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850B1 -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50B1
KR102277850B1 KR1020190129317A KR20190129317A KR102277850B1 KR 102277850 B1 KR102277850 B1 KR 102277850B1 KR 1020190129317 A KR1020190129317 A KR 1020190129317A KR 20190129317 A KR20190129317 A KR 20190129317A KR 102277850 B1 KR102277850 B1 KR 10227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ed
light collecting
ligh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829A (ko
Inventor
윤세원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
Priority to KR102019012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며 R(red), G(green) 및 B(blue)들을 포함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 상에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되어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하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변화되는 투명반사층으로 이루어진 유색영역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색층의 색상이 서로 다른 M(N은 2이상 자연수)개의 상기 유색영역부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유색층의 색상이 서로 다른 M(N은 2이상 자연수)개의 상기 유색영역부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간 시인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야간에 제 1 및 제2 유색영역부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각각 500cd/lux*m2 이상 까지도 반사할 수 있어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의 두께에 따라 줄무늬 형상으로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반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Retroreflective shee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유색광을 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에 광 반사 효율을 개선하여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시트(retroreflective sheet)는 집광층과 제 2 투명반사층을 포함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입사되는 방향으로 그대로 반사시키는 반사체이다. 재귀반사시트는 통상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피착물의 몸체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나 패턴으로 가공되어 도로표지판이나 소방대원 등의 제복의 선택된 부분에 열압착 또는 재봉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시인성(視認性)(visibility)이 향상되어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환경 미화원, 소방대원, 경찰, 공장의 근로자, 건설 현장 근로자 및 각 부분의 안전 요원 등 도로 또는 위험한 장소에 작업을 하는 사람들의 착용한 의류에 재귀반사시트가 부착되면 주위 사람들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확실하게 확인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보호 및 안전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시트는 유색 영역부가 광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부와 교호(交互)하는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간에도 시인성(visibility)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반사 영역부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증착된 제 2 투명반사층 상에 비드들이 부착되어 형성된 집광층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며, 유색 영역부는 형광 또는 축광 특성을 갖는 유색 도료가 포함된 유기 바인더로 도포된 유색층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특허등록 제 특허 제 10-1773530호(발명의 명칭 :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제 1 보호필름과, 상기 제 1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제 1 열가소성접착층과, 상기 제 1 열가소성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 1 난연접착층과, 상기 제 1 난연접착층 상에 형성된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 상에 형성된 투광층과, 상기 투광층 상에 형성된 제 1 집광층을 포함하여 상기 투광층이 상기 제 1 집광층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면서 상기 유색층과의 계면에서 산란시켜 이 산란된 광 중 일부가 상기 유색층에 형광 또는 축광된 광과 같이 상기 제 1 집광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하는 유색영역과, 제 2 보호필름과, 상기 제 2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제 2 열가소성접착층과, 상기 제 2 열가소성접착층 상에 상기 제 1 난연접착층과 유색층을 합친 두께로 형성된 제 2 난연접착층과, 상기 제 2 난연접착층 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제 2 집광층을 포함하여 상기 반사층이 상기 제 2 집광층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영역과, 상기 제 1 집광층 및 제 2 집광층 상에 비드점착층에 의해 점착된 베이스필름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유색층은 형광 염료와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형광재 또는 축광 염료와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재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어 야간에 형광 작용에 의해 발광하거나, 또는, 주간 또는 실내의 광을 흡수해 축광하여 야간에 방출하는 것에 의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시인성(visibility)이 향상된다. 또한, 유색층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면 동시에 형광 및 축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유색층은 혼합되는 형광재 또는 축광재에 따라 방출되는 광은 R(red), G(green) 또는 B(blue) 등의 색상을 갖는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영역부에서 반사되는 광량은 대체로 500cd/lux*m2 정도이고, 제 1 유색영역부에서 반사되는 광량은 대체로 200cd/lux*m2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제 2 투명반사층과 유색층의 폭이 같은 경우 재귀반사시트에서 반사되는 평균 광량은 대체로 300cd/lux*m2 정도가 된다. 또한 제 2 유색영역부의 색상은 단일 색상이며, 제 1 유색영영부 및 제 2 유색영역부는 야간에 백색 광만을 반사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제 2 유색영역부를 제외한 제 1 유색영역부에서 적은 량의 광을 반사하므로 반사 광량이 적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2 투명반사층은 백색광이 입사되면 백색광만을 반사하므로 다른 색을 갖는 광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등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제 1 유색영역부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전체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의 두께 변화에 따라 백색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며 R(red), G(green) 및 B(blue)들을 포함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 상에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되어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하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변화되는 투명반사층으로 이루어진 유색영역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색층의 색상이 서로 다른 M(N은 2이상 자연수)개의 상기 유색영역부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은 제 1 캐리어필름 상에 제 1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1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 제 1 유색층, 제 1 접착층, 제 1 베이스층 및 제 1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1 캐리어필름 및 제 1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별도의 제 3 캐리어필름 상에 리무벌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집광층을 점착하여 제 1 구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보호필름으로부터 제 1 집광층 까지 하프컷팅(half cutting)하고 상기 리무벌점착층의 일부 영역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제거하여 제 1 유색영역부와 제 2 유색영역부를 한정하는 공정과, 제 2 캐리어필름 상에 제 2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2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집광층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 제 2 유색층, 제 2 접착층, 제 2 베이스층 및 제 2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2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구성을 상기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2 캐리어필름 및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도록 분리된 제 2 구성의 상기 제 2 캐리어필름과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집광층을 노출하고 상기 제 1 구성의 제 2 유색영역부의 상기 리무벌점착층에 상기 노출된 제 2 집광층을 점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은 제 1 캐리어필름 상에 제 1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1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 제 1 유색층, 제 1 접착층, 제 1 베이스층 및 제 1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1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구성을 제 1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1 집광층이 노출되게 제 1 캐리어필름과 제 1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제 2 캐리어필름 상에 제 2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2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집광층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 제 2 유색층, 제 2 접착층, 제 2 베이스층 및 제 2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2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구성을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2 캐리어필름 및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제 3 캐리어필름 상에 리무벌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의 남아 있는 부분의 제 1 및 제 2 집광층이 상기 리무벌점착층에 점착되게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유색층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유색층을 색상을 갖는 염료 또는 안료에 형광재 및 축광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한다.
상기에서 투명반사층을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중에서 선택된 각각 저굴절률을 갖는 물질과 고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간에 제 1 유색영역부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전체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야간 등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의 두께에 따라 줄무늬 형상으로 다양한 색상의 광을 동일하게 반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N(N은 2이상 자연수)개의 색상, 예를 들면, R(red), G(green) 및 B(blue)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각각 갖는 제 1 유색영역부(L1)와 제 2 유색영역부(L2)가 줄무늬 형상으로 교호(交互)하도록 형성되며, 이 제 1 유색영역부(L1)와 제 2 유색영역부(L2) 상에 리무벌점착층(43) 및 제 3 캐리어필름(41)이 형성된다.
제 1 유색영역부(L1)는 제 1 보호필름(25), 제 1 베이스층(23), 제 1 접착층(21), 제 1 유색층(19), 제 1 투명반사층(17) 및 제 1 집광층(15)을 포함하고, 제 2 유색영역부(L2)는 제 2 보호필름(39), 제 2 베이스층(37), 제 2 접착층(36), 제 2 유색층(35), 제 2 투명반사층(33) 및 제 2 집광층(31)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1 유색영역부(L1)의 제 1 보호필름(25)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제 1 베이스층(2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베이스층(23)은 의류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 표면에 열 압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20 ∼ 5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베이스층(23)은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완료된 재귀반사시트로,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재봉(sewing)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제 1 접착층(21)은 제 1 베이스층(23) 상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21)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으로 코팅되어 20 ∼ 3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21)은 접착제에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색층(19)은 제 1 접착층(21) 상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접착성 합성 수지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에 의해 10 ∼ 1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유색층(19)은 R(red), G(green) 및 B(blue)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 예를 들면 R(red)의 색상의 형광 염료와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형광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축광 염료와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유색층(19)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R(red)의 색상의 제 1 유색층(19)은 야간에 형광 작용에 의해 R(red)의 색상의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주간 또는 실내의 광을 흡수해 축광하여 야간에 R(red)의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반사한다. 또한, 제 1 유색층(19)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면 동시에 형광 및 축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유색층(19)은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투명반사층(17)은 제 1 유색층(19) 상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은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층 이상의 복수 개의 박막, 예를 들면, 저굴절률 물질인 SiO2와 고굴절률 물질인 TiO2의 2개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 1 투명반사층(17)은 진공 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증착 방법에 의해 200 ∼ 1000㎚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을 이루는 SiO2와 TiO2의 굴절률은 각각 1.4 정도와 2.4 정도로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제 1 집광층(15)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된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2개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된다. 그러므로, 제 1 투명반사층(17)을 구성하는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반복 적층된 횟수, 즉, M(M은 2이상 자연수)이 커질수록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 1 투명반사층(17)은 제 1 유색영역부(L1)로 입사되는 광을 500 ~ 700cd/lux*m2 정도의 고휘도로 반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야간 등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제 1 유색영역부(L1)로 입사되어 제 1 투명반사층(17)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전체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반사층(17)은 SiO2와 TiO2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반복되게 변화된다. 그러므로, 제 1 투명반사층(17)은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백색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광층(15)은 제 1 투명반사층(17) 상에 다수 개의 비드가 층을 이루도록 산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집광층(15)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는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것으로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과 제 1 집광층(15) 사이에 제 1 프라이머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프라이머층은 제 1 집광층(15)에 제 1 투명반사층(17)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집광층(15)을 통해 제 1 투명반사층(17)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제 2 유색영역부(L2)는 제 2 보호필름(39), 제 2 베이스층(37), 제 2 접착층(36), 제 2 유색층(35), 제 2 투명반사층(33) 및 제 2 집광층(31)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영역부(L2)의 제 2 보호필름(39)은 제 1 보호필름(25)과 동일하게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제 1 베이스층(2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베이스층(37)은 의류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표면에 열 압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으로 제 1 베이스층(23)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20 ∼ 5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베이스층(37)도 제 1 베이스층(23)과 같이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완료된 재귀반사시트로,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재봉(sewing)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제 2 접착층(36)은 제 2 베이스층(37) 상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접착층(36)은 제 1 접착층(21)과 같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으로 20 ∼ 300㎛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접착층(36)도 제 1 접착층(21)과 같이 접착제에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유색층(35)은 제 2 접착층(36) 상에 제 1 유색층(19)과 같이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접착성 합성 수지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에 의해 10 ∼ 1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층(35)은 R(red), G(green) 및 B(blue)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 중 제 1 유색층(19)의 색상과 다른 색상, 예를 들면 G(green) 및 B(blue) 등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의 형광 염료와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형광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축광 염료와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유색층(35)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Y(yellow)의 색상을 갖는 제 2 유색층(35)은 야간에 형광 작용에 의해 Y(yellow)의 색상의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주간 또는 실내의 광을 흡수해 축광하여 야간에 Y(yellow)의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반사한다. 또한, 제 2 유색층(35)은 형광제와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면 동시에 형광 및 축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유색층(35)은 제 1 유색층(19)과 같이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투명반사층(33)은 제 2 유색층(35) 상에 제 1 투명반사층(17)과 같이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층 이상의 복수 개의 박막, 예를 들면, 저굴절률 물질인 SiO2와 고굴절률 물질인 TiO2의 2개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 2 투명반사층(33)은 진공 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증착 방법에 의해 200 ∼ 1000㎚ 정도의 두께로 증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투명반사층(33)에서 반사되는 광량은 대체로 제 1 투명반사층(17)과 같이 제 2 유색영역부(L2)로 입사되는 광을 500 ~ 700cd/lux*m2 정도의 고휘도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투명반사층(33)도 SiO2와 TiO2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반복되게 변화된다. 그러므로, 제 2 투명반사층(33)도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백색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 2 집광층(31)은 제 1 집광층(15)과 같이 다수 개의 비드가 층을 이루도록 산포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집광층(31)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드는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것으로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투명반사층(33)과 제 2 집광층(31) 사이에 제 2 프라이머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프라이머층은 제 2 집광층(31)에 제 2 투명반사층(33)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집광층(31)을 통해 제 2 투명반사층(33)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제 1 집광층(15)과 제 2 집광층(31) 상에 리무벌점착층(43)과 제 3 캐리어필름(4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3 캐리어필름(41)은 제조가 완료된 재귀반사시트를 보관하거나 피부착체에 부착할 때 제 1 집광층(15)과 제 2 집광층(3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리무벌점착층(43)은 제 1 집광층(15)과 제 2 집광층(31)을 제 3 캐리어필름(41)과 점착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수지, SBR계 수지, 고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보호필름(39)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 1 베이스층(23)과 제 2 베이스층(37)을 의류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열 압착 또는 재봉(sewing)되어 부착된다. 상기에서 제 3 캐리어필름(41)은 열 압착시 제 1 집광층(15)과 제 2 집광층(3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열 압착 후 제 3 캐리어필름(41)은 리무벌점착층(43)과 함께 제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시트는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17)(33)에 의해 주간 등과 같이 주변이 밝은 경우에 제 1 및 제 2 유색층(19)(35) 각각의 색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17)은 제 1 및 제 2 집광층(15)(31)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각각 500 ~ 700cd/lux*m2 정도의 고휘도로 반사되므로 전체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반사 색상의 광이 반사되므로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15)(33)은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백색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갖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야간 등과 같이 어두운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15)(33)에서 반사되는 광은 제 1 및 제 2 유색층(19)(35)의 각각 다른 색상과 무관하게 동일한 색상을 갖는데, 동일한 색상으로 반사되는 광의 색상은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17)(33)의 두께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캐리어필름(11) 상에 제 1 비드정렬층(1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캐리어필름(11)을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그리고, 비드정렬층(43)을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물(EAA 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LLDPE, HDP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한다.
제 1 비드정렬층(13) 상에 다수 개의 비드를 산포하여 제 1 집광층(1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집광층(15)은 산포된 다수 개의 비드가 제 1 비드정렬층(13)에 일 부분, 예를 들면, 비드들의 중간 부분 정도 매립되지 않고 좁은 면적만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집광층(15)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는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집광층(15)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1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을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층 이상의 복수 개의 박막, 예를 들면, 저굴절률 물질인 SiO2와 고굴절률 물질인 TiO2의 2개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을 진공 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증착 방법에 의해 200 ∼ 1000㎚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투명반사층(17)을 이루는 SiO2와 TiO2의 굴절률이 각각 1.4 정도와 2.4 정도로 서로 다르므로 제 1 집광층(15)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된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2개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된다. 그러므로, 제 1 투명반사층(17)을 구성하는 SiO2 박막과 TiO2 박막의 반복 적층된 횟수, 즉, M(M은 2이상 자연수)이 커질수록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집광층(15)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17)을 형성하기 전에 제 1 프라이머층(도시되지 않음)을 먼저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 1 프라이머층은 제 1 투명반사층(17)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제 1 집광층(15)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 표면에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집광층(15)을 통해 제 1 투명반사층(17)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그리고, 제 1 투명반사층(17) 상에 제 1 유색층(1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유색층(19)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접착성 합성 수지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에 의해 10 ∼ 1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유색층(19)은 R(red), G(green) 및 B(blue) 중 어는 하나의 색상, 예를 들면 R(red)의 색상의 형광 염료와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형광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축광 염료와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유색층(19)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 1 유색층(19)은 혼합되는 형광재 또는 축광재에 따라 방출되는 광은 자연광에서 보이는 색상과 반사되는 광의 색상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들면 자연광에서 제 1 유색층(19)의 보이는 색상이 R(red)이고 반사광이 G(green) 또는 B(blue)의 색상으로 보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 1 유색층(19)의 보이는 색상과 반사광이 모두 R(red)의 색상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유색층(19) 상에 제 1 접착층(21)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21)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으로 20 ∼ 300㎛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21)을 접착제에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를 포함하여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접착층(21) 상에 제 1 베이스층(2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베이스층(23)은 제조된 재귀반사시트를 의류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 표면에 열 압착에 의해 부착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300 ∼ 50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층(23) 상에 제 1 보호필름(2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보호필름(25)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제 1 베이스층(2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베이스층(23)은 천 또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조가 완료된 재귀반사시트가 옷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에 재봉(sewing)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캐리어필름(11)을 제거한다. 이때, 제 1 비드정렬층(13)도 제 1 캐리어필름(11)과 함께 제거되어 제 1 집광층(15)이 노출된다. 그리고, 별도의 필름, 즉, 제 3 캐리어필름(41) 상에 리무벌점착층(4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3 캐리어필름(41)은 제 1 캐리어필름(11)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무벌점착층(43)을 아크릴계 수지, SBR계 수지, 고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리무벌점착층(43) 상에 노출된 제 1 집광층(15)을 점착하여 제 1 구성(26)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리고, 제 1 구성(26)을 제 1 유색영역부(L1)와 제 2 유색영역부(L2)를 한정한다. 상기에서 제 1 구성(26)을 제 1 보호필름(25)으로 부터 제 1 집광층(15) 까지 하프컷팅(half cutting)한 후 일부 영역부를, 즉, 제 2 유색영역부(L2)의 리무벌점착층(43)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제거하는 것에 의해 제 1 유색영역부(L1)와 제 2 유색영역부(L2)를 한정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도 3a와 같이 제 2 캐리어필름(27) 상에 제 2 비드정렬층(29), 제 2 집광층(31)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캐리어필름(27)을 제 1 캐리어필름(11)과 같이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제 2 비드정렬층(29)을 제 1 비드정렬층(13)과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물(EAA 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LLDPE, HDP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집광층(31)을 제 1 집광층(15)과 같이 제 2 비드정렬층(29) 상에 다수 개의 비드를 산포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집광층(31)을 제 2 비드정렬층(29) 상에 제 1 집광층(15)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2 집광층(31)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는 20 ∼ 20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유리, 투명한 비유리질 세라믹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집광층(31)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3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투명반사층(33)을 제 1 투명반사층(17)과 동일하게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2개 층 이상의 복수 개의 박막, 예를 들면, 저굴절률 물질인 SiO2와 고굴절률 물질인 TiO2의 2개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투명반사층(33)을 진공 증착(evaporation), 화학기상증착(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이온-빔(Ion-beam) 등의 증착 방법에 의해 200 ∼ 1000㎚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집광층(31)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33)을 형성하기 전에 제 2 프라이머층(도시되지 않음)을 먼저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 2 프라이머층은 제 2 투명반사층(33)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금속이 제 2 집광층(31)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비드 표면에 원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집광층(31)을 통해 제 1 투명반사층(17)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그리고, 제 2 투명반사층(33) 상에 제 2 유색층(3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층(35)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아크릴 공중합물 등의 접착성 합성 수지가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에 의해 10 ∼ 1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층(35)을 R(red) 및 G(green) 및 B(blue) 중 제 1 유색층(19)의 색상과 다른 색상, 예를 들면 G(green) 및 B(blue) 등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형광 염료와 형광 안료를 포함하는 형광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축광 염료와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유색층(35)은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 2 유색층(35)은 혼합되는 형광재 또는 축광재에 따라 자연광에서 보이는 색상과 반사되는 광의 색상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들면 자연광에서 제 2 유색층(35)의 보이는 색상이 G(green) 또는 B(blue)이고 반사광이 R(red)의 색상으로 보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 2 유색층(35)의 보이는 색상과 반사광이 모두 G(green) 또는 B(blue)의 색상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유색층(35) 상에 제 2 접착층(3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접착층(36)을 제 1 접착층(21)과 같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액상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슬롯다이헤드코팅(slot die head coating)의 방법으로 20 ∼ 300㎛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접착층(21)을 접착제에 수산화알루미늄, 인계 난연제, Sb2O3, Br계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난연제를 포함하여 난연 특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접착층(36) 상에 제 2 베이스층(3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베이스층(37)은 제 1 베이스층(23)과 같이 제조된 재귀반사시트를 의류 또는 운동화 등의 제품 표면에 열 압착에 의해 부착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물(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시트로 300 ∼ 50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층(37) 상에 제 2 보호필름(39)을 형성하여 제 2 구성(40)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에서 제 2 보호필름(39)은 제 1 보호필름(25)과 같이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제 2 베이스층(37)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 2 구성(40)을 제 2 유색영역부(L2)의 폭을 갖도록 다수 개로 분리하여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제 2 유색영역부(L2)의 폭을 갖도록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된 것에서 제 1 캐리어필름(11)을 제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캐리어필름(27)을 제거한다. 이때, 제 2 비드정렬층(29)도 제 2 캐리어필름(27)과 함께 제거되어 제 2 집광층(31)이 노출된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 1 구성(26)의 제 2 유색영역부(L2)에 제 2 구성(40)의 분리되어 분리된 것을 삽입한다. 즉, 제 2 캐리어필름(27)과 제 2 비드정렬층(29)이 제거된 제 2 구성(40)을 제 1 유색영역부(L1) 사이의 삽입하여 노출된 제 2 집광층(31)을 리무벌점착층(43) 상에 점착한다. 이때, 제 1 접착층(21)의 측면과 제 2 접착층(36)의 측면은 접착되며, 이에 의해, 재귀반사시트 제조가 완료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귀반사시트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하여 도 3b와 같은 제 1 구성(26)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은 제 1 구성(26)을 제 1 유색영역부(L1)의 폭을 갖도록 다수 개로 분리하여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하고 제 1 캐리어필름(11)을 제거한다. 이때, 제 1 비드정렬층(13)도 제 1 캐리어필름(11)과 함께 제거되어 제 1 집광층(15)이 노출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3d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하여 제 2 구성(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구성(40)을 제 2 유색영역부(L2)의 폭을 갖도록 다수 개로 분리하여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하고 제 2 캐리어필름(27)을 제거한다. 이때, 제 2 비드정렬층(29)도 제 2 캐리어필름(27)과 함께 제거되어 제 2 집광층(31)이 노출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별도의 제 3 캐리어필름(41) 상에 리무벌점착층(4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3 캐리어필름(41)은 제 1 캐리어필름(11) 및 제 2 캐리어필름(27)과 동일한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무벌점착층(43)을 아크릴계 수지, SBR계 수지, 고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제 3 캐리어필름(41) 상의 리무벌점착층(43)과 점착되게 제 1 유색영역부(L1)의 폭을 갖도록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된 제 1 구성(26)과 제 2 유색영역부(L2)의 폭을 갖도록 줄무늬 형상으로 분리된 제 2 구성(40)을 교호되게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즉, 제 3 캐리어필름(41) 상의 리무벌점착층(43)과 점착되게 줄무늬 형상으로 각각 분리된 제 1 구성(26)과 제 2 구성(40)을 제 1 집광층(15) 및 제 2 집광층(31)이 리무벌점착층(43)에 점착되도록 교호되게 순차적으로 실장하여 제 1 유색영역부(L1)와 제 2 유색영역부(L2)를 한정한다. 상기에서 줄무늬 형상으로 각각 분리된 제 1 구성(26)과 제 2 구성(40)을 교호되게 순차적으로 실장하므로 공정이 용이하다. 이때, 제 1 접착층(21)의 측면과 제 2 접착층(36)의 측면은 접착되며, 이에 의해, 재귀반사시트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L1 : 제 1 유색영역부 L2 : 제 2 유색영역부
11 : 제 1 캐리어필름 13 : 제 1 비드정렬층
15 : 제 1 집광층 17 : 제 1 투명반사층
19 : 제 1 유색층 21 : 제 1 접착층
23 : 제 1 베이스층 25 : 제 1 보호필름
27 : 제 2 캐리어필름 29 : 제 2 비드정렬층
31 : 제 2 집광층 33 : 제 2 투명반사층
35 : 제 2 유색층 36 : 제 2 접착층
37 : 제 2 베이스층 39 : 제 2 보호필름
41 : 제 3 캐리어필름 43 : 리무벌점착층

Claims (9)

  1.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필름 상에 형성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며 R(red), G(green) 및 B(blue)들을 포함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 상에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이 1개의 쌍을 이루어 M(M은 2이상 자연수)회 반복 적층되어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저굴절률 물질의 박막과 고굴절률 물질의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하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변화되는 투명반사층으로 이루어진 유색영역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색층의 색상이 서로 다른 M(N은 2이상 자연수)개의 상기 유색영역부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재귀반사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이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물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은 색상을 갖는 염료 또는 안료에 형광재 및 축광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는 재귀반사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반사층이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중에서 선택된 각각 저굴절률을 갖는 물질과 고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재귀반사시트.
  5. 제 1 캐리어필름 상에 제 1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1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 제 1 유색층, 제 1 접착층, 제 1 베이스층 및 제 1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1 캐리어필름 및 제 1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별도의 제 3 캐리어필름 상에 리무벌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집광층을 점착하여 제 1 구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보호필름으로부터 제 1 집광층 까지 하프컷팅(half cutting)하고 상기 리무벌점착층의 일부 영역이 줄무늬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제거하여 제 1 유색영역부와 제 2 유색영역부를 한정하는 공정과,
    제 2 캐리어필름 상에 제 2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2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집광층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 제 2 유색층, 제 2 접착층, 제 2 베이스층 및 제 2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2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구성을 상기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2 캐리어필름 및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도록 분리된 제 2 구성의 상기 제 2 캐리어필름과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집광층을 노출하고 상기 제 1 구성의 제 2 유색영역부의 상기 리무벌점착층에 상기 노출된 제 2 집광층을 점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EVA copolymer), 폴리에스텔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공중합물로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을 색상을 갖는 염료 또는 안료에 형광재 및 축광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형광재 및 축광재가 함께 포함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반사층을 SiO2, TiO2, ZnS, ZnO, Al2O3, ZrO2, Ta2O5, Nb2O5, CaF2 및 Na3AlF6 중에서 선택된 각각 저굴절률을 갖는 물질과 고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형성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9. 제 1 캐리어필름 상에 제 1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1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집광층의 표면에 제 1 투명반사층, 제 1 유색층, 제 1 접착층, 제 1 베이스층 및 제 1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1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구성을 제 1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1 집광층이 노출되게 제 1 캐리어필름과 제 1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제 2 캐리어필름 상에 제 2 비드정렬층과 다수 개의 비드로 이루어진 제 2 집광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집광층의 표면에 제 2 투명반사층, 제 2 유색층, 제 2 접착층, 제 2 베이스층 및 제 2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 2 구성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구성을 제 2 유색영역부의 폭을 갖는 줄무늬 형상으로 다수 개로 분리하고 상기 제 2 집광층이 노출되게 상기 제 2 캐리어필름 및 제 2 비드정렬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제 3 캐리어필름 상에 리무벌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의 남아 있는 부분의 제 1 및 제 2 집광층이 상기 리무벌점착층에 점착되게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90129317A 2019-10-17 2019-10-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17A KR102277850B1 (ko) 2019-10-17 2019-10-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17A KR102277850B1 (ko) 2019-10-17 2019-10-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29A KR20210045829A (ko) 2021-04-27
KR102277850B1 true KR102277850B1 (ko) 2021-07-16

Family

ID=7572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17A KR102277850B1 (ko) 2019-10-17 2019-10-17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00B1 (ko)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3916B (zh) * 2022-06-24 2023-09-19 浙江龙游道明光学有限公司 一种阴阳面图案反光热贴条的制作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0931A1 (en) * 1999-02-26 2000-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polymer multilayer reflective coatings
JP2008158549A (ja) 1995-03-20 2008-07-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干渉カラーフィルター
JP2009194572A (ja) 2008-02-13 2009-08-27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16106258A (ja) 2016-01-15 2016-06-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帰反射性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661732B1 (ko) * 2014-10-06 2016-10-04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다색 재귀반사 스티커 제작을 위한 전사지
KR101773530B1 (ko) *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3532B1 (ko)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50A (ko) * 2001-03-16 2001-07-13 윤세원 발광기능이 부여된 재귀반사시트
KR20170133109A (ko) *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피치 다색상 컬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8549A (ja) 1995-03-20 2008-07-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干渉カラーフィルター
WO2000050931A1 (en) * 1999-02-26 2000-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polymer multilayer reflective coatings
JP2009194572A (ja) 2008-02-13 2009-08-27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KR101661732B1 (ko) * 2014-10-06 2016-10-04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다색 재귀반사 스티커 제작을 위한 전사지
JP2016106258A (ja) 2016-01-15 2016-06-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帰反射性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773530B1 (ko) *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3532B1 (ko) 2016-09-13 2017-08-31 윤세원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00B1 (ko)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29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530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6376B1 (ko)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KR101773532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2249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7850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81623B2 (en) Colored retroreflective articles
KR102212285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53638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5452B1 (ko) 재귀반사시트
KR10056391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1783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4794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8807B1 (ko) 재귀반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5540B1 (ko) 재귀반사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33405A (ko) 재귀반사시트
KR102249359B1 (ko) 재귀반사시트
KR20110084667A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1024B1 (ko) 재귀반사시트 제조방법
KR102221481B1 (ko) 재귀반사시트
KR102409274B1 (ko) 재귀반사 구조가 결합된 반사 글리터 열전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1786B1 (ko) 재귀반사시트
US10078162B2 (en) Retroreflective material
KR101853639B1 (ko) 재귀반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2159B1 (ko)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CN217103700U (zh) 一种反光发光功能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