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17B1 -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17B1
KR102065617B1 KR1020180080180A KR20180080180A KR102065617B1 KR 102065617 B1 KR102065617 B1 KR 102065617B1 KR 1020180080180 A KR1020180080180 A KR 1020180080180A KR 20180080180 A KR20180080180 A KR 20180080180A KR 102065617 B1 KR102065617 B1 KR 10206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ock absorber
metal unit
uni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쇽 업소버의 실린더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트라이킹 캡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 쇽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의 금속 유닛, 및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 유닛의 하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금속 유닛의 통공과 겹쳐지는 통공이 형성된 실린더 폐쇄부, 및 실린더 폐쇄부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실린더 상부의 외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유닛을 구비한다. 금속 유닛의 상측면은 쇽 업소버에 구비된 범퍼 스토퍼와 충돌한다.

Description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Striking cap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실린더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린더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스트라이킹 캡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시 울퉁불퉁한 노면의 상태가 차량 내의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면 되어 불편한 승차감이 유발된다. 이러한 불편한 승차감을 완화시키고자 차량에는 현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현가장치는 완충 역할을 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킹 캡이 적용된 쇽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쇽 업소버(1)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 내부에 하측부가 삽입된 채로 상기 실린더(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8)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는 내부관(2a)과 상기 내부관(2a)을 에워싸는 외부관(2b)을 구비하는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단일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린더(2)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가 채워진다.
피스톤 로드(8)의 하단부에는 감쇠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피스톤 밸브(미도시)가 결합된다. 피스톤 로드(8)는 실린더(8)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 가이드(4)에 의해 승강 운동이 안내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 가이드(4)의 상측에는 작동유의 누유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일 씰(oil seal)(5)이 설치된다.
쇽 업소버(1)는 실린더(2)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여 실린더(2)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고, 실린더(2)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스트라이킹 캡(striking cap)(6)을 구비한다. 상기 스트라이킹 캡은 실린더 캡(cylinder cap)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스트라이킹 캡(6)은 외주부가 실린더(2)의 외부관(2b) 상단부에 압입 결합된다. 스트라이킹 캡(6)의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8)가 관통하는 통공(7)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쇽 업소버(1)는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실린더(2)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 더스트 커버(dust cover)와, 피스톤 로드(8)가 끼워지도록 상기 더스트 커버 내부에 설치된 범퍼 스토퍼(bumper stopper)를 더 구비한다. 차량 주행 중에 노면 상태로 인해 피스톤 로드(8)가 실린더(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범퍼 스토퍼가 스트라이킹 캡(6)에 충돌하여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스트라이킹 캡(6)은 원가 절감을 위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범퍼 스토퍼가 스트라이킹 캡(6)에 충돌하는 상황에서 방향 전환을 위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회전시키면, 상기 범퍼 스토퍼와 스트라이킹 캡(6) 상측면의 마찰에 의해 소위 '스퀵 노이즈(squeak noise)'라고 불리우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 스트라이크 캡(6)을 금속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제조하면, 상기 스퀵 노이즈는 완화되지만, 원가가 높아지고, 스트라이크 캡(6) 내측면에 공기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유로를 형성하기 어려워 이물질이 스트라이킹 캡(6) 내주면 측에 축적되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68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720호
본 발명은, 범퍼 스토퍼와 충돌시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억제되고, 제조 원가도 절감되는 스트라이킹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쇽 업소버(shock absorber)의 실린더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것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 상기 쇽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디스크(disk) 형상의 금속 유닛, 및 플라스틱(plastics)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금속 유닛의 하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금속 유닛의 통공과 겹쳐지는 통공이 형성된 실린더 폐쇄부, 및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 상부의 외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유닛의 상측면은 상기 쇽 업소버에 구비된 범퍼 스토퍼(bumper stopper)와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striking cap)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 유닛은, 자신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된 하향 절곡부와, 상기 하향 절곡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내측 절곡부를 구비한 내측 언더컷(undercut)을 구비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은 상기 금속 유닛을 금형 내부에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에 대응되는 용융 수지를 상기 금형 내부에 사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삽입 사출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 형성되고, 실린더 폐쇄부는 상기 금형 내부에 사출 주입된 용융 수지가 상기 내측 언더컷에 접촉되도록 채워지고 경화되어 형성된 외측 언더컷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언더컷과 상기 외측 언더컷이 후크(hook) 결합되어, 상기 금속 유닛과 상기 플라스틱 유닛은 양 자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금속 유닛은, 자신의 상측면에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과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상향 돌출되고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연장된 복수의 방사 방향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유닛은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이 자신의 상측면에 접촉될 때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가 도포된 마찰 저감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하측면에는 공기 및 이물질이 방사 방향으로 흘러 나가도록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방사 방향 채널(channel)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사 방향 채널의 외주 방향 말단과 이어지도록 아래로 연장된 복수의 하향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하향 채널 사이에 상기 실린더 상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린더 밀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하측면과 상기 실린더의 상단 사이에 상기 금속 유닛과 플라스틱 유닛의 통공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 씰(dust seal)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은, 상단부에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 유닛을 구비하여, 범퍼 스토퍼와 충돌하는 경우에도 '스퀵 노이즈(squeak noise)'라고 불리우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억제된다. 따라서, 차량 탑승시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금속 유닛에 방사 방향 돌기 또는 마찰 저감층이 구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퀵 노이즈가 더욱 억제되어 차량 승차감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트라이킹 캡은 상기 금속 유닛 아래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플라스틱 유닛을 구비하므로 모든 부분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스트라이킹 캡보다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유닛의 내측면에는 스트라이킹 캡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방사 방향 채널과 하향 채널이 형성되어서,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야기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킹 캡이 적용된 쇽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킹 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S-S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S-S에 따라 절개하고 잔존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킹 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S-S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를 S-S에 따라 절개하고 잔존하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10)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라이킹 캡(6)을 대신하여 쇽 업소버(1)의 실린더(2)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실린더(2) 상부에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킹 캡(10)은 금속 유닛(11)과 플라스틱 유닛(25)을 구비한다.
금속 유닛(11)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 쇽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8)(도 1 참조)가 관통하는 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 유닛(11)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금속판을 프레스(press)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유닛(25)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 상기 금속 유닛(11)의 통공(12)과 겹쳐지는 통공(27)이 형성된 실린더 폐쇄부(26), 및 상기 실린더 폐쇄부(26)의 외주에서 아래로, 즉 Z축 음(-)의 방향과 평행하게 절곡 연장되어 실린더(2) 상부의 외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32)를 구비한다. 금속 유닛(11)의 통공(12)과 실린더 폐쇄부(26)의 통공(27)이 구분되지 않게 이어져서 상기 피스톤 로드(8)가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 관통공(PH)이 된다.
상기 실린더 폐쇄부(26)는 상기 금속 유닛(11)의 하측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킹 캡(10)은 금형(미도시) 내부에 마련된, 스트라이킹 캡(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cavity)에 상기 금속 유닛(11)을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에 대응되는 용융 수지를 상기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사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삽입 사출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금속 유닛(11)에 일체로 결합된 플라스틱 유닛(25)이 형성된다.
금속 유닛(11)은 자신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된 하향 절곡부(21)와, 상기 하향 절곡부(2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즉 피스톤 로드(8)(도 1 참조)의 축선(CX)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내측 절곡부(22)를 구비한 내측 언더컷(undercut)(20)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유닛(25)의 실린더 폐쇄부(26)는, 상기 금형 내부에 사출 주입된 용융 수지가 상기 내측 언더컷(20)에 접촉되도록 채워지고 경화되어 형성되는 외측 언더컷(29)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 유닛(11)의 내측 언더컷(20)과 플라스틱 유닛(25)의 외측 언더컷(29)이 후크(hook) 결합, 다시 말해 마치 후크(hook)처럼 분리되지 않게 서로 결합되어서, 금속 유닛(11)과 플라스틱 유닛(25)은 양 자(11, 25)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파손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차량 주행 중에 노면 상태로 인해 상기 피스톤 로드(8)가 상기 실린더(2)(도 1 참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금속 유닛(11)의 상측면은 쇽 업소버(1)(도 1 참조)에 구비된 범퍼 스토퍼(미도시)와 충돌한다. 금속 유닛(11)은 자신의 상측면에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과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상향 돌출되고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연장된 복수의 방사 방향 돌기(14, 15)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 유닛(11)은 플라스틱 소재가 아닌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범퍼 스토퍼(미도시)와의 충돌시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경우보다 소음이 작지만, 이에 더하여 상기 방사 방향 돌기(14, 15)를 구비하여 상측면이 편평한 경우보다 충돌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범퍼 스토퍼와 금속 유닛(11)의 충돌시에 소음이 더욱 감소된다.
또한, 상기 금속 유닛(11)의 상측면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 따라 연장되고 일정한 폭으로 파여진 고리형 홈(ring type groove)(16)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 유닛(11)은 상기 고리형 홈(16)의 바닥에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된 마찰 저감층(17)을 구비한다. 상기 PTFE 수지는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이다. 상기 마찰 저감층(17)은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이 금속 유닛(11)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유닛(11)이 상기 범퍼 스토퍼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마찰을 저감시켜, 상기 스퀵 노이즈라고 불리는 소음을 억제한다.
상기 고리형 홈(16)으로 인하여, 상기 방사 방향 돌기(14, 15)는 제1 방사 방향 돌기(14)와 제2 방사 방향 돌기(15)로 분할되고, 양 자(14, 15) 사이에 상기 고리형 홈(16)에 도포된 마찰 저감층(17)이 배치된다. 상기 범퍼 스토퍼(미도시)와 상기 금속 유닛(11)이 충돌할 때에는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이 제1 방사 방향 돌기(14) 또는 제2 방사 방향 돌기(15)의 상단에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상기 범퍼 스토퍼 하단이 금속 유닛(11)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유닛(11)이 상기 범퍼 스토퍼에 대해 회전하면,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이 상기 제1 방사 방향 돌기(14) 또는 제2 방사 방향 돌기(15) 상단에서 상기 고리형 홈(16)으로 안내되어 상기 마찰 저감층(17)에 접촉되고, 상기 금속 유닛(11)의 상측면은 범퍼 스토퍼의 하단에 대해 미끄러지듯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 폐쇄부(26)의 하측면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 축선(CX)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파여진 복수의 방사 방향 채널(channel)(30)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결합부(32)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방사 방향 채널(30)의 외주 방향 말단과 이어지도록 아래로 연장된 복수의 하향 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결합부(32)는 상기 복수의 하향 채널(33) 사이에 상기 실린더(2)(도 1 참조) 상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실린더 밀착면(35)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실린더 밀착면(35)은 상기 복수의 하향 채널(33)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 결합부(32)에서 단차지게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주면이다.
차량 운행 중에 상기 피스톤 로드 관통공(PH)을 통해 예컨대, 먼지, 파티클(particle), 오수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방사 방향 채널(30)을 통해 상기 공기와 이물질이 방사 방향으로 흘러 나가고, 상기 복수의 하향 채널(33)을 통해 상기 공기와 이물질이 아래로 방향 전환하여 흘러서 실린더(2)(도 1 참조)의 바깥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스트라이킹 캡(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스트라이킹 캡(10) 내부에 정체되거나 실린더(2)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실린더 폐쇄부(26)의 하측면과 실린더(2)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오일 씰(oil seal)(5)(도 1 참조)과 별개로, 상기 피스톤 로드 관통공(PH)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 씰(dust seal)(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씰은 상기 스트라이킹 캡(10)에 조립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스트라이킹 캡(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실린더 결합부(32)의 하단에는 직경이 커지도록 방사 방향으로 확장된 하단 플랜지(flange)(37)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 플랜지(37)에는 쇽 업소버(1)(도 1 참조)의 더스트 커버(dust cover) 하단부가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트라이킹 캡(10)은, 상단부에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 유닛(11)을 구비하여, 범퍼 스토퍼와 충돌하는 경우에도 소위 스퀵 노이즈(squeak noise)라고 불리우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억제된다. 따라서, 차량 탑승시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금속 유닛(11)에 복수의 방사 방향 돌기(14, 15)와 마찰 저감층(17)이 구비되어, 상기 스퀵 노이즈가 더욱 억제되며 차량 승차감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스트라이킹 캡(10)은 금속 유닛(11) 아래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플라스틱 유닛(25)을 구비하므로 모든 부분이 금속 소재로 형성된 스트라이킹 캡보다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유닛(25)의 내측면에는 스트라이킹 캡(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방사 방향 채널(30)과 하향 채널(33)이 형성되어서, 스트라이킹 캡(10)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야기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트라이킹 캡 11: 금속 유닛
14, 15: 방사 방향 돌기 17: 마찰 저감층
25: 플라스틱 유닛 26: 실린더 폐쇄부
30: 방사 방향 채널 32: 실린더 결합부
33: 하향 채널 35: 실린더 밀착면

Claims (6)

  1. 쇽 업소버(shock absorber)의 실린더 상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것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에 상기 쇽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디스크(disk) 형상의 금속 유닛; 및,
    플라스틱(plastics)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금속 유닛의 하측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금속 유닛의 통공과 겹쳐지는 통공이 형성된 실린더 폐쇄부, 및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 상부의 외주면에 압입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유닛의 상측면은 상기 쇽 업소버에 구비된 범퍼 스토퍼(bumper stopper)와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striking cap).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유닛은, 자신의 외주에서 아래로 절곡 연장된 하향 절곡부와, 상기 하향 절곡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내측 절곡부를 구비한 내측 언더컷(undercut)을 구비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은 상기 금속 유닛을 금형 내부에 삽입 안착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에 대응되는 용융 수지를 상기 금형 내부에 사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삽입 사출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 형성되고,
    실린더 폐쇄부는 상기 금형 내부에 사출 주입된 용융 수지가 상기 내측 언더컷에 접촉되도록 채워지고 경화되어 형성된 외측 언더컷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언더컷과 상기 외측 언더컷이 후크(hook) 결합되어, 상기 금속 유닛과 상기 플라스틱 유닛은 양 자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유닛은, 자신의 상측면에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과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상향 돌출되고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연장된 복수의 방사 방향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유닛은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이 자신의 상측면에 접촉될 때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가 도포된 마찰 저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하측면에는 공기 및 이물질이 방사 방향으로 흘러 나가도록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방사 방향 채널(channel)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사 방향 채널의 외주 방향 말단과 이어지도록 아래로 연장된 복수의 하향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하향 채널 사이에 상기 실린더 상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린더 밀착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폐쇄부의 하측면과 상기 실린더의 상단 사이에 상기 금속 유닛과 플라스틱 유닛의 통공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 씰(dust seal)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KR1020180080180A 2018-07-10 2018-07-10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KR10206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0A KR102065617B1 (ko) 2018-07-10 2018-07-10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0A KR102065617B1 (ko) 2018-07-10 2018-07-10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17B1 true KR102065617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80A KR102065617B1 (ko) 2018-07-10 2018-07-10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498A (ko) 2022-01-11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음 및 이탈력이 향상된 스트라이커 캡용 조성물, 스트라이커 캡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01B1 (ko) * 2007-05-03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캡 부재
KR101276870B1 (ko) 2009-06-22 2013-06-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실린더 캡
KR20160069719A (ko) * 2014-12-09 2016-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단 플라스틱 스트라이커 캡
KR101815598B1 (ko) * 2016-06-29 2018-01-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KR101836720B1 (ko) 2016-10-1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쇽업소버 스트라이킹 캡
KR101867355B1 (ko) * 2016-12-19 2018-06-14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범퍼 스토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01B1 (ko) * 2007-05-03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캡 부재
KR101276870B1 (ko) 2009-06-22 2013-06-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실린더 캡
KR20160069719A (ko) * 2014-12-09 2016-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단 플라스틱 스트라이커 캡
KR101815598B1 (ko) * 2016-06-29 2018-01-0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KR101836720B1 (ko) 2016-10-1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쇽업소버 스트라이킹 캡
KR101867355B1 (ko) * 2016-12-19 2018-06-14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범퍼 스토퍼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498A (ko) 2022-01-11 2023-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음 및 이탈력이 향상된 스트라이커 캡용 조성물, 스트라이커 캡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583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구조
US8292312B2 (en) Stabilizer bushing for vehicle
US8585069B2 (en) Telescopic suspension fork leg and telescopic suspension fork provided therewith
KR100989753B1 (ko) 유압 완충기의 체크 시일 구조
KR102065617B1 (ko) 쇽 업소버의 스트라이킹 캡
JP200628397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及び該ショックアブソーバ中における制動力付与方法
US20020063024A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08519945A (ja) エラストマベアリ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リーブベアリングならびに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101979795B1 (ko) 쇽 업소버 실린더 캡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US5765666A (en) Suspension struts
JP2016001024A (ja) シール装置
KR10175641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조립구조
KR20200115755A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JPWO2019221098A1 (ja) シリンダ装置
US6863277B2 (en) Piston ring for the piston of a vibration damper
KR101768022B1 (ko) 철도차량용 댐퍼의 오일씰
EP0362815A2 (en) A container-rod assembly
KR102440003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CN111706638B (zh) 一种液压复合衬套及其密封方法
KR102107479B1 (ko) 모노 튜브식 쇽 업소버의 프리 피스톤
KR101961336B1 (ko) 이중 씰 구조가 적용된 쇼크 업소버
EP1359342A1 (en) Fluid-filled mount
KR101971469B1 (ko)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용 3차 사출금형장치
WO2019101475A1 (en) Dirt scrapper assembly
JP6407003B2 (ja) バンパキャップおよび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