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041B1 - 방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041B1
KR102060041B1 KR1020190090630A KR20190090630A KR102060041B1 KR 102060041 B1 KR102060041 B1 KR 102060041B1 KR 1020190090630 A KR1020190090630 A KR 1020190090630A KR 20190090630 A KR20190090630 A KR 20190090630A KR 102060041 B1 KR102060041 B1 KR 10206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necting plate
connector
concrete wall
hollo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유)대광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광건설산업 filed Critical (유)대광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9009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위치설정 홈에 위치되는 유도 중공 하우징;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위치설정 홈과 유도 중공 하우징의 내부를 채우는 하우징 고정체; 콘크리트 벽체 상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과 하우징 고정체를 덮는 고정 연결구(連結具); 고정 연결구에 삽입되어 유도 중공 하우징에 위치되며 하우징 고정체로 둘러싸이는 고정 관통 부재; 및 콘크리트 벽체 상에 위치되어 고정 연결구와 고정 관통 부재를 덮는 방수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구조체{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를 방수 시트로 덮으면서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연결구에 방수 시트를 열융착시키는 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는 입주민의 동의를 얻어서 대체적으로 사람 눈에 보이는 곳을 위주로 우선순위를 정해 유지 및 보수 공사를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여기서, 아파트 저수조는 입주민에게 매우 중요한 시설물임에도 불구하고 사람 눈에 잘 띄질 않아 아파트의 유지 및 보수 공사에서 후순위로 밀려나기 일쑤다.
그러나, 정부 관계 법령은, 공동주택인 경우, 반기에 1회, 1년에 두 번 이상 아파트 저수조의 청소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아파트 저수조가 콘크리트 벽체를 사용하여 물을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 접촉시켜 저장하기 때문에, 아파트의 노후화에 따라, 상기 아파트 저수조의 물은 청결하게 유지시키기에 매우 어려운 환경에 놓이게 된다.
상기 아파트의 저수조의 청결성과 위생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상기 아파트는 아파트 저수조에 PE(폴리에틸렌) 라이닝 방수 공법을 적용하여 유지 및 보수 공사를 받고 있다. 상기 PE 라이닝 방수 공법은 아파트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에 스테인리스 고정구와 PE(폴리에틸렌) 시트를 부착하여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물을 분리 또는 격리시키도록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PE 시트가 스테인리스 고정구에 열융착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물의 온도 차는 PE 시트에서 콘크리트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이슬을 맺게하여 PE 시트와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열융착 부분을 약화시키거나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부식을 가속화시킨다.
상기 열융착 부분의 약화는 PE 시트와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재질에 따른 열수축 차이에 더해서 PE 시트와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분리를 쉽게 야기시킨다. 상기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부식 가속화는 콘크리트 벽체에 스테인리스 고정구의 고정 상태를 불안정하게 하여 PE 시트를 찢어 PE 시트의 방수 기능을 저하시킨다.
한편, 상기 스테인리스 고정구에 PE 시트의 열융착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7316호에서 발명의 명칭인 "저수조 설치용 향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7316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 연결구에 방수 시트의 열융착 후, 고정 연결구와 방수 시트의 열융착 부분을 반영구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적합한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위치설정 홈에 위치되는 유도 중공 하우징;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과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내부를 채우는 하우징 고정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고정체를 덮는 고정 연결구(連結具); 상기 고정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체로 둘러싸이는 고정 관통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연결구와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덮는 방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시트와 상기 고정 연결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하여 서로에 대해 열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서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을 따라 곧게 형성되는 원통 바디; 및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상기 원통 바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원통 바디를 둘러싸는 나팔관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나팔관 날개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서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을 따라 곧게 형성되는 원통 바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상기 원통 바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원통 바디를 둘러싸는 나팔관 날개; 및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홈 입구에 상기 원통 바디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구하는 중공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나팔관 날개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고정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 주입된 후,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상기 외주면을 지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하여 경화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과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및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1 연결판 상에서 상기 제2 연결판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원형 띠로 위치되어 상기 제2 연결판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판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과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1 연결판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제2 연결판의 양 측부로부터 상기 제2 연결판에 삽입되는 열 저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열 저장판은 상기 제2 연결판과 상기 방수 시트의 열융착 시 상기 고정 연결구를 지나는 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측부를 향해 개구되는 사각 관; 및 상기 사각 관의 개구부의 양 측부에서 상기 사각관과 일체를 이루어 상기 사각 관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사각 관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 관은 상기 랜딩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형성되는 사각 막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 막대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 형성되어 타 방향을 따라 동일 형상을 반복적으로 배열시킨 복수의 사각 막대; 및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에서 두 개의 이웃하는 사각 막대를 한 단위로 연이어 묶기 위해,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를 두개씩 엇갈리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는 상기 복수의 힌지부를 통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개별 사각 막대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고정 관통 부재는, 일 단에서 머리 유무의 형상을 가지고 타 단에서 나선을 가지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시트는, 상기 고정 연결구 상에서 상기 고정 연결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연결구와 상기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서 이웃하는 방수 시트와 겹쳐져 상기 이웃하는 방수 시트와 겹쳐진 부분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하우징 고정체를 사용하여 유도 중공 하우징과 고정 관통 부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고, 고정 관통 부재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 연결구를 고정시키고, 폴리에틸렌 재질의 고정 연결구와 방수 시트를 열융착시키므로, 고정 연결구에 방수 시트의 열융착 후, 고정 연결구와 방수 시트의 열융착 부분을 반영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방수 구조체의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도 중공 하우징의 변형예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 연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3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방수 구조체의 이용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 방수 구조체의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도 중공 하우징의 변형예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93)는,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하우징 고정체(30)와, 고정 연결구(連結具)(50)와, 고정 관통 부재(60), 및 방수 시트(80)를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은,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 위치된다.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은, 원통 바디(13)와 나팔관 날개(15)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 바디(13)는 콘크리트 벽체(10)에서 고정 위치설정 홈(5)을 따라 곧게 형성된다. 상기 나팔관 날개(15)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원통 바디(13)로부터 분기되어 원통 바디(13)를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둘러싼다.
여기서, 상기 나팔관 날개(15)는, 콘크리트 벽체(10)에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하우징 고정체(3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나팔관 날개(15)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24) 주변에 위치되는 하우징 고정체(30)의 흐름을 방해한다. 상기 나팔관 날개(15)의 위치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원통 바디(13)의 대략 중앙 영역에 위치되지만, 건설 현장의 필요에 따라 원통 바디(13)의 외주면을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팔관 날개(15)는, 원통 바디(13)의 외주면에 위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통 바디(13)의 내주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고정체(30)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과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내부를 채운다. 상기 하우징 고정체(30)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내부에 주입된 후,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외주면을 지나 콘크리트 벽체(10)에 접촉하여 경화되고, 콘크리트 벽체(10)에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고정 관통 부재(6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30)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고정 관통 부재(60)의 산화를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 고정체(30)는, 불포화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연결구(50)는, 콘크리트 벽체(10) 상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하우징 고정체(30)를 덮는다. 상기 고정 연결구(5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연결구(50)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41), 및 상부 측에 제1 연결판(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판(4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4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판(41)과 제2 연결판(46)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45)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도 2와 같이 둘러싼다.
상기 제1 연결판(41)과 제2 연결판(46)은 연결 홀(45)을 따라 나사선(43)을 갖는다. 상기 고정 연결구(50)의 제2 연결판(47)은 방수 시트(80)에 열융착된다. 상기 고정 관통 부재(60)는, 고정 연결구(50)의 연결 홀(45)에 삽입되어 유도 중공 하우징(24)에 위치되며 하우징 고정체(30)로 둘러싸인다.
상기 고정 관통 부재(60)는, 일 단에서 머리 유무의 형상을 가지고 타 단에서 나사선을 가지는 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 시트(80)는, 콘크리트 벽체(10) 상에 위치되어 고정 연결구(50)와 고정 관통 부재(60)를 도 2와 같이 덮는다. 상기 방수 시트(8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하여 고정 연결구(50)와 열 융착한다.
한편,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은 도 3의 유도 중공 하우징(28)으로 변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8)의 원통 바디(13) 및 나팔관 날개(15)는,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원통 바디(13) 및 나팔관 날개(15)와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나,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8)은 유도 중공 하우징(24) 대비 중공 마개(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공 마개(19)는, 콘크리트 벽체(10)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홈 입구에 원통 바디(13)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구한다. 상기 중공 마개(19)는,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내부에서 하우징 고정체(30)의 흐름을 방해한다. 또한, 상기 중공 마개(19)의 수용 홀(17)은, 고정 관통 부재(60)를 수용하여 유도 중공 하우징(28)의 원통 바디(13)의 중공 홈(11)에 안내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 연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96)는 도 1 또는 도 2의 방수 구조체(93)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상기 방수 구조체(96)의 고정 연결구(53)는 방수 구조체(93)의 고정 연결구(5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 연결구(53)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41), 상부 측에 제1 연결판(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판(4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46), 및 제1 연결판(41) 상에서 제2 연결판(46)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원형 띠로 위치되어 제2 연결판(46)으로부터 제1 연결판(41)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S)을 가지는 연결 고리(4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판(41)과 제2 연결판(46)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45)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둘러싼다. 상기 고정 연결구(53)의 제2 연결판(46)과 연결 고리(47)는 방수 시트(80)에 열융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연결구(53)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99)는 도 1 또는 도 2의 방수 구조체(93)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상기 방수 구조체(99)의 고정 연결구(55)는 방수 구조체(93)의 고정 연결구(5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연결구(55)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41), 상부 측에 제1 연결판(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판(4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49), 및 제1 연결판(41)과 평행을 이루면서 제2 연결판(49)의 양 측부로부터 제2 연결판(49)의 장착 홀(48)에 삽입되는 열 저장판(70)을 포함한다.
상기 열 저장판(70)은 제2 연결판(49)에 탈부착 가능하다. 상기 고정 연결구(55)의 제2 연결판(49)은 방수 시트(80)에 열융착된다. 상기 제1 연결판(41)과 제2 연결판(49)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45)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둘러싼다.
상기 열 저장판(70)은 제2 연결판(49)과 방수 시트(80)의 열융착 시 고정 연결구(55)를 지나는 열을 저장한다. 즉, 상기 열 저장판(70)에 저장된 열은 제2 연결판(49)과 방수 시트(80)의 열융착의 작업 온도를 낮추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6의 고정 연결구의 제3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연결구(56)는, 일 측부를 향해 개구되는 사각 관(56A), 및 사각 관(56A)의 개구부의 양 측부에서 사각 관(56A)과 일체를 이루어 사각 관(56A)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사각 관(56A)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딩부(56C)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연결구(56)는, 도 6의 고정 연결구(55)를 대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 관(56A)은 랜딩부(56C)들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56B)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도 6의 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둘러싼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연결구(57)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 형성되는 사각 막대(57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 연결구(57)는, 도 6의 고정 연결구(55)를 대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 막대(57A)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57B)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도 6의 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둘러싼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연결구(59)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 형성되어 타 방향을 따라 동일 형상을 반복적으로 배열시킨 복수의 사각 막대(58A), 및 복수의 사각 막대(58A)에서 두 개의 이웃하는 사각 막대(58A)를 한 단위로 연이어 묶기 위해, 타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각 막대(58A)를 두개씩 엇갈리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힌지부(58C)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58A)는 복수의 힌지부(58C)를 통해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펼쳐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 연결구(59)는, 도 6의 고정 연결구(55)를 대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사각 막대(58A)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58B)을 통해 고정 관통 부재(도 6의 60)와 접촉하여 고정 관통 부재(60)를 둘러싼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방수 구조체의 이용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하우징 고정체(30)와, 고정 연결구(50)와, 고정 관통 부재(60), 및 방수 시트(80a, 80b)들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하우징 고정체(30)와, 고정 연결구(50)와, 고정 관통 부재(60), 및 방수 시트(80a, 80b)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
상기 고정 연결구(50)와 방수 시트(80a, 80b)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벽체(10a, 10b)에 고정 위치설정 홈(도 1 또는 도 2의 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벽체(10a, 10b)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아파트 저수조의 제1 벽체(10a)와 제2 벽체(10b)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5)은 제1 벽체(10a)와 제2 벽체(10b)에 2차원 배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이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고정 위치설정 홈(도 1 또는 도 2의 5)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30)가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내부에 주입되어 유도 중공 하우징(24)의 외주면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고정 위치설정 홈(5)을 채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24)은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서 나팔관 날개(15)를 통해 하우징 고정체(30)의 흐름을 방해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 연결구(50)가 고정 관통 부재(60)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10a, 10b)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 고정 연결구(50)의 연결 홀(45)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관통 부재(60)가 고정 연결구(50)의 연결 홀(45)과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고정 위치설정 홈(5)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관통 부재(60)가 고정 연결구(50)와 콘크리트 벽체(10a, 10b)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 고정체(30)는 유도 중공 하우징(24)과 고정 관통 부재(60)에 의해 밀려 콘크리트 벽체(10a, 10b)에 밀착된다. 이어서,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이 콘크리트 벽체(10a, 10b) 상에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은 콘크리트 벽체(10a, 10b) 상에 겹쳐서 배열된다.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은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두 장으로 제한하였지만, 건설 현장에서 두 장 이상으로 준비되어 아파트 저수조의 방수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은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모서리에서 들뜨지 않도록 부가적인 도구(100)의 제2 방향(D2)으로 움직임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10a, 10b)의 모서리에 밀착될 수 있다. 이후로,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이 콘크리트 벽체(10a, 10b) 상에서 열 융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방수 시트(80a)는, 고정 연결구(50) 상에서 고정 연결구(50)와 접촉하여 고정 연결구(50)와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되고, 콘크리트 벽체(10a, 10b) 상에서 이웃하는 방수 시트(80b)와 겹쳐져 이웃하는 방수 시트(80a)와 겹쳐진 부분에서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방수 시트(80a, 80b)들은 콘크리트 벽체(10a, 10b) 상에서 유도 중공 하우징(24), 하우징 고정체(30), 고정 연결구(50), 및 고정 관통 부재(60)와 함께 방수 구조체(93a, 93b)들을 구현한다.
5; 고정 위치설정 홈, 10; 콘크리트 벽체
13; 원통 바디, 15; 나팔관 날개
24; 유도 중공 하우징, 30; 하우징 고정체
41; 제1 연결판, 45; 연결 홀
46; 제2 연결판, 50; 고정 연결구
60; 고정 관통 부재, 80; 방수 시트
93; 방수 구조체

Claims (12)

  1.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 위치설정 홈에 위치되는 유도 중공 하우징;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과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내부를 채우는 하우징 고정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고정체를 덮는 고정 연결구(連結具);
    상기 고정 연결구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체로 둘러싸이는 고정 관통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연결구와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덮는 방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시트와 상기 고정 연결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포함하여 서로에 대해 열 융착되고,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서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을 따라 곧게 형성되는 원통 바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상기 원통 바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원통 바디를 둘러싸는 나팔관 날개; 및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홈 입구에 상기 원통 바디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구하는 중공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나팔관 날개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에 의해 감싸지는 방수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고정 위치설정 홈에서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 주입된 후,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의 외주면을 지나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하여 경화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상기 유도 중공 하우징과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고정시키는 방수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및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되는 방수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1 연결판 상에서 상기 제2 연결판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원형 띠로 위치되어 상기 제2 연결판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판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과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되는 방수 구조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다층 원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부 측에 제1 연결판;
    상부 측에 상기 제1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판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2 연결판; 및
    상기 제1 연결판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제2 연결판의 양 측부로부터 상기 제2 연결판에 삽입되는 열 저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연결구의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방수 시트에 열융착되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중심에 위치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열 저장판은 상기 제2 연결판과 상기 방수 시트의 열융착 시 상기 고정 연결구를 지나는 열을 저장하는 방수 구조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측부를 향해 개구되는 사각 관; 및
    상기 사각 관의 개구부의 양 측부에서 상기 사각관과 일체를 이루어 상기 사각 관과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사각 관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 관은 상기 랜딩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는 방수 구조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형성되는 사각 막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 막대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는 방수 구조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연결구는,
    일 방향을 따라 곧게 그리고 길게 형성되어 타 방향을 따라 동일 형상을 반복적으로 배열시킨 복수의 사각 막대; 및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에서 두 개의 이웃하는 사각 막대를 한 단위로 연이어 묶기 위해,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를 두개씩 엇갈리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각 막대는 상기 복수의 힌지부를 통해 상기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개별 사각 막대는 내부 몸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을 통해 상기 고정 관통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관통 부재를 둘러싸는 방수 구조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관통 부재는,
    일 단에서 머리 유무의 형상을 가지고 타 단에서 나선을 가지는 나사를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트는,
    상기 고정 연결구 상에서 상기 고정 연결구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연결구와 상기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상에서 이웃하는 방수 시트와 겹쳐져 상기 이웃하는 방수 시트와 겹쳐진 부분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소재를 통해 열 융착되는 방수 구조체.

KR1020190090630A 2019-07-26 2019-07-26 방수 구조체 KR10206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30A KR102060041B1 (ko) 2019-07-26 2019-07-26 방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30A KR102060041B1 (ko) 2019-07-26 2019-07-26 방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041B1 true KR102060041B1 (ko) 2020-02-11

Family

ID=6956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30A KR102060041B1 (ko) 2019-07-26 2019-07-26 방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86B1 (ko) * 2022-11-02 2023-06-26 (주)아쿠아 방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브릿지 고정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408A (ja) * 1995-12-04 1997-06-17 Nippon Kinzoku Co Ltd 建物構造
JP2007039986A (ja) * 2005-08-03 2007-02-15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固定構造
KR100757331B1 (ko) * 2007-01-15 2007-09-11 주식회사 젠트로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927316B1 (ko)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JP2016079556A (ja) * 2014-10-09 2016-05-16 アーキヤマデ株式会社 防水シート敷設方法、及び、防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8408A (ja) * 1995-12-04 1997-06-17 Nippon Kinzoku Co Ltd 建物構造
JP2007039986A (ja) * 2005-08-03 2007-02-15 Takenaka Komuten Co Ltd 防水シートの固定構造
KR100757331B1 (ko) * 2007-01-15 2007-09-11 주식회사 젠트로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927316B1 (ko)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JP2016079556A (ja) * 2014-10-09 2016-05-16 アーキヤマデ株式会社 防水シート敷設方法、及び、防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86B1 (ko) * 2022-11-02 2023-06-26 (주)아쿠아 방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브릿지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0124C2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егмент башни ветровой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7465888B2 (en) Cast-in element for forming a leadthrough for conduits
KR102060041B1 (ko) 방수 구조체
WO2016097442A1 (es) Tapón de estanqueidad para cerramiento de orificios en paredes y similares
KR20080070413A (ko) 플랜지가 형성된 파이프
DE69901628D1 (de) Verpackung mit einer Verschlussvorrichtung mit wärmeisolierendem Füllstoff
JP3173837U (ja) 構造断熱材
US2484062A (en) Cement block building wall
KR100952991B1 (ko) 슬리브 파이프 홀더
JP3867859B2 (ja) Pcシースの埋設工法及びpcシース用のグラウト充填検知器
JP2016070016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ES2906092T3 (es) Cobertura para puente y unidad de fijación para fijar una cobertura para puente
US20120167504A1 (en) Precast insulated concrete wall assembly
KR20150135887A (ko) 패스너
ES2426444T3 (es) Perfil de revestimiento de zócalo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JP2016148165A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伸縮継手設置方法
DK170427B1 (da) Betonelementsamling
JPH0624873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ひびわれ誘発目地
KR101273310B1 (ko) 배관용 보호커버
JP6951703B2 (ja) 橋梁床版用排水パイプ
ES2368530T3 (es) Caja para cableado eléctrico provista de mecanismo de fijación.
JP5266585B2 (ja) アンカー構造、アンカーケーブル組付体、およびアンカー構造の構築方法
KR200177905Y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EP2754937B1 (en) Closure and method for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