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997B1 -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997B1
KR102065997B1 KR1020130036290A KR20130036290A KR102065997B1 KR 102065997 B1 KR102065997 B1 KR 102065997B1 KR 1020130036290 A KR1020130036290 A KR 1020130036290A KR 20130036290 A KR20130036290 A KR 20130036290A KR 102065997 B1 KR102065997 B1 KR 10206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elevator
facility
emergency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0494A (en
Inventor
김남훈
송유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99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선체의 거주구실과 기관실 사이를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설물만을 이용하여 선체의 기관실 내에서 은폐되도록 마련된 별도의 대피처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엘리베이터 설비에 대한 후속 제어를 통해 해적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선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선박의 대피 시설물을 개시한다.
전술한 대피 시설물은 선체 내에서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고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통해 내부로 출입 가능한 위치로 배치되고 내부에 생존을 위한 기본 설비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설비를 갖춘 대피처(20),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용을 조절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18)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조작부,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와의 경계부위에 설치되고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갖춘 위장도어(24), 및 엘리베이터 설비에 대한 운용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제어장치(26)를 구비한다.
By using only elevator facilities that allow traffic between the cabin and engine room of the hull, access to a separate shelter designed to be concealed in the engine room of the hull, and by the subsequent control of the elevator facility, prevents pirate access at the source. Initiate a ship evacuation facility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rew.
The above-mentioned evacuation facility is limited to exposure to the outside in the hull and is placed in a location accessible to the interior through only the elevator facility, and evacuation facility having a basic facility for survival and a communication facility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18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toward the shelter 20, and at the boundary with the elevator facility to block entry and exit to the shelter 20. A camouflage door 24 installed and equipped with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and an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nstalled inside the shelter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Description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기관실 내에서 외부로부터 은폐되고 엘리베이터 시설물만을 이용하여 접근 가능한 형태의 대피처를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시 선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선박의 대피 설비와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evacuation facility and its oper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helter of the type concealed from the outside in the hull engine room and accessible only by using elevator facilities and to use the sam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crew in case of emergency. It relates to a ship's evacuation facility and its method of operation that can be ensured.

일반적으로 해상을 운항하는 상업용 선박은 군사용 목적으로 건조된 선박과는 달리 자체적인 방호 설비를 구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적에 의한 피랍 사고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특히, 일반 상선의 경우 수반되는 피랍 사고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파악될 수 있다. In general, commercial ships operating at sea are very vulnerable to external accidents because they do not build their own protection facilities, unlike ships built for military purpo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eneral commercial ships, the causes of the abrupt accidents that accompany them can be identified in two main ways.

그 첫 번째 원인은 외적에 의한 무단 승선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시설물을 갖추고 있지 않은 점을 들 수 있고, 두 번째 원인은 선박 내에서 외적으로부터 선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은폐된 대피 공간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The first reason is that there is no separate facility to prevent unauthorized boarding by the outside, and the second cause is a separate concealed evacuation space to protect the crew from the outside. This is not the case.

즉, 통상의 상업용 선박에는 외부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자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적과 같이 허가받지 않은 자에 의한 피랍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이와 같은 피랍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의 안출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선박의 선실 내에 구비된 도어의 경우에는 양방향의 접근과 개폐를 허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적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since ordinary commercial ships do not have security facilities to restrict intrusion of unauthorized persons from outside, the occurrence of abductions by unauthorized persons such as pirates cannot be prevented at the source. Although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prevent this proble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evising a way to fundamentally resolve it. In particular, the door provided in the cabin of the ship has a limitation in performing a defensive function for the external product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access and opening in both directions.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새롭게 건조되는 선박의 경우에는 외적의 침입을 대비하여 선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별도의 대피처(CITADEL SPACE)에 대한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newly built ships are required to provide a separate shelter (CITADEL SPAC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crew in preparation for invasion of the external.

대피처의 마련에 대한 제반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기존에는 거주구실(Deckhouse), 기관실(Engine room) 또는 특정 창고(Store)를 대피처로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대피처는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은폐된 공간을 제공할 수 없는 개념이므로, 대피처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에 특별한 잠금 장치를 추가하거나 이중 구조의 문(Double door)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문의 두께를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보완책을 함께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shelters, the existing shelter, the engine room, or a specific store is used as a shelter, but the shelter is a space that is completely concealed from the outside. Since it is a concept that cannot be provided, supplementary measures such as adding a special locking device to a door installed at an entrance to a shelter, replacing a double door, or furth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are being taken together.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77833호에 개시된 선박은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선실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선실은 상부 갑판과 기관실 사이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와 이웃하는 부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대피처를 은폐할 수 없는 문제와 함께 유사시 은밀한 탈출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For example, the ship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77833 is building a safety cabin that can protect the crew from pirates. Since these safety cabins are provided with the ballast tank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deck and the engine room and neighboring areas, they cannot hide the evacuation from the outside, and also ha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vert escape in case of emergency.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40153호에 개시된 선박은 선미부의 좌현 또는 우현에 위치한 물탱크 또는 로프 적재구획을 탱크 구조화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피난처의 경우에도 외부로의 노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는 단점과 함께 유사시 선원들이 단시간 내에 은밀하게 피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vessel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40153 provides a shelter tank structured water tank or rope loading compartment located in the port or starboard port of the stern. In the case of such a shelter as well,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exposure to the outside, and in case of emergency, it is difficult for the crew to evacuate in secret in a short time.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77833호의 "해적으로부터 선원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선실을 구비하는 선박"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77833 "Ship with a safety cabin to protect the crew from pirates"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40153호의 "선박에서 해적 피난 대피처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irate evacuation shelter on ship"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4015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체의 거주구실과 기관실 사이를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설물만을 이용하여 선체의 기관실 내에서 은폐되도록 마련된 별도의 대피처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엘리베이터 설비에 대한 후속 제어를 통해 해적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선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선박의 대피 시설물과 이를 활용한 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ccess to a separate shelter provided to be concealed in the engine room of the hull using only the elevator facilities that enable the traffic between the living quarters and the engine room of the hull and through subsequent control of the elevator fac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ship evacua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methods that utilize them to fundamentally block pirates' access to promote crew safe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의 거주구실과 기관실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설비를 이용한 선박의 대피 시설물로서, 선체 내에서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고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통해 내부로 출입 가능한 위치로 배치되고 내부에 생존을 위한 기본 설비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설비를 갖춘 대피처;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ip evacuation facility using an elevator facility located in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shelter compartment and the engine room of the hull, the exposure to the outside in the hull is limited and enters inside through only the elevator facility A shelter located in a possible location and equipped with a basic facility for survival and a communication facility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상기 대피처를 향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용을 조절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조작부; An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toward the shelter;

상기 대피처를 향한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와의 경계부위에 설치되고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갖춘 위장도어; 및 A camouflage door installed at a boundary with an elevator facility to block entry and exit to the shelter and having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And

엘리베이터 설비를 포함한 선박의 주요 설비에 대한 전반적인 운용을 총괄하여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대피처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mergency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helter to collective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equipment of the ship, including the elevator equipment.

상기 대피처는 기관실 내부공간에서 엘리베이터 트렁크와 인접한 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위장도어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elter is formed in the engine room interior space adjacent to the elevator trunk, the camouflag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the elevator trunk.

상기 위장도어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은폐된 형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한정하여 개폐 손잡이와 함께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비상 조작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은폐된 위치에서 무표시 조작버튼으로 설치되며, 상기 대피처와 상기 위장도어는 각각 방화 시설물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ouflage door is installed in a concealed shape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elevator trunk and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limited to the inside, and the emergency operation portion is invisible at the concealed position inside the elevator car. It is installed as an operation button, the shelter and the camouflag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built as a fire prevention facility.

본 발명은 선체의 거주구실과 기관실 사이의 이동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이용하여 내부로 접근 가능한 대피처를 구비하는 선박의 대피 시설물에 대한 운용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된 비상 조작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피처로 선원들을 대피시키는 단계;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method for a ship evacuation facility having a shelter accessible inside by using only the elevator facility in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shelter compartment and the engine room of the hull, by operating an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Evacuating the crew to the shelter;

상기 대피처의 내부에서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작동시켜 상기 대피처의 출입을 위한 위장도어를 폐쇄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Operating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inside the shelter to convert the camouflage door for entry and exit of the shelter into a closed state; And

상기 대피처의 내부에서 비상 제어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대피처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작동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erating an emergency control device within the shelter to move the elevator car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shelter and to cut off the operating power.

본 발명은 상기 비상 제어장치를 작동시켜 선박 내 각종 주요 설비 전체에 대한 운용을 총괄하여 차단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피처로부터 비상 탈출하기 위해 상기 비상 제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매개로 외부로 선원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피처로부터 비상 탈출하기 위해 상기 위장도어를 개방한 다음 엘리베이터 트렁크의 내벽에 설치된 비상 사다리를 이용하여 외부로 선원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ntire main equipment in the vessel by operating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the block control, the elevator equipmen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for emergency escape from the shelter And moving the crews to the outside via the step of opening the camouflage door for emergency escape from the shelter and then moving the crews to the outside using an emergency ladd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trun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은 선체의 기관실 내에서 외부로부터 은폐되는 형태의 별도 대피처를 마련하고, 대피처로의 접근을 선체의 거주구실과 기관실 사이를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설물만을 이용하여 허용함으로써 비상시 선원들의 피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준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evacuation shelter from the outside in the engine room of the hull, and the evacuation of the crew in case of emergency by allowing access to the shelter only by using the elevator facilities that enable traffic between the cabin and the engine room of the hull It can be don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대피처로 선원들을 피난시킨 다음 대피처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후속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시설물을 이용한 해적들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완벽한 형태의 피난 시설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ore complete form of evacuation facilities becaus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access of pirates using elevator facilities based on a series of subsequent control made inside the evacuation center after evacuating the crew to evacuation To provide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대피 시설물에 대한 위치와 그에 따른 접근 경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and the access path according to the evacuation facility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로 하면, 거주구실(10)은 선체의 상부 갑판(12)에 위치하고, 기관실(14)은 상기 상부 갑판(12)의 하부에 위치한다. 엘리베이터 시설은 선체의 거주구실(12)과 기관실(14) 사이를 교통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선원들의 이동을 허용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sidence pit 10 is located on the upper deck 12 of the hull, and the engine room 14 is located below the upper deck 12. An elevator facility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osition that allows traffic between the hull residence room 12 and the engine room 14 to allow movement of the crew.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시설물은 크게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트렁크(16)와, 트렁크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주구실(12)과 기관실(14) 사이의 이동경로에 걸쳐 운행되는 엘리베이터 카(18)로 구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elevator facility is largely an elevator trunk 16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a passage, and an elevator car 18 which is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interior of the trunk and operates over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residence ward 12 and the engine room 14. ) Can be separated.

대피처(20)는 선체의 상부 갑판(12) 아래에 위치한 기관실(14)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는 부위로 마련되고 상기 대피처(20)는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이용하여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대피처(20)는 기관실(14)의 내부공간에서 엘리베이터 트렁크(16)와 인접한 부위로 형성된다. The shelter 20 is provided as a portion where the exposure to the outsid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ngine room 14 located below the upper deck 12 of the hull is limited to enter the interior using only the elevator equipment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In particular, the shelter 20 is form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engine room 14 adjacent to the elevator trunk 16.

이 경우, 상기 대피처(20)는 내부에 피신한 선원들의 생존에 필요로 하는 각종 설비와 함께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설비를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대피처(20)에 마련되는 설비는 비상 발전설비와 조명설비, 환기설비, 비상식량 및 음용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helter 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mmunication facility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long with the various equipment required for the survival of the crew escaped therein. For example, the facilities provided in the shelter 20 may be an emergency power plant and lighting equipment, ventilation equipment, emergency food and drinking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처(20)는 상부 갑판(12)의 하부에서 기관실(14)의 내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기관 조정실(ECR; Engine control room; 22)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대피처(20)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를 통한 접근만을 허용하는 위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피처(20)의 위치가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와 인접한 공간을 활용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부연하자면, 통상의 선박에 있어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는 기관실(14)로부터 거주구실(10) 상부에 이르기까지 수직한 방향으로 교통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거주구실(10)과 기관실(14)의 배치에 따라 상기 대피처(20)의 위치가 특정의 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 조건에 맞춰 최적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helter 20 is located between a separate engine control room (ECR) 22 provided inside the engine room 14 at the bottom of the upper deck 12. At this time, the shelter 20 is preferably limited to a position that allows only access through the elevator trunk (16). That is, the location of the evacuation shelter 20 will be preferably utilized utilizing the space adjacent to the elevator trunk 16. In other words, since the elevator trunk 16 is installed in a normal ship from the engine room 14 to the upper part of the ward compartment 1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or cab 16 and the engine compartment 14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means that the position of the evacuation 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osition but can be set to an optimal position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18)는 비상시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용을 조절하기 위해 내부에 설치되는 수동 방식의 비상 조작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데, 상기 비상 조작부는 기존 엘리베이터 카(18)의 내부에서 노출된 방식으로 구비된 통상의 조작 버튼과는 달리 별도로 은폐된 위치에서 평상시 그 노출을 제한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elevator car 18 has a manual emergency operation unit (not shown) installed therein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toward the shelter 20 in an emergency,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is an existing elevator Unlike conventional operation buttons provided in an exposed manner inside the car 18, it is configured to be normally limited in its exposure in a separately concealed position.

예컨대 상기 비상 조작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그 표면에 아무런 표식이 없 무표시 형태의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져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카(18)는 평상시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운행하지 않고, 유사시에 한정하여 상기 비상 조작부에 대한 별도 조작을 통해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is made of a control button of no display typ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no mark on its surface. That is, the elevator car 18 does not normally travel to the space where the shelter 20 is located, but travels to the space where the shelter 20 is located through a separate operation for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only in case of emergency. You can do it.

또한,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로부터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대피처(20)와 엘리베이터 설비 사이의 경계부위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위장도어(24)는 비상시 출입 제한을 위해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미도시)를 함께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폐 가능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은폐된 상태로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amouflage door 24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helter 20 and the elevator facility to block entry and exit from the elevator trunk 16 to the shelter 20. In particular, the camouflage door 24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not shown) for limiting access to the emergenc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ouflage door 24 is installed in a state concealed from the outside in a position that can be directly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trunk (16).

또한,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18a)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대피처(20)의 내부 공간으로 선회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대피처(20)와 함께 모두 방화 시설물로 구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ouflage door 24 may be installed in a manner of turning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shelter 20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ar door (18a) of the elevator. In particular, the camouflage door 24 is more preferably all constructed with fire protection facilities together with the shelter (20).

또한,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표면 높이와 같은 평면상에서 외부 노출을 제한받는 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개폐용 손잡이의 경우에는 외부로의 노출과 조작의 원천적인 차단을 목적으로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한정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위장도어(24)는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갖지 않는 은폐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엇보다도 상기 위장도어(24)의 외부 표면은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내부 표면과 구분될 수 없도록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mouflage door 24 is formed in a form that is limited to the external exposure on the same plane as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elevator trunk 16,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riginal blocking of exposure to the outside and operation. It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e interior of the shelter 20. That is, the camouflage door 24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concealed form without having a portion projecting outward, and above all, the outer surface of the camouflage door 24 is distinguish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or trunk 16. More preferably, they are painted in the same color.

한편, 비상 제어장치(26)는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비상시 엘리베이터 설비를 포함한 선박의 주요 설비에 대한 전반적인 운용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s provided separately in the shelter 20,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equipment of the ship, including the elevator equipment in case of emergenc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대피 시설물에 대한 운용 방법으로서 유사시 대피처(20)를 활용한 선원들의 대피 방법과 비상탈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vacuation method and emergency escape method of the crew using the shelter 20 in case of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선원들의 대피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의 운항중 해적에 의한 침입을 인지하게 되면, 모든 선원들은 신속하게 대피처(20)와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이용한 피난을 준비한다. 이때 파일럿(Pilot)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해적의 침입 신호를 발생하고 필요한 관련 조치를 취한 후 선원들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18)의 승강을 대기한다. First,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crew is as follows. When the ship detects intrusion by pirates during operation, all the crews quickly move to the nearest location to the shelter 20 to prepare for evacuation using the elevator facility. At this time, the pilot generates a pirate intrus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takes necessary measures, and waits for the elevator car 18 to follow the crew.

이어, 선원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8)에 탑승한 다음, 내부에 은폐된 위치에서 위장된 상태로 설치된 비상 조작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18)의 운행을 제어한다. 즉, 평상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18)는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한 층으로 운행을 하지 못하다가 상기 비상 조작부의 작동을 통해서만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하고 있는 층으로 운행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ailors board the elevator car 18, and then operate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 a camouflaged position in a concealed posi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8 to the floor where the evacuation center 20 is located. do. That is, the elevator car 18 may not travel to the floor on which the shelter 20 is located, but may travel to the floor on which the shelter 20 is located onl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이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18)의 카 도어(18a)가 개방되면, 상기 위장도어(24)를 개방시켜 상기 대피처(20)의 내부 공간으로 피신한다. 이때, 상기 위장도어(24)는 외부로 노출된 개폐용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동 조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개방된다. 예컨대, 상기 위장도어(24)가 내부 선회식 구조이면, 선원들은 상기 위장도어(24)를 상기 대피처(2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밀어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피 과정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8)의 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내벽에 설치된 별도의 비상 사다리를 이용하여 상기 대피처(20)로 피신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car door 18a of the elevator car 18 is opened, the camouflage door 24 is opened to evacuate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evacuation shelter 20. At this time, the camouflage door 24 is forcibly opened by manual operation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if the camouflage door 24 has an internal pivoting structure, the crew can push the camouflage door 24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shelter 20 to open it.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car 18 is not normally operated in the evacu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ossible to evacuate to the shelter 20 by using a separate emergency ladd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trunk 16. have.

이어,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선박 내 모든 선원들의 대피가 완료되면, 상기 위장도어(24)의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조작하여 도어를 강제로 폐쇄시켜 외부로부터 상기 대피처(20)의 내부로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Subsequently, when the evacuation of all the sailors in the vessel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by operating the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of the camouflage door 24 to forcibly close the door to the inside of the shelter 20 from the outside Block intrusion into the source at the source.

이어,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있는 상기 비상 제어장치(26)를 조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8)를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 내에서 상기 대피처(20)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엘리베이터 카(18)의 작동 전원을 차단시켜 운행을 중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설비를 이용한 접근을 차단한다. 즉, 상기 비상 제어장치(26)의 조작을 통해 비상시 엘리베이터 설비를 비롯하여 선박 내 각종 주요 설비 전체에 대한 운용을 총괄하여 차단 제어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에 필요로 하는 각종 설비의 작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대피처(20)로의 진입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한다. Then, by operating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n the interior of the shelter 20 to move the elevator car 18 in the elevator trunk 16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shelter 20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8 to stop the operation, the access using the elevator equipment is block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2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all the major facilities in the vessel, including the elevator facilities in case of emergency, there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faciliti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 and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entering the shelter 20 is more actively blocked.

또한, 상기 대피처(20)의 내부로 피신한 다음에는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외부로 전파하고,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비치된 비상 발전설비와 조명설비, 환기설비, 비상식량 및 음용수 등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생존 환경에서 구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안전을 확보하면 된다. In addition, after evacuating to the interior of the shelter 20, us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o propagate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outside,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lighting equipment, ventilation equipment, emergency facilities provided inside the shelter 20 Food and drinking water can be used to ensure safety until rescue is achieved in a minimal living environment.

한편, 유사시 상기 대피처(20)로부터 선원들의 비상탈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대피처(20)의 내부로 선원들을 모두 피신시킨 후 화재나 폭발 또는 다른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대피처(20) 내에서 상기 비상 제어장치(26)를 조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8)의 운행을 가능하도록 전환하고, 이를 통해 피난 선원들을 거주구실(10)이나 상부 갑판(12) 등으로 탈출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mergency, the emergency escape method of the crew from the shelter 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fter the evacuation of all the crew inside the shelter 20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if a fire or explosion or other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n the shelter 20 By operating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8,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escape the evacuation crew to the residence premises 10, the upper deck 12 and the like.

이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동작이 불가능할 때에는 상기 위장도어(24)를 개방한 다음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내벽에 설치된 비상 사다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상부로 이동하고, 이어 거주구실(10)이나 상부 갑판(12) 등으로 탈출하면 된다. In this process,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equipment is impossible, the camouflage door 24 is opened and then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trunk 16 by using an emergency ladd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trunk 16, and then the living quarter room ( 10) or the upper deck 12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as set forth below.

10-거주구실 12-상부갑판
14-기관실 16-엘리베이터 트렁크
18-엘리베이터 카 18a-카 도어
20-대피처 22-기관조정실
24-위장도어 28-비상제어장치
10-residential room 12-upper deck
14-engine room 16-elevator trunk
18-elevator car 18a-car door
20- evacuation 22- machinery control room
24-camouflage door 28-emergency control device

Claims (10)

선체의 거주구실(10)과 기관실(14) 사이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설비를 이용한 선박의 대피 시설물로서,
선체 내에서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고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통해 내부로 출입 가능한 위치로 배치되고 내부에 생존을 위한 기본 설비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설비를 갖춘 대피처(20);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운용을 조절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18)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조작부;
상기 대피처(20)를 향한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설비와의 경계부위에 설치되고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갖춘 위장도어(24); 및
엘리베이터 설비에 대한 운용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 제어장치(26);를 구비하며,
상기 대피처(20)는 상기 기관실(14) 내부공간에서 엘리베이터 트렁크(16)와 인접한 위치로 형성되되,
상기 대피처(20)는 상부 갑판(12)과 상기 기관실(14)의 내부에 마련되는 기관 조정실(ECR; Engine control room; 2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위장도어(24)는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은폐된 형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한정하여 개폐 손잡이와 함께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 조작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8) 내부의 은폐된 위치에서 무표시 조작버튼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대피 설비.
As a ship evacuation facility using an elevator facility located in the path of movement between the shelter compartment 10 and the engine compartment 14 of the hull,
An evacuation shelter 20 having limited exposure to the outside in the hull and being positioned in and out of the interior only through elevator equipment and having a basic facility for survival and a communication facility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18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toward the shelter 20;
A camouflage door 24 installed at a boundary with an elevator facility to block entry and exit to the shelter 20 and having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And
And an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nstalled inside the shelter 2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acility.
The shelter 20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elevator trunk 16 in the engine room 14,
The shelter 2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deck 12 and the engine control room (ECR) 22 provided in the engine room 14,
The camouflage door 24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trunk 16,
The camouflage door 24 is installed in a concealed form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elevator trunk 16 and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limited to the inside,
The emergency op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cuation facility of the ship,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oncealed position in the elevator car 18 as a non-display operation bu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처와 상기 위장도어는 각각 방화 시설물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대피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vacuation facility and the camouflage door are each evacuation facility of the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as a fire prevention facility.
선체의 거주구실(10)과 기관실(14) 사이의 이동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설비만을 이용하여 내부로 접근 가능한 대피처(20)를 구비하는 선박의 대피 시설물에 대한 운용 방법으로서,
평상시 상기 대피처(20)가 위치한 층으로 운행을 하지 못하는 엘리베이터 카(18)의 내부에 설치된 비상 조작부를 작동시켜 상기 대피처(20)로 선원들을 대피시키는 단계;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서 기계식 내부 잠금설비를 작동시켜 상기 대피처(20)의 출입을 위한 위장도어(24)를 폐쇄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대피처(20)의 내부에서 비상 제어장치(26)를 작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18)를 상기 대피처(20)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 작동 전원을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대피처(20)로부터 비상 탈출하기 위해 상기 위장도어(24)를 개방한 다음 엘리베이터 트렁크(16)의 내벽에 설치된 비상 사다리를 이용하여 외부로 선원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대피 설비 운용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on for a ship evacuation facility having a shelter 20 accessible internally using only the elevator facility in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shelter compartment 10 and the engine room 14 of the hull,
Evacuating the crew to the shelter 20 by operating an emergency ope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18 which cannot normally travel to the floor on which the shelter 20 is located;
Operating a mechanical internal locking device inside the shelter 20 to convert the camouflage door 24 for entry and exit of the shelter 20 into a closed state;
Operating an emergency control device (26) inside the shelter (20) to move the elevator car (18)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shelter (20) and to cut off the operating power;
Opening the camouflage door 24 to emergency escape from the shelter 20, and then moving the crews to the outside using an emergency ladder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trunk 16; How to operate a ship's evacuation facilit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장치를 작동시켜 선박 내 각종 주요 설비 전체에 대한 운용을 총괄하여 차단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대피 설비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nd operating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to collectively block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all the various major facilities in the ship.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36290A 2013-04-03 2013-04-03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065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90A KR102065997B1 (en) 2013-04-03 2013-04-03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90A KR102065997B1 (en) 2013-04-03 2013-04-03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94A KR20140120494A (en) 2014-10-14
KR102065997B1 true KR102065997B1 (en) 2020-02-11

Family

ID=5199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90A KR102065997B1 (en) 2013-04-03 2013-04-03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9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44Y1 (en) 2020-01-31 2021-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etective door for shi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275A (en) * 1988-07-06 1990-01-22 Toshiba Corp Escape device for elevator
KR20100077833A (en) 2008-12-29 2010-07-08 백순화 Separation stlye book
KR101623585B1 (en) 2009-10-13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ye-Sensitized Solar 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KR101215593B1 (en) * 2010-08-12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aving a safety cabin for protecting crew from pirates
KR101271139B1 (en) * 2010-10-12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odule type Accommodation for ship
KR101259072B1 (en) * 2010-12-14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having fortified engine room for protecting crew from pi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94A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7809B (en) International voyage anti-piracy ship and defense method
CN202754129U (en) International voyage anti-piracy ship
KR102065997B1 (en) Citadel facilities of vessel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US7331302B2 (en) Quick close security door system
KR20130102272A (en) Camouflage door device for crew escaping emergency and shelter mounted with the same
KR200479717Y1 (en) Invasion blocking device, vessel or ocean construction including the same
JP2012206672A (en) Intrusion preventing structure for vessel
KR20140004028U (en) Living quarter stairway structure residence for intrusion prevention pirates
KR20140003418U (en) The Pirate Trespassing Prevention Structure of outside Inclined Ladder
KR20130052345A (en) Container ship having improved structure of deck house
KR101455653B1 (en) Intrusion prevention ship
KR101616305B1 (en) Method for Management for Sea Robber for Ship
KR101674344B1 (en) Helicopter Take-off and Landing Facilities with Movable Access Platform
KR20150047728A (en) Citadel of Secret Structure for Ship
CN113799930A (en) Ship safety cabin
KR20120106375A (en) Camouflage entrance of sailor refuge
KR101408353B1 (en) Citadel structure of ship deck house
KR20140068435A (en) Install structure of citadel for ship
CN204754500U (en) A lock of fleing fast for ship's space
KR20150045276A (en) Citadel steering gear room of ship for prevent to piracy
KR20150001013U (en) Refuge of sheep
KR20200114244A (en) Vessel equipped with pirates trap
CN104895417A (en) Rapid escape lock used for ship cabin
KR20140083951A (en) Structure of Escape for Emergency in Ship
KR20140145793A (en) A security window structure of ship's deck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