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10B1 -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10B1
KR102061910B1 KR1020130089612A KR20130089612A KR102061910B1 KR 102061910 B1 KR102061910 B1 KR 102061910B1 KR 1020130089612 A KR1020130089612 A KR 1020130089612A KR 20130089612 A KR20130089612 A KR 20130089612A KR 102061910 B1 KR102061910 B1 KR 10206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etainer
coupled
sid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010A (ko
Inventor
박소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노브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커버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리테이너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노브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노브를 노브가 회전하는 일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노브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리테이너와 접촉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리테이너는 리테이너의 내측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리브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노브 어셈블리을 제공하여, 글로브 박스 개폐 작동 시 발생하는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Knob Assembly and Glove Bo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 박스 개폐 작동 시 발생하는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조수석 전방의 크래쉬 패드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수납공간으로서 내부에 간단한 사물들을 넣어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수납된 사물들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 글로브 박스(glove box)가 제공되고 있다.
이 글로브 박스는 전면부에 커버가 위치하며, 특히 글로브 박스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록킹(locking)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록킹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록킹 시스템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 글로브 박스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다.
록킹 시스템의 예로서 일부 차량에서는 커버에 마련되는 노브를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가 열리며 다시 커버를 밀어서 닫으면 쉽게 닫혀지는 구조가 적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노브는,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사용자가 힘을 해제하면 다시 원위치되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는, 노브를 회전시킨 후 힘을 해제하면 노브가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원위치될 때 노브를 수용하는 리테이너에 접촉되면서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로브 박스 개폐 작동 시 발생하는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커버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노브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상기 노브가 회전하는 일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너와 접촉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리브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접촉부와 함께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노브의 양 측부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노브 어셈블리;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로드 각각의 타단이 거치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관통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상기 관통부에 삽입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양 측면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양 측면에 상기 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노브를 상기 노브가 회전하는 일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운동 전환캠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너와 접촉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상기 리브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접촉부와 함께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노브의 양 측부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에 따르면, 글로브 박스 개폐 작동 시 발생하는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노브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노브에 운동 전환캠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노브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노브에 운동 전환캠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노브 어셈블리의 평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박스(1)는, 하우징(100), 커버(200), 노브 어셈블리(300), 노브 어셈블리(3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로드(400),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로드(400)의 단부가 거치되는 베젤부(1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된다.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하우징(100)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 어셈블리(300)는, 커버(2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노브 어셈블리(300)는, 커버(20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결합공(312)이 형성되는 리테이너(310)와,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322a)이 형성된 관통부(322)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관통부(322)가 리테이너(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320)와, 노브(320)의 관통부(322)에 삽입 결합되고 양단이 리테이너(310)의 결합공(312)에 결합되며 노브(320)의 회전에 의하여 양 측면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양 측면에 로드(400)의 일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331)가 마련되어 노브(320)를 노브(320)가 회전하는 일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운동 전환캠(330)을 포함한다.
리테이너(310)는 노브(320)의 관통부(322)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관통부(322)의 관통구가 리테이너(310)의 결합공(312)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관통구와 결합공(312)을 관통하여 운동 전환캠(330)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운동 전환캠(330)은 노브(320)의 회전축으로 작용하며, 노브(320)는 리테이너(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운동 전환캠(330)은 노브(320)의 관통부(32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31)가 설치된다. 노브(320)가 리테이너(310)에 대하여 회전되면 운동 전환캠(330)도 회전되면서 운동 전환캠(330)의 양측 단부가 내부로 이동되며 탄성부재(331)를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노브(32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운동 전환캠(330)의 양측 단부가 운동 전환캠(330)의 외측으로 이동되며 노브(320)가 원위치로 회전된다.
운동 전환캠(330)의 양 측 단부에는 로드(400)가 결합된다. 로드(400)는 막대 형상으로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이 노브 어셈블리(30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노브 어셈블리(30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로드(400)의 타단은 하우징(10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베젤부(110)에 거치된다. 로드(400)의 타단이 베젤부(110)에 거치된 상태일 때에는 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잠김 상태가 된다. 노브(320)를 회전시켜 로드(400)를 각각 운동 전환캠(33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드(400)의 타단이 베젤부(110)로부터 이격되어 커버(200)가 열림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320)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노브(320)의 회전에 의하여 리테이너(310)와 접촉되는 리브(321)를 포함하고, 리테이너(310)는 리테이너(310)의 내측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노브(320)의 리브(321)와 접촉되는 접촉부(311)를 포함한다.
리브(321)는 노브(320)가 리테이너(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리테이너(310)의 접촉부(311)와 접촉한다. 즉, 노브(320)가 원위치에 있을 때 노브(320)의 리브(321)는 리테이너(310)의 접촉부(311)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노브(320)가 원위치에 있을 때 운동 전환캠(330)의 탄성부재(331)에 의하여 노브(320)에 회전력이 발생되며 노브(320)의 리브(321)는 리테이너(310)의 접촉부(311)를 가압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노브(320)를 회전시켜 커버(200)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든 후 노브(32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노브(320)는 탄성부재(3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노브(320)의 리브(321)와 리테이너(310)의 접촉부(311)가 접촉된다.
접촉부(311)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리브(321)가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하며, 이에 의하여 노브(320) 회전 시 발생되는 이음이 감소된다.
또한 리브(321)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접촉부(311)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321a)가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부(321a)는 리브(321)가 접촉부(311)에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고 리브(321)와 접촉부(311)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접촉 시 발생되는 이음을 감소시킨다.
리브(321)는 노브(320)의 양 측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접촉부(311)는 리테이너(310)의 내측면에 리브(321)와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리테이너(310)는 접촉부(311)와 함께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제조 공정을 간편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1)에 의하면, 글로브 박스(1) 개폐 작동 시 발생하는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노브 어셈블리(300)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함께 글로브 박스(1)를 개폐시키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의 노브 어셈블리(300)는 반드시 상술한 다른 구성 요소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노브(320)를 회전시켜 커버(200)를 개폐하고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되는 구성을 갖는 글로브 박스(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글로브 박스
100 : 하우징
110 : 베젤부
200 : 커버
300 : 노브 어셈블리
310 : 리테이너
311 : 접촉부
320 : 노브
321 : 리브
321a : 돌기부
330 : 운동 전환캠
331 : 탄성부재
400 : 로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노브 어셈블리;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로드 각각의 타단이 거치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관통부가 상기 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상기 관통부에 삽입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양 측면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양 측면에 상기 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노브를 상기 노브가 회전하는 일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운동 전환캠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너와 접촉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상기 리브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접촉부와 함께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노브의 양 측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에 상기 리브와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박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89612A 2013-07-29 2013-07-29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KR10206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12A KR102061910B1 (ko) 2013-07-29 2013-07-29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12A KR102061910B1 (ko) 2013-07-29 2013-07-29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010A KR20150017010A (ko) 2015-02-16
KR102061910B1 true KR102061910B1 (ko) 2020-01-02

Family

ID=5304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612A KR102061910B1 (ko) 2013-07-29 2013-07-29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81B1 (ko) * 2008-09-29 2010-03-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JP2013023995A (ja) * 2011-07-25 2013-02-04 Inoac Corp ロック装置
KR101273132B1 (ko) * 2011-12-16 2013-06-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노브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81B1 (ko) * 2008-09-29 2010-03-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 잠금장치
JP2013023995A (ja) * 2011-07-25 2013-02-04 Inoac Corp ロック装置
KR101273132B1 (ko) * 2011-12-16 2013-06-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노브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010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KR102422966B1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101230047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JP5036456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061910B1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글로브 박스
JP2020084446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188422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6076344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20100008895A (ko)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KR10056181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JP2014105730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101260848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모듈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KR200471689Y1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KR101237097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155094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JP4689465B2 (ja) ロック装置
KR200454933Y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JP2004238972A (ja) ラッチボルト式錠
KR102624346B1 (ko) 충돌 시 도어 개방이 방지되는 차량용 래치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0920447B1 (ko) 자동차용 냉온장고 도어 잠금장치
KR101812645B1 (ko) 도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트림 장치
KR102273995B1 (ko) 암레스트의 락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