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786B1 - 재귀반사시트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786B1
KR101571786B1 KR1020150048580A KR20150048580A KR101571786B1 KR 101571786 B1 KR101571786 B1 KR 101571786B1 KR 1020150048580 A KR1020150048580 A KR 1020150048580A KR 20150048580 A KR20150048580 A KR 20150048580A KR 101571786 B1 KR101571786 B1 KR 10157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me
adhesive
fib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원
Original Assignee
윤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원 filed Critical 윤세원
Priority to KR102015004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필름과, 상기 캐리어필름 상에 형성된 임시고정층과, 상기 임시고정층에 다수 개의 몸체 일부가 매립되게 비드가 산포되어 형성된 집광층과, 상기 집광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고정층과, 상기 고정층 상에 형성된 난연섬유층과, 상기 난연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1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난연섬유층에 난연제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층과 제 1 접착층도 난연제가 포함되어 각각 난연 특성을 가지므로 난연 특성이 향상되며, 또한, 난연섬유층을 구성하는 천의 표면 및 내부의 섬유에도 고정층 및 제 1 접착층의 수지가 들어가 접착 면적이 증가되어 접착력이 향상되므로 난연섬유층이 고정층 및 제 1 접착층과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층과 제 1 접착층 사이의 난연섬유층에 의해 제 2 접착층의 복원력으로 인한 컬(curl)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연성을 갖는 재귀반사시트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는 집광층과 반사층을 포함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입사되는 방향으로 그대로 반사시키는 반사체이다. 재귀반사시트는 통상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피착물의 몸체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나 패턴으로 가공되어 도로표지판이나 소방대원 등의 제복의 선택된 부분에 열압착 또는 재봉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어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환경 미화원, 소방대원, 경찰, 공장의 근로자, 건설 현장 근로자 및 각 부분의 안전 요원 등 도로 또는 위험한 장소에 작업을 하는 사람들의 착용한 의류에 재귀반사시트가 부착되면 주위 사람들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확실하게 확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보호 및 안전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피착제의 몸체 표면에 열압착하는 재귀반사시트는 집광층과 반사층의 반대면에 핫멜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의 접착층을 가져 원하는 모양이나 패턴으로 가공되어 피착제의 몸체 표면에 열압착에 의해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캐리어필름(11), 임시고정층(13), 집광층(15), 프라이머층(17), 반사층(19), 고정층(21), 접착층(23) 및 보호필름(25)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캐리어필름(11) 상에 임시고정층(13)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임시고정층(13)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조 공정시 집광층(15)을 형성하기 위해 산포되는 다수 개의 비드를 고정시킨다.
집광층(15)은 임시고정층(13)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산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15)은 임시고정층(13)에 다수 개의 비드 몸체 일부가 매립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15)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는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것으로 유리 등의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17)은 집광층(15) 상에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반사층(19)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을 증착할 때 금속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반사층(19)은 집광층(15)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것으로 프라이머층(17) 상에 광반사 특성을 갖는 금속이 증착되어 박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층(21)은 화학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에 난연제가 함유되게 형성된다. 이에, 고정층(21)은 집광층(19)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를 고정시키면서 난연 특성을 갖는다.
접착층(23)은 완성된 재귀반사시트를 옷감 등의 피착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핫멜트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착층(23)은 핫멜트 필름을 고정층(21) 상에 장력(tension)을 가하면서 접촉시킨 후 열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접착층(23)은 주름지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보호필름(25)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보관 또는 운송 중 접착층(23)을 보호한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고정층(41)이 난연제를 포함하므로 집광층(19)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를 고정시키면서 난연 특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고정층(41)의 난연 특성은 난연제의 정도에 따라 변하는데, 이 난연제가 적게 함유되면 난연 특성이 저하되고 많이 함유되면 난연 특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난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층에 난연제가 많이 함유되면 접착층과 접착력이 저하되어 고정층과 접착층 사이가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핫멜트 필름은 장력(tension)이 가해지면서 열압착되므로 부착 후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되고자 하므로 두리마리 형태로 말리는 컬(curl) 현상으로 인해 이 후 절단 등의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층과 제 1 접착층 사이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2 접착층으로 인한 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캐리어필름과, 상기 캐리어필름 상에 형성된 임시고정층과, 상기 임시고정층에 다수 개의 몸체 일부가 매립되게 비드가 산포되어 형성된 집광층과, 상기 집광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고정층과, 상기 고정층 상에 형성된 난연섬유층과, 상기 난연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1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임시고정층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고정층이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난연섬유층이 난연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천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순면 섬유, 유리 섬유, 마 섬유 및 면 혼방(TC) 섬유으로 이루어진 천 중 어느 하나가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 물질의 난연제로 난연 처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난연섬유층은 상기 난연제가 용해된 용액에 상기 천을 침지(浸漬)한 후 꺼내어 건조시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이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층 및 제 1 접착층은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제 2 접착층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폴리에칠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TPU(Thermo Plastics Urethane)의 합성 수지로 된 핫멜트 필름 또는 접착성 수지가 도포된 후 열압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연섬유층에 난연제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층과 제 1 접착층도 난연제가 포함되어 각각 난연 특성을 가지므로 난연 특성이 향상되며, 또한, 난연섬유층을 구성하는 천의 표면 및 내부의 섬유에도 고정층 및 제 1 접착층의 수지가 들어가 접착 면적이 증가되어 접착력이 향상되므로 난연섬유층이 고정층 및 제 1 접착층과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층과 제 1 접착층 사이의 난연섬유층에 의해 제 2 접착층의 복원력으로 인한 컬(curl)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캐리어필름(31), 임시고정층(33), 집광층(35), 프라이머층(37), 반사층(39), 고정층(41), 난연섬유층(43), 제 1 접착층(45) 및 제 2 접착층(47)과 보호필름(49)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캐리어필름(31)은 PET(poly ethylene terephthlate) 등으로 형성된다.
임시고정층(33)은 캐리어필름(31) 상에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폴리에칠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 아크릴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LLDPE) 또는 TPU (Thermo Plastics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제가 그라비아 코팅, 옵셋 인쇄, 실크스크린, 플렉소 인쇄 또는 콤마코팅 등의 방법으로 20 ~ 200㎛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된다. 임시고정층(33)은 제조 공정시 집광층(35)을 형성하기 위해 산포되는 다수 개의 비드를 고정시킨다. 또한, 임시고정층(33)은 아크릴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집광층(35)은 임시고정층(33)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산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35)은 임시고정층(33)에 다수 개의 비드 몸체 일부가 매립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집광층(35)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는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것으로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37)은 집광층(35)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 상에 폴리에스텔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아크릴수지 등의 합성수지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의 방법으로 1 ~ 50㎛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프라이머층(37)은 제조 공정시 집광층(35) 상에 형성되어 반사층(39)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프라이머층(37)은 집광층(35)을 통해 반사층(39)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반사층(39)은 집광층(35)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것으로 프라이머층(37) 상에 Al, Ag, Cu, Zn 또는 Sn 등의 광반사 특성을 갖는 금속이 진공증착(Evaporation),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PVD(Physical Vapor Deposition)의 방법에 의해 증착되어 박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반사층(39)은 두께가 100Å 보다 얇으면 반사 특성이 저하되므로 100 ~ 3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층(41)은 반사층(39) 상에 제조 공정 완료 후 집광층(35)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층(41)은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아크릴수지 등이 그라비아 인쇄, 실크 스크린,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콤마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20 ~ 200㎛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고정층(41)은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 물질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난연섬유층(43)은 난연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가 고정층(41)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난연섬유층(43)은 순면 섬유, 유리 섬유, 마 섬유 및 면 혼방(TC)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천 중의 어느 하나가 난연 처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난연섬유층(43)이 순면 섬유, 유리 섬유, 마 섬유 및 면 혼방(TC)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천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 섬유로 이루어진 천 중 어느 하나를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 물질 등의 난연제가 용해된 용액에 침지(浸漬)한 후 꺼내어 건조시켜 난연성을 갖도록 한다. 이에, 용액에 용해된 난연제가 천의 표면 섬유 뿐만 아니라 천의 내부 섬유의 표면에도 침착되므로 난연제의 함유량를 증가시킬 수 있어 난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난연섬유층(43)은 고정층(41)이 경화되기 전에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고정층(41)을 구성하는 접착성 합성수지가 난연섬유층(43)을 구성하는 천의 표면뿐만 아니라 천의 내부에도 들어가 접촉된다. 그러므로, 난연섬유층(43)은 표면의 섬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섬유도 고정층(41)과 접촉되므로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부착력이 증가된다. 이에, 난연섬유층(43)이 고정층(41)으로 부터 박리되는 것이 감소된다.
제 1 접착층(45)은 난연섬유층(43) 상에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아크릴수지 등이 그라비아 인쇄, 실크 스크린,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콤마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20 ~ 200㎛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45)은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 물질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접착층(45)은 난연섬유층(43) 상에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되므로 난연섬유층(43)의 고정층(41)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뿐만 아니라 천의 내부에도 들어가 접촉된다. 그러므로, 제 1 접착층(45)은 난연섬유층(43)은 표면의 섬유뿐만 아니라 내부의 섬유도 고정층(41)과 접촉되는 것에 의해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부착력이 증가되므로 난연섬유층(43)으로 부터 박리되는 것이 감소된다.
제 2 접착층(47)은 완성된 재귀반사시트를 옷감 등의 대상물에 부착하는 것으로 제 1 접착층(45) 상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폴리에칠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TPU(Thermo Plastics Urethane) 등의 합성 수지로 된 핫멜트 필름이 열압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접착층(47)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을 그라비아 인쇄, 실크 스크린, 플렉소 인쇄(Flexo printing),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 2 접착층(47)이 도포되어 형성되면 장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제조 후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보호필름(49)은 제 2 접착층(47) 상에 형성되어 제조 완료된 재귀반사시트를 보관 또는 이동 중에 이 제 2 접착층(47)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의 재귀반사시트는 고정층(41)과 제 1 접착층(45) 사이에 난연섬유층(43)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난연섬유층(43)은 난연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순면 섬유, 유리 섬유, 마 섬유 및 면 혼방(TC)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천 중의 어느 하나가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 물질 등의 난연제가 용해된 용액에 침지(浸漬)한 후 꺼내어 건조시켜 난연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용액에 용해된 난연제가 천의 표면뿐만 아니라 천의 내부 섬유의 표면에도 침착되므로 난연제의 함유량이 증가되어 난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층(41)과 제 1 접착층(45)도 난연제가 포함되어 각각 난연 특성을 가지므로 난연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고정층(41) 및 제 1 접착층(45)이 난연섬유층(43)을 구성하는 천의 표면뿐만 아니라 천의 내부에도 들어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부착력이 증가되므로 난연섬유층(43)이 고정층(41) 및 제 1 접착층(45)과 박리되는 것이 감소된다.
또한, 난연섬유층(43)은 제 1 접착층(45) 상에 제 2 접착층(47)이 핫멜트 필름으로 형성되어도 제 2 접착층(47)이 부착된 후 발생되는 복원력에 견디어 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제 2 접착층(47)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경우 장력이 발생되지 않아 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1 : 캐리어필름 33 : 임시고정층
35 : 집광층 37 : 프라이머층
39 : 반사층 41 : 고정층
43 : 난연섬유층 45 : 제 1 접착층
47 : 제 2 접착층 49 : 보호필름

Claims (11)

  1. 캐리어필름과,
    상기 캐리어필름 상에 형성된 임시고정층과,
    상기 임시고정층에 다수 개의 몸체 일부가 매립되게 비드가 산포되어 형성된 집광층과,
    상기 집광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고정층과,
    난연제가 용해된 용액에 침지된 후 건조시켜 상기 난연제가 천의 표면 섬유와 내부 섬유의 표면에 침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층이 경화되기 전에 부착하여 고정층을 구성하는 접착성 합성수지가 천의 표면과 함께 천의 내부에도 들어가 접촉되는 난연섬유층과,
    상기 난연섬유층 상에 화학반응 경화형의 접착성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상기 난연섬유층의 상기 고정층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과 함께 천의 내부에도 들어가 접촉되게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1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 2 접착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층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점착제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층은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성을 갖는 재귀반사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섬유층이 난연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천으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섬유층이 순면 섬유, 유리 섬유, 마 섬유 및 면 혼방(TC) 섬유으로 이루어진 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난연섬유층이 Sb2O3, 브롬계 물질, 인계 물질 또는 멜라민계의 난연제로 난연 처리된 재귀반사시트.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성을 갖는 재귀반사시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폴리에칠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TPU(Thermo Plastics Urethane)의 합성 수지로 된 핫멜트 필름 또는 접착성 수지가 도포된 후 열압착되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KR1020150048580A 2015-04-06 2015-04-06 재귀반사시트 KR10157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80A KR101571786B1 (ko) 2015-04-06 2015-04-06 재귀반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80A KR101571786B1 (ko) 2015-04-06 2015-04-06 재귀반사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786B1 true KR101571786B1 (ko) 2015-11-25

Family

ID=548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80A KR101571786B1 (ko) 2015-04-06 2015-04-06 재귀반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41B1 (ko) * 2020-01-20 2020-05-29 임승호 투명 재귀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042B1 (ko) * 2020-01-20 2020-06-02 임승호 개선된 세탁 내구성을 갖는 재귀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14B1 (ko) * 2005-03-08 2006-03-23 현진화학(주)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5540B1 (ko) 2009-08-26 2010-01-07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510554A (ja) * 2006-11-22 2010-04-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無色の熱物質転写組成物及び物品
KR101206376B1 (ko) 2012-07-20 2012-11-29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14B1 (ko) * 2005-03-08 2006-03-23 현진화학(주)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510554A (ja) * 2006-11-22 2010-04-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無色の熱物質転写組成物及び物品
KR100935540B1 (ko) 2009-08-26 2010-01-07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6376B1 (ko) 2012-07-20 2012-11-29 (주)에이치제이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41B1 (ko) * 2020-01-20 2020-05-29 임승호 투명 재귀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042B1 (ko) * 2020-01-20 2020-06-02 임승호 개선된 세탁 내구성을 갖는 재귀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249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81624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70354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687319B (zh) 有色反光物品
US7503664B2 (en) Flame retardant retroreflective film structure
US10281625B2 (en) Retro-refl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1783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1786B1 (ko) 재귀반사시트
KR10056391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3638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3183062U (ja) 液晶画面用保護シート材の構造
US20170131443A1 (en) Retroreflective material
KR20160033405A (ko) 재귀반사시트
CN116234467A (zh) 包括回射层合物的离散岛状物的织物和服装
KR20110084667A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7850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5540B1 (ko)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1024B1 (ko) 재귀반사시트 제조방법
KR20150051913A (ko)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 글라스 보호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479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7279509B2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シート、表示装置
KR101789489B1 (ko) 재귀반사시트
JP5700342B2 (ja) 液晶画面用保護シート材
KR101932159B1 (ko)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TWI584961B (zh) 可直接用於分紗的復歸反射複合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