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67B1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7467B1 KR102057467B1 KR1020160148531A KR20160148531A KR102057467B1 KR 102057467 B1 KR102057467 B1 KR 102057467B1 KR 1020160148531 A KR1020160148531 A KR 1020160148531A KR 20160148531 A KR20160148531 A KR 20160148531A KR 102057467 B1 KR102057467 B1 KR 102057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brightness
- display
- typ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454 recorded image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9557 luminan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9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025261 Neoraja caerul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 H04N9/73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 H04N5/23216—
-
- H04N5/2329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촬상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3c는 감마특성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촬상시에 적용되는 감마특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5b는 카메라 모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a-6d는 카메라 모드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재생 모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패널 휘도 설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가이드 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a 및 10b는 정지중 화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a-11e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편집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3a-13c는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5)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의 시인성의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촬상유닛과,
촬상된 피사체의 휘도에 관계없이 상기 촬상유닛으로 촬상을 행할 때에 모드를 서로 다른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복수의 모드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상기 제1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휘도보다도 더 밝은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삭제
- 삭제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멀티스크린에서 화상 표시를 행할 때, 상기 복수의 화상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근거해서 표시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을 묘화하는 밝기를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조 특성과 상기 제2 계조 특성은, 피사체의 휘도를 계조값으로 변환할 때의 계조 특성이며, 상기 제2 계조 특성은,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피사체의 중휘도로부터 저휘도측의 계조성이 낮고, 고휘도측에 할당되는 계조값의 수가 큰 계조 특성인,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편집 처리 중에서 하나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1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처리는,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의 속성정보가 편집 전의 화상에 부여되어 있어도, 편집 후의 화상에는 상기 특정의 속성정보를 부여하지 않는 편집 처리인, 표시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처리는, 트랜스코딩 및 복수의 동화상을 결합하는 편집 중의 적어도 1개인, 표시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집 처리는,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의 속성정보가 편집 전의 화상에 부여되어 있으면, 편집 후의 화상에도 상기 특정의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편집 처리인, 표시 제어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집 처리는, 트리밍 및 카피 중의 적어도 1개인,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화상을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할 때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에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력 유닛에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은 제1 계조 특성으로 촬상되고,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촬상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촬상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화면을 표시한 상태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값은, 상기 제2 휘도인, 표시 제어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설정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휘도 설정인, 표시 제어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기록된 화상과 화상의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속성정보가 부여된 화상을 재생할 때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속성정보가 부여된 화상을 재생할 때,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을 화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의 시인성의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6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촬상단계와,
촬상된 피사체의 휘도에 관계없이 상기 촬상단계에서 촬상을 행할 때에 모드를 서로 다른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복수의 모드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상기 제1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휘도보다도 더 밝은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7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멀티스크린에서 화상 표시를 행할 때, 상기 복수의 화상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0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을 묘화하는 밝기를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3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편집 처리 중에서 하나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1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5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화상을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할 때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20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20703 | 2015-11-10 | ||
JP2015220757A JP6584295B2 (ja) | 2015-11-10 | 2015-11-10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JP-P-2015-220757 | 2015-11-10 | ||
JP2015220756A JP6685700B2 (ja) | 2015-11-10 | 2015-11-10 |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JP2015220703A JP6611567B2 (ja) | 2015-11-10 | 2015-11-10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JP-P-2015-220756 | 2015-1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001A KR20170055001A (ko) | 2017-05-18 |
KR102057467B1 true KR102057467B1 (ko) | 2019-12-19 |
Family
ID=5858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531A KR102057467B1 (ko) | 2015-11-10 | 2016-11-09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0205872B2 (ko) |
KR (1) | KR102057467B1 (ko) |
CN (3) | CN111312132B (ko) |
DE (1) | DE10201612131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12132B (zh) * | 2015-11-10 | 2023-08-22 | 佳能株式会社 |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KR102594201B1 (ko) * | 2016-09-22 | 2023-10-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
DE102017210462A1 (de) * | 2017-06-22 | 2018-12-27 | Robert Bosch Gmbh | Werkzeug und verfahren zum justieren einer anzeigeeinrichtung an einem werkzeug zur behandlung mindestens eines werkstücks |
US11211030B2 (en) | 2017-08-29 | 2021-12-28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with adaptive display |
US10659745B2 (en) | 2017-09-13 | 2020-05-19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
JP2020025176A (ja) * | 2018-08-07 | 2020-02-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21124638A (ja) * | 2020-02-06 | 2021-08-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CN116129806A (zh) * | 2022-12-28 | 2023-05-16 |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 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41071A1 (ja) * | 2012-03-22 | 2013-09-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6238B2 (ja) * | 2001-12-03 | 2004-11-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04062763A (ja) * | 2002-07-31 | 2004-02-26 | Nec Soft Ltd | バス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JP4012118B2 (ja) * | 2003-05-19 | 2007-1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 |
JP2006109327A (ja) * | 2004-10-08 | 2006-04-20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撮像装置及び階調変換方法 |
US8570407B2 (en) * | 2008-07-17 | 2013-10-29 | Nikon Corporation |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JP5669474B2 (ja) * | 2010-08-05 | 2015-02-12 |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
JP5685065B2 (ja) * | 2010-11-29 | 2015-03-18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表示装置、中間階調処理回路及び中間階調処理方法 |
KR20130035782A (ko) * | 2011-09-30 | 2013-04-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구동방법 |
JP5843662B2 (ja) * | 2012-03-05 | 2016-01-13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
JP5730439B2 (ja) * | 2012-03-21 | 2015-06-1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撮影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
JP2014155005A (ja) * | 2013-02-07 | 2014-08-25 | Canon Inc |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RU2602340C2 (ru) * | 2013-11-13 | 2016-11-20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а также невреме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
JP6247527B2 (ja) * | 2013-12-24 | 2017-12-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
JP5984975B2 (ja) * | 2015-01-21 | 2016-09-0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6624889B2 (ja) * | 2015-10-30 | 2019-12-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
CN111312132B (zh) * | 2015-11-10 | 2023-08-22 | 佳能株式会社 |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
2016
- 2016-11-03 CN CN202010197580.3A patent/CN111312132B/zh active Active
- 2016-11-03 CN CN201610977759.4A patent/CN106683601B/zh active Active
- 2016-11-03 CN CN202010197585.6A patent/CN111312133B/zh active Active
- 2016-11-08 DE DE102016121310.1A patent/DE102016121310A1/de active Pending
- 2016-11-08 US US15/346,511 patent/US10205872B2/en active Active
- 2016-11-09 KR KR1020160148531A patent/KR102057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9-13 US US16/130,867 patent/US2019001425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41071A1 (ja) * | 2012-03-22 | 2013-09-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134642A1 (en) | 2017-05-11 |
CN106683601B (zh) | 2020-07-14 |
CN111312133B (zh) | 2024-01-09 |
CN111312133A (zh) | 2020-06-19 |
DE102016121310A1 (de) | 2017-05-11 |
US10205872B2 (en) | 2019-02-12 |
KR20170055001A (ko) | 2017-05-18 |
CN111312132A (zh) | 2020-06-19 |
US20190014257A1 (en) | 2019-01-10 |
CN106683601A (zh) | 2017-05-17 |
CN111312132B (zh)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7467B1 (ko)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5762115B2 (ja)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8004594B2 (en)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ving and still images | |
JP2005269563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 |
JP2011010273A (ja) | 撮影条件制御装置、カメラ、画質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3162425A (ja) |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00070043A (ko) |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장면 인식 표시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표시 방법을 적용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 |
KR20120083085A (ko)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6685700B2 (ja) |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JP6611567B2 (ja)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6584295B2 (ja)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6355333B2 (ja) |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 |
JP5931393B2 (ja) | 撮像装置 | |
JP2019140568A (ja) | 画像処理装置 | |
JP5213557B2 (ja) | 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動画像処理方法 | |
JP5828251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 |
JP4911287B2 (ja) |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JP624977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 |
KR101946574B1 (ko) | 영상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
JP2019140567A (ja) | 画像処理装置 | |
KR20090080330A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06287828A (ja) | 動画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JP6009046B2 (ja)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6332963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 |
KR20100101912A (ko) | 동영상 파일을 연속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