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306B1 -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306B1
KR102059306B1 KR1020190113324A KR20190113324A KR102059306B1 KR 102059306 B1 KR102059306 B1 KR 102059306B1 KR 1020190113324 A KR1020190113324 A KR 1020190113324A KR 20190113324 A KR20190113324 A KR 20190113324A KR 102059306 B1 KR102059306 B1 KR 10205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ggregate
concrete
pallet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102019011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는, 골재와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배치가 단순하고, 컨베이어의 개수가 적어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주요 구성요소들인 믹서기와 성형기 및 컨베이어의 배치가 효율적이어서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반입하고 양생실의 콘크리트블록을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Concrete block manufacturing facility}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블록은 모래와 자갈과 같은 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일정 형상의 틀에 넣고 찍어 만든 것으로서, 대량생산을 위한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에서 주로 생산된다.
콘크리트블록의 제조설비는, 시멘트와 골재를 물과 함께 혼합하는 믹서기, 골재와 콘크리트의 컨베이어, 블록을 찍기 위한 틀이 있는 성형기, 및 틀에서 찍힌 블록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운반기, 콘크리트블록을 양생하는 양생실로 구분된다.
기존의 콘크리트 제조설비는, 골재와 콘크리트를 믹서기와 성형기 측으로 운반하거나 성형기 측에서 쏟아지는 폐사 콘크리트를 믹서기 측으로 재공급하는 컨베이어의 배치가 복잡하고, 컨베이어의 개수가 많아서 제조설비의 설치면적이 크고,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가 제조효율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기존의 콘크리트 제조설비는, 성형기 측에서 양생실로 콘크리트블록을 적재 이송하는 작업이 어려웠으며, 양생실의 콘크리트블록을 외부로 반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골재와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배치가 단순하고, 컨베이어의 개수가 적어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가 효율적이어서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반입하고 양생실의 콘크리트블록을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하는 수월한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는, 시멘트가 원통 형상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멘트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상부에 있으며, 배출구가 하부에 있으며, 세 개의 지주대가 하부에 설치되며, 펜스가 상면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며, 깔때기 형상의 저면부를 갖는 사이로; 상기 사이로의 저면부 중앙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사이로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시멘트를 상기 이송관의 상단부 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된 배출관을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사이로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호 다른 골재가 저장되는 한 쌍의 골재 저장고와 상기 한 쌍의 골재 저장고 사이의 중앙 측으로 상기 각각의 골재 저장고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는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골재 저장고는 상부가 직육면체 형상이며 하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골재 저장고의 하부에 지지 다리가 구비된 골재저장호퍼; 상기 골재저장호퍼의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로 상단부가 위치하는 제1 골재 컨베이어; 상기 제1 골재 컨베이어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골재를 걸러내는 선별구들이 있으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드럼과 상기 선별드럼이 설치되며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된 설치대를 구비한 골재 선별기; 상기 골재 선별기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와 제1 골재 컨베이어에 평면상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골재 컨베이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관이 상부 일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골재 컨베이어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상부 확장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며, 시멘트와 골재가 투입되어 물과 함께 혼합되는 교반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통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통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부가 마련되는 믹서기; 상기 믹서기의 콘크리트 배출부에 하단부가 대응하여 위치하며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 골재 컨베이어의 평면상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콘크리트 컨베이어; 상기 콘크리트 컨베이어의 상단부 하부에서 평면상 직교하게 수평 배치되는 티형 컨베이어; 상기 티형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확장 개구형의 투입부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부에 연결되며 콘크리트블록을 찍어 내기 위한 유압식 성형틀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식 성형틀에서 찍힌 콘크리트블록들을 파레트 상으로 반출하는 반출부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유압성형기; 상기 유압성형기의 유압식 성형틀의 성형작업 중에 유출된 잉여 콘크리트를 상기 믹서기 측으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 상기 유압성형기의 반출부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블록들이 있는 파레트를 직진 이동시키는 반출 컨베이어; 상기 반출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레트를 지지하여 한쪽으로 옮기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로더가 구비된 오토로더; 상기 오토로더에 직교하는 레일이 있으며,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레트 적재칸들이 마련된 파레트 적재대를 구비한 파레트 캐리어; 상기 파레트 캐리어의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이 평행하게 있으며, 상기 파레트 캐리어에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이송 적재하는 회전식 양생카; 상기 양생실에서 상기 회전식 양생카에 의해 상기 파레트 캐리어의 파레트 적재칸들로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언로딩하도록 상기 오토로더에 인접하여 상기 오토로더와 쌍을 이루면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오토언로더; 상기 오토언로더의 한쪽 하부에 위치하며 언로딩된 콘크리트블록을 직진 이동시키는 언로더체인컨베이어; 상기 언로더체인컨베이어의 단부로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상기 언로더체인컨베이어의 직교하는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푸셔; 상기 제1 푸셔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상기 제1 푸셔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푸셔; 상기 제2 푸셔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상기 제2 푸셔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푸셔; 상기 제3 푸셔에 연결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블록들을 받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들을 이송시키는 회전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부 영역에 받거나 일정 사각영역씩 받고 회전되어 채우는 턴테이블을 구비한 회전 적재대; 상기 회전 적재대 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파지하고 상승, 수평, 하강 이동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반경 연장선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커를 구비한 블록 캐리어; 및 상기 파레트 캐리어에 직교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 캐리어에서 콘크리트블록들을 받는 파레트들이 반출 이송 가능하게 레일 상에 마련되는 반출 캐리어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 컨베이어 상에는, 상기 성형기에서 나온 콘크리트블록의 잔여물을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 개소에서 제거하는 복수의 에어 분사 노즐을 구비한 에어클리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성형기에 연결된 제1 폐사 컨베이어;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제2 폐사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제3 폐사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는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 제2 폐사 컨베이어, 및 제3 폐사 컨베이어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은 기립 양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도시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블록 캐리어의 피커는, 콘크리트블록들을 사각 형상으로 파지하기 위한 사각으로 배치된 네 개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모이거나 확장되게 만드는 파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는, 상기 오토로더와 오토언로더의 전방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사이드 발판을 구비한 콘트롤 타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골재와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배치가 단순하고, 컨베이어의 개수가 적어서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주요 구성요소들의 배치가 효율적이어서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반입하고 양생실의 콘크리트블록을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하는 수월한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유압성형기, 오토로더, 오토언로더, 및 회전 적재대가 배치된 일부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회전 적재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의 선별기, 믹서기, 유압성형기, 오토로더 및 양생카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유압성형기, 오토로더, 및 양생카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는, 사이로(100), 스크류 컨베이어(110), 골재저장호퍼(120), 제1 골재 컨베이어(141), 골재 선별기(142), 제2 골재 컨베이어(148), 믹서기(150), 콘크리트 컨베이어(160), 티형 컨베이어(161), 유압성형기(165), 반송 컨베이어(170), 오토로더(180), 파레트 캐리어(185), 양생카(190), 오토언로더(195),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 제1 푸셔(201), 제2 푸셔(202), 제3 푸셔(203), 롤러 컨베이어(205), 회전 적재대(201), 블록 캐리어(220), 및 반출 캐리어(225)를 포함한다.
사이로(100)는 시멘트가 원통 형상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멘트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상부에 있으며, 배출구가 하부에 있으며, 세 개의 지주대(101)가 하부에 설치되며, 펜스(102)가 상면부 외측에 구비되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며, 깔때기 형상의 저면부를 갖는 것이다.
사이로(100)는 제조설비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보면, 좌측 중앙부에 위치한다. 사이로(100)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중요 원료인 시멘트를 스크류 컨베이어(110)에 의해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 믹서기(150) 측에 공급한다.
스크류 컨베이어(110)은 사이로(100)의 저면부 중앙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사이로(1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111)과 이송관(111)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시멘트를 이송관(111)의 상단부 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112)를 구비하며, 이송관(111)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된 배출관(115)을 구비한 것이다.
스크류 컨베이어(110)은 사이로(100)와 믹서기(15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이로(100)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분말 형태의 시멘트를 스크류(112)에 의해 이송관(111)을 통해 배출관(115)까지 이송하며, 배출관(115)을 통해 믹서기(150) 측으로 투입한다. 배출관(115)은 믹서기(150)와 기밀되게 연결된다.
골재저장호퍼(120)는 사이로(100)에 인접하여 믹서기(150)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호 다른 골재가 저장되는 한 쌍의 골재 저장고(121, 122)와 한 쌍의 골재 저장고(121, 122) 사이의 중앙 측으로 각각의 골재 저장고(121, 122)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는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130)를 구비하되, 골재 저장고(121, 122)는 상부가 직육면체 형상이며 하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골재 저장고(121, 122)의 하부에 지지 다리(131)가 구비된 것이다.
골재저장호퍼(120)의 한쪽 골재 저장고(121, 122)는 모래가 다른 한쪽 저장고는 자갈이나 작은 돌조각들로 채워진다.
골재저장호퍼(120)는 골재 선별기(142)를 경유하는 제1 골재 컨베이어(141)와 제2 골재 컨베이어(148)에 의해 믹서기(150) 측으로 연결된다. 제1 골재 컨베이어(141)와 제2 골재 컨베이어(148)는 평면 상에서 90도 각도를 이루게 된다.
제1 골재 컨베이어(141)는 골재저장호퍼(120)의 한 쌍의 반출 컨베이어(175)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스크류 컨베이어(11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로 상단부가 위치하는 것이다.
골재 선별기(142)는 제1 골재 컨베이어(141)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골재를 걸러내는 선별구들이 있으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드럼(143)과 선별드럼(143)이 설치되며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된 설치대(145)를 구비한 것이다.
골재 선별기(142)는 제1 골재 컨베이어(141)와 제2 골재 컨베이어(148)의 중간에 위치하며, 사이로(100)와 믹서기(15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골재 컨베이어(148)는 골재 선별기(142)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단부가 스크류 컨베이어(110)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스크류 컨베이어(110)과 제1 골재 컨베이어(141)에 평면상 직각으로 배치된 것이다.
믹서기(150)는 스크류 컨베이어(110)의 배출관(115)이 상부 일부에 연결되며, 제2 골재 컨베이어(148)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상부 확장 개구부(151)가 상부에 구비되며, 시멘트와 골재가 투입되어 물과 함께 혼합되는 교반수단(152)이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통(155)을 구비하며, 교반통(155)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부(156)가 마련된 것이다.
믹서기(150)는 시멘트, 골재, 및 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습한 양상의 모르타르로서, 콘크리트를 만들어 낸다. 믹서기(150)에는 혼합 공정을 관찰 및 정비를 위한 믹서기(150)용 작업다이(157)가 설치된다. 믹서기(150)용 작업다이(157)에는 믹서기(150) 측으로 오르내림을 위한 사다리(158)가 설치된다.
콘크리트 컨베이어(160)는 믹서기(150)의 콘크리트 배출부(156)에 하단부가 대응하여 위치하며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제2 골재 컨베이어(148)의 평면상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콘크리트 컨베이어(160)는 배출된 콘크리트를 유압성형기(165) 측으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제2 골재 컨베이어(148)와 비슷한 양상으로 설치된다.
티형 컨베이어(161)는 콘크리트 컨베이어(160)의 상단부 하부에서 평면상 직교하게 수평 배치된 것이다.
티형 컨베이어(161)는 콘크리트 컨베이어(160)에서 떨어지는 콘크리트를 받아서 유압성형기(165) 측으로 수평 이송하여 투입한다. 티형 컨베이어(161)는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컨베이어(160)의 아래에서 콘크리트 컨베이어(160)에 평면상으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유압성형기(165)는 제조설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콘크리트블록을 찍어 반출하도록 구성된다.
유압성형기(165)는 형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확장 개구형의 투입부(166)가 상부에 마련되며, 투입부(166)에 연결되며 콘크리트블록을 찍어 내기 위한 유압식 성형틀(167)을 구비하며, 유압식 성형틀(167)에서 찍힌 콘크리트블록들을 파레트 상으로 반출하는 반출부(168)가 성형틀(167)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반송 컨베이어(170)는 유압성형기(165)의 유압식 성형틀(167)의 성형작업 중에 유출된 잉여 콘크리트를 믹서기(150) 측으로 반송시키는 것이다.
반송 컨베이어(170)는 세 개가 연결되어 사이로(100)와 유압성형기(165) 사이에 위치하며, 사이로(100)의 전방에 있는 믹서기(150) 측으로 유압성형기(165)의 성형과정에서 유출된 콘크리트를 믹서기(150) 측으로 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 컨베이어(170)는, 유압성형기에 연결된 제1 폐사 컨베이어(171), 제1 폐사 컨베이어(171)에 직교하는 제2 폐사 컨베이어(172), 및 제2 폐사 컨베이어(172)에 직교하는 제3 폐사 컨베이어(173)를 포함한다.
제1 폐사 컨베이어(171)는 제2 폐사 컨베이어(172)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제2 폐사 컨베이어(172)의 상단부는 제3 폐사 컨베이어(173)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제1 폐사 컨베이어(171), 제2 폐사 컨베이어(172), 및 제3 폐사 컨베이어(173)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반출 컨베이어(175)는 유압성형기(165)의 반출부(168)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블록들이 있는 파레트를 직진 이동시키는 것이다.
콘크리트블록들은 한 번에 유압성형기(165)에서 파레트 상으로 배치되어 반출되며, 파레트와 함께 이송된다.
반출 컨베이어(175)는 유압성형기(165)의 출구 측으로 직선 연결되어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을 오토로더(180) 측으로 이동시킨다. 콘크리트블록은 반출 컨베이어(175)에 의해 이동되면서 불필요한 콘크리트 잔여물이 제거된다.
반출 컨베이어(175) 상에는, 성형기에서 나온 콘크리트블록의 잔여물을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 개소에서 제거하는 복수의 에어 분사 노즐을 구비한 에어클리너(176)가 설치될 수 있다.
오토로더(180)는 반출 컨베이어(175)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레트를 지지하여 한쪽으로 옮기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로더(181)가 구비된 것이다.
오토로더(180)는 파레트의 저면부를 지지하여 파레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이송로더(181)와 연결된 리프터(182)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프터(182)는 후술되는 파레트 캐리어 측으로 승강되어 위치 조절된 콘크리트블록을 파레트와 함께 파레트 캐리어(185)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적재한다.
파레트 캐리어(185)는 오토로더(180)에 직교하는 레일이 있으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레트 적재칸들이 마련된 파레트 적재대(186)를 구비한 것이다.
파레트 캐리어(185)의 레일은 제조설비의 평면에서 보면, y축에 해당되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다. 파레트 캐리어(185)는 오토로더(180)의 로딩 위치에 대응하여 레일을 따라 전후로 자동 이동된다. 파레트 캐리어(185)의 빈 적재칸들은 오토로더(180)에 의해 콘크리트블록들이 적재된다.
회전식 양생카(190)는 파레트 캐리어(185)의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이 평행하게 있으며, 파레트 캐리어(185)에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이송 적재하는 것이다.
회전식 양생카(190)는 각각의 양생실에 대응하여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으며, 파레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포크 리프터(191)(182)를 구비하고 있으며, 포크 리프터(191)(182)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윙부(192)를 구비한 것이다.
회전식 양생카(190)는 파레트 캐리어(185)의 적재대에서 콘크리트블록들이 있는 파레트를 들어 올려 180도 회전시킨 후 양생실(198)로 들어가서 파레트를 내려놓을 수 있다. 콘크리트블록들은 양생실(198)에서 일정 시간 지나면서 양생되어 견고하게 굳어져 상품화된다.
회전식 양생카(190)는 양생실(198)에서 양생된 콘크리트블록들을 파레트 캐리어(185)에 적재한다.
오토언로더(195)는 양생실(198)에서 회전식 양생카(190)에 의해 파레트 캐리어(185)의 파레트 적재칸들로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언로딩하도록 오토로더(180)에 인접하여 오토로더(180)와 쌍을 이루면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오토언로더(195)는 오토로더(18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반출 컨베이어(175)와 평행하게 배치된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 측으로 콘크리트블록들을 내려놓는다.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는 오토언로더(195)의 한쪽 하부에 위치하며 언로딩된 콘크리트블록을 후술되는 롤러 컨베이어(205) 측에 인접하게 직진 이동시키는 것이다.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와 롤러 컨베이어(205) 사이에는, 제1 푸셔(201), 제2 푸셔(202), 및 제3 푸셔(203)가 설치된다.
제1 푸셔(201)는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의 단부로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의 직교하는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콘크리트들록들은 제1 푸셔(201)에 의해 언로더체인컨베이어(196)의 직교하는 전방 측으로 이송된다.
제2 푸셔(202)는 제1 푸셔(201)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제1 푸셔(201)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제1 푸셔(201)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콘크리트블록들은 제2 푸셔(202)에 의해 제1 푸셔(201)의 좌측으로 이송된다.
제3 푸셔(203)는 제2 푸셔(202)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제2 푸셔(202)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제2 푸셔(202)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들은 제3 푸셔(203)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205) 측으로 이동된다.
롤러 컨베이어(205)는 제3 푸셔(203)의 전방 측에 연결 배치되며 콘크리트블록들을 받으며, 콘크리트블록들을 이송시키는 회전 롤러(206)들을 구비한 것이다. 롤러 컨베이어(205)는 일련의 회전 롤러(206)들에 의해 콘크리트블록들을 회전 적재대(210) 측으로 이송한다.
회전 적재대(210)는 롤러 컨베이어(205)에 연결되어 있으며, 롤러 컨베이어(205)에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부 영역에 받거나 일정 영역씩 받고 회전되어 채우는 턴테이블(211)을 구비한 것이다.
콘크리트블록들은 사각형상으로 배치되어 턴테이블의 사분 영역에 배치된다. 턴테이블은 90도 간격으로 회전되면서 각각의 사분 영역에 콘크리트블록들이 배치된다.
이와 달리 롤러 컨베이어(205)의 회전 롤러(206)들은 기립 양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도시켜 이송할 수 있다. 이때는 콘크리트블록들은 눕혀진 상태에서 턴테이블(211)에 원형 영역의 중앙부에 사각으로 한 번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캐리어(220)는 회전 적재대(201) 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파지하고 상승, 수평, 및 하강 이동하여 턴테이블(211)의 반경 연장선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커(221)를 구비한 것이다.
블록 캐리어(220)의 피커(221)는 턴테이블(211) 상의 콘트리트블록들을 사각 형상으로 압박 파지하여 전방에 있는 다른 파레트 캐리어(185)인 반출 캐리어(225) 측으로 적재할 수 있다.
블록 캐리어(220)의 피커(221)는, 콘크리트블록들을 사각 형상으로 파지하기 위한 사각으로 배치된 네 개의 파지부(222)와, 파지부(222)를 모이거나 확장되게 만드는 파지 실린더(22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출 캐리어(225)는 상기의 파레트 캐리어(185)에 직교하게 배치되며, 블록 캐리어(220)에서 콘크리트블록들을 받는 파레트들이 반출 이송 가능하게 레일 상에 마련된 것이다.
반출 캐리어(225)는 콘크리트블록들이 적재되는 파레트를 공급하기 위한 파레트함(226)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는, 오토로더(180)와 오토언로더(195)의 전방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사이드 발판(228)을 구비한 콘트롤 타워(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 타워(227)는 작업 감독자가 위치하기 것으로서, 작업 공정을 감시하거나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사이로 101: 지주대
102: 펜스 110: 스크류 컨베이어
111: 이송관 112: 스크류
115: 배출관 120: 골재저장호퍼
121, 122: 골재 저장고 130: 배출 컨베이어
131: 지지 다리 141: 제1 골재 컨베이어
142: 골재 선별기 143: 선별드럼
145: 설치대 148: 제2 골재 컨베이어
150: 믹서기 151: 상부 확장 개구부
152: 교반수단 155: 교반통
156: 배출부 157: 작업다이
158: 사다리 160: 콘크리트 컨베이어
161: 티형 컨베이어 165: 유압성형기
166: 투입부 167: 성형틀
168: 반출부 170: 반송 컨베이어
171: 제1 폐사 컨베이어 172: 제2 폐사 컨베이어
173: 제3 폐사 컨베이어 175: 반출 컨베이어
176: 에어클리너 180: 오토로더
181: 이송로더 182: 리프터
185: 파레트 캐리어 186: 파레트 적재대
190: 양생카 191: 포크 리프터
192: 스윙부 195: 오토언로더
196: 언로더체인컨베이어 198: 양생실
201: 제1 푸셔
202: 제2 푸셔 203: 제3 푸셔
205: 롤러 컨베이어 206: 회전 롤러
210: 회전 적재대 220: 블록 캐리어
221: 피커 222: 파지부
223: 파지 실린더 225: 반출 캐리어
226: 파레트함 227: 콘트롤 타워
228: 사이드 발판

Claims (6)

  1. 시멘트가 원통 형상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멘트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상부에 있으며, 배출구가 하부에 있으며, 세 개의 지주대가 하부에 설치되며, 펜스가 상면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며, 깔때기 형상의 저면부를 갖는 사이로;
    상기 사이로의 저면부 중앙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사이로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시멘트를 상기 이송관의 상단부 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의 상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된 배출관을 구비한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사이로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호 다른 골재가 저장되는 한 쌍의 골재 저장고와 상기 한 쌍의 골재 저장고 사이의 중앙 측으로 상기 각각의 골재 저장고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는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골재 저장고는 상부가 직육면체 형상이며 하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골재 저장고의 하부에 지지 다리가 구비된 골재저장호퍼;
    상기 골재저장호퍼의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로 상단부가 위치하는 제1 골재 컨베이어;
    상기 제1 골재 컨베이어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골재를 걸러내는 선별구들이 있으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드럼과 상기 선별드럼이 설치되며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된 설치대를 구비한 골재 선별기;
    상기 골재 선별기의 하부에 하단부가 위치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와 제1 골재 컨베이어에 평면상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골재 컨베이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배출관이 상부 일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골재 컨베이어의 상단부가 대응하는 상부 확장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며, 시멘트와 골재가 투입되어 물과 함께 혼합되는 교반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통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통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부가 마련되는 믹서기;
    상기 믹서기의 콘크리트 배출부에 하단부가 대응하여 위치하며 일정 각도 경사진 양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2 골재 컨베이어의 평면상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콘크리트 컨베이어;
    상기 콘크리트 컨베이어의 상단부 하부에서 평면상 직교하게 수평 배치되는 티형 컨베이어;
    상기 티형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확장 개구형의 투입부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부에 연결되며 콘크리트블록을 찍어 내기 위한 유압식 성형틀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식 성형틀에서 찍힌 콘크리트블록들을 파레트 상으로 반출하는 반출부가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유압성형기;
    상기 유압성형기의 유압식 성형틀의 성형작업 중에 유출된 잉여 콘크리트를 상기 믹서기 측으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
    상기 유압성형기의 반출부에 연결되어 콘크리트블록들이 있는 파레트를 직진 이동시키는 반출 컨베이어;
    상기 반출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레트를 지지하여 한쪽으로 옮기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송로더가 구비된 오토로더;
    상기 오토로더에 직교하는 레일이 있으며,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레트 적재칸들이 마련된 파레트 적재대를 구비한 파레트 캐리어;
    상기 파레트 캐리어의 레일에 대응하는 레일이 평행하게 있으며, 상기 파레트 캐리어에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양생실로 이송 적재하는 회전식 양생카;
    상기 양생실에서 상기 회전식 양생카에 의해 상기 파레트 캐리어의 파레트 적재칸들로 적재된 콘크리트블록을 언로딩하도록 상기 오토로더에 인접하여 상기 오토로더와 쌍을 이루면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오토언로더;
    상기 오토언로더의 한쪽 하부에 위치하며 언로딩된 콘크리트블록을 직진 이동시키는 언로더체인컨베이어;
    상기 언로더체인컨베이어의 단부로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상기 언로더체인컨베이어의 직교하는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 푸셔;
    상기 제1 푸셔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상기 제1 푸셔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푸셔;
    상기 제2 푸셔에 직교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이동된 콘크리트 블록들을 상기 제2 푸셔와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푸셔;
    상기 제3 푸셔에 연결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블록들을 받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들을 이송시키는 회전 롤러들을 구비한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이송된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부 영역에 받거나 일정 영역씩 받고 회전되어 채우는 턴테이블을 구비한 회전 적재대;
    상기 회전 적재대 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파지하고 상승, 수평, 하강 이동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반경 연장선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커를 구비한 블록 캐리어; 및
    상기 파레트 캐리어에 직교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록 캐리어에서 콘크리트블록들을 받는 파레트들이 반출 이송 가능하게 레일 상에 마련되는 반출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캐리어의 피커는, 콘크리트블록들을 사각 형상으로 파지하기 위한 사각으로 배치된 네 개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모이거나 확장되게 만드는 파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컨베이어 상에는, 상기 성형기에서 나온 콘크리트블록의 잔여물을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 개소에서 제거하는 복수의 에어 분사 노즐을 구비한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성형기에 연결된 제1 폐사 컨베이어;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제2 폐사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제3 폐사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는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폐사 컨베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제3 폐사 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폐사 컨베이어, 제2 폐사 컨베이어, 및 제3 폐사 컨베이어는 경사지게 배치된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은 기립 양상의 콘크리트블록들을 전도시켜 이송하는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로더와 오토언로더의 전방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사이드 발판을 구비한 콘트롤 타워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KR1020190113324A 2019-09-16 2019-09-16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KR10205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24A KR102059306B1 (ko) 2019-09-16 2019-09-16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24A KR102059306B1 (ko) 2019-09-16 2019-09-16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06B1 true KR102059306B1 (ko) 2019-12-26

Family

ID=6910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24A KR102059306B1 (ko) 2019-09-16 2019-09-16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58B1 (ko) * 2021-03-25 2022-02-09 유한회사 다온산업 폐토사를 이용한 벽돌 및 블록 생산 자동화 시스템
CN116494373A (zh) * 2023-05-12 2023-07-28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混凝土制备砖块和排水板层的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20B1 (ko) * 2006-12-06 2007-07-25 (주)필립건축사사무소 재생골재와 숯황토 고형물을 주재료로 한 투수성수목이식용 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20B1 (ko) * 2006-12-06 2007-07-25 (주)필립건축사사무소 재생골재와 숯황토 고형물을 주재료로 한 투수성수목이식용 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58B1 (ko) * 2021-03-25 2022-02-09 유한회사 다온산업 폐토사를 이용한 벽돌 및 블록 생산 자동화 시스템
CN116494373A (zh) * 2023-05-12 2023-07-28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混凝土制备砖块和排水板层的装置及方法
CN116494373B (zh) * 2023-05-12 2024-04-02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混凝土制备砖块和排水板层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173B1 (ko) 감소된 주기 시간과 감소된 설치 및 해체 시간을 가지는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2059306B1 (ko) 콘크리트블록 제조설비
CN102133715B (zh) 自动上料系统
CN210410582U (zh) 自动堆料配料系统
CN210082107U (zh) 一种地仓式自动供料系统
CN205345973U (zh) 一种圆形料场
KR101090137B1 (ko) 전주 근가의 자동화 생산 설비
CN214831663U (zh) 下沉式上料系统
CN110980236B (zh) 一种自动上卸料盒装置
CN105836485B (zh) 圆形煤场卸料机
CN112704643A (zh) 一种中药固体制剂的密闭式生产系统
EP1025969B1 (en) Plant for storing, handling and feeding loose materials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CN205634246U (zh) 一种圆形煤场卸料机
US3471041A (en) Apparatus for depositing material in and removing it from elongated processing zones
CN220614517U (zh) 免基础移动式ai监控立体骨料上料储存装备
CN220351137U (zh) 一种原料转运装置
CN209812786U (zh) 一种混凝土生产线
CN204822720U (zh) 堆料均匀的原料仓库
CN212981548U (zh) 一种水泥原料输送带的给料装置
CN219540962U (zh) 一种建筑机械工程用可调节式用料机
CN219402229U (zh) 立体造型工部
CN220519556U (zh) 一种耐火砖生产用防泥料偏析的翻转装置
CN213737634U (zh) 一种粉料仓
CN203600427U (zh) 待料斗、物料输送装置和混凝土搅拌站
US675560A (en) Apparatus for handling br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