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67B1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467B1
KR102057467B1 KR1020160148531A KR20160148531A KR102057467B1 KR 102057467 B1 KR102057467 B1 KR 102057467B1 KR 1020160148531 A KR1020160148531 A KR 1020160148531A KR 20160148531 A KR20160148531 A KR 20160148531A KR 102057467 B1 KR102057467 B1 KR 10205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ightness
display
ty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001A (ko
Inventor
아키오 요시카와
사토시 이시마루
코이치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20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5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20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857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20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4295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04N9/7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04N5/23216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장치는 제1 계조 특성으로 촬상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촬상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제어장치 및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장치의 휘도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사체를 촬상장치로 촬영하고, 그 영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유저가 그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영상 시스템에서는, 촬영시에 있어서, 촬상장치는, 촬상장치의 감마특성에 의거하여 피사체 휘도를 코드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계조를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 표시시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감마특성에 의거하여 영상신호의 코드 값을 출력 휘도값으로 변환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영상 시스템은 매우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는 실세계의 피사체 중, 한정된 밝기의 범위를 잘라내고, 표시장치의 한정적인 좁은 다이나믹 레인지 내에 두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시에 촬상장치에 있어서 실용적인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하기 위해서, 니(knee) 보정 처리를 사용해서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를 넓히는 연구가 이루어진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23373).
일반적으로는, 촬상장치는, 중휘도(intermediate luminance)로부터 고휘도의 영역의 콘트라스트를 압축함으로써, 실용적인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그 경우, 촬상장치의 감마특성과 표시장치의 감마특성을 합친 시스템 토털(total)로서의 계조 특성은, 저휘도부에 대하여 고휘도부의 콘트라스트가 압축된 부자연스러운 계조 특성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불리한 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촬상장치의 감마특성과 표시장치의 감마특성을 합친 시스템 토털로서의 계조 특성을 휘도 리니어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계조 특성을 휘도 리니어로 함으로써 암(dark)부로부터 하이라이트(highlight)부까지의 전역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성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휘도 리니어의 계조 특성을 갖는 영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경우, 휘도 리니어의 계조 특성이 아닌 일반적인 계조 특성에 비해서, 자연스러운 계조성이지만, 중휘도와 저휘도가 어두워진다.
또한, 재생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모니터의 휘도는 재생하는 영상에 맞춰서 제어 가능하지만,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록상표) 등의 외부 영상출력 단자에 접속된 모니터에 관해서는, 재생장치측에서 제어할 수 없는 휘도가 많다. 그 때문에, 이러한 외부 모니터에 대하여 휘도 리니어의 계조 특성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고, 일반적인 휘도 설정으로 영상을 표시하면, 표시되는 영상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국면에 의하면, 장치가 제1 계조 특성으로 촬상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촬상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이들 실시예의 국면들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촬상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3c는 감마특성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촬상시에 적용되는 감마특성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5b는 카메라 모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a-6d는 카메라 모드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재생 모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패널 휘도 설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가이드 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a 및 10b는 정지중 화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a-11e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편집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3a-13c는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해 적당하게 수정 또는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웨어 구성>
도 1에, 표시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이하, 촬상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렌즈(101)는 포커스 렌즈, 줌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이며, 렌즈(101)의 후방에는 조리개(102)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101)와 조리개(102)를 통해서 전해진 빛은, 이미지 센서(105)의 결상면 위에 피사체상으로서 결상된다. 이미지 센서(105)에 있어서, 결상된 피사체상은 광신호로부터 영상신호(영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미지 센서(105)에 의해 취득된 영상신호는, 신호 처리부(112)에 보내진다. 신호 처리부(112)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의 제어 하에서, WB(white balance) 보정부(107)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에지 강조부(108)에 의한 에지 강조 처리, 및 감마 보정부(109)에 의한 감마 보정 처리를 영상신호에 대하여 실행한다.
또한, 휘도/색 정보 검출부(110)는, 화상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휘도/색 정보 검출 프레임을 설정하고, 휘도/색 정보 검출 프레임 내의 화소값을 적분함으로써 피사체의 각 검출 프레임에 있어서의 휘도 정보 및 색 정보를 검출한다. 휘도/색 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휘도 정보 및 색 정보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보내진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취득한 휘도 및 색 등의 피사체 정보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에지 강조 처리,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하는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보정값에 근거해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에지 강조 처리, 감마 보정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하는 촬상장치(100)의 감마특성은, 촬상장치의 촬영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이면 고휘도 우선용의 감마 보정 커브이며, 촬상장치의 촬영 모드가 보통 촬영 모드이면 보통 촬영용의 감마 보정 커브다. 고휘도 우선용의 감마 보정 커브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12)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에지 강조 처리, 감마 보정 처리, 및 휘도/색 정보 검출 처리 이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 및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12)에 있어서 신호 처리를 행한 후에,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출력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I/F)(119)를 통해서 외부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다. 외부 I/F(119)는, 외부 표시장치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표시장치의 예로서 HDMI(등록상표),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컴포지트(Composite), 컴포넌트(Component) 등을 들 수 있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 I/F(119)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 디스플레이(116)는, 촬상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다. 본체 디스플레이(116)에는, 이미지 센서(105)로 촬상된 화상(동화상/정지 화상)이나, 메모리 카드(118), 자기 테이프(115),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117)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는 각종 설정 정보나 메뉴 화면 등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디스플레이(116)는 화면에 대한 터치 조작을 접수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다. 본체 디스플레이(116)는 예를 들면,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이며, 후술하는 휘도 설정은,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자기발광의 휘도 설정이다. 다만, 본체 디스플레이(116)는 유기 EL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모니터 등의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 디스플레이(116)가 액정 디스플레이인 경우, 휘도 설정은 백라이트의 휘도 설정이다.
도 1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EVF(electronic viewfinder)(204)에도, 본체 디스플레이(116)와 같은 표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120)는 촬상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이 아니고, 외부 I/F(119)을 통해서 접속 가능한, 텔레비젼, 영상 확인용의 업무용 디스플레이, 태블릿형의 PC(Personal Computer) 등의 외부기기다. 또한, 신호 처리부(112)에 있어서 신호 처리를 행한 신호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기록된다.
또,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센서 제어부(106)를 통해서 이미지 센서(1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축적, 판독 등을 제어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렌즈 제어부(103)를 통해서, 렌즈(101)의 포커스, 줌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휘도/색 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휘도 정보 및 색 정보에 근거해 조리개 제어부(104)를 통해서 조리개(102)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센서 제어부(106)를 통해서, 셔터 스피드를 제어함으로써 노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렌즈 제어부(103)를 통해서 렌즈(101)를 구동하거나 또는 신호 처리부(112)를 제어함으로써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상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다. ROM(Read Only Memory)(111a)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의 동작용의 정수와 각종 설정 값,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다. RAM(Random Access Memory)(111b)은,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의 동작용의 워크 메모리다.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의 처리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ROM(111a)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111b)에 전개하고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2는, 촬상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에 있어서, 본체부(201)는 촬상장치(100)의 본체부이다. 촬상장치(100) 내부에는, DVD(117), 자기테이프(115), 및 메모리 카드(118)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가 수납되어, 영상신호 및 정지화상을 기록 및 재생 가능하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내장의 기록 매체를 구비해도 된다. 렌즈부(202)는 렌즈(101)를 포함하는 렌즈부다. 마이크로폰(203)은 촬상시의 음성을 기록하기 위해서 설치된 집음부이다. EVF(204)는 전자 뷰파인더(Eectronic View Finder)이다. 유저는, EVF(204)를 들여다보는 것에 의해, 카메라로 촬영시에, 현재의 설정 내용과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의 라이브 뷰(live view)(이하, LV)를 확인할 수 있다.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는 푸시 버튼이며, 동화상 촬영(동화상의 기록)의 시작 및 종료를 촬상장치(100)에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다. 정지 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6)는 푸시 버튼이며, 정지 화상의 촬영 시작 및 종료를 촬상장치(100)에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다. 모드 다이얼(207)은, 모드를 재생 모드로 설정하는 “재생(REPRODUCE)”,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설정하는 “카메라(CAMERA)", 및 그 어느 것도 아닌 “OFF”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식의 스위치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100)는 모드 다이얼(207)로 선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드, 재생 모드, 및 전원 OFF의 3개의 모드를 갖지만, 모드를 다른 모드(예를 들면,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드 등)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 스위치군(208)은, 사용자가 본체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와 키이며, 예를 들면, 화질 필터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와, 그 밖의 메뉴 조작, 재생계의 조작 등을 위한 키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 스위치군(208)에는, 예를 들면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 선택사항으로부터 항목을 선택하는 조작 등에 사용되는 상 키, 하 키, 좌 키, 우 키를 포함하는 방향 키, 및 선택 확정 등의 조작에 사용되는 세트 버튼 등도 포함된다.
본체 디스플레이(116)는 본체부(2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바리 앵글(vari-angle) 모니터에 구비되어 있다. 발리 앵글 모니터는, 본체부(201)에 대하여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표시면이 대향하는 폐쇄된 위치부터 개방된 상태로의 축방향과, 개방된 상태에서 표시면이 촬영자측(EVF(204)이 위치되는 측)을 향하는 개방된 위치부터 표시면이 피사체측을 향하는 반전 개방 위치로의 축방향과의 2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2는, 발리 앵글 모니터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예를 나타낸다. 스피커(210)는, 동화상을 재생할 때에 음성을 출력하거나 경고 소리를 출력하거나 하기 위한 발음부다. 배터리(211)는, 본체부(201)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전원부다.
<고휘도 우선 모드와 보통(스탠다드) 모드의 감마특성>
촬상장치(100)에서는, 촬영시의 감마특성(감마 보정 커브)으로서, 보통(스탠다드)의 감마특성을 사용할지 고휘도 우선의 감마특성을 사용할지(촬영 감마 모드)를 유저가 선택해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상장치(100)는 고휘도 우선의 감마특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드를 고휘도 우선 모드(Highlight Priority 모드, 이하, HP 모드라고 축약하는 경우가 있다)로 설정하고, 일반적인 감마특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드를 스탠다드 모드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은 촬영 감마 모드의 설정은, 예를 들면, 도 6b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촬영 감마 모드를 전환하는 화면에서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그 설정 결과(HP 모드나 스탠다드 모드)는 RAM(111b)에 유지된다.
다음에, 고휘도 우선 모드용의 감마 보정 특성에 대해서,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는, 촬상장치(100)의 고휘도 우선 모드용의 감마 특성을 나타낸다. 도 3a에 있어서, 감마특성 301은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x1에 대응하는 감마특성이며, ITU-R(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BT(Broadcasting Service).709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감마특성이다. 감마특성 302는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x2에 대응하는 감마특성이며,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를 실용적인 범위로 확장했을 경우를 나타낸다. 감마특성 302는, 감마특성 301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감마특성의 일부의 콘트라스트를 압축하지 않고, 입력 코드에 대한 출력 코드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저휘도로부터 고휘도까지의 비트의 배당을 고정하는 특성으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3b는, 고휘도 우선의 감마특성과, 보통(스탠다드)의 감마특성의 예를 나타낸다. 감마특성 303(제2 계조 특성)은, HP 모드에서 피사체의 휘도(촬상 신호)를 계조값(영상 신호)으로 변환할 때에 사용되는 촬상장치(100)(이미지 센서(105))의 고휘도 우선의 감마특성이다. 촬상시의 감마특성 303과 표시시의 감마특성 304(화상이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출력할 때의 감마특성)을 합친 시스템 토털로서, 계조 특성 305를 취득할 수 있다. HP 모드를 사용했을 경우의 계조 특성 305에서는, 중휘도로부터 고휘도의 영역에 대해서도, 콘트라스트가 압축되는 일 없이, 저휘도부에서 고휘도부까지의 전영역에 있어서, 리니어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이 되는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x1에 대응하는 촬상장치의 감마특성을 y = f(x)이라고 하면,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x1를 t배로 할 때의 촬상장치(100)의 감마특성은, y = f(x)을 y = f(x/t)로 변경하는 것으로 취득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는, 제품마다 적정히 설정되어도 되고, 동일 제품 내에서의 촬영 모드마다 적정히 설정되어도 되며, 동일 촬영 모드 내에 있어서 촬영 씬마다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이렇게, HP 모드를 이용하면, 입력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관계없이 감마 보정 처리에 의한 콘트라스트 압축을 회피할 수 있어, 암부로부터 하이라이트부까지 전역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성, 색 재현성, 및 선예도(sharpness)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히, 금속의 광택(shininess), 물의 투명도, 푸른 하늘이나 구름의 입체감, 스킨 톤 등의 계조성, 색 재현성, 및 선예도를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감마특성 306(제1 계조 특성)은, 보통(스탠다드) 모드에서 피사체의 휘도(촬상 신호)를 계조값으로 변환할 때에 사용되는 촬상장치(100)(이미지 센서(105))의 감마특성이다. 촬상시의 감마특성 306과 표시시의 감마특성 304(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화상을 출력할 때의 감마특성)을 합친 시스템 토털로서, 계조 특성 307을 취득할 수 있다. HP 모드의 감마특성 303과 보통 모드의 감마특성 306에서는 HP 모드의 감마특성 303의 쪽이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다. 즉, 피사체 휘도의 고휘도 측에 할당되는 계조값(코드 값)의 수가 많다. 반대로, HP 모드의 감마특성 303과 보통 모드의 감마특성 306에서는. HP 모드의 감마특성 303의 쪽이 저휘도∼중간휘도측의 계조성이 낮다. 즉, 피사체 휘도의 저휘도∼ 중휘도에 할당되는 계조값(코드 값)의 수가 적다. 그 때문에, 통상(스탠다드)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한 영상을 표시했을 경우의 계조 특성 307은, 실제의 피사체의 계조 특성에 비하여 고휘도부의 휘도 변화가 감소해버려, 리얼리티(자연스러운 계조성, 색 재현성, 및 선예도)에 관해서는 계조 특성 305보다도 낮다. 바꿔 말하면, 보통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한 영상을 표시했을 경우, HP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한 영상을 표시한 영상보다도, 피사체의 고휘도 부분이 색 손상(하이라이트 디테일 손실(highlight detail loss))되기 쉽다. 또한, HP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한 영상을 표시했을 경우, 보통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한 영상을 표시한 영상보다도, 피사체의 고휘도 부분의 계조가 매끄럽게 보인다. 이 때문에, HP 모드를 사용해서 촬상된 영상은, 금속의 광택, 물의 투명도, 및 푸른 하늘이나 구름의 입체감 등, 고휘도 부분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한편, 저휘도로부터 중휘도의 부분의 계조 특성 307은 실제로 피사체의 계조 특성보다도 높아지고, 계조 특성 305를 사용한 화상보다도 저휘도로부터 중휘도의 부분이 밝게 보인다.
다음에, 촬상장치(100)의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한, 고휘도 우선 모드 시의 감마 보정 처리 및 메타데이터 기록 처리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촬상장치(100)로 행해지는 카메라 계조 보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촬상장치(100)를 카메라 모드에서 기동하고, 라이브 뷰(LV)의 촬상이 개시되면 반복해서 행해지고, LV 화상 및 동화상 기록 시작 후의 기록용의 촬상 화상의 쌍방에 적용되는 처리다. 또한, 도 4의 처리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카메라 모드 처리에서 행해지는 감마 특성별의 LV를 표시하는 처리와, 동화상 기록의 처리에 대응하는 부분에 특화해서 상세하게 설명한 처리이다.
스텝 S4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를 결정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는, 카메라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마다 미리 설정된 소정값이거나, 또는, 휘도/색 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휘도 정보 및 색 정보에 근거해 산출된 값이다. 스텝 S4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휘도/색 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휘도 정보 및 색 정보에 근거해 노출 제어를 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된 촬영 감마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HP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홀드된 활영 감마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인 경우(스텝 S403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04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하는 감마 보정 특성을 고휘도 우선용의 감마 보정 커브로 결정한다. 스텝 S4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영되는 화상에 관해서 고휘도 우선 모드에 대응한 메타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여기에서, 기록되는 메타데이터는, 고휘도 우선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미리 설정된 표시 휘도의 기준값에 대한 배율, 피크 휘도값, 촬상장치(100)에 있어서의 감마 형상 정보 및 베이스 감마 등이다.
한편, 스텝 S403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홀드된 촬영 감마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가 아니라 스탠다드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403에서 NO), 스텝 S406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감마 보정 처리에 사용하는 감마 보정 특성을 보통 촬영용의 감마 보정 커브로 결정한다. 스텝 S40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영되는 화상에 관해서 스탠다드 모드에 대응한 메타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여기에서, 기록하는 메타데이터는, 보통 촬영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 입력 다이나믹 레인지, 미리 설정된 표시 휘도의 기준값에 대한 배율, 피크 휘도값, 촬상장치(100)에 있어서의 감마 형상 정보나 베이스 감마 등이다.
스텝 S40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결정한 감마 보정 특성에 의거하여 감마 보정 처리를 행한다. 그 다음, 카메라의 계조 보정 처리를 종료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카메라 모드가 종료할 때까지, 카메라 계조 보정 처리를 반복한다.
<카메라 모드 처리>
도 5a 및 5b는, 촬상장치(100)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드의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촬상장치(100)를 카메라 모드에서 기동하면, 도 5a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S5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되어 있는 촬영 감마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HP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인 경우에는(스텝 S501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2로 진행한다.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5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3로 진행한다.
스텝 S5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스텝 S5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OM(111a)에 기억되어 있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용의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를 표시한다. 또한,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설정 휘도는, 도 6d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예와 같은, 휘도 설정 화면에서 설정된다. 또한, 뷰 어시스트시가 ON으로 설정될 때 모니터 감마가 변경되어 있으면,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변경된 모니터 감마를 변경 전의 설정으로 리셋한 후에 일반적인 모니터 감마로 표시한다. 이하,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를 표시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사용된 모니터 감마는, 뷰 어시스트가 ON으로 설정될 때 변경된 모니터 감마(후술하는 감마특성 312)가 아니라, 일반적인 모니터 감마(후술하는 감마특성 304)이다. 스텝 S5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이미지 센서(105)로 촬상되어, 신호 처리부(112)로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LV 화상)를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도 6a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있어서의 LV 화상(600)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이 화면은,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이면, 스텝 S502의 패널 휘도 설정 처리에 따른 휘도로 표시된다.
스텝 S5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영 감마 모드 전환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시키는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환 화면을 표시시키는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스텝 S505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05에서 NO), 처리는 스텝 S510로 진행한다.
스텝 S50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6b에 나타낸 예와 같은 전환 화면(촬영 감마 모드 설정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환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촬영 감마 모드 전환 화면에는, 촬영 감마 모드로서 스탠다드 모드(제1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사항 601과, HP 모드(제2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사항 602가 표시된다. 방향 키 혹은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사항 601과 6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선택사항에 관한 설명(가이드)이 표시된다. 도 6b에 나타낸 예에서는, HP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사항 602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HP 모드에 관한 설명인 가이드 603이 표시되어 있다. 가이드 603에는, "고휘도 영역도 압축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계조로 촬영합니다. 외부 모니터를 비교적 밝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고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라고 표시되어 있다. 즉, HP 모드에서 어떤 촬영을 할 수 있는지의 설명과, 외부 모니터의 설정 휘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스텝 S50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전환 화면에서 유저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선택사항(스탠다드 모드/고휘도 우선 모드)이 선택되고 선택을 입력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선택사항 601과 60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태에서 세트 버튼이 눌러지거나 또는 닫기 아이콘 604가 터치되면,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선택된 촬영 감마 모드로 결정한다(선택된 촬영 감마 모드를 설정한다). 전환 화면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사항 601 및 602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50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07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9로 진행한다.
스텝 S50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07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촬영 감마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촬영 감마 모드를 RAM(111b)에 홀드한다. 결정된 촬영 감마 모드는, ROM(111a)에 기록되어도 된다. 스텝 S50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전환 화면을 닫는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환 화면을 닫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509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7로 진행한다. 전환 화면을 닫는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의 누름이 있다.
한편, 스텝 S505에 있어서 촬영 감마 모드 전환 화면을 표시시키는 지시가 아니었을 경우(스텝 S505에서 NO), 처리는 스텝 S510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는 지시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는 지시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의 누름이 있다.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는 지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스텝 S510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1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10에서 NO), 처리는 스텝 S531로 진행한다.
스텝 S51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OM(111a)에 홀드되어 있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용의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메뉴 화면의 톱 메뉴(top menu)를 표시한다. 즉, 뷰 어시스트 설정이 온되고,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인 것에 의해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유저가 설정한 유저 설정 휘도보다도 상승시켰을 경우에도, 메뉴 화면으로 표시를 전환하는 것에 따라 휘도를 유저 설정 휘도로 리셋한다. 이것은, 메뉴 화면이 촬상된 화상이 아닌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촬상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이기 때문이다.
스텝 S51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메뉴 화면에 있는 복수의 메뉴 항목 중, 뷰 어시스트 설정을 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뷰 어시스트 설정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51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1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12에서 NO), 처리는 스텝 S516로 진행한다. 스텝 S51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뷰 어시스트 설정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하고, 유저에 의해 설정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6c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에서의 뷰 어시스트 설정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뷰 어시스트 설정 화면에는, 뷰 어시스트를 온(인에이블)으로 하는 선택사항 611과, 뷰 어시스트를 오프(디스에이블)로 하는 선택사항 612가 표시되고, 유저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설정할 수 있다. 뷰 어시스트는, HP 모드에서 촬영을 행할 때, 및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을 재생해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할 때의 시인성에 관한 어시스트 기능이다. 뷰 어시스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HP 모드에서 촬영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때, 및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을 재생해서 표시할 때에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킨다(자동으로 휘도 변경한다). 뷰 어시스트는, 촬상장치(100)가 카메라 모드인 경우뿐만 아니라, 재생 모드 등에 있어서 HP 모드에서 기록된 영상을 재생해서 표시할 때에도 적용된다.
촬상시에 적용하는 HP 모드에서의 입력 감마특성은,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화상을 표시해서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과 입력 감마특성을 합친 시스템 토털로서의 계조 특성을 휘도 리니어로 함으로써 암부로부터 하이라이트부까지의 전역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계조성으로 표현하기 위한 감마특성이다. 그러나, 휘도 리니어의 계조 특성의 영상을 표시하면, 자연스러운 계조성을 취득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입력 감마특성으로 기록된 영상에 비하여, 중휘도와 저휘도가 어두워진다. 이 중휘도와 저휘도의 외관(appearance)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뷰 어시스트의 기능이 제공되고, 뷰 어시스트 설정을 온으로 함으로써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표시 휘도를 상승시키고, 중휘도와 저휘도가 어두워지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뷰 어시스트 설정이 오프인 경우에는,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인 경우에도 표시 휘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지 않는다.
화살 키의 상하 키에의 조작 혹은 선택사항 611 또는 선택사항 612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사항 611과 선택사항 61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면(스텝 S513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14로 진행한다. 스텝 S51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13에서 선택된 설정(뷰 어시스트의 온/오프)을 RAM(111b)에 홀드한다. 또한, 촬상장치(100)가 전원을 꺼도 설정을 유지하도록, ROM(111b)에 기록해도 된다. 뷰 어시스트의 설정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변경된 경우에는, 뷰 어시스트가 해제된다. 즉, 이후에 표시되는 HP 동화상은, 뷰 어시스트시에 상승시킨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상승시키기 전의 설정으로 리셋한 상태로, 혹은 뷰 어시스트가 온으로 설정되었을 때 모니터 감마가 변경되어 있으면, 모니터 감마를 변경 전의 설정으로 리셋한 상태로 표시된다. 스텝 S51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뷰 어시스트 설정 화면을 닫는 조작(메뉴 버튼의 누름 또 닫기 아이콘 613에의 터치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뷰 어시스트 설정 화면을 닫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51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15에서 NO), 처리가 스텝 S513로 진행한다.
스텝 S51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메뉴 화면에 있는 복수의 메뉴 항목 중, 신호 처리부(112)에 있어서 신호 처리된 LV 화상(영상 데이터)을 배경으로 표시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LV 화상을 배경으로 표시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메뉴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휘도 설정, 줌 조작시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관성을 부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소프트 줌 컨트롤(soft zooming control), 줌 조작시의 줌 속도를 변경하는 줌 스피드 레벨(zooming speed level)이 있다. 이들 메뉴 항목에 관해서는, LV 화상을 배경으로 표시함으로써 설정의 변화를 유저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LV 화상을 배경으로 표시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51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1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16에서 NO), 처리가 스텝 S521로 진행한다.
스텝 S51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하고 있는 촬영 감마 모드가 고휘도 우선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홀드한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인 경우에는(스텝 S51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18로 진행한다. 홀드한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517에서 NO), 스텝 S519로 진행한다. 스텝 S51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스텝 S51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16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른 설정 화면(LV 화상을 배경으로 표시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설정 변경 조작에 따른 설정을 변경한다.
도 6d는 스텝 S516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른 설정 화면의 일례로서의, 휘도 설정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이 화면은, 메뉴 화면의 계층 하에 있어서의,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과 함께 표시 가능한 설정 화면이다. 휘도 설정 화면에서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로서, 2단계의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유저가 선택해서 설정할 수 있다. 휘도 설정 화면에는, LV 화상(623)에 중첩하고, 고휘도(HIGH)의 선택사항 621과 보통(NORM)의 선택사항 622가 표시된다. 유저가 상하 키의 조작 혹은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사항 621 및 62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휘도가 선택한 휘도로 설정되고, 선택한 휘도로 LV 화상(623)이 표시된다. 유저는, 배경의 LV 화상(623)의 외관을 확인하면서, 휘도를 원하는 휘도로 설정할 수 있다. 선택된 휘도는 ROM(111a)에 기록되고,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가 아닌 경우의 표시와,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이지만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오프되어 있을 경우의 표시에 적용된다. 여기에서는, 이 화면에 설정한 휘도를, 이하, "유저 설정 휘도"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 설정 휘도로서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휘도는 2단계이지만, 촬상장치(100)는 유저가 3단계 이상의 다단계 중에서 휘도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어도 된다.
스텝 S52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19에서 표시한 설정 화면을 닫는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표시한 설정 화면을 닫는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S52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1로 진행한다. 표시한 설정 화면을 닫는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S520에서 NO), 처리가 스텝 S519로 진행한다.
스텝 S52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메뉴 화면을 닫는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메뉴 화면을 닫는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S52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21에서 NO), 처리가 스텝 S522로 진행한다. 스텝 S52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메뉴 화면에서 선택된 또 다른 메뉴 항목에 따른 그 밖의 처리를 행한다. 그 밖의 처리(기타의 설정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하는 동화상의 화질에 관한 설정이나, AF(Automatic Focus) 방식에 관한 설정 등이 있다.
스텝 S53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가 눌러진 경우에는(스텝 S53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3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31에서 NO), 처리가 스텝 S538로 진행한다. 스텝 S53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하고 있는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홀드한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33로 진행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홀드한 촬영 감마 모드가 HP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홀드한 촬영 감마 모드가 스탠다드 모드인 경우)에는(스텝 S532에서 NO), 처리가 스텝 S535로 진행한다.
스텝 S53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이미지 센서(105)로 촬상되어, 신호 처리부(112)로부터 취득된 HP 모드에서의 영상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HP 모드에서의 영상은, 스텝 S404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휘도 우선용의 감마 보정 커브(감마 특성 303)를 이용해서 취득된 영상이다. 스텝 S53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33에서 기록하고 있는 동화상의 메타 데이터로서, HP 모드에서 촬영한 것이 식별 가능한 속성 정보(이하, HP 정보라고 칭한다)를 부여한다. HP 정보는, 동화상 파일의 헤더로서 기록되어도 되고, 또는 동화상 파일과 관련된 관리 파일에 기록되어도 된다.
스텝 S53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이미지 센서(105)로 촬상되어, 신호 처리부(112)로부터 취득된 통상 모드의 영상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보통 모드(스탠다드 모드)에서의 영상은, 스텝 S406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통 촬영용의 감마 보정 커브(감마 특성 306)를 이용해서 취득된 영상이다.
스텝 S53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가 눌러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37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의 기록을 정지하고, 동화상 파일을 닫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동화상용 트리거 스위치(205)가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6에서 NO), 처리가 스텝 S536로 되돌아가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의 촬영 및 기록을 계속한다.
스텝 S53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39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538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5로 진행한다. 스텝 S53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538에서 조작된 결과가 재생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스텝 S538에서 조작된 결과가 재생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40로 진행(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재생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40의 재생 모드 처리에 관해서는 도 7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한편,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스텝 S538에서 조작된 결과가 스텝 S539에서 재생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39에서 NO),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상장치(100)의 전원을 OFF로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재생 모드 처리>
도 7은, 촬상장치(100)에 있어서의 재생 모드의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촬상장치(100)를 재생 모드에서 기동하거나, 카메라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시프트시키거나 하면, 도 7의 처리를 시작한다. 도 7에 표시되는 처리는, 도 5b의 스텝 S540에 있어서의 재생 모드 처리의 상세이다.
스텝 S7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OM(111a)에 홀드하고 있는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를 표시한다. 스텝 S7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과, 각 화상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고, 화상의 섬네일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일람 표시한다.
도 11a는, 스텝 S702에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되는 섬네일 일람 표시(인덱스 표시 혹은 멀티스크린 형태의 화상 표시)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섬네일 화상 1101∼1108이 표시되고, 이들 중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에는, 이들 화상이 HP 동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HP 아이콘(1109)이 첨부되어 있다. 이하,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을 HP 동화상이라고 칭한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과 보통 모드에서 촬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총칭해서 제1 종별의 화상이라고 칭하고,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과 HP 모드에서 촬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총칭해서 제2 종별의 화상이라고 칭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섬네일 화상 1101, 1102, 1108에 의해 표시되는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다. 판독한 각 화상의 속성 정보에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의거해, 화상이 HP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인지 아닌지가 식별된다. 이 섬네일 일람 표시에서는, HP 동화상의 섬네일이 포함되어 있어도 뷰 어시스트 기능에 의한 휘도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스텝 S7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섬네일 일람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1101~1108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동화상의 선택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섬네일 화상 1101~1108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NO), 스텝 S703의 처리가 반복된다(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섬네일 화상의 선택을 기다린다). 스텝 S7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703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의 재생 및 표시를 시작한다. 즉,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해야 할 동화상을 판독하고, 신호 제어부(112)를 제어해서 판독한 동화상을 재생하고,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재생한 동화상을 표시한다. 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 디스플레이(120)에 재생한 동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외부 I/F(119)로부터 동화상을 출력한다.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중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b에 나타낸 예는, 버튼 표시가 "ON(인에이블)"인 경우의 표시 예이며, 재생 동화상(1110)에 중첩되어, HP 아이콘(1109)과 버튼 아이콘(1111)이 표시된다. 버튼 아이콘(1111)은 동화상의 재생 동작에 관한 각종 조작(정지, 빨기 감기, 되감기를 포함한다)을 행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이며, 터치 조작에 의해 터치되면,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버튼 표시 "ON"과 "OFF"(디스에이블)는 유저에 의해 전환이 가능하다(스텝 S715 및 스텝 S716). 도 11c에 나타낸 예는, 버튼 표시가 "OFF"인 경우의 표시 예이며, 이 예에서는 재생 동화상(1110)이 표시되어 있지만, HP 아이콘(1109)과 버튼 아이콘(1111)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스텝 S7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에 부여되어 있는 속성 정보를 해석하고, HP 정보가 있는지를 해석한다. 재생중의 동화상의 속성 정보에 HP 정보가 있는 경우, 즉, HP 동화상이 재생중일 경우에는(스텝 S705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HP 동화상이 아닌 동화상이 재생중일 경우)(스텝 S705에서 NO)에는, 처리가 스텝 S708로 진행한다. 스텝 S70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스텝 S70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가이드 표시 처리(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또한, 재생중의 동화상이 HP 동화상이 아닌 경우(스텝 S705에서 NO), 스텝 S708에 있어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OM(111a)에 홀드하고 있는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동화상을 표시한다.
스텝 S70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이 종단까지 왔는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동화상이 종단까지 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10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7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713로 진행한다. 스텝 S71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707의 처리로 가이드를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가이드를 비표시로 한다. 스텝 S71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에 기억되어 있는 다음 동화상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다음 동화상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1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12로 진행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다음 동화상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11에서 NO), 처리가 스텝 S702로 진행한다. 스텝 S71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다음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가 스텝 S705로 되돌아간다.
스텝 S71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을 정지시키는 정지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정지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스텝 S713에서 YES),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처리는 스텝 S71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13에서 NO), 처리가 스텝 S715로 진행한다. 스텝 S71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정지 화면 처리(도 10a 및 10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실행한다.
스텝 S71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로부터 버튼의 표시 전환의 지시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버튼 표시 전환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71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1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715에서 NO), 처리가 스텝 S718로 진행한다.
스텝 S71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표시의 "ON"/ "OFF"을 전환한다. 즉, 버튼 표시가 "OFF"(도 11c)인 경우에 버튼 표시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표시를 "ON"으로 전환하고, 도 11b와 같이 버튼 아이콘 1111을 표시한다. 이 전환에 의해, 표시된 동화상이 HP 동화상일 경우에는 HP 아이콘 1109도 표시된다. 한편, 버튼 표시가 "ON"(도 11b)인 경우에 버튼 표시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표시를 "OFF"로 전환하고, 도 11c와 같이 버튼 아이콘 1111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표시된 동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아이콘 1111을 비표시로 하는 것에 따라, HP 아이콘 1109도 비표시로 한다. 스텝 S71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가이드 표시 처리(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행한다.
스텝 S71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된 경우에는(스텝 S71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19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18에서 NO), 처리가 스텝 S709로 진행한다. 스텝 S71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된 결과가 카메라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된 결과가 카메라 모드인 경우에는(스텝 S71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20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처리를 재생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도 5a, 5b)로 전환한다. 한편, 모드 다이얼(207)이 조작된 결과가 전원 오프이었을 경우에는(스텝 S719에서 NO),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상장치(100)의 전원을 OFF 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패널 휘도 설정 처리>
도 8은, 도 5a의 스텝 S502 및 스텝 S518과, 도 7의 스텝 S706에서 실행되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모드가 HP 모드이거나 혹은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일 경우에, 유저 설정 휘도에 관계없는 높은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를 표시하는 처리다.
스텝 S8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유지하고 있는 뷰 어시스트 설정의 상태를 판독하고, 현재 뷰 어시스트 설정이 온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뷰 어시스트가 온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스텝 S8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80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스텝 S801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OM(111a)에 유지하고 있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용의 유저 설정 휘도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 설정 휘도가 소정의 휘도 설정이상(휘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밝아지는 휘도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 설정 휘도가 소정의 휘도 설정 이상인지의 여부에 근거해서, 유저 설정 휘도가 고휘도(HIGH)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휘도 설정 값이 소정값 이상(고휘도(HIGH))이면(스텝 S80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8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휘도 설정값이 보통 휘도(NORM)인 경우)(스텝 S8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803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가능한 유저 휘도 설정이 고휘도(HIGH)와 보통 휘도 (NORM)이기 때문에(도 6d), 유저 설정 휘도가 고휘도(HIGH)인지 보통휘도(NORM)인지의 여부에 따라 처리를 분기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저 설정 휘도를 3단계 이상의 설정 휘도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02의 처리는, 유저 설정 휘도가, 설정 가능한 휘도 중 최대값인 경우에 처리가 스텝 S8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803로 진행하는 식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 설정 휘도를 5단계의 설정 휘도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02의 처리는 유저 설정 휘도가 가장 밝은 휘도 또는 2번째로 밝은 휘도인 경우(1∼5의 설정 가능한 값 중에서 유저 설정 휘도가 4 혹은 5인 경우)에 처리가 스텝 S804로 진행하고, 유저 설정 휘도가 또 다른 휘도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803로 진행하는 식으로 해도 된다.
스텝 S8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유저 설정 휘도보다도 높아지도록, 미리 결정된 뷰 어시스트용의 휘도와 매치시키는 식으로 제어한다. 이 제어에 따라 HP 동화상이 ON으로 설정된 뷰 어시스트로 재생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저 설정 휘도가 보통 휘도(NORM)로 설정되어 있어도, 고휘도(HIGH)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아이콘 등의 표시가 지나치게 밝으면,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번 인(burn-in)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아이콘 등의, LV 화상 또는 재생 화상 이외의 표시 요소가, 뷰 어시스트 설정 오프 시의 표시 휘도와 같은 표시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 위에 표시되도록, 아이콘 등의 표시 아이템을, 뷰 어시스트 설정 오프시의 휘도보다도 낮은 휘도로 묘화해도 된다. 즉, 묘화하는 밝기를 어둡게 해도 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이렇게 해서 표시 휘도를 변경한 후에,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중간 영역에서의 밝기가 뷰 어시스트 설정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의 밝기보다도 밝아지도록 본체 디스플레이(116)용의 모니터 감마를 변경한다. 유저 설정 휘도가 이미 고휘도(HIGH)(설정가능한 최대 휘도)이기 때문에, 이것보다도 밝은 휘도로 표시할 수 없다(더 이상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뷰 어시스트 온 시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표시시의 감마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뷰 어시스트 설정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의 휘도보다도, 계조 특성 307과 같이, 저휘도로부터 중휘도까지의 부분의 휘도가 밝아지게 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이렇게 해서 감마 특성을 변경한 후에,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802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유저 설정 휘도를 판정하므로, 유저 설정 휘도가 보통 휘도(NORM)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은, 패널 휘도 설정 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스텝 S803이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유저 설정 휘도가 고휘도(HIGH)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은, 패널 휘도 설정 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스텝 S804이 실행된다. 뷰 어시스트 ON 중에 유저 설정 휘도가 고휘도로부터 통상 휘도로 변경된 후에 스텝 S803이 실행되었을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804에서 변경한 모니터 감마를 변경 전의 설정 상태로 되돌린다. 한편, 뷰 어시스트 ON 중에 유저 설정 휘도가 통상 휘도로부터 고휘도로 변경된 후에 스텝 S804이 실행되었을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모니터 감마를 뷰 어시스트 ON 시의 특성으로 변경한다.
뷰 어시스트에 의한 휘도 변경에 대해서 도 3c을 참조해서 더 설명한다. 촬상장치(100)의 감마 특성이 HP 모드에 있어서의 감마 특성 303인 경우에,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감마특성 304(제1 출력 감마특성)에 의해 표시를 행하면, 시스템 토털의 특성으로서 휘도 리니어한 계조 특성 305가 취득된다. 이 상태에서 표시를 행하면, HP 모드에 있어서 피사체 휘도의 전역에 걸쳐 양호한 재현성을 취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표시는 보통 모드 시의 계조 특성 307과 비교하여, 중휘도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뷰 어시스트가 ON으로 설정되면, 스텝 S803에서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가 상승하여, 시스템 토털의 특성이 계조 특성 311과 같이 된다. 그 결과, 중휘도 부분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시각성이 개선된다.
예를 들면, 본체 디스플레이(116)가 액정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백라이트의 휘도를 x(1보다 크다)배로 상승시킴으로써 계조 특성 305를 계조 특성 311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디스플레이(116)가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표시의 감마특성을 x(1보다 크다)배로 상승시킴으로써(즉,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상승시킨다) 계조 특성 301을 얻을 수 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상승시켰을 경우, 모든 계조의 휘도를 동률로 상승시킨다. 즉, 가장 밝은 계조의 휘도도 상승한다. 또, 뷰 어시스트를 온으로 했을 경우에, 유저 설정 휘도가 고휘도(HIGH)인 경우에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표시시의 감마특성으로서 감마특성 312을 채용함으로써, 시스템 토털로서의 특성이 계조 특성 313과 같게 된다. 감마특성 312(제2 출력 감마특성)는, 감마특성 304보다도 더 밝게 중휘도∼저휘도측을 표시하는 감마 특성이다. 그 결과, 중간부의 외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의 감마특성 312를 이용했을 경우의 계조 특성 313의 가장 밝은 톤의 휘도는 계조 특성 311과 같지만, 저∼중간 부분의 톤이 상승하여, 이 부분의 외관이 향상된다.
<가이드 표시 처리>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스텝 S707 및 스텝 S717에서 실행되는 가이드 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가이드 표시 처리는, 외부 I/F(119)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HP 동화상을 재생할 경우에, 유저에게 외부 디스플레이(120)의 휘도의 변경(휘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재촉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처리다.
스텝 S9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 I/F(119)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되고, 외부 디스플레이(120)에 영상이 출력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 디스플레이(120)에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에는(스텝 S9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스텝 S901에서 NO), 처리는 스텝 S902로 진행한다. 스텝 S9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하고 있는 가이드 이미 표시된 플래그를 오프한다. 이 가이드 이미 표시된 플래그는, 한 번 가이드 표시를 행한 후에는, 외부 디스플레이(120)의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다시 가이드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 표시를 이미 행했는지 아닌지를 기억해 두기 위해서 사용된다.
스텝 S9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표시의 설정이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아이콘 1111이 표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버튼 표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9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904로 진행한다. 버튼 표시가 "ON"이면(스텝 S903에서 YES), 여기에서 처리가 종료한다. 버튼 표시가 "ON"인 경우에(스텝 S903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는 것은, 가이드 표시에 의해 버튼 아이콘 1111이 숨겨져 버리는 것에 의해, 유저가 동화상의 재생, 정지 등의 동작을 지시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스텝 S9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하고 있는 가이드 이미 표시된 플래그가 오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가이드 이미 표시된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스텝 S9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스텝 S904에서 NO), 여기에서 처리가 종료한다. 스텝 S9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 I/F(11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에, 외부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 표시를 중첩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에 홀드하고 있는 가이드 이미 표시된 플래그를 온으로 한다. 가이드 표시는, 스텝 S905에서 표시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거된다.
도 11d는, 스텝 S905에서의, 본체 디스플레이(116) 및 외부 디스플레이(120)에 있어서의 가이드 표시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HP 동화상인 재생 동화상(1110)에 중첩하고, 외부 모니터를 비교적 밝게 설정한 후에 동화상을 재생하는 것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 표시(1120)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이 가이드 표시(1120)를 봄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120)의 휘도 설정을 변경해서 휘도를 상승시키는 조작을 스스로 행하면 되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되고 나서 처음으로 HP 동화상을 재생하기 시작했을 경우,또는, HP 동화상을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가이드 표시(1120)의 표시를 시작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가이드 표시(1120)를 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가이드 표시(1120)를 비표시로서, 재생 동화상(1110)만을 표시한다.
또한, 가이드 표시(1120)는, 외부 I/F(119)에 접속되는 외부 디스플레이(120)에만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하지 않고, 외부 I/F(11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만 가이드 표시(1120)가 표시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촬상장치(100)는 외부 I/F(119)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에 대한, 문자 표시 등의 표시 아이템의 중첩을 허가할 것인지 불허가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첩이 불허가로 설정되어 있어도, 이 가이드 표시에 한해서는 중첩을 행하도록(HP 동화상에 가이드 표시(1120)를 중첩해서 출력하도록) 표시를 제어해도 된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유저가 적절하지 않은 외부표시장치의 휘도 설정(HP 동화상의 계조 특성의 저휘도로부터 중휘도의 부분이 보통 감마로 촬영한 화상보다 어둡게 보이는 휘도설정) 그대로 동화상을 시청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9에 나타낸 가이드 표시 처리가, 도 7에 나타낸 스텝 S707 (즉, 각 동화상의 재생의 개시 시)과 스텝 S717(즉, 버튼 표시의 전환 후)에서 행해지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 I/F(119)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된 것을 검출한 타이밍에서 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즉, 동화상의 재생의 도중에, 외부 I/F(119)에 외부 디스플레이(120)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그 시점에서 재생하고 있는 동화상이 HP 동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동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외부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 표시(1120)를 외부 I/F(119)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20)를 향해서 출력한다. 또한, 복수의 동화상을 연속해서 재생할 경우, 재생해야 할 복수의 동화상에 HP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최초의 동화상의 재생 전에 외부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 표시(1120)를 외부 I/F(119)로부터 출력(동화상에 중첩해서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리스트에 의거하여 첫 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N개의 동화상을 연속해서 재생하는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그 N개의 동화상 중에 적어도 1개의 HP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적어도 1개의 HP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첫 번째로 재생되는 동화상이 HP 동화상이 아니더라도, 첫 번째의 동화상의 재생 개시 시에, 도 9에 나타낸 가이드 표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이 외부에 출력중일 경우에는 외부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 표시(1120)를 외부 I/F(119)로부터 출력한다. 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최초의 동화상이 재생될 때 가이드 표시(1120)를 표시하는 대신에, 동화상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HP 동화상의 재생이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그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가이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즉,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복수의 동화상을 연속해서 재생해서 외부 I/F(119)로부터 출력할 때에, 일반적인 동화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이라도, HP 동화상의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이 소정의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 가이드 표시를 외부 I/F(119)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동화상의 재생시에 가이드 표시(1120)를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동화상의 일람 표시 등을 하는 화면에서, HP 동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파일명 등이 표시되었을 경우에도, 가이드 표시(1120)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간단히 HP 동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파일명 등이 표시되었을 경우에 가이드 표시(1120)를 행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HP 동화상을 나타내는 섬네일, 파일명, 아이콘 1109 등에 선택 커서 등의 표시가 겹쳤을 때에도 가이드 표시(1120)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즉,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통상의 화상과 HP 동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의 일람 화면을 출력하고 있을 때에, HP 동화상을 특정하는 정보 혹은 이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아이콘 1109)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가이드 표시(1120)를 출력한다. HP 동화상을 특정하는 정보는 섬네일, 파일명 등이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버튼 표시가 OFF인 경우(스텝 S903에서 NO)에 가이드 표시(1120)를 실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버튼 표시가 ON인 경우에도 가이드 표시(1120)를 행하도록 가이드 표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외부 I/F(119)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20)로 설정되어 있는 휘도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외부 디스플레이(120)의 휘도 설정이 소정의 설정 값 이상으로 밝은 설정에는, 가이드 표시(1120)를 행하지 않도록 가이드 표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동화상 정지중 화면 처리>
도 10a 및 10b는, 도 7에 나타낸 스텝 S714에서 실행되는 동화상 정지중 화면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동화상 정지중 화면 처리는, 재생 모드 처리에서 동화상을 재생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동화상의 재생이 정지되면 실행되는 처리다.
스텝 S10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부착 정지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즉, 동화상 재생 중의 버튼 표시 설정이 "ON"인지 "OFF"인지에 관계없이, 동화상이 정지하면 처음에 버튼 아이콘이 표시된다. 도 11e는, 이때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정지중의 동화상(1130)에 버튼 아이콘군(1131)을 중첩하고, 버튼 아이콘군(1131)을 표시한다. 이때,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정지중의 동화상(1130)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는, HP 아이콘(1109)도 표시한다.
스텝 S10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혹은 버튼 아이콘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씬(scene) 진행 조작(다음의 동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씬 진행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00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NO), 처리는 스텝 S1009로 진행한다. 스텝 S10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혹은 메모리 카드(118)로부터 다음 동화상 씬을 판독하고, 디코드 처리를 행하며, 동화상 씬의 메타데이터(속성 정보)를 해석한다.
스텝 S10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1003에서 해석한 메타데이터로부터, 다음 동화상 씬이 HP 동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다음 씬의 동화상의 속성 정보에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다음 동화상 씬이 HP 동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5로 진행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다음 동화상 씬이 HP 동화상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7로 진행한다.
스텝 S10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패널 휘도 설정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0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가이드 표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0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 또는 ROM(111a)에 기록된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판독한 유저 설정 휘도로 설정한다. 이 처리 시에, 유저 설정 휘도가 보통 휘도(NORM)이고, 이전 씬의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에, 다음 통상 동화상으로 천이한 것에 따라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가 변경되어, 자동으로 낮아지게 된다. 스텝 S100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1003에서 디코드된 다음 씬의 동화상의 프레임을 버튼 표시가 부착된 정지 화면으로서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스텝 S100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의 재생 지시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가 유저가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의 재생 지시 조작을 행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YES), 처리가 도 7에 나타낸 스텝 S704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씬 진행 조작에 의해 선택된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의 재생 지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10로 진행한다.
스텝 S101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메뉴를 여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메뉴를 여는 조작을 행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스텝 S101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21로 진행한다.
스텝 S1011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 또는 ROM(111a)으로부터, 메뉴에 설정되어 있는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이 휘도가 판독한 유저 설정 휘도와 매치하도록,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조정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메뉴의 톱 계층(톱 메뉴)을 표시한다.
스텝 S101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뉴 항목 중, 휘도 설정 메뉴의 항목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휘도 설정 메뉴는,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유저 설정 휘도)를 설정하는 메뉴이며, 휘도 설정 메뉴 표시 중에는 동화상도 일시 정지 상태에서 표시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휘도 설정 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1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2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19로 진행한다.
스텝 S101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일시 정지되어 있는 동화상의 속성 정보로부터 일시 정지되어 있는 동화상이 HP 동화상인지 아닌지(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일시 정지되어 있는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1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3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15로 진행한다. 스텝 S101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널 휘도 설정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1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휘도 설정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휘도 설정 화면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면과 같은 화면이다. 다만, 배경으로 표시되는 화상은 LV 화상이 아니라, 직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재생 동화상의 정지된 영상이다. 스텝 S101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휘도 설정을 변경했는지 아닌지(설정되어 있는 유저 설정 휘도와 다른 휘도 설정의 선택 사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도 6d에 나타낸 표시 예와 도 5a에 나타낸 스텝 S519이 예시한 처리와 같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휘도 설정이 변경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1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7로 진행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휘도 설정이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16에서 NOS), 처리가 스텝 S1018로 진행한다.
스텝 S101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설정된 휘도를 유저 설정 휘도로서 ROM(111a)에 기억하는 동시에,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가 설정된 휘도와 매치하도록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변경한다. 이 처리시에, 휘도 설정 화면에는 배경으로 재생 동화상의 정지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영상의 외관을 확인하면서 휘도를 원하는 휘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휘도를 변경했을 경우에 스텝 S1014의 패널 휘도 설정 처리를 다시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이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이유로 유저 설정 휘도에 관계없이 동화상이 고휘도(HIGH)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휘도를 보통 휘도(NORM)로 변경해도 패널 휘도 설정 처리에 의해 표시 휘도를 낮추지 않기 위해서다. 이렇게 보통 휘도(NORM)에의 변경에 따라 휘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휘도를 변경할 수 있던 것을 유저에게 피드백할 수 없다.
그렇지만,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HP 동화상이며, 휘도가 보통 휘도(NORM)로부터 고휘도(HIGH)로 변경되면, 스텝 S1014의 패널 휘도 설정 처리를 다시 행하도록 본 처리를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본 처리를 구성하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가 온이면, 이용되는 표시 감마(모니터 감마)가 변경되기 때문에, HP 동화상의 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유저 설정 휘도의 변경에 따라 표시 상태가 변경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설정이 변경된 것을 인식시킬 수도 있다.
스텝 S101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휘도 설정 화면을 빠져나가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설정 화면을 빠져나가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1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8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16로 진행한다.
스텝 S101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메뉴 화면을 빠져나가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메뉴 화면을 빠져나가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는(스텝 S101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9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20로 진행한다. 스텝 S102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선택된 또 다른 메뉴 항목에 따라 그 밖의 메뉴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2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버튼 표시의 전환을 지시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버튼 표시의 전환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2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2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21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24로 진행한다.
스텝 S102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표시 "ON"/ "OFF"을 전환한다. 버튼 표시가 "ON"으로부터 "OFF"로 전환된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11e와 같이 표시되어 있었던 버튼 아이콘군(1131)을 비표시로 한다. 이때, 표시된 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HP 아이콘(1109)도 비표시로 한다. 한편, 버튼 표시가 "OFF"으로부터 "ON"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버튼 아이콘군(1131)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도 11e와 같이 버튼 아이콘군(1131)을 표시한다. 이 처리 시에, 표시된 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HP 아이콘(1109)도 표시한다. 스텝 S102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도 9에 나타낸 가이드 표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2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편집 조작의 지시를 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편집 조작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2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2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2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26로 진행한다. 스텝 S102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편집 처리(도 12a 및 12b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를 실행한다.
스텝 S102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모드 다이얼(207)을 조작해서 모드 전환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2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2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26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2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02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에 의해 조작된 모드 다이얼(207)의 포지션을 검출하고, 검출한 포지션이 카메라 모드의 포지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검출한 포지션이 카메라 모드의 포지션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2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28로 진행하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카메라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모드 다이얼(207)의 포지션이 카메라 모드의 포지션이 아닐 경우(모드 다이얼(207)의 포지션이 전원 OFF의 포지션일 경우)에는(스텝 S1027에서 NO),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촬상장치(100)의 전원 OFF 처리를 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28에서 실행되는 카메라 모드 처리는, 도 5a 및 5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다.
<편집 처리>
도 12a 및 12b는, 도 10a 및 10b에 나타낸 스텝 S1025에서 실행되는 편집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편집 처리는, 재생 모드 처리에서 동화상이 정지 표시되어 있었던 상태(즉, 편집 대상의 동화상이 지정된 상태)로부터, 편집의 지시가 있으면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또는 영상)에는, 촬영시의 계조 특성에 관한 특정한 속성 정보로서, HP 모드에서 촬영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편집 전의 화상에 전술한 HP 모드에서 촬영된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면, 편집 후의 화상에도 그 특정한 속성 정보가 부여되는 편집 처리로서 카피 및 트리밍을 예시한다. 또한, 편집 전의 화상에 특성의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어도, 편집 후의 화상에는 특정한 속성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편집 처리로서,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예시한다.
스텝 S120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 또는 ROM(111a)에 기록된 유저 설정 휘도로 본체 디스플레이(116)를 표시한다. 스텝 S120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도 13a는,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은, 직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편집 대상의 동화상(지정된 동화상)에 대하여 어느 편집 동작을 행할지의 복수의 선택사항을 표시한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사항으로서, 소거, 트리밍, 트랜스코딩(MP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Part 14) 변환, 즉, 포맷 변환), 카피의 4개의 편집 조작의 선택사항이 표시된다. 각 선택사항은, 터치해서 선택하거나, 조작 스위치군(208)에 포함된 방향 키와 결정 버튼으로 선택될 수 있다.
스텝 S120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카피의 선택사항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카피의 선택사항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0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4로 진행한다. 스텝 S120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선택사항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선택사항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1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5로 진행한다.
스텝 S120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리밍의 선택사항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리밍의 선택사항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2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6로 진행한다. 스텝 S120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소거의 선택사항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소거의 선택사항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29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6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7로 진행한다.
스텝 S120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을 닫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을 닫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7에서 YES),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을 닫고,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를 도 10a 및 10b에 나타낸 스텝 S1026로 진행시킨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을 닫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7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3로 진행한다.
스텝 S120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복사 실행 확인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이 복사 실행 확인 화면은, 다음 스텝 S1208a, S1208b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에는, 유저 설정 휘도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HP 동화상용의 휘도로 표시된다. 스텝 S1208a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의 속성 정보를 해석하고, HP 정보가 거시에 부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8a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08b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8a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9로 진행한다. 스텝 S1208b에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를 행한다.
스텝 S120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복사 실행 확인 화면에 있어서 복사 실행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복사 실행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1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10로 진행한다. 스텝 S121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카피 중지의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카피 중지 조작이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1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09로 진행한다.
스텝 S121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복사 실행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스텝 S121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카피 처리를 실행한다. 카피 처리에 있어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우선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편집 대상(카피 대상)인 동화상의 데이터(동화상 파일)를 판독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판독한 동화상과 동일한 동화상을 다른 파일로서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 중의 어느 하나에 보존한다. 카피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 파일에는, 카피원인 동화상과 동일한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 (속성 정보도 복사된다). 즉, HP 정보가 부여된 동화상을 복사한 경우에는, 새롭게 생성되는 동화상 파일에도 HP 정보가 부여된다. 카피 처리가 완료하면, 처리는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스텝 S121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변환 후의 포맷을 선택하는 포맷 선택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포맷은, 동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비트 레이트(bit rate)이며, 예를 들면 “1920×1080, 24 Mbps”, “1920×1080, 17 Mbps”, “1280×720, 4 Mbps” 등이 그것의 선택사항으로서 표시된다. 스텝 S121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포맷의 선택사항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포맷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 S121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1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1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15로 진행한다. 스텝 S121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중지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캔슬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중지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1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15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14로 진행한다.
스텝 S121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트랜스코딩의 실행 확인 화면(트랜스코딩의 편집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도 13b는, 트랜스코딩의 실행 확인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트랜스코딩의 실행 확인 화면에는, 편집 대상인 동화상의 정지된 영상과 함께, 트랜스코딩을 실행(START)할지 캔슬할지의 선택사항이 표시된다. 이 화면을 표시할 때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편집 대상인 동화상은, 이 동화상이 HP 동화상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유저 설정 휘도로 표시된다. 이것은, 편집 대상의 동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도, 트랜스코딩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변환 후의 동화상에는, HP 정보가 인계되지 않기(HP 정보는 부여되지 않는다) 때문이다. 즉, 변환 전의 동화상이 HP 동화상인 경우에도 변환 후의 동화상에는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이어도 변환 후의 동화상은 유저 설정 휘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변환 후의 동화상이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유저가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편집 대상인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에도, 트랜스코딩의 실행 확인 화면에 유저 설정 휘도로 동화상을 표시한다.
스텝 S121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실행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실행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1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19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17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18로 진행한다. 스텝 S121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스텝 S1215과 마찬가지로, 트랜스코딩의 중지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캔슬 버튼이 눌러졌는지)가 판정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랜스코딩의 중지를 지시하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1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18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17로 진행한다.
스텝 S121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편집 대상인 동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동화상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트랜스코딩의 실행 화면에서 판독한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스텝 S1220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1214에서 선택된 포맷 정보를 RAM(111b)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포맷 정보에 따라 편집 대상인 동화상의 트랜스코딩 처리를 행한다. 트랜스코딩 처리에서는, 복수의 동화상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문에, HP 동화상과 일반적인 동화상을 결합했을 경우에 속성 정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기 때문에, 트랜스코딩 처리에서는 변환원으로서 처리된 동화상의 HP 정보를 인계하지 않고 파기한다.
스텝 S1221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트리밍 실행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도 13c는, 트리밍 실행 화면(편집 화면, 확인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트리밍 실행 화면에는, 편집 대상인 동화상이 정지 상태에서 표시되는 동시에, 트리밍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각종 조작용 표시 아이템이 표시된다. 이 트리밍 실행 화면은, 다음의 스텝 S1222 및 S1223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이 HP 동화상이며 뷰 어시스트 기능이 온인 경우에는, 유저 설정 휘도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HP 동화상용의 휘도로 표시된다. 스텝 S122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의 속성 정보를 해석하고,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HP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2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2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22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24로 진행한다. 스텝 S122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패널 휘도 설정 처리(도 8)를 행한다.
스텝 S122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리밍 위치를 변경하는 조작을 행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리밍 위치를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2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2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2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26로 진행한다. 스텝 S122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스텝 S1224에서 유저가 선택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RAM(111b)에서 관리하고 있는 트리밍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스텝 S122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리밍의 실행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리밍의 실행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2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2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28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27로 진행한다. 스텝 S1227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트리밍 중지를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트리밍 중지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2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27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24로 진행한다.
스텝 S1228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으로부터 트리밍 위치 정보를 판독하고,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한 편집 대상으로서 지정된 동화상을 트리밍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분할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편집 대상을 분할해서 생성된 동화상을 동화상 파일로서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중의 어느 하나에 보존한다. 트리밍 처리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 파일의 속성정보는, 편집원으로서 처리된 동화상의 속성정보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즉, HP 정보가 부여된 동화상을 트리밍했을 경우, 생성되는 동화상에도 같은 HP 정보가 부여된다.
스텝 S1229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편집 대상인 동화상의 소거 확인 화면을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소거 확인 화면에는, 소거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과, 캔슬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아이콘과, 편집 대상인 동화상의 정지된 영상이 표시된다. 스텝 S1230 및 S1231의 처리는, 스텝 S1222 및 S1223의 처리와 같다.
스텝 S1232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소거의 실행을 지시하는 버튼 아이콘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소거의 실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3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32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33로 진행한다. 스텝 S1233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유저가 조작 스위치군(208)에의 조작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소거 중지(캔슬)의 버튼 아이콘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소거 중지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3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233에서 NO), 처리가 스텝 S1232로 진행한다.
스텝 S1234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자기 테이프(115), DVD(117), 및 메모리 카드(118) 중의 어느 하나에 보존되어 있는 편집 대상으로서 지정된 동화상(동화상 파일)의 소거를 행한다. 소거가 완료하면, 처리는 스텝 S1235로 진행한다.
스텝 S1235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RAM(111b) 또는 ROM(111a)에 기록되어 있는 유저 설정 휘도를 판독하고, 판독한 유저 설정 휘도에 따라 본체 디스플레이(116)의 휘도를 변경한다. 스텝 S1236에서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는, 다시 편집 선택 일람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본체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203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종 제어는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111)에 의해 행해진다. 또, 1개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이들 각종 제어를 행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실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본 실시예의 국면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의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를 적당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촬상장치(100)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예의 고휘도 우선 모드(HP 모드)에서 이용되는 촬영시의 감마 커브와 같이, 일반적인 감마 커브에 비해서 저휘도∼ 중휘도 영역의 계조가 낮은 감마 커브를 이용해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제어장치에도 본 실시예의 국면이 적용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국면은 표시할 때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에 관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국면은 디지털 카메라,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 단말 및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등에 적용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에,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특성보다도 휘도 리니어에 더 가까운 계조 특성을 갖는 영상을 표시장치에서 표시할 때 중휘도부와 저휘도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5)

  1.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의 시인성의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7.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촬상유닛과,
    촬상된 피사체의 휘도에 관계없이 상기 촬상유닛으로 촬상을 행할 때에 모드를 서로 다른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복수의 모드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상기 제1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휘도보다도 더 밝은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멀티스크린에서 화상 표시를 행할 때, 상기 복수의 화상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근거해서 표시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3.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을 묘화하는 밝기를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조 특성과 상기 제2 계조 특성은, 피사체의 휘도를 계조값으로 변환할 때의 계조 특성이며, 상기 제2 계조 특성은,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피사체의 중휘도로부터 저휘도측의 계조성이 낮고, 고휘도측에 할당되는 계조값의 수가 큰 계조 특성인, 표시 제어장치.
  15.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편집 처리 중에서 하나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1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처리는,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의 속성정보가 편집 전의 화상에 부여되어 있어도, 편집 후의 화상에는 상기 특정의 속성정보를 부여하지 않는 편집 처리인, 표시 제어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집 처리는, 트랜스코딩 및 복수의 동화상을 결합하는 편집 중의 적어도 1개인, 표시 제어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집 처리는,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특정의 속성정보가 편집 전의 화상에 부여되어 있으면, 편집 후의 화상에도 상기 특정의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편집 처리인, 표시 제어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집 처리는, 트리밍 및 카피 중의 적어도 1개인, 표시 제어장치.
  20.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화상을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할 때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에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력 유닛에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2.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23.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24.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2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은 제1 계조 특성으로 촬상되고,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촬상되는, 표시 제어장치.
  2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촬상유닛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화면을 표시한 상태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 설정이 미리 정한 값 이상으로 밝은 휘도 설정일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출력 감마특성을,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출력할 때의 제1 출력 감마특성보다도 더 밝게 저휘도측을 표시하는 제2 출력 감마특성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값은, 상기 제2 휘도인, 표시 제어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설정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휘도 설정인, 표시 제어장치.
  30. 제 10 항에 있어서,
    기록된 화상과 화상의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속성정보가 부여된 화상을 재생할 때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속성정보가 부여된 화상을 재생할 때, 화상이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 아이템을 화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2.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의 시인성의 어시스트 기능을 온으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어시스트 기능이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때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3. 컴퓨터를, 청구항 6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34.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촬상단계와,
    촬상된 피사체의 휘도에 관계없이 상기 촬상단계에서 촬상을 행할 때에 모드를 서로 다른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복수의 모드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상기 제1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계조 특성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촬상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할 경우의 휘도보다도 더 밝은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5. 컴퓨터를, 청구항 7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36.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복수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멀티스크린에서 화상 표시를 행할 때, 상기 복수의 화상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7. 컴퓨터를, 청구항 10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38.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에 따라,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39. 컴퓨터를, 청구항 11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40.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휘도를 상기 제1 휘도로부터 상기 제2 휘도로 변경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는 표시 아이템을 묘화하는 밝기를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41. 컴퓨터를, 청구항 13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42.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화상에 대하여 복수의 편집 처리 중에서 하나의 편집 처리를 행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1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하지 않고 상기 제1 휘도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에 대하여 제2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편집 화면 혹은 확인 화면에서는, 상기 표시 유닛을 상기 제2 휘도로 설정해서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43. 컴퓨터를, 청구항 15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44. 제1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1 종별의 화상과, 상기 제1 계조 특성보다도 고휘도측의 계조성이 높은 제2 계조 특성으로 생성된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의 휘도를, 상기 제1 종별의 화상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할 경우의 제1 휘도보다도 밝은 제2 휘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화상을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종별의 화상을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할 때에, 상기 제2 종별의 화상과 함께,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휘도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가이드를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45. 컴퓨터를, 청구항 20에 기재된 장치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KR1020160148531A 2015-11-10 2016-11-09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7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0756 2015-11-10
JPJP-P-2015-220757 2015-11-10
JP2015220703A JP6611567B2 (ja) 2015-11-10 2015-11-10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220703 2015-11-10
JP2015220756A JP6685700B2 (ja) 2015-11-10 2015-11-10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5220757A JP6584295B2 (ja) 2015-11-10 2015-11-10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01A KR20170055001A (ko) 2017-05-18
KR102057467B1 true KR102057467B1 (ko) 2019-12-19

Family

ID=5858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531A KR102057467B1 (ko) 2015-11-10 2016-11-09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05872B2 (ko)
KR (1) KR102057467B1 (ko)
CN (3) CN111312133B (ko)
DE (1) DE102016121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2133B (zh) * 2015-11-10 2024-01-09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94201B1 (ko) * 2016-09-22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DE102017210462A1 (de) * 2017-06-22 2018-12-27 Robert Bosch Gmbh Werkzeug und verfahren zum justieren einer anzeigeeinrichtung an einem werkzeug zur behandlung mindestens eines werkstücks
US11211030B2 (en) 2017-08-29 2021-12-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daptive display
US10742945B2 (en) * 2017-09-13 2020-08-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uminance characteristics generation method
JP2020025176A (ja) * 2018-08-07 2020-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071A1 (ja) * 2012-03-22 2013-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238B2 (ja) * 2001-12-03 2004-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062763A (ja) * 2002-07-31 2004-02-26 Nec Soft Ltd バス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012118B2 (ja) * 2003-05-19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6109327A (ja) * 2004-10-08 2006-04-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及び階調変換方法
US8570407B2 (en) * 2008-07-17 2013-10-29 Nikon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669474B2 (ja) * 2010-08-05 2015-02-1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5685065B2 (ja) * 2010-11-29 2015-03-1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装置、中間階調処理回路及び中間階調処理方法
KR20130035782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구동방법
JP5843662B2 (ja) * 2012-03-05 2016-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WO2013140958A1 (ja) * 2012-03-21 2013-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影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155005A (ja) * 2013-02-07 2014-08-25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U2602340C2 (ru) * 2013-11-13 2016-11-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а также невреме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JP6247527B2 (ja) * 2013-12-24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984975B2 (ja) * 2015-01-21 2016-09-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24889B2 (ja) * 2015-10-30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CN111312133B (zh) * 2015-11-10 2024-01-09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071A1 (ja) * 2012-03-22 2013-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2132A (zh) 2020-06-19
DE102016121310A1 (de) 2017-05-11
CN106683601A (zh) 2017-05-17
US20190014257A1 (en) 2019-01-10
CN111312133B (zh) 2024-01-09
CN111312133A (zh) 2020-06-19
US20170134642A1 (en) 2017-05-11
CN106683601B (zh) 2020-07-14
KR20170055001A (ko) 2017-05-18
CN111312132B (zh) 2023-08-22
US10205872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67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6211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0662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6956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11010273A (ja) 撮影条件制御装置、カメラ、画質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70043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장면 인식 표시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표시 방법을 적용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120083085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611567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8570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58429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55333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931393B2 (ja) 撮像装置
JP5213557B2 (ja) 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動画像処理方法
JP2006287828A (ja) 動画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82825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9140568A (ja) 画像処理装置
JP2019140567A (ja) 画像処理装置
JP4911287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24977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946574B1 (ko) 영상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6643081B2 (ja) アルバム動画生成装置、アルバム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80330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009046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3296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00101912A (ko) 동영상 파일을 연속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