンプル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ディンプルのクラスターを備えたゴルフボール
CN102713337A (zh) 阻尼器
KR20140044098A (ko) 마이크로니들 롤러
CN102056506A (zh) 具有按摩辊的脱毛器
JP5639786B2 (ja) 化粧用ブラシ
WO2012021483A2 (en) Massage device
JP2017124005A (ja) 歯間ブラシ
KR20100010105U (ko) 피부 자극을 위한 미세침 롤러
US20150374967A1 (en) Microneedle Array
KR101383203B1 (ko) 피부 자극기
US5957453A (en) Spin puzzle using magnetic elements
KR102312094B1 (ko) 콤비네이션 마스카라 브러시
JP2020131021A (ja) マイクロニードル
CN207153096U (zh) 回旋球
US3811683A (en) Cube forming disc pu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