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111B1 - 멀티 액상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액상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111B1
KR102066111B1 KR1020170153626A KR20170153626A KR102066111B1 KR 102066111 B1 KR102066111 B1 KR 102066111B1 KR 1020170153626 A KR1020170153626 A KR 1020170153626A KR 20170153626 A KR20170153626 A KR 20170153626A KR 102066111 B1 KR102066111 B1 KR 10206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quid
case
tea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556A (ko
Inventor
이종혁
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1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액상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일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일체 또는 각각이 착탈되게 결합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액상 추출 장치{Multi liquid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액상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원액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커피 추출 장치에는 커피 원액의 원재료인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를 추출하거나 이미 분쇄커피가 담긴 커피 캡슐을 사용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원액의 추출을 위해서, 커피 추출 유닛에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히터(일종의 보일러) 및 온수를 공급할 때 가압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커피 원액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茶)의 재료를 혼합하여 완성된 차를 공급하도록 차 액상 추출 유닛이 함께 구비된다. 차 액상 추출 유닛은 다양한 차의 재료를 혼합하도록 혼합부가 구비된다.
커피 추출 장치를 이용한 커피 추출 후 또는 차 액상 추출 유닛을 이용한 이용한 차 액상 추출 후에는, 커피 원액 또는 차 액상의 생성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의 다양한 장소에 액상 또는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다. 이의 청소를 위해 자동 청소 장치가 내부에 구비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청소 부위를 노출시켜 수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는, 히터(보일러)를 사용하여 고온의 물을 생성하여 공급하여야 하는데, 수요가 적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요가 많을 경우에는 물의 가열시간이 크게 소요되어 재 가열 시간 동안 소비자가 소정 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에서 고온의 물이 생성되는 바, 내부 습기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재료 분말의 누적이 많고 잦은 청소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는 통상 모터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데, 이는 모터의 설치 공간 및 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 등의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한편, 모터 부위의 청소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원재료가 보관되는 다수의 재료통은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보충하여야 하는 바, 사용상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멀티 액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명의 다른 목적은, 재료 분말의 누적을 최소화하도록 내부 습기 배출이 용이한 멀티 액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원액 또는 차 액상의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멀티 액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원두 분말의 크기 및 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연통되게 배치되고, 다수의 원재료가 수납 보관되는 다수의 재료통과, 상기 재료통으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 의해 혼합된 원재료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원액을 추출하는 온수 공급부와, 상기 원액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와 상기 노즐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부는, 중력에 의한 선회 교반 믹서로 이루어진 제1믹서부와, 스태틱 믹서로 이루어진 제2믹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로부터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와 상기 노즐부 및 상기 습기 제거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프론트 케이스 유닛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 유닛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 대한 착탈을 조작하기 위한 착탈 푸쉬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다량의 습기가 형성되는 습기 생성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습기 생성 구역에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습기 토출구 및 상기 습기 토출구 주변에 설치되어 습기를 포집하도록 작동되는 습기 토출 블로워를 포함하는 습기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원재료를 갈아주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왕복 무빙되게 구비된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왕복 무빙 경로 상에는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생성된 원재료 분진을 상기 실린더의 왕복 무빙 시 탈거하는 분진 브러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재료통은 투명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재료통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재료통의 재료 잔량을 감지하는 재료 잔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잔량 감지부는, 포토 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재료통 각각에는 상기 포토 센서에 구비된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구비되는 감지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온수가 보관되는 온수통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낮아질 경우, 상기 제1히터와 별도로 작동되어 급탕시키는 제2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히터는, 터보 보일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혼합부, 노즐부 및 습기 제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스에 간편하게 설치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습기가 다량 생성되는 부위에 습기 토출구 및 습기 토출 블로워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온수가 다량 소모되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 추출 시간을 줄여 소비자의 대기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구성 중 차 액상 추출 유닛의 케이스에 대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케이스에 대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a의 구성 중 차 액상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재료 잔량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b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b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제2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구성 중 차 액상 추출 유닛의 케이스에 대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케이스에 대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널리 커피를 포함한 "차(茶)"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칭에 부합되게, 차의 원료인 다수의 재료 분말을 혼합시켜 생성하는 차 액상, 또는 커피 원액에 뜨거운 물(온수) 또는 찬물(냉수)로 희석시켜 제조되는 다양한 차 또는 커피 원액의 종류를 불문하고, 소비자가 음용할 수 있는 액상을 추출하는 기기를 널리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그 이용 형태가 가정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널리 커피 전문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업소용의 범주에도 해당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 구성의 조립을 위한 다양한 마운트부를 제공하는 케이스(5)와, 케이스(5)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100)과, 케이스(5)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기호에 맞거나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일측의 프론트 케이스(5) 유닛을 선택 작동시켜 차를 생성하거나 타측의 커피 원액 생성 유닛을 선택 작동시켜 원하는 커피 원액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 액상 추출 유닛(100)과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은, 일부의 구성 또는 전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케이스(5)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케이스(5)로부터 일체로 착탈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5) 내부의 소정 부품 교체 및 수리를 요하거나, 케이스(5) 내부의 일정부위 청소를 요할 경우, 모듈 단위로 차 액상 추출 유닛(100) 또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이 분리되도록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A/S 작업 구조가 실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차(茶) 추출 액상을 생성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100)과 관련된 구성 및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의 구성을 구분하여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 액상 추출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a의 구성 중 차 액상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재료 잔량 감지부(115)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차 액상 추출 유닛(100)은, 도 3a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케이스(5) 내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고, 원하는 차(茶)의 차 추출 액상을 생성하도록 다수의 원재료가 보관됨과 동시에 소정의 작동 신호 인가 시 원하는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재료통(110)과, 다수의 재료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차의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부(130)와, 혼합부(13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도면부호 미표기)와, 혼합부(130)로부터 혼합되어 생성된 차 추출 액상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차 액상 노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 액상 추출 유닛(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측 프론트 커버(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프론트 커버(10)가 케이스(5)로부터 제거되면 차 액상 추출 유닛(100)이 전방으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케이스(5)의 전방의 노출된 부위를 통해 모듈 단위로 결합된 차 액상 추출 유닛(100)의 구성 전부 또는 일부를 손쉽게 전방으로 탈거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탈거된 차 액상 추출 유닛(100)의 빈 공간을 통해 상술한 교체 및 수리 또는 청소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재료통(1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되, 상부가 개구되게 구비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재료통 커버(11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재료통(110)이 좌우에 각각 인접되게 구비된다.
다수의 재료통(110)의 하단부 전면에는 혼합부(130)로의 재료 공급을 위한 재료 공급관(120)이 각각 구비되고, 혼합부(130)는 다수의 재료통(110)의 각 하단부에 상하로 길게 구비된다.
종래에는 혼합부(130) 내부에 다수의 재료를 혼합하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었으나, 이는 별도의 모터 설치 공간을 요함은 물론, 모터의 전기적인 구동을 위한 전기 와이어의 배선 공간이 필요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재료를 혼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 구동 방식이 아닌 중력에 의한 재료 혼합 방식을 채택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부(13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급관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2 이상의 믹서로 이루어지되, 2 이상의 믹서 중 적어도 하나는, 중력에 의한 선회 교반 믹서로 이루어진 제1믹서부와, 스태틱(static) 믹서로 이루어진 제2믹서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부(130)에 의하여 혼합된 다수의 재료는 온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 혼합부(130) 내에서 혼합되어 생성된 차 추출 액상은 하방의 차 액상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외부로 토출된 차 추출 액상은, 일측 프론트 커버(10)의 하단부에 결합된 차 컵 안착단(15)에 구비된 차 음용 컵(17)에 일정량이 수용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여기서, 혼합부(130) 내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 공급부로 온수가 공급되는 바, 다량의 습기가 형성되고, 형성된 다량의 습기는 재료 공급관(120)에 잔존하는 재료에 스며들어 다량의 재료 찌꺼기를 생성할 여지가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혼합부(130) 내부에 온수로부터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제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습기 제거부는, 온수로부터 습기가 생성되는 즉시 혼합부(130) 내의 습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습기에 의한 재료 찌꺼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재료통(110), 혼합부(130), 차 액상 노즐부와 함께 습기 제거부는, 모듈 단위로 케이스(5)로부터 분리되게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혼합부(13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급관의 하측이 일부 수용되고, 습기 제거부 및 온수 공급부의 온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상하로 길게 구비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 설명하나,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혼합부(130)의 좌우 양단면에는, 케이스(5)의 내부에 대해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켜 다수의 재료통(110)과, 차 액상 노즐부와 함께 케이스(5)의 내부로부터 착탈되도록 작동되는 착탈 푸쉬 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측 프론트 커버(10)를 제거한 후, 혼합부(130)가 케이스(5)의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착탈 푸쉬 버튼(135)을 누름으로써 케이스(5)의 내부 고정을 해제하고, 다수의 재료통(110), 차 액상 노즐부 및 혼합부(130)가 분리되지 않은 일체의 상태로 동시에 케이스(5)의 외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 공급부의 온수 공급을 위한 혼합부(130)에 대한 연결은, 사용자의 별도의 분리 및 결합 행위가 없이도 상술한 일체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재료통(110)에 각각 잔존하는 재료의 잔량을 감지하는 재료잔량 감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료잔량 감지부(115)는, 케이스(5) 내부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16)와, 발광소자(116)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117)로 구성된 포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료잔량 감지부(115)의 효과적인 잔량 재료의 감지를 위해, 다수의 재료통(110)은, 포토센서의 발광소자(116)로부터 조사된 광이 다수의 재료통(110) 각각의 일부를 투과하여 수광소자(117)로 수광되게 투명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수의 재료통(110) 각각은, 재료잔량 감지부(115)의 발광소자(116) 및 수광소자(117) 사이로 일부가 돌출되게 재료 감지 리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재료통(110) 각각의 재료통 커버(113)를 열어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재료의 잔량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을 살펴본다.
도 6은 도 3b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b의 구성 중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단면도이다.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은, 분쇄 원두의 원재료인 커피 원두를 공급하도록 케이스(5)의 내부 타측 상부에 배치된 원두 호퍼(210)와, 원두 호퍼(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급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220)와, 그라인더(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쇄된 분쇄 원두에 공급된 온수와 혼합한 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가압 실린더부(230)와, 가압 실린더부(230)에 의해 추출된 액상 커피 원액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커피원액 노즐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 실린더부(230)로 공급되는 온수는 상술한 온수 공급부로부터 차 액상 추출 유닛(100)으로 공급되는 온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은, 차 액상 추출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도 3b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두 호퍼(210), 그라인더(220), 가압 실린더부(230) 및 커피원액 노즐부(260)가 일체 또는 각각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케이스(5)의 전면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타측 프론트 커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측 프론트 커버(20)를 케이스(5)의 전면으로부터 제거하면, 원두 호퍼(210), 그라인더(220), 가압 실린더부(230) 및 커피원액 노즐부(260)가 전부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로 케이스(5)로부터 분리되거나, 원두 호퍼(210), 그라인더(220), 가압 실린더부(230) 및 커피원액 노즐부(260) 각각이 케이스(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이 케이스(5)로부터 전방으로 일체 또는 각각이 분리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케이스(5) 내부의 부품 교체 및 수리 또는 청소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원두 호퍼(210)는,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커피 원두가 상측에서 공급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의 개구된 부위에는 호퍼 커버(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원두 호퍼(210)의 하단부는 그라인더(220)의 상단과 결합되어 커피 원두를 그라인더(220)로 공급하고, 그라인더(220)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분쇄 원두를 생성하여, 분쇄원두 공급관(225)을 통해 하방의 가압 실린더부(230)로 공급한다.
가압 실린더부(230)는, 내부에 가압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241)와, 실린더(241)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압 피스톤(243)을 포함하고, 공급된 분쇄 원두와 함께 온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혼합한 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도 차 액상 추출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온수 공급부로부터 내부에 온수가 공급될 때 다량의 습기가 생성되고, 가압 피스톤(243)에 의한 가압 시 발생되는 습기가 케이스(5)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더(220)와 가압 실린더부(230) 사이에 다량의 습기 생성 예정 구역을 설정하고, 습기 생성 예정 구역에서 생성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습기 토출구(231) 및 습기 토출구(231) 주변에 설치되어 습기를 포집하도록 작동되는 습기토출 블로워(233)로 구성된 습기 제거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이 구비된 케이스(5) 내부 중 습기가 다량 생성되는 습기 생성 예정 구역을 미리 설정한 다음, 발생된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분쇄 원두와 같은 재료 등의 뭉침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케이스(5)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습기 생성 예정 구역이,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가압 실린더부(230)의 상측 소정 부위로 설정될 경우, 실린더(241)의 상측에 습기 토출구(231)를 마련한 후 그 주변에 습기토출 블로워(233)를 설치하여 보다 신속한 습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가압 실린더부(230)는, 그라인더(220)와는 별도로 분쇄원두 공급관(225)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해제되어 전후방 수평방향으로 왕복 무빙되게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실린더부(230)의 왕복 무빙 경로 상에는 그라인더(220)와의 연결부에 쌓인 재료 찌꺼기를 가압 실린더부(230)의 왕복 무빙시 브러쉬하여 탈거하는 분진 브러쉬부(237)가 구비될 수 있다.
분진 브러쉬부(237)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무빙되는 가압 실린더부(230)의 상면을 자연스럽게 쓸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청소가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가압 실린더부(230)에 의하여 생성된 액상 커피 원액은 타측 프론트 커버(20)의 배면에 연통되게 구비된 커피원액 노즐부(260)를 통해 타측 프론트 커버(20)의 하단부에 결합된 커피컵 안착단에 구비된 커피 음용 컵에 일정량이 수용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가압 실린더부(230)의 하부에는 가압 실린더부(230)에 의해 생성된 액상 커피 원액과 분리된 커피 슬러지를 보관하는 슬러지 박스(250)가 구비되고, 슬러지 박스 또한 타측 프론트 커버(20)가 제거될 때 수평방향으로 탈거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은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말 크기 및 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일정량의 원두 분말과 온수가 공급되는데, 유량기를 통하여 온수가 원두 분말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원두 분말의 크기 및 양을 센싱할 수 있으며 그라인더를 통하여 원두 분말의 크기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센싱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원두 분말의 크기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커피 원액의 추출을 위해서 온수를 공급할 때 가압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펌프 전단에 정량의 온수가 원두 분말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유량기를 포함한다. 이때, 설정 크기 및 설정량의 원두 분말을 온수가 통과하는 시간(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유량기를 통하여 통과시간을 측정한다.
먼저, 원두 분말의 설정량이 고정된 경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초과 시간) 원두 분말의 크기가 설정 크기보다 작은 것을 의미하고, 짧은 경우(미달 시간) 원두 분말의 크기가 설정 크기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크기를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측정된 통과시간과 기준 시간의 차이가 특정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인 경우 원두 분말의 크기를 제어하며, 특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미만인 경우 설정 크기의 원두 분말로 간주한다.
다음으로, 원두 분말의 설정 크기가 고정된 경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초과 시간) 원두 분말의 양이 설정량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고, 짧은 경우(미달 시간) 원두 분말의 양이 설정량보다 적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양을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측정된 통과시간과 기준 시간의 차이가 특정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인 경우 원두 분말의 양을 제어하며, 특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미만인 경우 설정량의 원두 분말로 간주한다.
원두 분말의 크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그라인더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초과 시간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라인더의 높이를 높여 원두 분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미달 시간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라인더의 높이를 낮춰 원두 분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그라인더에 설치되는 기어 및 제어 신호에 따라 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크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며 제1 모터가 구동되어 기어를 통해 그라인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원두 분말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웜 기어를 구비하여 그라인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원두 분말의 양을 제어하는 경우, 제2 모터를 통하여 그라인더 작동 시간을 조절하여 유입되는 원두 분말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초과 시간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라인딩 시간을 줄여 원두 분말의 양을 감소시키고, 미달 시간으로 측정되는 경우 그라인딩 시간을 늘려 원두 분말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원두 분말의 크기 및 양을 제어하는 동작은 각각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온수 및 냉수 공급은 일반적으로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저장되는 정수 공급통(320)의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차 액상 추출 유닛(100) 또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으로 공급한다.
먼저, 냉수 공급 수단은 정수를 냉각한 후 냉각된 냉수를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는 제빙통(330, 미도시)을 포함한다. 제빙통(330)은 정수 공급통(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수를 응축기 등 냉각장치들과 연결하여 냉각사이클에 의해 급속 냉각시켜 소정의 형태로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여 얼음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수 공급통(3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수가 통과하도록 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빙통(330) 내부에는 관(331)을 포함하여 정수가 상기 관(331) 내부를 정수가 통과하면서 저장되어 있는 얼음에 의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관(331)은 바람직하게는 제빙통을 통과하는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냉수 공급통을 구비할 필요 없이 냉수와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온수 공급 수단은 정수를 가열한 후 급탕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 공급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 공급부의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 방식으로, 냉매의 냉매사이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냉매는 압축기(301)에 의하여 압축된 후, 순차적으로 응축기(303 참조), 팽창밸브 및 증발기(303 참조)를 거쳐 다시 압축기(301)로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구비되고, 응축기 또는 증발기(303 참조)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각각 열교환하도록 구비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는 냉수에 비하여 차 액상 추출 유닛(100) 및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에 동시에 공급되어야 하는 한편,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할 경우 냉매사이클만을 이용한 온수의 공급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온수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상술한 냉매사이클의 응축기를 제1히터라 정의할 경우, 제1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온수가 보관되는 온수 공급통(310)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낮아질 경우, 제1히터와 동시 또는 제1히터와 별도로 작동되어 급탕시키는 제2히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제2히터(3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히터(350)는, 공급된 물의 신속한 가열을 위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히터를 이용하는 터보 보일러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케이스(5) 내부의 부품 교체 및 수리 또는 청소가 필요할 경우,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 액상 추출 유닛(100) 또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200)을 간편하게 착탈하도록 구비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내부 청결을 유지함은 물론, 소비자의 대기 시간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액상 추출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멀티 액상 추출 장치
5: 케이스
10: 일측 프론트 커버
20: 타측 프론트 커버
100: 차 액상 추출 유닛
110: 재료통
120: 공급관
130: 혼합부
200: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
210: 원두 호퍼
220: 그라인더
230: 가압 실린더부
310: 온수 공급통
320: 정수 공급통
330: 제빙통
350: 제2히터

Claims (20)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과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측 프론트 커버,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전면을 커버하는 타측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일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일체 또는 각각이 착탈되게 결합되고, 각각 상기 일측 프론트 커버 및 타측 프론트 커버가 제거된 후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은, 상기 다양한 차의 원재료를 공급하도록 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재료통과
    상기 다수의 재료통으로부터 공급된 차의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 상기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혼합되어 생성된 차 추출 액상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차 액상 노즐부와
    상기 다수의 재료통에 각각 잔존하는 재료의 잔량을 감지하는 재료잔량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잔량 감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된 포토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재료통과, 혼합부 및 차 액상 노즐부는, 상기 전방으로 분리되며,
    상기 다수의 재료통은, 상기 포토센서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다수의 재료통 일부를 투과하여 상기 수광소자로 수광되게 투명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재료통 각각은 상기 재료잔량 감지부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사이로 일부가 돌출되게 재료 감지 리브가 구비된 멀티 액상 추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믹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2 이상의 믹서 중 적어도 하나는, 중력에 의한 선회 교반 믹서로 이루어진 제1믹서부와, 스태틱(static mixer) 믹서로 이루어진 제2믹서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로부터 생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재료통과, 상기 혼합부와, 상기 차 액상 노즐부 및 상기 습기 제거부는,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게 일체로 구비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대해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다수의 재료통과, 상기 차 액상 노즐부와 함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착탈되도록 작동되는 착탈 푸쉬 버튼이 구비된 멀티 액상 추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과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측 프론트 커버,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의 전면을 커버하는 타측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일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일체 또는 각각이 착탈되게 결합되고, 각각 상기 일측 프론트 커버 및 타측 프론트 커버가 제거된 후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상기 분쇄 원두의 원재료인 커피 원두를 공급하도록 상부에 배치된 원두 호퍼와
    상기 원두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급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쇄된 분쇄 원두에 공급된 온수와 혼합한 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가압 실린더부와
    상기 가압 실린더부에 의해 추출된 액상 커피 원액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커피원액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두 호퍼와, 그라인더와, 가압 실린더부 및 커피원액 노즐부는, 일체 또는 각각 상기 전방으로 분리되며,
    상기 가압 실린더부는 상기 그라인더와의 연결부가 해제되어 전후방 수평방향으로 왕복 무빙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압 실린더부의 왕복 무빙 경로 상에는 상기 그라인더와의 연결부에 쌓인 찌꺼기를 상기 가압 실린더부의 왕복 무빙시 브러쉬하여 탈거하는 분진 브러쉬부가 구비된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부 사이에 다량의 습기 생성 예정 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습기 생성 예정 구역에서 생성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습기 토출구 및 상기 습기 토출구 주변에 설치되어 습기를 포집하도록 작동되는 습기토출 블로워로 구성된 습기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일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일체 또는 각각이 착탈되게 결합되고,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분쇄되는 원두 분말의 크기 또는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온수가 원두 분말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유량기를 포함하여, 설정 크기 또는 설정량의 원두 분말을 온수가 통과하는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크기 또는 양을 조절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설치되는 기어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기어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크기 제어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모터가 구동되어 기어를 통해 그라인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원두 분말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모터 및 기어를 통하여 그라인더의 높이를 높이고,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모터 및 기어를 통하여 그라인더의 높이를 낮추어 원두 분말의 크기를 제어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6.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차의 원재료 및 온수를 혼합하여 차 추출 액상을 토출하는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분쇄 원두 및 온수를 혼합하여 액상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과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일부의 구성이 모듈 단위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일체 또는 각각이 착탈되게 결합되고,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은 분쇄되는 원두 분말의 크기 또는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온수가 원두 분말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유량기를 포함하여, 설정 크기 또는 설정량의 원두 분말을 온수가 통과하는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크기 또는 양을 조절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에 따라 원두 분말의 양 제어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모터가 구동되어 기어를 통해 그라인더의 작동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원두 분말의 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모터를 통하여 그라인더의 작동 시간을 줄이고, 상기 유량기를 통하여 측정되는 통과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모터를 통하여 그라인더의 작동 시간을 늘려 원두 분말의 양을 제어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액상 추출 장치는 상기 차 액상 추출 유닛 및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 유닛으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공급부는 얼음을 포함하는 제빙통 및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제빙통 내부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관을 포함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에 의하여 생성된 온수가 보관되는 온수 공급통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낮아질 경우, 상기 제1히터와 동시 또는 상기 제1히터와 별도로 작동되어 급탕시키는 제2히터를 더 포함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터보 보일러로 구비되는 멀티 액상 추출 장치.
KR1020170153626A 2017-11-17 2017-11-17 멀티 액상 추출 장치 KR10206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26A KR102066111B1 (ko) 2017-11-17 2017-11-17 멀티 액상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26A KR102066111B1 (ko) 2017-11-17 2017-11-17 멀티 액상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56A KR20190056556A (ko) 2019-05-27
KR102066111B1 true KR102066111B1 (ko) 2020-01-14

Family

ID=666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26A KR102066111B1 (ko) 2017-11-17 2017-11-17 멀티 액상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18B1 (ko) * 2007-12-12 2010-06-17 이규철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JP2011528928A (ja) * 2008-07-25 2011-12-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飲料をディスペンスするマシン
KR101719358B1 (ko) * 2016-12-05 2017-03-23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드립 커피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518A (en) * 1992-11-05 1993-11-30 Unidynamics Corporation Dual brewer for tea and coffee
JPH06292633A (ja) * 1993-04-09 1994-10-21 Ueda Chikako コーヒーメーカ
KR0131886Y1 (ko) * 1996-06-22 1998-12-01 배순훈 냉장고용 기호품의 잔량검출 표시장치
KR102285134B1 (ko) * 2014-09-12 2021-08-05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 추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18B1 (ko) * 2007-12-12 2010-06-17 이규철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JP2011528928A (ja) * 2008-07-25 2011-12-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飲料をディスペンスするマシン
KR101719358B1 (ko) * 2016-12-05 2017-03-23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드립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56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3487A1 (en)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CN105902168A (zh) 一种浆料型自动咖啡机及其控制系统
KR102101298B1 (ko)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5876726B2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5551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brewing device, especially of a coffee machine
JP5450152B2 (ja) 飲料製造装置
US11793347B2 (en) Magnetically driven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CN101128142A (zh) 用于制备饮料的设备
ITPN20120050A1 (it) MACCHINA DA CAFFEÂeuro¿ AUTOMATICA PER LA PREPARAZIONE DI CAFFEÂeuro¿ ESPRESSO
KR20020089447A (ko) 액체성 음료 분배 기계
KR102066111B1 (ko) 멀티 액상 추출 장치
KR20210136996A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용 초음파 세척기 및 이러한 세척기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JP553798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CN113080709B (zh) 冰咖啡和冰果汁的制作系统及冰咖啡的制作方法
JP4104509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5595752B2 (ja) 飲料製造装置
WO2022118484A1 (ja) 抽出装置
JP2005073868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5324854B2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29396A (ja)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
CN207409057U (zh) 一种无人售货多功能豆浆机
CN218915557U (zh) 一种制造冰块饮料一体机
JP2005245498A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11167395A (ja) 飲料製造装置
CN211355012U (zh) 饮料冲泡桶的恒温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