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803A -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803A
KR20190056803A KR1020170154112A KR20170154112A KR20190056803A KR 20190056803 A KR20190056803 A KR 20190056803A KR 1020170154112 A KR1020170154112 A KR 1020170154112A KR 20170154112 A KR20170154112 A KR 20170154112A KR 20190056803 A KR20190056803 A KR 2019005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lective
oxide
oxid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49B1 (ko
Inventor
윤세원
Original Assignee
윤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원 filed Critical 윤세원
Priority to KR102017015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상부산화방지층과, 상기 상부산화방지층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부착되어 형성되어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되는 광을 재귀반사되도록 하는 집광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재귀반사시트는 잦은 세탁에 의해 프라이머층이 손상되어도 반사층이 집광층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뿐만 아니라 세제와도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의해 반사층의 산화와 세제의 적층으로 인한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Retroreflective she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층의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는 집광층과 반사층을 포함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입사되는 방향으로 그대로 반사시키는 반사체이다. 재귀반사시트는 통상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피착물의 몸체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나 패턴으로 가공되어 도로표지판이나 소방대원 등의 제복의 선택된 부분에 열압착 또는 재봉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시인성(視認性)(visibility)이 향상되어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환경 미화원, 소방대원, 경찰, 공장의 근로자, 건설 현장 근로자 및 각 부분의 안전 요원 등 도로 또는 위험한 장소에 작업을 하는 사람들의 착용한 의류에 재귀반사시트가 부착되면 주위 사람들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확실하게 확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보호 및 안전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보호필름(11), 베이스층(13), 접착층(15), 반사층(17), 프라이머층(19) 및 집광층(21)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베이스층(13)는 직물 또는 열가소성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피부착체에 하부 표면을 접촉한 후 재봉하거나 열 압착하는 것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보호필름(11)은 베이스층(13)의 하부 표면이 먼지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층(15)은 베이스층(13) 상에 내열성이 우수한 접착성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반사층(17)은 접착층(15) 상에 알루미늄 등의 광반사 특성이 양호한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다.
프라이머층(19)은 집광층(21)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bead : 23) 표면에 반사층(17)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집광층(21)을 통해 습기 또는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반사층(17)이 산화되는 등에 의해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프라이머층(19)은 집광층(21)을 통해 반사층(23)으로 입사되는 광과 반사층(17)에서 집광층(21)으로 반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집광층(21)은 프라이머층(19) 상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비드(bead : 23)로 이루어져 입사되는 광을 반사층(17)에 집속시키며 또한 반사층(17)에서 반사되는 광을 외부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집광층(21)은 입사(入射) 광선을 광원으로 되돌려 반사하므로 반사되는 광의 광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반사층(17)은 집광층(21)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재귀 반사시켜 시인성(視認性)(visibility)이 향상되어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라이머층(19)은 반사층(17)이 집광층(21)에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집광층(21)을 통해 습기 또는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반사층(17)이 산화되는 등에 의해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잦은 세탁시 프라이머층이 손상되어 반사층은 집광층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 뿐만 아니라 세제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층은 접촉되는 습기 또는 공기에 의해 산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가 표면에 접촉되어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잦은 세탁시에 프라이머층의 손상에도 집광층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가 반사층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시 집광층을 통해 들어오는 세제가 반사층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상부산화방지층과, 상기 상부산화방지층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부착되어 형성되어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되는 광을 재귀반사되도록 하는 집광층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베이스층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올레핀,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베이스층이 천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착층과 반사층 사이에 하부산화방지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은 ITO( 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이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의 방법으로 1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은 캐리어 필름 상에 접착 특성을 갖는 비드정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비드정렬층 상에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집광층 상에 프라이머층, 상부산화방지층 및 반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하부 표면에 보호필름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상부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리어필름 상에 형성된 구조를 상기 접착층에 상기 반사층이 접촉되게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캐리어필름을 상기 집광층이 노출되게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반사층 상에 하부산화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을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을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의 방법으로 1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는 잦은 세탁에 의해 프라이머층이 손상되어도 반사층이 집광층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뿐만 아니라 세제와도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의해 반사층의 산화와 세제의 적층으로 인한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보호필름(31), 베이스층(33), 접착층(35), 반사층(37), 상부산화방지층(39), 프라이머층(41) 및 집광층(45)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보호필름(31)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베이스층(3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층(33)은 제조된 재귀반사시트가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표면에 보호필름(31)을 제거한 상태에서 열 압착하여 부착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층(33)은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제조된 재귀반사시트가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재봉(sewing)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층(35)은 베이스층(33)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그라비아 인쇄, 실크 스크린,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층(37)은 광반사 특성이 우수한 Al, Ag, Cu, Zn 또는 Sn 등의 금속이 증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반사층(37)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다시 외부로 반사하는 것으로 Al, Ag, Cu, Zn 또는 Sn 등의 금속이 진공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방법에 의해 증착되어 박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37)은 두께가 100Å 보다 얇으면 반사 특성이 저하되므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반사층(33)에서 반사되는 광량은 대체로 400 ∼ 600cd/lux*m2 정도가 된다.
상부산화방지층(39)은 반사층(37) 상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39)은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41)은 상부산화방지층(39) 상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프라이머층(41)은 집광층(43)에 상부산화방지층(39) 및 반사층(37)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집광층(43)을 통해 반사층(37)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프라이머층(41)은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광층(43)은 프라이머층(41) 상에 다수 개의 비드(44)가 층을 이루도록 산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43)은 다수의 비드가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것으로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재귀반사시트는 잦은 세탁시 프라이머층(41)이 손상되어 집광층(43)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 뿐만 아니라 세제를 통과시킨다. 이에, 상부산화방지층(39)은 프라이머층(41)을 통과한 습기 또는 공기와 세제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반사층(37)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프라이머층(41)이 손상되어도 반사층(37)이 상부산화방지층(39)에 의해 프라이머층(41)을 통과한 습기 또는 공기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산화되지 않고 또한 표면에 세제가 적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사층(37)은 산화되거나 표면에 세제의 적층으로 인한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접착층(35)과 반사층(37) 사이에 하부산화방지층(36)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베이스층(33)이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면 잦은 세탁시 접착층(35)이 손상되어 베이스층(33)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 또는 공기 뿐만 아니라 세제를 통과시킨다. 이에, 하부산화방지층(36)도 베이스층(33) 및 접착층(35)을 통과한 습기 또는 공기와 세제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반사층(37)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하부산화방지층(36)은 접착층(35)이 손상되어도 베이스층(33) 및 접착층(35)을 통과한 습기 또는 공기가 반사층(37)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이 반사층(37)이 산화로 인한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하부산화방지층(36)도 상부산화방지층(39)과 같이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캐리어 필름(45) 상에 비드정렬층(4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캐리어 필름(45)은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그리고, 비드정렬층(47)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텔공중합물(EAA 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LLDPE, 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접착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한다.
비드정렬층(47) 상에 다수 개의 비드(44)를 균일한 층을 이루도록 산포하여 집광층(4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집광층(43)은 다수 개의 비드(44)가 비드정렬층(47)에 일정 부분, 즉, 중간 부분 정도까지 매립되어 형성된다.상기에서 집광층(43)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44)는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집광층(43) 상에 프라이머층(41)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프라이머층(41)을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프라이머층(41) 상에 상부산화방지층(3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상부산화방지층(39)을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의 투명한 금속산화물을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방법으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때, 프라이머층(41)은 상부산화방지층(39)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산화물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부산화방지층(39) 상이 광반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3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반사층(37)을 Al, Ag, Cu, Zn 또는 Sn 등의 금속을 진공 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방법으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층(37) 상에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하부산화방지층(3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하부산화방지층(36)은 상부산화방지층(39)과 같이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의 투명한 금속산화물을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방법으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하부 표면에 보호필름(31)이 형성된 베이스층(33)의 상부 표면 상에 접착층(3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보호필름(31)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베이스층(3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베이스층(33)은 제조된 재귀반사시트가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표면에 열 압착하여 부착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층(33)은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제조된 재귀반사시트가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재봉(sewing)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층(35)은 베이스층(33)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그라비아 인쇄, 실크 스크린,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필름(31), 베이스층(33) 및 접착층(3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구조의 반사층(37)에 접착층(35)에 접촉되게 부착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캐리어필름(45)을 비드정렬층(47)과 함께 집광층(43)이 노출되도록 제거한다. 상기에서 접착층(35)은 비드정렬층(47) 보다 집광층(43)과의 접착력이 크므로 집광층(43)이 비드정렬층(47)으로 부터 쉽게 분리되어 접착층(35)에 전사되어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1 : 보호필름 33 : 베이스층
35 : 접착층 36 : 하부산화방지층
37 : 반사층 39 : 상부산화방지층
41 : 프라이머층 43 : 집광층
44 : 비드 45 : 캐리어필름
47 : 비드정렬층

Claims (10)

  1.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상부산화방지층과,
    상기 상부산화방지층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부착되어 형성되어 상기 반사층에서 반사되는 광을 재귀반사되도록 하는 집광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올레핀,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이 천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반사층 사이에 하부산화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은 ITO( 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이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의 방법으로 1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7. 캐리어 필름 상에 접착 특성을 갖는 비드정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비드정렬층 상에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집광층 상에 프라이머층, 상부산화방지층 및 반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하부 표면에 보호필름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상부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리어필름 상에 형성된 구조를 상기 접착층에 상기 반사층이 접촉되게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캐리어필름을 상기 집광층이 노출되게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반사층 상에 하부산화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을 ITO(Iindium Tin Oxide), TO(Tin Oxide), ZNO(ZnO2), AZO(SnO2:Sb), FTO(SnO2:F),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또는 산화실리콘(SiO2)의 투명한 금속산화물로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산화방지층과 하부산화방지층을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이온-빔(Ion-beam)의 방법으로 100 ∼ 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70154112A 2017-11-17 2017-11-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12A KR102052249B1 (ko) 2017-11-17 2017-11-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12A KR102052249B1 (ko) 2017-11-17 2017-11-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03A true KR20190056803A (ko) 2019-05-27
KR102052249B1 KR102052249B1 (ko) 2020-01-08

Family

ID=6667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12A KR102052249B1 (ko) 2017-11-17 2017-11-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082B1 (ko) 2019-09-30 2020-02-11 해오름 주식회사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KR102117041B1 (ko) * 2020-01-20 2020-05-29 임승호 투명 재귀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042B1 (ko) * 2020-01-20 2020-06-02 임승호 개선된 세탁 내구성을 갖는 재귀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25306B1 (ko) 2020-04-07 2020-06-22 이원정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재귀반사시트
KR20200144742A (ko) * 2019-06-19 2020-12-30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KR20210004413A (ko) * 2019-07-04 2021-01-13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KR102242677B1 (ko) * 2019-10-23 2021-04-21 엔비에스티(주) 재귀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398A (ja) * 1995-05-11 1996-11-2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再帰性反射性能を有する物品
JPH11508654A (ja) * 1995-06-29 1999-07-27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湿潤再帰反射性標識材料
JP2007003761A (ja) * 2005-06-23 2007-01-11 Toppan Printing Co Ltd 再帰性マーキングフィルム
KR20090115336A (ko) * 2008-05-02 2009-11-05 김강현 재귀반사유닛의 제조방법
KR20110084667A (ko) * 2010-01-18 2011-07-26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77684A (ja) * 2015-10-21 2017-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透明導電部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773530B1 (ko) *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398A (ja) * 1995-05-11 1996-11-2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再帰性反射性能を有する物品
JPH11508654A (ja) * 1995-06-29 1999-07-27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湿潤再帰反射性標識材料
JP2007003761A (ja) * 2005-06-23 2007-01-11 Toppan Printing Co Ltd 再帰性マーキングフィルム
KR20090115336A (ko) * 2008-05-02 2009-11-05 김강현 재귀반사유닛의 제조방법
KR20110084667A (ko) * 2010-01-18 2011-07-26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77684A (ja) * 2015-10-21 2017-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透明導電部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773530B1 (ko) *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742A (ko) * 2019-06-19 2020-12-30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KR20210004413A (ko) * 2019-07-04 2021-01-13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TWI738403B (zh) * 2019-07-04 2021-09-01 南韓商Hj股份有限公司 逆反射薄片
KR102069082B1 (ko) 2019-09-30 2020-02-11 해오름 주식회사 알루미늄 박판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
KR102242677B1 (ko) * 2019-10-23 2021-04-21 엔비에스티(주) 재귀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N112698435A (zh) * 2019-10-23 2021-04-23 新伟智方有限公司 包含回归反射材料的防伪变造装置
KR102117041B1 (ko) * 2020-01-20 2020-05-29 임승호 투명 재귀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042B1 (ko) * 2020-01-20 2020-06-02 임승호 개선된 세탁 내구성을 갖는 재귀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25306B1 (ko) 2020-04-07 2020-06-22 이원정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재귀반사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249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6803A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81624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281625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70354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853638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TWI738403B (zh) 逆反射薄片
US10197714B2 (en) Colored retroreflective articles
KR10056391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1783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33405A (ko) 재귀반사시트
KR102212285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8807B1 (ko) 재귀반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850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5540B1 (ko)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84667A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9359B1 (ko) 재귀반사시트
KR10244479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3639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818837A (zh) 復歸性反射性帶材
KR101031024B1 (ko) 재귀반사시트 제조방법
KR101571786B1 (ko) 재귀반사시트
KR102603988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1481B1 (ko) 재귀반사시트
KR101932159B1 (ko)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20230081440A (ko) 광 반사기능을 갖는 코팅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2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27

Effective date: 201910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