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818B1 -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18B1
KR100963818B1 KR1020070128883A KR20070128883A KR100963818B1 KR 100963818 B1 KR100963818 B1 KR 100963818B1 KR 1020070128883 A KR1020070128883 A KR 1020070128883A KR 20070128883 A KR20070128883 A KR 20070128883A KR 100963818 B1 KR100963818 B1 KR 10096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powder
air
discharge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887A (ko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102007012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나 국산차와 같은 분말제품을 용기에 담아 자동판매하는 분말 자판기에서의 배출구 주위에 장착되어 액상 분말배출구가 속해 있는 챔버(CHAMBER) 내부의 습기를 적극적으로 제거해 주어 분말자판기 내의 각종 분체 원료(커피, 커피크림, 설탕, 국산차등)의 해당 분체 배출 도관에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또 각 도관의 습기에 의한 막힘 현상을 극소화 시키는 분말 자판기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100)는 중앙에 컵배출구(10)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습공기 흡입공(11)을 다수 개를 뚫고 내부공간(12)에 코일형 방열핀(13)을 내장한 원통형 공기흡입구(20)와,
상기 원통형 공기흡입구(20)와 일체로 제습기 본체(30)가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 본체(30) 상단 전방에는 원통형 공기흡입구(20)로 부터 습공기를 흡입하는 관통공(31)을 뚫고 하단에는 제습기 본체(30)의 습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32)을 형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방열판(41)과 열전소자(42) 및 냉각판(43)을 결합한 열전소자 결합체(40)를 상부에 구비하고, 원통형 공기흡입구(20)의 코일형 방열핀(13)을 방열판(41)과 연결하며,
상기의 열전소자 결합체(40) 아래에는 제습수 수집조(50)를 전방으로 하향되게 설치하여 전방의 제습수 배출구(51)를 통해 제습된 제습수가 배출토록 하였으 며, 제습수 수집조(50) 아래에는 제습공기 배출홴(60)을 설치하여 건조된 공기를 챔버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컵배출구, 습공기 흡입공, 코일형 방열핀, 공기흡입구, 제습기 본체, 관통공, 배출공, 열전소자 결합체, 방열판, 열전소자, 냉각판, 제습수 수집조, 제습수 배출구, 제습공기 배출홴

Description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A powder Vending Machine Dehumidifier device}
본 발명은 커피나 국산차와 같은 분말제품을 용기에 담아 자동판매하는 분말 자판기에서의 배출구 주위에 장착되어 액상 분말배출구가 속해 있는 챔버(CHAMBER) 내부의 습기를 적극적으로 제거해 주어 분말자판기 내의 각종 분체 원료(커피, 커피크림, 설탕, 국산차등)의 해당 분체 배출 도관에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또 각 도관의 습기에 의한 막힘 현상을 극소화 시키는 분말 자판기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자판기의 원통형 액상 분말배출구(AUGER)의 최하단 가장자리에 원주형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액상 분말배출부인 챔버(CHAMBER) 내부의 습 공기를 끌어들이고, 이 공기를 제습한 후 건조된 공기 화로 다시 챔버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된 물은 분말자판기 아래로 유도되어 하부에 있는 배수함으로 흘러들어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습장치를 분말자판기에 장착할 경우 습기에 매우 민감한 분말자판기용 분체 원료의 습기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여 각종 분체 원료의 배출 도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끊임없이 일어나는 분체 배출구 막힘 현상을 방 지할 수 있고 또한 습기로 인한 세균의 발생 가능성을 극소화시켜 상기 분말자판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의 건강에 대한 위해 요소를 크게 줄일 수 있게 개발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의 각종 자판기 설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는 캔이나 병 또는 진공포장 등의 포장 처리된 제품이 내장되어 있는가 하면 반면 포장되지 않은 상태의 원재료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도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제품이 커피를 비롯한 각종 분말차 류 등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분말 차류는 원재료가 분말형태로 자판기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고객들의 조작에 의해 즉시 온수 혹은 냉수 등에 의해 즉석 가공되어 자판기의 하부로 배출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분말 차류는 자판기 상부에 있는 각각의 저장조에 저장되어 대기상태로 있다가 고객의 조작으로 인해 각 저장조와 연결된 배출구에 연결된 게이트의 열림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만큼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별도의 각 분체 배출구는 계속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하므로 미세한 분체가 배출구 입구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또 이 분체들은 모두 흡습성이 강하므로 챔버 내에 상존하는 습기에 의해 바로 끈끈한 겔 상태로 되어 이후 배출구가 열림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결국 배출구 입구를 막아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자판기 운영자는 상기 자판기를 분해하여 청소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은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연평균 상대습도 74%RH로 7월과 8월에는 습도가 특히 높아 전국적으로 80%RH 정도이고, 9월과 10월은 70%RH 내외로 발표되었다.
전국 일부지역의 1월, 2월, 12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습도가 60%RH 이상으로 항상 곰팡이 균의 발육조건에 해당되며 매년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기온과 습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로 커피나, 홍차, 녹차와 같은 분말상태의 차류는 통상적으로 최적의 습도가 45~50%RH 정도에서 항상 정상적인 분말상태를 유지하나 이의 습도를 넘어 버리면 액상 겔 상태로 녹아버린다.
이러한 겔 상의 영양분류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번식 가능하기 때문에 오염된 식품에 의한 식중독의 위험성마저 따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의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챔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주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말자판기의 챔버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를 상기 챔버 내에 장치하도록 하였으며, 분말원료가 물과 혼합하여 액상 차로 형성되는 부위에 집중적인 흡입수단을 가장 효율적인 공간에 설치하도록 하고, 흡입된 습공기를 제습하는 부분 또한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하였으며, 기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분말자판기에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야 하며, 제작 원가가 매우 저렴하고 또 사용상 전력의 소비 등이 매우 적어 운영비용이 저렴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중앙에 컵배출구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습공기 흡입공을 다수 개를 뚫고 내부공간에 코일형 방열핀을 내장한 원통형 공기흡입구와, 상기 원통형 공기흡입구와 일체로 제습기 본체가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 본체 상단 전방에는 원통형 공기흡입구로 부터 습공기를 흡입하는 관통공을 뚫고 하단에는 제습기 본체의 습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방열판과 열전소자 및 냉각판을 결합한 열전소자 결합체를 상부에 구비하고, 원통형 공기흡입구의 코일형 방열핀을 방열판과 연결하며, 상기의 열전소자 결합체 아래에는 제습수 수집조를 전방으로 하향되게 설치하여 전방의 제습수 배출구를 통해 제습된 제습수가 배출토록 하였으며, 제습수 수집조 아래에는 제습공기 배출홴을 설치하여 건조된 공기를 챔버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갓으로 분말 자판기의 챔버 상측에 위치하는 분체원료의 각 이송도관 입구에서의 습기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또 과다한 습기로 인한 챔버 내 세균발생의 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말자판기 액상차 배출부인 챔버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가능한 가장 효과적인 구조설계를 하여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상기 챔버 내의 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신규제작품이 아닌 기존의 분말자판기에도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게 설계하여 그 이용성을 높였다.
또한, 상기 분말자판기를 이용하게 되면 당 자판기 챔버 내의 습기를 언제나 최적 조건하에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 및 커피크림과 설탕 등의 분체 배출구 전단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잦은 분말자판기의 분해 청소를 극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챔버 내의 과다한 습도에 따른 세균의 번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분말자판기를 언제나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자판기이용자들이 세균의 감염됨이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자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자판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100)는 저면에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습공기 흡입공(11)을 다수 개를 뚫고 내부공간(12)에 코일형 방열핀(13)을 내장한 원통형 공기흡입구(20)를 감싸게 둘러싸여 전방이 개구되게 컵배출구(10)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공기흡입구(20)와 일체로 제습기 본체(30)가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 본체(30) 상단 전방에는 원통형 공기흡입구(20)로 부터 습공기를 흡입하는 관통공(31)을 뚫고 하단에는 제습기 본체(30)의 습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32)을 형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방열판(41)과 열전소자(42) 및 냉각판(43)을 결합한 열전소자 결합체(40)를 상부에 구비하고, 원통형 공기흡입구(20)의 코일형 방열핀(13)을 방열판(41)과 연결하며,
상기의 열전소자 결합체(40) 아래에는 제습수 수집조(50)를 전방으로 하향되게 설치하여 전방의 제습수 배출구(51)를 통해 제습된 제습수가 배출토록 하였으며,
제습수 수집조(50) 아래에는 제습공기 배출홴(60)을 설치하여 건조된 공기를 챔버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공기흡입구(20)를 분말 자판기의 챔버(도시하지 않음) 내 컵 배출구의 하단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원통형 공기흡입구(20)의 내부에 코일형방열핀(13)을 구비한 것은 열 전소자 결합체(40) 중에서 방열량이 크 서 큰 체적이 요구되는 방열판(41)의 부하를 줄여 그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 구비하였으며, 상기 코일형방열핀(13)의 후단이 상기 방열판(41)에 접합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코일형방열핀(13)은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작용이 일어나고 따라서 이와 접합되어 있는 원래의 방열판(41)의 부하를 감소시켜 상기 방열판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분말 자판기의 챔버(도시하지 않음)내 컵배출구(10)의 하단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전원을 작동한 다음 분말류의 최적습도인 45~50%RH 에 위치하도록 습도조절스위치를 조절하여 맞춘다.
상기와 같이 습도를 맞춰준 상태로 두면 습도센서에 의해 45%RH에서 50%RH 를 벗어나게 되면 코일형 방열핀(13)에 전류가 통하여 열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제습기 본체(30) 하단의 제습공기 배출홴(60)이 회전을 시작하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단의 배출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습공기 배출홴(60)이 작동하면 제습기 본체(30) 상단의 관통공(31)을 통해 원통형 공기흡입구(20) 내부공간(12)의 공기를 흡입하며, 원통형 공기흡입구(20) 하단면에 만든 습공기흡입공(11)을 통해 챔브 주변의 공기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챔버 주변의 습한 공기를 흡수하면서 코일형 방열핀(13)의 열기와 함께 원통형 공기흡입구(20)와 결합한 제습기 본체(30)의 관통공(31)을 통해 흡입되며, 이와 동시에 코일형 방열핀(13)의 열을 전달받은 방열판(41)의 열이 열전소자(42)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방열판(41)의 열이 열전소자(42)에 전달되면 열전소자(42)에 결합된 냉각응축판(43)에 의해 흡수된 습기는 제습수로 변하여 열전소자 결합체(40) 아래의 제습수 수집조(50) 아래로 모여지며, 제습수 수집조(50)에 모인 제습수는 제습수 배출구(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다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설정한 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습공기 배출홴(60)이 정지함과 동시에 원통형 공기흡입구(20)의 내부공간(12)에 성치된 코일형 방열핀(13)에도 전원이 OFF 되어 더 이상 제습 작동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싸이클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분말 자판기 내의 습기를 제거 배출하여 줌으로 최적의 습도를 유지하여 세균이나 콤팡이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자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자판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컵배출구 11:습공기 흡입공
13:코일형 방열핀 20:공기흡입구
30:제습기 본체 31:관통공
32:배출공 40:열전소자 결합체
41:방열판 42:열전소자
43:냉각판 50:제습수 수집조
51:제습수 배출구 60:제습공기 배출홴

Claims (1)

  1.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100)는 저면에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습공기 흡입공(11)을 다수 개를 뚫고 내부공간(12)에 코일형 방열핀(13)을 내장한 원통형 공기흡입구(20)를 감싸게 둘러싸여 전방이 개구되게 컵배출구(10)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공기흡입구(20)와 일체로 제습기 본체(30)가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 본체(30) 상단 전방에는 원통형 공기흡입구(20)로 부터 습공기를 흡입하는 관통공(31)을 뚫고 하단에는 제습기 본체(30)의 습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32)을 형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방열판(41)과 열전소자(42) 및 냉각판(43)을 결합한 열전소자 결합체(40)를 상부에 구비하고, 원통형 공기흡입구(20)의 코일형 방열핀(13)을 방열판(41)과 연결하며,
    상기의 열전소자 결합체(40) 아래에는 제습수 수집조(50)를 전방으로 하향되게 설치하여 전방의 제습수 배출구(51)를 통해 제습된 제습수가 배출토록 하였으며,
    제습수 수집조(50) 아래에는 제습공기 배출홴(60)을 설치하여 건조된 공기를 챔버 내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KR1020070128883A 2007-12-12 2007-12-12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KR10096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883A KR100963818B1 (ko) 2007-12-12 2007-12-12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883A KR100963818B1 (ko) 2007-12-12 2007-12-12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887A KR20090061887A (ko) 2009-06-17
KR100963818B1 true KR100963818B1 (ko) 2010-06-17

Family

ID=4099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883A KR100963818B1 (ko) 2007-12-12 2007-12-12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556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룩테크 멀티 액상 추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54A (ja) * 1992-06-26 1994-0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たばこ自動販売機
KR200159929Y1 (ko) 1997-06-17 1999-11-01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배기팬 고정케이스
KR200221329Y1 (ko) 2000-11-30 2001-04-16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청소기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의 습기배출장치
KR200347614Y1 (ko) 2004-01-28 2004-04-14 이규철 콘트롤박스용 제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54A (ja) * 1992-06-26 1994-0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たばこ自動販売機
KR200159929Y1 (ko) 1997-06-17 1999-11-01 배길성 자동판매기의 배기팬 고정케이스
KR200221329Y1 (ko) 2000-11-30 2001-04-16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청소기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의 습기배출장치
KR200347614Y1 (ko) 2004-01-28 2004-04-14 이규철 콘트롤박스용 제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556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룩테크 멀티 액상 추출 장치
KR102066111B1 (ko) * 2017-11-17 2020-01-14 주식회사 룩테크 멀티 액상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887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6700B (zh) 一种消毒柜
US4194651A (en) Dispensing and mixing means for water and dehydrated coffee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CN107536283A (zh) 半导体除湿烘干衣柜
KR20130029124A (ko) 건조 감용 처리 장치
KR10085955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63818B1 (ko) 분말자판기용 제습장치
KR101314006B1 (ko) 감 건조기
US20070261721A1 (en) Dishwasher Comprising a Drying Apparatus
ES2332119B2 (es) &#34;procedimiento y equipo para desactivado de granos&#34;.
KR101332453B1 (ko) 남은 음식물 건조기
EP3510902B1 (en) Coffee machine
KR101613974B1 (ko) 매립형 드레스룸 제습기
EP1674837B1 (en) Laundry dryer machine
CN201227425Y (zh) 半导体除湿消毒碗柜
KR101549425B1 (ko) 내부 순환공기에 의한 식품 건조장치
JP2009112557A (ja) 調理機器
CN203407978U (zh) 智能吸尘器
JPS6149978A (ja) 厨芥処理装置
KR100424627B1 (ko) 저온 저습 쌀통
CN217625356U (zh) 一种茶油籽存储装置
CN208286272U (zh) 防止水汽凝结的干果机
JP4149085B2 (ja) 食器乾燥機
CN218898167U (zh) 一种脱水洋葱的自动储存装置
CN207860983U (zh) 一种石韦中药材改进型保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