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560B1 -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560B1
KR102059560B1 KR1020187035331A KR20187035331A KR102059560B1 KR 102059560 B1 KR102059560 B1 KR 102059560B1 KR 1020187035331 A KR1020187035331 A KR 1020187035331A KR 20187035331 A KR20187035331 A KR 20187035331A KR 102059560 B1 KR102059560 B1 KR 10205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oves
segment
outer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83A (ko
Inventor
데이비드 제임스 레인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0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104)는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콘택트(136)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갖고 있으며, 종단 세그먼트는 후방 말단으로 연장되며, 케이블(116)의 전도층(174)에 맞물리고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외부 콘택트를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종단 세그먼트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1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148)를 관통하여 한정한다. 종단 세그먼트는 그의 외부 표면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을 갖고 있다. 크로스 해치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그루브 및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교차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교차 그루브는 그루브와 교차하여 외부 표면을 따라 다수의 융기 패널을 한정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본 명세서 내에서의 대상물은 전체적으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RF) 커넥터 조립체는 전 세계 위치 파악 시스템(GPS), 안테나, 라디오, 이동 전화,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은, 군용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 왔다.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의 말단에 제공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이다.
일부 커넥터 조립체는 상대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의 대응하는 결합 콘택트(corresponding connector)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트 조립체를 유지한다. 콘택트 조립체는 케이블에 장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블은 하우징의 케이블 말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콘택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전기 콘택트는 케이블의 대응 전도성 요소에 종결, 압착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되어 커넥터의 콘택트 조립체를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결합 메커니즘은 연결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케이블을 콘택트 조립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콘택트 조립체를 케이블에서 (그리고 그 역으로) 빼내는 힘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공지된 커넥터는 바람직한 수준의 유지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따라서 바람직한 힘의 임계양보다 적은 당김력에 대하여 케이블이 콘택트 조립체에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 커넥터의 유지력이 초과되면,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지라도, 케이블이 하우징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가 파손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에 부착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 달성 가능한 유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구가 남아 있다.
해결책은 전방 말단과 후방 말단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콘택트(outer contact)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하여 제공된다. 외부 콘택트에는 후방 말단까지 연장된 종단 세그먼트(terminating segment)를 갖고 있다.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의 전도층에 맞물리고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외부 콘택트를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종단 세그먼트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관통하여 한정한다. 종단 세그먼트는 그의 외부 표면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을 갖고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그루브 및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교차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교차 그루브는 그루브와 교차하여 외부 표면을 따라 다수의 융기 패널을 한정한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암 커넥터와 케이블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선 3-3을 따라 절취된 암 커넥터의 후방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외부 콘택트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외부 콘택트의 종단 세그먼트의 일부분의 근접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선 6-6을 따른 외부 콘택트의 종단 세그먼트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조립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외부 콘택트의 형성에 사용된 편평한 피가공물의 상부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케이블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및/또는 제2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의 전도층에 압착되어 각각의 커넥터를 케이블에 부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 콘택트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콘택트는 외부 콘택트의 말단 세그먼트를 둘러싸는 전도층 주위로 연장되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페룰을 사용하여 전도층에 압착될 수 있다. 외부 콘택트의 말단 세그먼트는 케이블의 전도층의 내부 측과 맞물리는 그의 외부 표면을 따라 크로스해치(crosshatch) 패턴을 포함하고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은 다수의 그루브 및 그루브와 교차하여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융기 패널(raised panel)을 한정하는 다수의 교차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은 외부 콘택트와 전도층 사이의 그립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커넥터가 공지된 케이블 장착식 커넥터에 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유지량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일부 공지된 커넥터는 외부 콘택트의 길이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외부 콘택트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콘택트를 따른 평행한 세레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브레이드에 압착될 때, 케이블 브레이드는 인접한 세레이션들 사이에 한정된 외부 콘택트를 따라 원주 방향 연장 리지와 맞물린다. 이러한 커넥터는 케이블 브레이드가 외부 콘택트로부터 슬라이딩하기 전에 바람직한 양의 힘 (예를 들어, 120 뉴튼(N))을 견딜 수 없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을 따른 융기 패널 및 그루브는 외부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에 주위에 압착된 케이블의 전도층 사이의 마찰 또는 간섭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 가능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크로스해치 패턴을 갖는 외부 콘택트와 케이블 간의 압착식 연결은 파손없이 최대 120 N 및/또는 120 N 초과하는 힘을 성공적으로 견딜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는 시트 금속 패널을 스탬핑하고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크로스해칭 패턴은 2회의 스탬핑 작업에서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탬핑 공구는 스탬핑 공구가 외부 콘택트를 타격하는 제1 스탬핑 동작 중에 그루브(예를 들어, 제1 그루브 세트)를 형성하는 다수의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탬핑 공구는 후에 외부 콘택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그후 제2 스탬핑 작업에서 이동되어 외부 콘택트를 타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탬핑 공구의 리지는 그루브와 교차하는 교차 그루브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외부 콘택트를 스탬핑하는 대신에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 등을 가로질러 공구를 롤링시킴으로써 크로스해치 패턴이 외부 콘택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둘러싸는"은 물체의 길이의 세그먼트를 따라 물체를 에워싸는 것과 같이, 적어도 한 치수에서 다른 물체의 주변부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둘러싸는"은 둘러싸인 물체가 모든 치수에서 주변 물체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이거나 싸여 있는 것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제1 전기 커넥터(102) 및 제2 전기 커넥터(104)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커넥터들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그들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2)는 수 커넥터이고, 제2 전기 커넥터(104)는 암 커넥터이며, 따라서 결합 작업 동안에 제1 전기 커넥터(102)의 일부분은 제2 전기 커넥터(104)의 공동(106) 내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102)의 수 하우징(108)(예를 들어, 노우즈 콘)은 암 커넥터(104)의 암 하우징(110)에 의해 한정된 공동(106) 내에 수용된다. 도 1에서는 분리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제1 및 제2 커넥터(102, 104)는 결합 축(mating axis)(112)을 따라 결합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2)는 수 커넥터(102) 또는 상대 커넥터(102)로 지칭되며, 제2 전기 커넥터(104)는 암 커넥터(104) 또는 단순히 커넥터(104)로 지칭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자동차 산업, 가전 산업, 항공 산업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수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되어 2개 이상의 장치 및/또는 전기 부품을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 커넥터(102, 104)는 안테나를 제어기 및/또는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과 같은 무선 주파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 커넥터(102) 및 암 커넥터(104)는 각각 상이한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응하는 전기 부품들 사이에 전도성 경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대응하는 전기 케이블(114, 116)에 장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 또는 암 커넥터(104)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장착(예를 들어, 에지-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114)은 수 커넥터(102)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전기적으로 종결(예를 들어, 압착, 납땜 등)된다. 케이블(116)은 암 커넥터(104)의 전기 콘택트에 대해 전기적으로 종결된다. 커넥터(102, 104)들이 결합되어 케이블(114)과 케이블(116) 간에 전력, 제어 메시지, 데이터 등을 운반하는 다양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수 커넥터(102)의 전기 콘택트는 암 커넥터(104)의 전기 콘택트와 맞물린다.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두 인-라인(in-line) 형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축(112) 즉, 이를 따라 수 커넥터(102)가 공동(106) 내로 끼워지는 결합 축은 수 커넥터(102)에서 나오는 케이블(114)과 암 커넥터(104)에서 나오는 케이블(116)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 및/또는 암 커넥터(104)는 직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는 FAKRA 자동차 전문가 그룹에 의해 구축된 균일한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표준을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RF 커넥터인 FAKRA 커넥터를 구성한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화 관심사를 대표하는 독일 표준 연구소(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의 자동차 표준위원회(Automotive Standards Committee)이다. FAKRA 커넥터는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의 높은 기능 및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표준화된 키잉(keying) 시스템과 록킹 시스템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02)는 하나 이상의 키잉 리브(118)를 갖고 있으며, 암 커넥터(104)는 커넥터(102, 104)가 결합될 때 키잉 리브(118)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키잉 채널(120)을 갖고 있다. 키잉 리브(118) 및 키잉 채널(120)은 FAKRA 표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정 결합 커넥터에 대한 커넥터(102, 104) 각각의 결합 능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시스템(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FAKRA 커넥터 이외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 동안에, 수 커넥터(102)의 전방 말단(126)은 결합 축(112)을 따라 이동되며, 암 커넥터(104)의 전방 말단(128)을 통해 암 커넥터(104)의 공동(106) 내로 끼워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방", "후방", "최상부" 또는 "최하부"와 같은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는 단지 기준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커넥터 시스템(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특정 위치 또는 방향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 커넥터(102)는 암 커넥터(104)의 상보적인 편향 가능한 래치(12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캐치(122)를 갖고 있어 (커넥터(102, 104)의 원하지 않는 결합 해제를 제한함으로써) 2개의 커넥터(102, 104) 간의 결합 연결을 유지한다. 래치(124)는 수 커넥터(102)와 암 커넥터(104)를 분리하기 위하여 캐치(122) 위로 들어올려 지거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4)와 케이블(116)의 분해도이다. 암 커넥터(104)는 암 하우징(110) (여기서는 외부 하우징(110)이라고도 칭함) 및 콘택트 조립체(130)를 포함하고 있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외부 하우징(110) 내에 유지된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중심 콘택트(132), 유전체 몸체(134), 외부 콘택트(136) 및 공동 인서트(138)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암 커넥터(104)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열거된 구성 요소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콘택트 조립체(130)는 페룰(140)을 통하여 케이블(116)에 대해 종결된다.
케이블(116)은 유전체 층(172)으로 둘러싸인 중심 도체(170)(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기 와이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중심 도체(170)는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중심 도체(170)는 구리, 은, 알루미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 층(172)에 의해 공통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단일 묶음으로써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중심 도체(170)는 개별 절연층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둘러싸인 다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층(172)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유전체 층(172)을 둘러싸는 전도성 차폐층(174)으로부터 중심 도체(170)를 보호하고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전도성 차폐층(174)은 중심 도체(170)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의 전기적 차폐를 제공하며, 또한 전기적 접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전도성 차폐층(174)은 유전체 층(172)을 둘러싸는 층에 직조되거나 편조된 금속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브레이드(174)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도성 차폐층(174)은 또한 포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말단 세그먼트(175)는 외부 콘택트(136)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확장되고 구성된다.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말단 세그먼트(175)는 페룰(140)을 통해 외부 콘택트(136)에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케이블(116)을 콘택트 조립체(13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케이블 재킷(176)은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둘러싸며 외부 힘 및 오염물로부터 케이블 브레이드(174), 유전체 층(172) 및 중심 도체(170)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트 조립체(130)의 중심 콘택트(13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의 핀 콘택트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소켓 콘택트를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중심 콘택트(132)는 핀 콘택트 또는 다른 유형의 콘택트일 수 있다. 중심 콘택트(132)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중심 콘택트(132)는, 예를 들어 압착 또는 납땜을 통해 케이블(116)의 중심 도체(170)에 대해 종결된다.
유전체 몸체(134)는 중심 콘택트(132)를 둘러싸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몸체(134)는 그 내부에 중심 콘택트(132)를 수용하는 통로(142)를 한정한다. 유전체 몸체(134)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물질로 구성된다. 유전체 몸체(134)는 중심 콘택트(132)와 외부 콘택트(136)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콘택트(132, 136)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외부 콘택트(136)는 유전체 몸체(134) 및 유전체 몸체(134) 내에 있는 중심 콘택트(132)를 둘러싸고 있다. 외부 콘택트(136)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콘택트(136)는, 예를 들어 전자기 또는 무선 주파수 간섭으로부터 중심 콘택트(132)를 위한 차폐를 제공한다. 외부 콘택트(136)는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연장되며,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외부 콘택트(136)를 통해 연장되는 챔버(148)를 한정한다. 챔버(148)는 그 안에 유전체 몸체(134) 및 유전체 몸체(134) 내에 있는 중심 콘택트(132)를 수용하고 있다. 챔버(148)는 또한 중심 도체(170)와 유전체 층(172)과 같은 케이블(116)의 일부분을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다. 외부 콘택트(136)는 대체로 원통형 또는 배럴 형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콘택트(136)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있지만,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의 외부 콘택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없다.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 패널을 스탬핑하고 그후 압연함으로써 외부 콘택트(136)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으로 스탬핑되고 성형된다. 예를 들어, 외부 콘택트(136)는 원통형 형상으로 압연될 때 외부 콘택트(136)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이음부(seam; 160)를 포함하는 통합된 단일 부재 몸체(158)를 포함하고 있다. 이음부(160)는 몸체(158)의 제1 롤식 에지(164)와 대향 제2 롤식 에지(165) 사이에서 한정된다. 제1 롤식 에지(164)가 이음부(160)에서 제2 롤식 에지(165)와 연동하여 외부 콘택트(136)의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롤식 에지(164, 165)는 상보적인 탭 및 오목부를 한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는 전방 말단(14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세그먼트(mating segment)(150) 및 후방 말단(146)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 세그먼트(150)는 결합 동작 중에,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와 같은 상대 커넥터의 외부 상대 콘택트 (미도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외부 콘택트(136)의 결합 세그먼트(150)와 외부 상대 콘택트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해 결합 세그먼트(150)는 편향 가능한 빔, 범프, 바브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지 특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세그먼트(152)는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둘러싸며, 페룰(140)을 통해 종단 세그먼트(152)에 압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는 종단 세그먼트(152)의 외부 표면(192)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190)을 갖고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적어도 크로스해치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공지된 외부 콘택트에 대해 종단 세그먼트(152) 주위에 압착된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 상에 향상된 그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콘택트(136)는 외부 콘택트(136)의 길이를 따라 결합 세그먼트(150)와 종단 세그먼트(152) 사이의 중간 세그먼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156)는 결합 세그먼트(150)와 종단 세그먼트(152)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세그먼트(156)는 결합 세그먼트(150)보다 작은 직경을 그리고 종단 세그먼트(152)보다는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종단 세그먼트(152)가 케이블(116)보다 큰 케이블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면, 종단 세그먼트(152)는 중간 세그먼트(15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공동 인서트(138)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166)을 한정하며, 외부 콘택트(136)는 채널(166) 내에 유지된다. 실시예에서, 외부 콘택트(136)는 외부 콘택트(136)의 중간 세그먼트(156)를 둘러싸고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선택적으로 결합 세그먼트(150) 및/또는 종단 세그먼트(152)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공동 인서트(138)는 채널(166) 내에서 외부 콘택트(136)를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 콘택트(136)는 공동 인서트(138)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하우징(110)과 맞물려 하우징(110)의 공동(106) 내의 고정된 축 방향 위치에 콘택트 조립체(130)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어댑터이다. 예를 들어, 공동 인서트(138)는 공동 인서트(138)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8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86)는 콘택트 조립체(13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공동(106) 내에서 외부 하우징(1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룰(140)은 케이블(116) 위에서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페룰(140)은 외부 콘택트(136)에 대한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전기적 종결을 제공하며 케이블(116)을 위한 스트레인 릴리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페룰(140)은 케이블(116)의 케이블 브레이드(174)와 케이블 재킷(176) 모두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암 외부 하우징(110)은 전방 말단(128)과 후방 말단(129) 사이에서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있다. 외부 하우징(110)의 공동(106)은 전방 말단(128)과 후방 말단(129) 사이에서 외부 하우징(110)을 통해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 보어일 수 있다. 공동(106)은 그 안에서 공동 인서트(138)를 맞물리고 고정하기 위하여 그 안에 형성된 단차, 숄더 및/또는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선택적으로 하우징(110)의 측면 벽면(184)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리테이너 클립(18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콘택트 조립체(130)를 하우징(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리테이너 클립(182)은 콘택트 조립체(130)에 뒤이어 하우징(110) 내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클립(182)은 공동 인서트(138)의 하나 이상의 플랜지(186)와 맞물려 공동(106) 내에 콘택트 조립체(13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암 커넥터(104)가 도 2에 나타나 있고 설명되었지만, 수 커넥터(102)(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커넥터(102)는 암 커넥터(104)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및/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02)는(도 1에 나타나 있는) 수 하우징(108) 내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02)의 콘택트 조립체는 도 2에서 설명된 콘택트 조립체(130)의 구성 요소와 적어도 유사한 중심 콘택트, 유전체 몸체, 외부 콘택트 및 공동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02)의 외부 콘택트는 이하에 나타나 있고 설명된 암 커넥터(104)의 외부 콘택트(136)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선 3-3을 따라 절취된 조립된 암 커넥터(104)의 후방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말단 세그먼트(175)는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 위로 연장되고 이를 둘러싸고 있다.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내측면(194)은 종단 세그먼트(152)의 외부 표면(192)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190)과 맞물린다.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외부 콘택트(136)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 브레이드(174)는 페룰(140)을 통해 종단 세그먼트(152) 주위에 압착된다. 예를 들어, 페룰(140)은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말단 세그먼트(175)의 둘레 주위로 연장되며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외측면(196)과 맞물린다. 따라서, 케이블 브레이드(174)의 말단 세그먼트(175)는 종단 세그먼트(152)와 페룰(140)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끼워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페룰(140)은 케이블 브레이드(174)와 맞물리는 브레이드 세그먼트(198) 및 케이블 재킷(176) 주위로 연장되고 이와 맞물리는 재킷 세그먼트(199)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 있고 설명된 바와 같이, 종단 세그먼트(152)의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케이블 브레이드(174)에 향상된 그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104)가 제공할 수 있는 유지력의 양을 증가시켜 케이블(116)이 하우징(11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브레이드(174) 주위로 페룰(140)을 압착하는 것은 크로스해치 패턴(190)의 돌출부가 브레이드(174)의 내측면(194)으로 파고들게 할 수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마찰 및 유지를 증가시키는 공지된 원주 방향 세레이션에 비해 종단 세그먼트(152)의 외부 표면(192)과 브레이드(174)의 내측면(194) 사이의 접촉 표면적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동 인서트(138)는 외부 콘택트(136)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하우징(110)과 맞물려 하우징(110)의 공동(106) 내에 (도 2에 나타나 있는) 콘택트 조립체(130)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공동 인서트(138)는 공동(106) 내에서 하우징(110)의 (도 2에 나타나 있는) 리테이너 클립(182)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숄더와 맞물려 공동(106) 내에 캐비티 인서트(138)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4)의 외부 콘택트(136)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부분은 종단 세그먼트(152)를 포함하고 있다. 종단 세그먼트(152)를 포함하는 외부 콘택트(136)는 길이 방향 축(210)을 따라 연장된다. 암 커넥터(104)가 조립될 때 길이 방향 축(2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결합 축(11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외부 표면(192)을 따라 한정된 다수의 채널(211)을 포함하고 있다. 채널(211)은 그루브(212) 및 교차 그루브(214)를 포함하고 있다. 교차 그루브(214)는 그루브(212)와 교차하여 종단 세그먼트(152)의 외부 표면(192)을 따라 다수의 융기 패널(220)을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융기 패널(220)은 2개의 인접 그루브(212) 사이 및 2개의 그루브(212)와 교차하는 2개의 인접한 교차 그루브(214) 사이에서 한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융기 패널(220)은 예를 들어 4개의 채널(211) 사이 대신에 3개 또는 5개의 교차하는 채널(211)들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루브(212)들은 서로 평행하다. 그루브(212)가 길이 방향 축(210)에 평행하지 않도록 또는 수직이 아니도록 그루브(212)는 또한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유사하게, 교차 그루브(214)들은 서로 평행하고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루브(212)는 길이 방향 축(210)에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교차 그루브(214)는 길이 방향 축(210) 및 그루브(212)에 대해 경사 각도로 유지된다. 채널(211) 각각이 종단 세그먼트(152)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채널(211)들은 종단 세그먼트(152) 주위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그루브(212)는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해 제1 나선 각도(216)를 갖고 있으며, 교차 그루브(214)는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해 제2 나선 각도(218)를 갖고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나선 각도(216, 218)는 모두 60도 이하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나선 각도(216, 218) 각각은 각각 45도 이하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216, 218)는 45도 미만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나선 각도로 인하여, 그루브(212) 또는 교차 그루브(214) 중 어느 것도 종단 세그먼트(152)의 전체 원주 주위로 개별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채널(211)들 각각은 종단 세그먼트(152)와 중간 세그먼트(156) 사이의 숄더(222)와 외부 콘택트(136)의 후방 말단(146) 사이의 종단 세그먼트(152)의 길이보다 긴 피치를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피치는 종단 세그먼트(152) 주위의 완전한 루프를 완성하기 위해 한정된 나선 각도에서 나선형 채널에 대한 길이 방향 거리를 지칭한다. 낮은 나선 각도로 인해, 융기 패널(220)은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길어진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루브(212)의 나선 각도(216) 및/또는 교차 그루브(214)의 나선 각도(218)는 60도보다 크거나 적어도 45도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단 세그먼트(152)를 따른 제1 롤식 에지(164)는 제2 롤식 에지(165)로부터 이격되어 이음부(160)를 따라 갭(224)을 한정한다. 갭(224)은 종단 세그먼트(152)의 길이를 따라 구불구불한 또는 굴곡진 경로를 따라 외부 콘택트(136)의 후방 말단(14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페룰(140)(도 3)을 통해 종단 세그먼트(152) 주위에 (도 3에 나타나 있는) 케이블 브레이드(174)를 고정시키는 압착 작업 중에 종단 세그먼트(152) 상의 압축력은 갭(224)의 폭을 감소시킨다. 갭(224)의 구불구불한 경로는 갭(224)이 좁아짐에 따라 압착 작업 중에 케이블 브레이드(174) (또는 다른 커넥터 구성 요소 또는 케이블 구성 요소)의 일부분이 제1 롤식 에지(164)와 제2 롤식 에지(165) 사이에 끼워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갭(224)은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콘택트 조립체(130)와 케이블(116) (도 3)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제1 및 제2 롤식 에지(164, 165)로 연장된다.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롤식 에지(164, 165)들 사이의 외부 콘택트(136)의 종단 세그먼트(152)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종단 세그먼트(152)의 전체 외부 표면(192)을 따라 한정되고 이를 덮는다. 대안적으로,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외부 표면(192)의 표면적의 전부가 아닌, 대부분을 따라 한정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종단 세그먼트(152)의 일부분의 근접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선 6-6을 따른 종단 세그먼트(152)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융기 패널(220)은 각 대응 패널(220)을 둘러싸는 채널(211)에 의해 한정된 형상을 갖고 있다. 융기 패널(220)은 패턴으로 배열된 물질의 섬이다. 각 패널(220)은 패널(220)의 베이스(230)로부터 크레스트(232)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베이스(230)는 패널(220)을 한정하는 대응 채널(211)의 바닥(236) 또는 가장 깊은 지점에 위치한다. 패널(220)은 평행 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각 패널(220)은 베이스(230)와 크레스트(232)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측벽면(234)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널(220)은 4개의 측벽면(234)을 갖고 있다. 패널(220)이 베이스(230)에서 크레스트(232)까지 테이퍼지도록 각 패널(220)의 측벽면(234)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예를 들어, 측벽면(234)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230)에 관하여 크레스트(232)를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면서)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경사진다. 융기 패널(220)의 크레스트(232)는 최상부 벽면 또는 정점(point)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레스트(232)는 대체로 평면인 최상부 벽면이다. 패널(220)이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각 패널(220)의 최상부 벽면(232)은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패널(220)의 베이스(230)의 풋프린트보다 유사한 형상이지만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패널(220)은 정점으로 테이퍼질 수 있으며, 따라서 패널(220)은 피라미드와 유사하다.
측벽면(234)은 채널(211)의 형상에 의하여 한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루브(212) 및 교차 그루브(214)는 V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다. 실시예에서, 그루브(212)는 교차 그루브(214)와 동일한 치수를 갖고 있다. 측벽면(23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면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융기 패널(220)은 2개의 인접한 그루브(212)와 2개의 그루브(212)와 교차하는 2개의 인접한 교차 그루브(214) 사이에서 한정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4개의 측벽면(234) 각각은 그루브(212)와 교차 그루브(214)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한정된다. 다이아몬드 형상의 크레스트(232)가 다이아몬드 형상의 베이스(230)보다 작도록 패널(220)은 테이퍼진다. 실시예에서, 모든 융기 패널(220)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700)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방법(700)은 암 커넥터(104) 또는 수 커넥터(102)(모두 도 1에 나타나 있음)를 조립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방법(700)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암 커넥터(104)의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702에서 외부 콘택트가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는 편평한 금속 피가공물을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압연함으로써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의 종단 세그먼트는 그의 외부 표면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을 갖고 있다. 크로스해치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그루브 및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교차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교차 그루브는 그루브와 교차하여 외부 표면을 따라 다수의 융기 패널을 한정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외부 콘택트의 형성에 사용된 편평한 피가공물(400)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피가공물(400)은 지지 베이스(404) 상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크로스해치 패턴은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을 자신의 작업 표면을 따라 평행한 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해칭 공구와 접촉시킴으로써 외부 콘택트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칭 공구는 그루브 및 교차 그루브를 한정하기 위해 편평한 피가공물(400) 내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스탬핑 공구(402)이다. 예를 들어, 스탬핑 공구(402)의 (나타나 있지 않은) 평행한 리지는 제1 접촉 (또는 가압) 작업 중에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접촉 작업 중에, 스탬핑 공구(402)는 접촉 궤적(408)을 따라 이동하고 지지 베이스(404) 상의 피가공물(400)을 타격, 가압 및/또는 펀칭한다. 이어서, 작업 표면이 피가공물에 대해 회전하도록 스탬핑 공구(402)는 회전될 수 있으며, 제1 접촉 동작 중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동일한 평행한 리지는 제2 접촉 동작 중에 교차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가공물(400) 또는 지지 베이스(404)는 제1 및 제2 접촉 동작 사이에서 스탬핑 공구(40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피가공물(400) 상에 크로스해치 패턴을 한정하기 위해 단일 접촉 동작만이 필요하도록 스탬핑 공구(402)는 그루브를 형성하는 양 리지(both ridge) 및 교차 그루브를 형성하는 별도의 리지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해칭 공구는 휠 상에 리지를 갖는 롤러일 수 있으며, 크로스해칭 패턴은 피가공물(400) 상에서 휠을 롤링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서, 크로스해치 패턴이 편평한 피가공물(400) 상에 형성된 후에, 피가공물(400)은 대체로 원통형 형상으로 압연되어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성형된 외부 콘택트를 한정한다. 나타나 있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피가공물을 해칭 공구와 접촉시킴으로써 크로스해치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편평한 피가공물은 외부 콘택트의 원통형 형상으로 압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외부 콘택트는 비교적 유연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콘택트의 외부 표면이 해칭 공구와 접촉하기 전에 로드와 같은 지지 부재가 적어도 종단 세그먼트를 따라 외부 콘택트의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해칭 공구는 그후 종단 세그먼트와 접촉하여 크로스해치 패턴을 한정할 수 있으며, 지지 부재는 종단 세그먼트의 내부 표면과 맞물려 크로스해치 패턴의 형성 공정 동안에 외부 콘택트의 전체적인 원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704에서 콘택트 조립체가 조립된다. 콘택트 조립체는 중심 콘택트와 유전체 몸체를 외부 콘택트의 챔버 내로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된다. 유전체 몸체는 중심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심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를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706에서, 케이블이 외부 콘택트 상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의 전도층은 외부 콘택트의 종단 세그먼트 상에 그리고 그 주위에 놓여져 종단 세그먼트를 둘러싼다. 전도층은 전도성 브레이드일 수 있다. 708에서, 케이블은 외부 콘택트에 압착된다. 예를 들어, 압착 작동 중에 케이블의 전도층 및 (전도층 내의) 외부 콘택트의 종단 세그먼트 주위에 페룰이 압착된다. 압착 작업은 외부 콘택트를 케이블에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외부 콘택트와 외부 콘택트에 종결된 케이블의 전도층 사이에 향상된 그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향상된 그립은 전기 커넥터가 적어도 120N과 같은, 케이블을 커넥터로부터 빼내는 원하는 양의 당김력을 견딜 수 있게 할 수 있다. 외부 콘택트는 스탬핑되고 성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가 주조 외부 콘택트를 갖는 공지된 커넥터보다 가볍고, 작고 및/또는 생산하기 위하여 비용을 적게 들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및/또는 그의 측면)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치수, 물질의 유형,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방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매개 변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이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그러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말단(144)과 후방 말단(146)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210)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콘택트(136)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택트는 상기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종단 세그먼트(152)를 가지며,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케이블(116)의 전도층(174)에 맞물리고 전도층으로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 콘택트를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종단 세그먼트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1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148)를 관통하여 한정하고, 상기 종단 세그먼트는 그의 외부 표면(192)을 따라 크로스해치 패턴(190)을 가지며, 크로스해치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그루브(212) 및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교차 그루브(214)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그루브는 상기 그루브와 교차하여 상기 외부 표면을 따라 다수의 융기 패널(220)을 한정하는 전기 커넥터(104).
  2. 제1항에 있어서, 각 융기 패널(220)은 상기 2개의 그루브(212) 사이 및 상기 2개의 그루브와 교차하는 상기 2개의 교차 그루브(214) 사이에서 한정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고 있는 전기 커넥터(104).
  3. 제1항에 있어서, 각 융기 패널(220)은 베이스(230)로부터 크레스트(232)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와 상기 각각의 크레스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측벽면(234)을 포함하며, 상기 융기 패널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크레스트까지 테이퍼지도록 대응 융기 패널의 측벽면들은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전기 커넥터(104).
  4. 제3항에 있어서, 각 융기 패널(220)의 상기 크레스트(232)는 정점 또는 최상부 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한정되는 전기 커넥터(10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2)와 상기 교차 그루브(214)는 상기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10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2)와 상기 교차 그루브(214)는 상기 길이 방향 축(210)에 대하여 각각의 나선 각도(216, 218)를 한정하며, 상기 그루브의 나선 각도와 상기 교차 그루브의 나선 각도는 45도 이하인 전기 커넥터(104).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2)와 상기 교차 그루브(214)는 V형 횡단면을 갖는 전기 커넥터(104).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원통 형상으로 스탬핑되고 성형된 통합된 단일 몸체(158)를 가지며, 상기 외부 콘택트는 상기 몸체의 제1 롤식 에지(164)와 대향 제2 롤식 에지(165) 사이에서 한정된 이음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세그먼트(152)를 따른 상기 크로스해치 패턴(190)은 상기 제1 롤식 에지와 상기 제2 롤식 에지 사이의 상기 외부 콘택트의 전체 원주를 연장시키는 전기 커넥터(104).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식 에지(164)는 상기 종단 세그먼트(152)를 따라 상기 제2 롤식 에지(165)에서 이격되어 갭(224)을 한정하며, 상기 갭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롤식 에지와 상기 제2 롤식 에지 사이의 상기 갭의 폭은 상기 종단 세그먼트를 상기 케이블(116)에 압착하는 것에 대하여 감소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104).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2)와 상기 교차 그루브(214)의 각각은 상기 종단 세그먼트(152)의 길이를 연장시키며, 상기 그루브 또는 상기 교차 그루브의 어느 것도 상기 종단 세그먼트의 전체 원주 주위에서 연장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104).
KR1020187035331A 2016-05-06 2017-04-25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KR102059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48,289 US9673578B1 (en) 2016-05-06 2016-05-06 Cable-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15/148,289 2016-05-06
PCT/IB2017/052379 WO2017191527A1 (en) 2016-05-06 2017-04-25 Cable-mounte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83A KR20190002683A (ko) 2019-01-08
KR102059560B1 true KR102059560B1 (ko) 2019-12-27

Family

ID=5867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331A KR102059560B1 (ko) 2016-05-06 2017-04-25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73578B1 (ko)
JP (1) JP6752293B2 (ko)
KR (1) KR102059560B1 (ko)
CN (1) CN109155469B (ko)
DE (1) DE112017002344B4 (ko)
WO (1) WO2017191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903A (ko) 2022-10-05 2024-04-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8581B2 (en) * 2014-06-19 2018-11-13 Fujikura Ltd. Crimp terminal
JP6225313B2 (ja) * 2016-03-04 2017-11-08 株式会社デルタプラス 圧着接続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3242359B1 (de) * 2016-05-04 2019-07-17 MD Elektronik GmbH Kabel
US9929519B1 (en) * 2016-09-22 2018-03-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6443433B2 (ja) * 2016-12-22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763346B2 (ja) * 2017-01-23 2020-09-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磁シールド部品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750525B2 (ja) * 2017-02-02 2020-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雄側シールド端子
CN109149145B (zh) * 2017-06-28 2020-12-08 拓自达电线株式会社 压接端子、带压接端子的电线以及医疗设备用传感器
US10741975B2 (en) * 2018-10-19 2020-08-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eilded cable assembly and electromagnetic shield terminal assembly for same
JP7135836B2 (ja) * 2018-12-21 2022-09-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体、及びコネクタ構造体の製造方法
KR102095797B1 (ko) * 2019-04-24 2020-04-01 삼우전자정밀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케이블 조립체
EP3826114A1 (en) * 2019-11-21 2021-05-2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 connection and crimp method for a crimp assembly with at least one retention shoulder
EP3905443A1 (de) * 2020-04-30 2021-11-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ssenleiterkontaktelement, steckverbinderanordnung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steckverbinderanordnung
JP7435338B2 (ja) * 2020-07-27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端末構造およびスリーブ
US11469557B2 (en) * 2020-07-28 2022-10-11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DE102021100858A1 (de) 2021-01-18 2022-07-21 Provertha Connectors, Cables & Solutions Gmbh Crimpverbinder zum Anschluss eines einen Kabelschirm aufweisenden Kabels an eine elektronische Baugruppe
US11646510B2 (en) * 2021-04-29 2023-05-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ing electrical terminal with knurling on inner contact walls
DE102021112505A1 (de) * 2021-05-12 2022-1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kontakt, Crimp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Crimpverbindung
JP7376530B2 (ja) * 2021-05-26 2023-11-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磁シールドコネクタ
WO2023247192A1 (en) * 2022-06-20 2023-12-28 Huber+Suhner Ag Crimp ne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899A (ja) 2007-05-15 2008-11-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外導体端子
US20120322303A1 (en) 2009-12-10 2012-12-20 Prysmian S.P.A. Bias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706A (en) * 1962-09-27 1965-05-18 Itt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rnal crimping structure
JPS55102182U (ko) * 1979-01-09 1980-07-16
JPH0720859Y2 (ja) * 1990-02-01 1995-05-15 日立電線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DE19549174A1 (de) * 1995-10-28 1997-07-03 Bosch Gmbh Robert Kontaktelement mit Crimpabschnitt
GB9619552D0 (en) 1996-09-19 1996-10-30 Itt Ind Ltd Coaxial connector body
US6530808B1 (en) 2000-10-17 2003-03-11 Berg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DE10058265C1 (de) * 2000-11-23 2002-06-13 Dbt Automation Gmbh Essen Kabelstecker für elektrische Kabelverbindungen
JP2006302824A (ja) * 2005-04-25 2006-11-0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5059481B2 (ja) * 2007-05-08 2012-10-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JP5504639B2 (ja) 2009-02-09 2014-05-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固定部材、ケーブルコネクタ、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光ケーブルコネクタ
GB2469023B (en) * 2009-03-30 2013-01-02 Tyco Electronics Ltd Uk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ne
JP4979147B2 (ja) * 2009-04-24 2012-07-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US8366483B2 (en) * 2011-02-04 2013-02-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US8992250B1 (en) 2013-03-15 2015-03-31 Megaphase, Llc Clockable cable adap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899A (ja) 2007-05-15 2008-11-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外導体端子
US20120322303A1 (en) 2009-12-10 2012-12-20 Prysmian S.P.A. Biasing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903A (ko) 2022-10-05 2024-04-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527A1 (en) 2017-11-09
DE112017002344T5 (de) 2019-01-17
CN109155469A (zh) 2019-01-04
DE112017002344B4 (de) 2022-05-19
JP2019515452A (ja) 2019-06-06
CN109155469B (zh) 2020-11-17
KR20190002683A (ko) 2019-01-08
JP6752293B2 (ja) 2020-09-09
US9673578B1 (en)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560B1 (ko) 케이블 장착식 전기 커넥터
KR101851897B1 (ko) 무선 주파수 동축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09945B1 (ko) 2개-편 공동 인서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7455550B1 (en) Snap-on coaxial plug
EP3641061B1 (en) Shielded cable assembly
EP231115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EP2067215B1 (en) Right-angled coaxial cable connector
US6809265B1 (en) Terminal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US8002574B1 (en) RF module with a housing with spring loaded connectors and a strain relief extending rearward of the housing
EP0624933B1 (en) Coaxi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having a corrugated outer conductor
EP3108544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8029324B1 (en) RF connector assembly
US7635282B2 (en) Coaxial cable shielding terminal with improved press-clamping portion
JP4096190B2 (ja) 同軸ケーブル用シールド端子
KR102416324B1 (ko) 전기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US9515415B1 (en) Strain relief cable insert
KR102416333B1 (ko)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US6808416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5975948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6687166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付き同軸コネクタ
EP4099505A1 (en) Improved cable shiel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