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82B1 -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82B1
KR102069082B1 KR1020190120427A KR20190120427A KR102069082B1 KR 102069082 B1 KR102069082 B1 KR 102069082B1 KR 1020190120427 A KR1020190120427 A KR 1020190120427A KR 20190120427 A KR20190120427 A KR 20190120427A KR 102069082 B1 KR102069082 B1 KR 10206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base layer
light collecting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이원정
Original Assignee
해오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오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오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층이 알루미늄 박판 소재로 이루어져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소재, 재질 및 피착면의 상태, 형태에 무관하게 모든 피착물에 부착이 용이하고, 피착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순응성(Flexibility)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겹쳐지는 부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피착면 전체에 그대로 접착되어 점착력이 배가되어 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집광층; 집광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베이스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층; 베이스층과 집광층의 사이에 개재되되, 백색 바탕으로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제1 점착층에 분리 및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 of forming base layer having aluminum thin shee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층이 알루미늄 박판 소재로 이루어져 피착물의 소재 및 재질에 관계없이 부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피착면의 상태 및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피착물에 부착이 용이하고, 재귀반사 비드로 엠보층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여 운행 및 이동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다른 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아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광고물의 불법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도로교통표지판, 델리네이터, 나바콘, 삼각대 등과 같은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이나, 도로 노면, 연석(경계석), 가드레일, 중앙분리대 등의 차선, 유도선, 안전 표시용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재귀반사가 가능한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가 부착된다.
여기서, 재귀반사시트란,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을 그대로 되돌려 반사하는 시트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야간에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착되는 재귀반사시트는 알루미늄, 아스팔트, 콘크리트, 석재, 철판 등의 피착물에 부착되거나, 공극, 움푹 패인 홈, 요철, 거친 면, 굴곡진 면 등 순응성(Flexibility)이 불량한 피착물의 피착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1773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968호에, 베이스층이 필름으로 구성되고, 최상면에 집광층이 형성되는 재귀반사 비드 또는 프리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적층되는 구조의 재귀반사시트가 제안되어 현재 상용되고 있으나, 베이스층 및 보호필름으로 필름 또는 시트를 1장 이상 적용하여 제조됨으로써 피착면에 패인 홈이 형성되거나, 요철을 갖거나, 거친 면을 갖거나, 골곡 등이 형성되어 평탄하지 않는 등 피착면의 상태에 나쁠 경우, 접착 시 순응성(Flexibility)이 불량하여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미끄럼 저항에 취약한 구조를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어 평탄한 판재에만 부착하여 적용 및 사용해야하고, 노면 등 바닥면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6803호에 제시된 재귀반사시트의 경우, 다양한 색상 및 문안, 문구가 구현되도록 열가소성 필름 등을 적용하여 제작하도록 이루어지나, 이 또한 평탄한 상태를 갖는 피착물에만 부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8398호에 엠보 코팅층이 형성된 패브릭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패브릭이 제시되어 있으며, 엠보층이 형성되고, 패브릭 성능이 향상된 재귀반사 기능을 갖음으로써 미끄럼 방지와 피착물 및 피착물의 피착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부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베이스층으로 천 또는 부직포 등의 직물 소재가 적용되어 내수성에 취약하고,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용 또는 의류용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될 뿐, 실외용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로 노면의 아스팔트 상에 차선 도색, 안전 표시용 등을 도색하는 페인트에 재귀반사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에 제시되었으나, 고비용이 발생되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석재, 철판 등에 착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착색 후에는 쉽게 박리되어 피착물의 소재 및 상태에 따른 적용 및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야간 시인성 외에도 피착물의 상태에 관계없이 부착이 용이하여야 하며, 차량의 운행 중에 차량 바퀴가 피착물을 통과하거나, 사람이 보행 및 도보 중에 피착물을 밟을 경우, 미끄러움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17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96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68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83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층이 알루미늄 박판 소재로 이루어져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소재, 재질 및 피착면의 상태, 형태에 무관하게 모든 피착물에 부착이 용이하고, 피착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순응성(Flexibility)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겹쳐지는 부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피착면 전체에 그대로 접착되어 점착력이 배가되어 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귀반사 기능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가하여 재귀반사시트 상에서 운행 및 이동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귀반사시트 상에 비드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부착력을 약화시켜 다른 부착물 및 테이프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재귀반사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타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 습한 곳 뿐만 아니라, 실외에도 장소에 상관없이 부착 및 사용이 가능하고, 이형지 제거 시 이행성(Release)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베이스층이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집광층; 집광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베이스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층; 베이스층과 집광층의 사이에 개재되되, 백색 바탕으로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제1 점착층에 분리 및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층은, 0.2 내지 0.5mm의 알루미늄 박판 시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집광층은, PVC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와, 투명 합성수지 비드, 투명 비유리질 세라믹 비드 또는 유리 비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비드, 및 분산제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비드는, 50 내지 300㎛의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집광층의 상부면에서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코팅층은, 분산제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첨가제, 및 브로킹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계면활성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30 내지 40중량부 및 브로킹제 10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점착층은,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30 내지 60㎛의 두께로 이루어지되, 피착면에 대한 점착력이 1cm2 당 8.0N/cm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점착층은, 백색 안료와,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되, 비드 크기의 40 내지 50%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판 소재가 적용되어 내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피착물의 소재, 재질 및 피착면의 상태, 형태에 무관하게 부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등 피착물의 소재 및 피착면의 상태에 제약없이 모든 피착물에 부착이 가능하고, 재귀반사시트 외부면의 부착력을 약화시켜 다른 부착물 및 테이프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재귀반사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타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귀반사 기능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가하여 재귀반사시트 상에서 운행 및 이동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부착되는 피착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되어 순응성(Flexibility)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부착되어 겹쳐지는 부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상게하게 부연하면 재귀반사시트 부착 후 탄력 및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망치 등으로 가볍게 가격하거나, 타격하면 알루미늄 박판과 점착제가 피착물의 표면에 있는 공극에 침입, 고화하여 못 또는 쐐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피착면 전체에 그대로 접착됨으로써 점착력이 배가되며, 이형지 제거 시 이행성(Release)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베이스층이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에도 적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실내 습한 곳이나, 실외에서도 장소 및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부착 및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맥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1)는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다시 광원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로서, 도로교통표지판 및 기타 안전시설물 등의 피착물에 부착하여 야간에 시인성을 증대시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1)는 베이스층(10)과 집광층(20)과 코팅층(30)과 제1 점착층(50)과 제2 점착층(60) 및 이형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0)은 알루미늄(Al) 소재로 이루어지되, 석재, 목재, 철재,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의 다양한 소재의 피착물에 부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울퉁불퉁한 면, 거친 면, 굴곡진 면, 공극 등 피착물의 피착 면이 평단하지 않은 경우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박판 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10)은 0.2 내지 0.5mm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0)이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피착물 및 상기 피착물의 피착 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 및 형상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 및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10)이 내수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금속소재인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요인이나, 실내 습한 곳 또는 실외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관계없이 부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층(10)이 알루미늄 소재의 박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니켈(Ni) 등의 금속 소재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피착물 및 피착물의 피착 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 및 형상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 및 형상을 이루어면서 부착되기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소재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10)이 외부 광원에서 입사되는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층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집광층(20)은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다시 광원측으로 재귀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층(20)은 합성수지와 비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합성수지와 비드 및 첨가제를 혼합한 상태에서 베이스층(10)의 상부면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PVC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비드는 투명 합성수지 비드 또는 투명 비유리질 세라믹 비드로 이루어지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는 유리 비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드는 재귀반사 성능 및 미끄럼 저항지수를 고려하여 50 내지 300㎛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첨가제를 비드와 함께 먼저 교반하여 첨가제가 비드를 감싸는 형태로 도포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집광층(20)에 구비되는 비드는 집광층(20)의 상부면에서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비드에 의해 미끄럼 저항지수를 높여 재귀반사 기능 외에 미끄럼 방지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재귀반사시트(1) 상을 지나가는 차량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드의 크기 100%를 기준으로 비드의 40 내지 50% 정도가 집광층(20) 내부에 삽입되고, 비드의 50 내지 60% 정도가 집광층(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엠보형태로 돌출형성되도록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집광층(20)은 베이스층(10)에 균일하게 도포되며, 집광층(20)의 부착력은 오염물 및 다른 부착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0.5N/cm 이하의 성능의 부착력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비드에 의해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미끄럼 저항지수는 45BPN(British Pendulum Number)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재귀반사시트(1) 상에 비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엠보형태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재귀반사시트(1)를 통과하면서 운행 및 보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상기 재귀반사시트(1)에 부착되는 오염물과의 부착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타 광고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0)은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첨가제 및 브로킹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산제는 내수성 및 내염성을 갖는 투명한 분산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테르계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투명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산제는 20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70 내지 8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에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로킹제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된다.
한편, 상기 브로킹제는 상기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첨가제에 혼합하여 집광층(20) 상에 일체로 도포하거나, 상기 집광층(20) 상에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첨가제를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브로킹제만을 별도로 도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에 집광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에 집광층(20)과 코팅층(30)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혼합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는 제1 점착층(50) 및 제2 점착층(60)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에는 피착물에 부착되기 위한 제1 점착층(50)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도포되는 집광층(20)이 접착되기 위한 제2 점착층(6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점착층(50)은 영구점착(Permanent) 방식의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가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점착층(50)이 영구점착 방식의 감압 점착제로 이루어짐으로써 고르지 못한 피착면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피착물에 부착 및 접착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감압 점착제는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를 포함하는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점착층(50)은 30 내지 6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점착층(50)의 점착력은 1cm2당 8.0N/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제2 점착층(60)은 백색의 바탕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층(10)과 집광층(20) 사이에 개재되어 베이스층(10)에 집광층(20)이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점착층(60)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집광층(20)을 열 증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점착층(60)은 백색 안료와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점착제가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점착층(60)은 백색 안료에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변성 실리콘 수지계,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제2 점착층(60)은 비드 크기의 40 내지 5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이형지(Liner, 70)는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피착물에 부착되는 제1 점착층(5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코트 크래프트 페이퍼(PolyCoat Kraft Paper) 또는 레이 플랫 페이퍼(Lay Flat Paper) 재질의 이형지(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70)는 상기 제1 점착층(50)에 맞닿는 일측면에 폴리에칠렌 코팅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거친 면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이형지(70)의 일측면에 폴리에칠렌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점착층(50)에서 일정하게 분리 및 제거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이형성(Release)을 향상시키고, 그 타측면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제1 점착층(50)에 이형지(70)의 부착을 위한 롤링 과정에서 이형지(7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10)을 준비하되, 상기 알루미늄 박판은 0.2 내지 0.5mm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10)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제2 점착층(60) 및 제1 점착층(5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알루미늄 박판의 상부면에 백색 안료와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변성 실리콘 수지계,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혼합한 후 도포하여 제2 점착층(60)을 형성하고, 상기 알루미늄 박판의 하부면에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를 포함하는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감압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점착층(5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점착층(50)은 30 내지 6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점착층(50)의 점착력은 8.0N/cm 이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점착층(60)은 비드 크기의 40 내지 50%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10)의 하부면에 감압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점착층(50)을 형성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피착면을 갖는 도로 등의 피착물에 부착 시 접착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점착층(60)이 비드 크기의 40%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2 점착층(60)에 도포된 비드가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점착층(60)이 비드 크기의 50%를 초과하여 이루어질 경우, 반사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제2 점착층(60)의 미끄럼 저항지수가 낮아져 미끄러짐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점착층(60)이 백색 안료와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점착제가 혼합되어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 점착층(60)이 백색 안료에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변성 실리콘 수지계,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메쉬형태 또는 사선형태로 거칠게 형성되어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점착제가 베이스층(10)에 거칠게 형성되는 상, 하부면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어 각 점착층이 베이스층(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미세한 돌기(미도시)가 다수개 돌출형성되어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점착제가 베이스층(10)에 미세하게 돌출형성되는 미세 돌기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어 각 점착층이 베이스층(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미세한 홈(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되어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점착제가 베이스층(10)에 미세하게 형성되는 미세 홈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어 각 점착층이 베이스층(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미세한 돌기가 다수개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미세한 홈이 다수개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도포되어 각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점착제가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 및 고정되어 각 점착층이 베이스층(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층(10)에 미세한 직경을 갖는 홀(미도시)이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도포되어 각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점착제가 상기 홀에 주입 및 인입됨으로써 베이스층(10)의 상, 하부면에 각 점착층이 보다 용이하게 부착 및 고정되어 각 점착층이 베이스층(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홀의 형상, 직경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제2 점착층(60) 및 제1 점착층(50)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점착층(60)의 상부면에 집광층(20)을 형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60) 상에 합성수지와 비드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 도포하여 집광층(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집광층(20)은 PVC 수지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와 투명 합성수지 비드, 투명 비유리질 세라믹 비드 또는 유리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 및 분산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한 후 상기 제2 점착층(60) 상부면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점착층(60) 상에 집광층(20)의 형성 시 섭씨 80℃ 내지 140℃ 정도의 열풍을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합성수지 및 첨가제가 비드에 융착되며, 코팅층(30)의 형성 시 점도를 높여 집광층(20)이 보다 견고하게 강화된다.
한편, 상기 집광층(20)을 형성하는 비드는 재귀반사 성능 및 미끄럼 저항지수를 고려하여 50 내지 300㎛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제2 점착층(60)의 상부면 집광층(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의 합성수지와 첨가제에 비드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혼합하여 제2 점착층(60) 상에 도포함으로써 집광층(20)의 형성 시 균일한 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점도를 향상시키고, 반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이때 합성수지 및 첨가제가 비드를 감싸는 형태로 도포되되, 집광층(20)의 상부면 외부로 비드가 노출되도록 돌출형성됨으로써 비드에 의해 미끄럼 저항지수를 높여 재귀반사시트(1) 상을 지나가는 차량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드의 크기 100%를 기준으로 50 내지 60% 정도가 집광층(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엠보형태로 돌출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집광층(20)은 0.5N/cm 이하의 성능의 부착력을 갖으며, 비드에 의해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미끄럼 저항지수는 45BPN(British Pendulum Number)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제2 점착층(60) 상에 집광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첨가제 및 브로킹제를 혼합한 후 도포하여 코팅층(30)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집광층(20)에 브로킹제가 혼합됨으로써 실외 우천 및 도로의 결빙 시 살포되는 염화칼슘 및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 등으로부터 재귀반사시트(1)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30)은 내수성 및 내염성을 갖는 투명한 분산제와 에테르계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투명한 계면활성제 및 브로킹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되, 계면활성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30 내지 40중량부 및 브로킹제 10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브로킹제를 첨가제에 혼합하여 집광층(20)의 상부면에 도포하거나,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첨가제를 도포한 후 도포된 첨가제 상에 브로킹제를 별도로 도포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층(10) 상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60)의 상부면에 집광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집광층(20)과 코팅층(30)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혼합한 후 상기 베이스층(10) 상에 형성되는 제2 점착층(60)에 도포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집광층(20)의 상부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점착층(50)에 이형지(70)를 부착하여 제1 점착층(50)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이형지(70)는 폴리코트 크래프트 페이퍼(PolyCoat Kraft Paper) 또는 레이 플랫 페이퍼(Lay Flat Paper) 재질의 이형지(70)로 이루어지며, 제1 점착층(50)에 맞닿는 일측면은 폴리에칠렌 코팅층이 형성되어 제1 점착층(50)에서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층(10)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제1 및 제2 점착층(50, 6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착층(60) 상에 집광층(20) 및 코팅층(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제1 점착층(50)에 이형지(70)를 부착하여 재귀반사시트(1)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제조 순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10)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1)는 이형지(70)를 분리 및 제거한 후 석재, 목재, 철재,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물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피착물의 피착 면이 울퉁불퉁하거나, 패여있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거칠거나, 굴곡이 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피착 면의 상태가 불량하거나, 다양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시트(1)를 피착물의 피착 면에 붙인 후 탄력 및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망치 등으로 가볍게 가격하거나, 타격하면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10)이 피착물의 피착 면에 대응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쉽게 구부러져 변형되면서 부착되어 순응성(Flexibility)이 매우 높음으로써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알루미늄 박판과 점착제가 피착물의 표면에 있는 공극에 침입, 고화하여 못 또는 쐐기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피착 면 전체에 부착 및 접착됨으로써 점착력이 배가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10)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요인이나, 실내 습한 곳 또는 실외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사용 및 부착이 가능하고, 도로의 노면 및 가드레일, 지하철역 바닥 및 벽면, 공항 내부 및 활주로, 건물의 벽면 등에서 안전표시, 안내선, 유도선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다.
더불어, 기존 재귀반사시트를 비교적 넓은 면적의 판재에 부착 시 두 장의 시트를 적층하여 겹쳐 부착해야 하나, 두 장의 시트가 겹쳐지는 부분에 단층이 발생되어 공기가 인입됨으로써 여름철의 온도 상승에 따라 공기가 팽창하여 재귀반사시트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시트(1)의 경우, 베이스층(10)을 이루는 알루미늄 박판은 겹쳐지는 부분이 꺽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착되어 부착됨으로써 겹쳐지는 부분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재귀반사시트는 베이스층(10)이 필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재귀반사시트에서 이형지(70)의 분리 시 이행성(Release)의 정도에 따라 늘어날 수 있으며, 피착물에 접착 시 공기가 인입되어 평탄하게 부착되기 어려우나,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시트(1)는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이행성에 덜 영향을 받도록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피착물의 소재 및 피착 면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부착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시트(1)는 그 상단에 다수의 비드를 노출시켜 재귀반사 기능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와 오염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기능이 더 부가되며, 이로 인해 상기 재귀반사시트(1) 상을 운행하거나, 보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귀반사시트(1)에 부착되는 오염물과의 부착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타 광고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10)으로 적용되어 반사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재귀반사시트, 10 : 베이스층,
20 : 집광층, 30 : 코팅층,
50 : 제1 점착층, 60 : 제2 점착층,
70 : 이형지.

Claims (7)

  1.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피착물 및 상기 피착물의 피착 면에 형성되는 형태 및 형상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 및 형상을 이루면서 부착이 가능하도록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되, 입사되는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을 재귀반사시키는 집광층;
    상기 집광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층;
    상기 베이스층과 집광층의 사이에 개재되되, 백색 바탕으로 형성되는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에 분리 및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되, 제1 점착층이 맞닿는 일측면에 폴리에칠렌 코팅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거친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이형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광층은,
    PVC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와, 유리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 및 분산제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와 비드 및 첨가제를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에 도포하되, 상기 첨가제를 비드와 함께 먼저 교반하여 첨가제가 비드를 감싸는 형태로 도포하도록 이루어지며,
    오염물 및 다른 부착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0.5N/cm 이하 성능의 부착력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비드에 의한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미끄럼 저항지수는 45BPN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점착층은,
    백색 안료와,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거나, 백색 안료와,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변성 실리콘 수지계,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드 크기의 40 내지 50%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점착층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집광층을 열 증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층의 상, 하부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점착제가 베이스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메쉬형태 또는 사선형태로 거칠게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미세한 돌기가 다수개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미세한 홈이 다수개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층에 미세한 직경을 갖는 홀이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베이스층의 상, 하부면에 도포되는 각 점착제가 홀 내에 주입 및 인입되어 베이스층의 상, 하부면에 부착된 점착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피착물의 피착 면에 붙인 후 탄력 및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망치로 가격 및 타격하여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이 피착물의 피착면에 대응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구부러져 변형되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0.2 내지 0.5mm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50 내지 300㎛의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집광층의 상부면에서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형성하여 재귀반사시트를 통과하면서 운행 및 보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비드의 크기 100%를 기준으로 비드의 40 내지 50% 정도가 집광층 내부에 삽입되고, 비드의 50 내지 60% 정도가 집광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엠보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분산제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첨가제, 및 브로킹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계면활성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30 내지 40중량부 및 브로킹제 10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로킹제는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첨가제에 혼합하여 상기 집광층 상에 일체로 도포하거나,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첨가제를 상기 집광층 상에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브로킹제만을 별도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아크릴 접착제, 솔벤트 접착제 또는 에멀젼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30 내지 60㎛의 두께로 이루어지되, 피착면에 대한 점착력이 1cm2 당 8.0N/c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7. 삭제
KR1020190120427A 2019-09-30 2019-09-30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KR102069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27A KR102069082B1 (ko) 2019-09-30 2019-09-30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27A KR102069082B1 (ko) 2019-09-30 2019-09-30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82B1 true KR102069082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427A KR102069082B1 (ko) 2019-09-30 2019-09-30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06B1 (ko) * 2020-04-07 2020-06-22 이원정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재귀반사시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434A (ja) * 1996-04-10 2000-07-0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コンフォーマルでエンボス加工可能な再帰反射性シート
JP2001500985A (ja) * 1996-09-23 2001-01-23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凹面形の湾曲したベース面を持つ再帰反射性マイクロプリズム素材
KR20010080235A (ko) * 1998-10-20 2001-08-22 캐롤린 에이. 베이츠 마른 상태 또는 젖은 상태에서 재귀반사성이 향상된재귀반사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083968B1 (ko) 2004-12-01 2011-11-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재귀반사시트
JP2014164082A (ja) * 2013-02-25 2014-09-08 Lti Corp 再帰性反射型蓄光シート
KR20160033405A (ko) * 2014-09-18 2016-03-28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KR101821773B1 (ko) 2017-07-07 2018-01-24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글리스비드를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재귀반사 잉크젯 출력소재
KR20190056803A (ko) 2017-11-17 2019-05-27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8398B1 (ko) 2017-12-05 2019-06-12 주식회사 하이코 엠보 코팅층이 형성된 패브릭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패브릭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434A (ja) * 1996-04-10 2000-07-0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コンフォーマルでエンボス加工可能な再帰反射性シート
JP2001500985A (ja) * 1996-09-23 2001-01-23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凹面形の湾曲したベース面を持つ再帰反射性マイクロプリズム素材
KR20010080235A (ko) * 1998-10-20 2001-08-22 캐롤린 에이. 베이츠 마른 상태 또는 젖은 상태에서 재귀반사성이 향상된재귀반사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083968B1 (ko) 2004-12-01 2011-11-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재귀반사시트
JP2014164082A (ja) * 2013-02-25 2014-09-08 Lti Corp 再帰性反射型蓄光シート
KR20160033405A (ko) * 2014-09-18 2016-03-28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KR101821773B1 (ko) 2017-07-07 2018-01-24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글리스비드를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재귀반사 잉크젯 출력소재
KR20190056803A (ko) 2017-11-17 2019-05-27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8398B1 (ko) 2017-12-05 2019-06-12 주식회사 하이코 엠보 코팅층이 형성된 패브릭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패브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06B1 (ko) * 2020-04-07 2020-06-22 이원정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재귀반사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5059A (en) Low-profile raised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er
AU734211B2 (en) Outdoor advertising system
KR101887845B1 (ko) 장식된 기재 복합체
US20180142435A1 (en)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and Method Utilizing Large Aggregate for Improved Skid Resistance and Reduced Tire Tracking
US8247054B2 (en) Adhesive backed preformed thermoplastic sheeting
MXPA97010351A (en) Human retrorreflective marker material
KR102069082B1 (ko)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TW201610277A (zh) 路面、地面或壁面貼附用片以及路面、地面或壁面貼附用片形成套組
KR102126918B1 (ko)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노면시트
JP2001329670A (ja) 滑り防止テープ
JP2001115112A (ja) 滑り防止テープ
US20210009861A1 (en) Splice for pavement tapes
JPH0384107A (ja) 非接着型路面等標示用シート材
WO2004108371A1 (en) Wet-slip resistant sheet and wet-slip resistant structure
CN210561805U (zh) 一种加强型预成型反光标线带
JP3827656B2 (ja) 路面標示用シートの施工方法
JPH01271702A (ja) 粘着性再帰反射シート
AU2015201604B2 (en) Temporary outdoor graphic film
WO2020111334A1 (ko) 야간 우천시 반사율이 우수한 내마모성 상온 경화용 차선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7023746A (ja) シート状表示材
JPH10204823A (ja) 道路や床等の図柄模様転写方法
GB2398096A (en) Delineation sign for arched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