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74B1 -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74B1
KR102056774B1 KR1020180020581A KR20180020581A KR102056774B1 KR 102056774 B1 KR102056774 B1 KR 102056774B1 KR 1020180020581 A KR1020180020581 A KR 1020180020581A KR 20180020581 A KR20180020581 A KR 20180020581A KR 102056774 B1 KR102056774 B1 KR 10205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smart device
window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698A (ko
Inventor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형지엘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지엘리트 filed Critical (주)형지엘리트
Priority to KR102018002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 출력 화면과 다른 위치에 출력되고 학생이 다른 사용자와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을 위해 메인 출력 화면과 구분되는 서브 윈도우 UI 화면을 생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 및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에 의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 상에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에 표시된 각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대상에 대한 지정 뒤,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통신 추출 모듈(320b);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메인 화면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통한 수업 이외에 별도의 학생 소통 공간을 마련해서, 강의 또는 자료에 대한 공유가 보다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강의 참여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Method for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based on online lecture, smart device,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화면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통한 수업 이외에 별도의 학생 소통 공간을 마련해서, 강의 또는 자료에 대한 공유가 보다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강의 참여도를 더욱 높이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인터넷 온라인 강의 제공사이트들은 이들의 데이터베이스에 많은 교육강의자료들을 구축 및 저장하여 사이트들에 접속하는 학생들이 자료들을 선택하여 제공받거나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강의는 주로 전문강사나 전문교육기관 등이 제작한 컨텐츠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전문강사가 직접 출연하여 강의가 진행되는 방식이란 점에서 오프라인 강의보다 장점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강의는 단순하게 강의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출 뿐,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공부방과 같은 1:1의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특히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 간에 오프라인에 비해 개인적인 친분을 쌓을 수 있는 소통 공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수강 학생에 대한 통제가 힘들어서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학습 능률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30824호 "교실수업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강사와 학습자들의 쌍방향 상호참여형 수업을 제공하는 학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Studying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lass using Instructor Smart Device and Learner Smart Device in Classroo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화면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통한 수업 이외에 별도의 학생 소통 공간을 마련해서, 강의 또는 자료에 대한 공유가 보다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강의 참여도를 더욱 높이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통 공간에서의 학생 공유에 대하여는 강사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도 연동되어 강사에 의해 전반적인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온라인 강의 전체의 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통 공간은 기존의 창에 대한 것이 아니라 실제 교실과 같은 환경(UI)으로 꾸며 감성 기술로 구현됨으로써, 마치 온라인 강의와 함께 별도의 소통을 위한 영역이 직관적으로 구현되고 학생 간의 데이터 교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상의 교실에 입장 및 통제, 그리고 문제 제시가 강사에 의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는, 메인 출력 화면과 다른 위치에 출력되고 학생이 다른 사용자와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을 위해 메인 출력 화면과 구분되는 서브 윈도우 UI 화면을 생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 및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에 의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 상에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에 표시된 각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대상에 대한 지정 뒤,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통신 추출 모듈(320b);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에 있어서, 통신 추출 모듈(320b)은, 학생과 다른 학생 간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횟수, 페이로드의 크기, 전송하는 시간 정보를 분석한 뒤, 각 트래픽 전송 라인 간의 빈도, 용량, 전송 시간별로 각기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단계(제 1 내지 제 L, L은 2 이상의 자연수)별 친밀도를 UI 로딩 수단(320a-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교실 화면에서 상대적 좌석 거리에 따른 좌석 배치를 활용하여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에 있어서, UI 로딩 수단(320a-2)은, 통신 추출 모듈(320b)이 추적한 산출 데이터(친밀도 포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에 있어서,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은, 온라인 강의 데이터로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촬영부(410)에서 촬영된 강의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1 온라인 강의 창(W1)과,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서 제공된 전자 칠판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2 온라인 강의 창(W2), 그리고 UI 로딩 수단(320a-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대해서 출력 중계 모듈(320a)에 의한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으로의 형성이 완료되면,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의 하부나 그 밖의 위치에 형성되며 학생의 프로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을 형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에 있어서, UI 로딩 수단(320a-2)은. 가상 교실 UI 화면 영상을 출력 중계 모듈(320a)에서 생성되는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적용하되, 통신 추출 모듈(320b)이 추적한 산출 데이터(친밀도 포함)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는, 상용 SNS 계정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500)에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액세스를 SNS 서버(500)에 대한 실시간 전송 요청을 통해 수신한 뒤,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SNS 서버(500)의 액세스 이후, 다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통신 유무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에 있어서,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은, 통신 유무 추적 결과를 UI 로딩 수단(320a-2)로 제공하면, UI 로딩 수단(320a-2)은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은, 메인 화면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통한 수업 이외에 별도의 학생 소통 공간을 마련해서, 강의 또는 자료에 대한 공유가 보다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강의 참여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은, 소통 공간에서의 학생 공유에 대하여는 강사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도 연동되어 강사에 의해 전반적인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온라인 강의 전체의 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은, 소통 공간은 기존의 창에 대한 것이 아니라 실제 교실과 같은 환경(UI)으로 꾸며 감성 기술로 구현됨으로써, 마치 온라인 강의와 함께 별도의 소통을 위한 영역이 직관적으로 구현되고 학생 간의 데이터 교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상의 교실에 입장 및 통제, 그리고 문제 제시가 강사에 의해 원스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중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에 의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중 입장/퇴장 관리 서버(6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0g), 네트워크(200),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SNS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패드,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 SNS 서버(500)를 포함하는 서버 및 시스템과 음성 및 영상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0g),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SNS 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중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에 의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소통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출력 중계 모듈(320a), 통신 추출 모듈(320b), 그리고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3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출력 중계 모듈(320a)은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 및 UI 로딩 수단(320a-2)을 구비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기본적인 출력 중계 모듈(320a)의 기능을 살펴보면, 출력 중계 모듈(320a)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신청 접수를 위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 뒤,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수신하여 소통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출력 중계 모듈(320a)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부터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데이터를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온라인 강의를 중계한다.
즉, 출력 중계 모듈(320a)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부터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데이터 외에 온라인 강의 영상 관련 정보가 출력되는 메인 출력 UI 화면을 생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이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중계 모듈(320a)의 추가 구성요소로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은, 학생에 의해 개설되고 메인 출력 화면과 다른 위치에 출력되고 개설한 학생이 다른 사용자와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을 위해 메인 출력 화면과 구분되는 서브 윈도우 UI 화면을 생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는 각 스마트 디바이스의 음성 입출력부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촬영부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 입력장치로 입력된 문자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은 온라인 강의 데이터로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촬영부(410)에서 촬영된 강의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1 온라인 강의 창(W1)과,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서 제공된 전자 칠판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2 온라인 강의 창(W2), 그리고 후술하는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대해서 출력 중계 모듈(320a)에 의한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으로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하부나 그 밖의 위치에 형성되며 학생의 프로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을 형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은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생성되거나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은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셋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한 쌍을 이루는 둘에 해당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은 온라인 강의 관련 창(W1 내지 W3)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강의 관련 창 집합을 구현하는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과 구분되는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에 온라인 강의 대상이 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구현되거나, 동일한 형식으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도 출력될 수 있다.
한편, UI 로딩 수단(320a-2)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통신 추출 모듈(320b)과의 관계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통신 추출 모듈(320b)은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에 의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 상에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에 표시된 각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대상에 대한 지정 뒤,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트래픽은 결국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서 전송된 신호 및 데이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를 거쳐 전송되므로, 통신 추출 모듈(320b)은 각 패킷 데이터에서 페이로드를 제외한 헤더에서 주소 정보를 활용하여 각 학생 간의 트래픽 전송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통신 추출 모듈(320b)은 학생과 다른 학생 간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횟수, 페이로드의 크기, 전송하는 시간 정보를 분석한 뒤, 각 트래픽 전송 라인 간의 빈도, 용량, 전송 시간 별로 각기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단계(제 1 내지 제 L, L은 2 이상의 자연수)별 친밀도를 후술하는 가상 교실 화면에서 상대적 좌석 거리에 따른 좌석 배치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추출 모듈(320b)은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서브 원도우 UI 화면 상에 표시되는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에 대해서 네트워크(200) 상에서의 추적을 수행 결과를 출력 중계 모듈(320a)의 UI 로딩 수단(320a-2)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I 로딩 수단(320a-2)은 통신 추출 모듈(320b)이 추적한 산출 데이터(친밀도 포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UI 로딩 수단(320a-2)은 가상 교실 UI 화면 영상을 출력 중계 모듈(320a)에 의해 생성되는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적용하되, 통신 추출 모듈(320b)이 추적한 산출 데이터(친밀도 포함)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및/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그리고, UI 로딩 수단(320a-2)은 서로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가 교환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끼리 연결 상태 변화 UI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에 반영하여 반영된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함으로써,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에서 생성되어 제공된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적용되도록 한다.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은 상용 SNS 계정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500)에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액세스를 SNS 서버(500)에 대한 실시간 전송 요청을 통해 수신한 뒤,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SNS 서버(500)의 액세스 이후, 다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통신 유무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이후,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이 통신 유무 추적 결과를 UI 로딩 수단(320a-2)로 제공하면, UI 로딩 수단(320a-2)은 상술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및/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UI 로딩 수단(320a-2)은 생성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에 SNS 서버(500)를 통해서 통신 데이터가 교환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끼리 연결 상태 변화 UI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에 반영하여 반영된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이 아닌 SNS 서버(600)를 이용한 개인적인 데이터 교환을 인지함으로써, 서브 원도우 화면에서 SNS 서버(600)를 통해 연결된 학생들의 경우 다른 형태의 소통임을 표시하는 정보 아이콘을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을 통해 제공받아서 SNS 소통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강사에 의해 전반적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에 대한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온라인 강의 전체의 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대한 통지를 통해 소통 공간의 변질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도 1의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진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0g), 네트워크(200),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SNS 서버(500) 외에 입장/퇴장 관리 서버(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중 입장/퇴장 관리 서버(6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장/퇴장 관리 서버(600)는 입출력 제어부(610), 설정/관리부(620), 그리고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의 3개의 주요 구성요소로 구분되며, 입출력 제어부(610)는 제어브라우저(610a)를 구비하며, 설정/관리부(620)는 입장 UI 로딩 모듈(620a), 출제 UI 로딩 모듈(620b), 사용자 관리 모듈(620c), 퇴장 UI 로딩 모듈(620d)을 구비함으로써,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의 온라인 강의를 중계시 복수의 학생에 대한 강상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출력된 가상 교실 화면 UI상의 가상 교실에 강사에 의해 설정된 미리 설정된 정원 내로의 온라인 강의 입장 및 퇴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정/관리부(620)의 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입장/퇴장 관리 서버(6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입장 UI 로딩 모듈(620a)은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온라인 강의 입장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입장 알림 UI 데이터를 전송하여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UI 화면에 출력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장 UI 로딩 모듈(620a)은 사용자 관리 모듈(620c)에 의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온라인 강의 입장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입장 인원수만을 온라인 강의실로 입장하는 입장 알림 UI 데이터로 제공하며, 도 4 내지 도 6의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의 슬롯으로 강사에 의해 설정된 미리 설정된 입장 인원수를 초과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차후의 동일한 온라인 강의실로의 입장을 유도하기 위한 온라인 강의를 위한 사전 이론만이 사용자 관리 모듈(620c)에 의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게 제할 수 있다.
즉, 입장 UI 로딩 모듈(620a)은 미리 설정된 입장 인원수에 해당하는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소지 및 운영하는 학생(또는 학생이 운영하는 디바이스)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학생 프로필을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UI 화면에 각 학생이 다른 시간에 온라인 강의실로 입장하는 입장 상황 UI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출제 UI 로딩 모듈(620b)은 입장 UI 로딩 모듈(620a)에 의한 입장 상황 UI 데이터의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UI 화면 출력이 도 4와 같이 완료되고, 온라인 강의실 입장 제한 시간이 완료되면, 온라인 강의실로 입장 요청을 완료한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옵션에 따라 문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응답으로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출제 UI 로딩 모듈(620b)은 입장 요청을 완료한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옵션에 따라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에 미리 저장된 옵션별 문제 데이터 집합에서 하나의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별도로 전송하거나 동일한 옵션으로 설정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는 동일한 문제 데이터를 전송하여 필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출제 UI 로딩 모듈(620b)은 입장 요청을 완료한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된 옵션에 따라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의 옵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 뒤,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의해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옵션별 문제 데이터 집합에서 하나의 문제 데이터가 추출되어 전달되면 전달된 문제 데이터를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별도로 전달하거나 동일한 옵션으로 설정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는 동일한 문제 데이터를 전달하여 필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620c)은 온라인 강의실로 입장하려는 미리 설정된 입장 인원수 범위 내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온라인 강의를 입장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간차를 두거나 동시에 수신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한 뒤,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온라인 강의를 위한 사전 이론을 네트워크(200)를 각각 온라인 강의 입장 요청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한 뒤, 입장 UI 로딩 모듈(620a)에 대한 활성화(active)를 요청한다.
이런 기능 외에도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별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관리 모듈(620c)이 병렬 또는 직렬로 입장 요청을 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개수별로 도 7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사용자 관리 모듈(620c)은 질문 UI 로딩 수단(320c-1) 및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질문 UI 로딩 수단(320c-1)은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문제 풀이가 미완료로 분석되거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문제 데이터가 입출력 제어부(61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active) 상태로 전환된 뒤, 입출력 제어부(610)의 제어브라우저(310a)를 웨이크-업(wake-up) 또는 동작시킴과 동시에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대한 강평 입력 정보 요청에 대한 전달 요청을 제어브라우저(310a)에 제공한다.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은 상술한 출제 UI 로딩 모듈(620b)에 의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개수로 제공되는 문제 데이터에 대한 모든 필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되는 문제 풀이 완료 신호의 발생을 대기하거나,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데이터에 대해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수신하지 못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식별 ID와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문제 데이터를 질문 UI 로딩 수단(320c-1)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은 모든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식별 ID에 대해서는 퇴장 UI 로딩 모듈(620d)을 활성화(active) 시킨 뒤, 퇴장 UI 로딩 모듈(620d)로 제공할 수 있다.
퇴장 UI 로딩 모듈(620d)은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으로부터 문제 풀이 완료 신호를 수신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식별 ID를 수신하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식별 ID에 해당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온라인 강의실 퇴장 알림 UI 데이터를 전송하여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UI 화면에 출력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한다.
한편, 입출력 제어부(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 하드웨어 구성요소인 입출력 제어부(610)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인 제어브라우저(310a)는 설정/관리부(620)에 의한 호출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브라우저(310a)는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대한 문제 풀이 데이터 또는 질문에 대한 해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평 입력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한 뒤, 다시 강평 입력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브라우저(310a)는 강평 입력 데이터를 퇴장 UI 로딩 모듈(620d)에 의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실 퇴장 알림 UI 데이터를 패킷화한 퇴장 패킷 데이터 내부의 정보에 해당하는 제 1 페이로드의 전단 또는 후단에 강평 입력 패킷 데이터를 제 2 페이로드로 부착하여 함께 전송하도록 입출력 제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 제어부(610)는 출제 UI 로딩 모듈(620b)에 의해, 온라인 강의실에 입장한 학생이 운영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선택에 의해 문제 데이터의 옵션(종류)을 선택하도록 한 뒤, 학생의 데이터 제작{필기 데이터(정답 정보)}에 필요한 편집 브라우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크 UI 로딩 수단(320c-2)은 학생의 데이터 제작이 기설정 범위에서 레퍼런스와 일치하는 경우 퇴장 UI 로딩 모듈(620d)을 활성화(active)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는 학생 데이터 제작이 문자 입력인 경우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각 정답 문자열과의 매칭 분석을 통해 오답 숫자 또는 정답 숫자의 개수로 표현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레퍼런스는 학생 데이터 제작이 영상 또는 음성 입력인 경우 영상 이미지 분석 또는 음성-문자 변환을 통해 변환된 문자에 대한 입장/퇴장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각 정답 문자열과의 매칭 분석을 통해 오답 숫자 또는 정답 숫자의 개수로 표현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신청을 접수한 뒤,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부터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데이터를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로의 온라인 강의를 중계한다(S11).
단계(S11) 이후,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온라인 강의 데이터와, 단계(S11)에서 온라인 강의 중계 대상에 해당하는 복수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학생의 요청에 의해 개설된 학생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S12).
여기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은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셋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한 쌍을 이루는 둘에 해당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은 온라인 강의 관련 창(W1 내지 W2)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강의 관련 창 집합을 구현하는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과 구분되는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에 단계(S11)에서 온라인 강의 대상이 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5는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구현된 예시를 나타내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도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단계(S12) 이후,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서브 원도우 UI 화면 상에 표시되는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에 대해서 네트워크(200) 상에서의 추적을 수행한다(S13).
단계(S13) 이후,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및/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서로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가 교환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끼리 연결 상태 변화 UI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에 반영하여 반영된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S14).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21) 내지 단계(S22)는 도 8의 단계(S11) 내지 단계(S1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22) 이후,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 상에 서브 원도우 UI 화면에 구현된 학생이 운영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SNS 서버(500)에 액세스하는 경우, 액세스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SNS 서버(500) 상에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에 구현된 다른 학생이 운영하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통신 유무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브 원도우 UI 화면 상에 표시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트래픽의 전송 경로를 추적한다(S23).
단계(S23) 이후,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300)는 단계(S12)에서 생성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및/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단계(S12)에서 생성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에 SNS 서버(500)를 통해서 통신 데이터가 교환된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끼리 연결 상태 변화 UI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에 반영하여 반영된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S2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100g :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
200 : 네트워크
300 :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0a : 출력 중계 모듈
320a-1 :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
320a-2 : UI 로딩 수단
320b: 통신 추출 모듈
320c :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
330 : 소통 데이터베이스
400 :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
500 : SNS 서버
600 : 입장/퇴장 관리 서버

Claims (7)

  1. 메인 출력 화면과 다른 위치에 출력되고 학생이 다른 사용자와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을 위해 메인 출력 화면과 구분되는 서브 윈도우 UI 화면을 생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 및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에 의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제공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 상에서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에 표시된 각 학생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대상에 대한 지정 뒤,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트래픽의 전송 경로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통신 추출 모듈(320b); 을 포함하고,
    통신 추출 모듈(320b)은, 학생과 다른 학생 간의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횟수, 페이로드의 크기, 전송하는 시간 정보를 분석한 뒤, 각 트래픽 전송 라인 간의 빈도, 용량, 전송 시간별로 각기 같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산하여, 단계(제 1 내지 제 L, L은 2 이상의 자연수)별 친밀도를 UI 로딩 수단(320a-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교실 화면에서 좌석 배치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표시 구현하도록 하고,
    상용 SNS 계정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500)에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액세스를 SNS 서버(500)에 대한 실시간 전송 요청을 통해 수신한 뒤,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SNS 서버(500)의 액세스 이후, 다른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통신 유무를 추적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 를 더 포함하고,
    SNS 기반 통신 추적 모듈(320c)은. 통신 유무 추적 결과를 UI 로딩 수단(320a-2)로 제공하면, UI 로딩 수단(320a-2)은 서브 윈도우 UI 화면 영상을 이루는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학생들의 식별 ID 또는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이 행 또는 열로 배치되도록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각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온라인 강의 관련 학생 데이터 전송이 아닌 SNS 서버(500)를 이용한 개인적인 데이터 교환이 표시되어, 서브 원도우 화면에서 SNS 서버(500)를 통해 연결된 학생들의 경우 다른 형태의 소통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UI 로딩 수단(320a-2)은,
    통신 추출 모듈(320b)이 추적한 산출 데이터(친밀도 포함)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브 윈도우 제공 수단(320a-1)은,
    온라인 강의 데이터로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촬영부(410)에서 촬영된 강의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1 온라인 강의 창(W1)과,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서 제공된 전자 칠판 화면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2 온라인 강의 창(W2), 그리고 UI 로딩 수단(320a-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교실 화면 UI 영상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제 3 온라인 강의 창(W3)에 대해서 출력 중계 모듈(320a)에 의한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으로의 형성이 완료되면,
    창 배열 브라우저 영역(L1)의 하부나 그 밖의 위치에 형성되며 학생의 프로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배분 브라우저 영역(L2)을 형성하여 온라인 강의 신청 접수를 한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강사 스마트 디바이스(4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서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20581A 2018-02-21 2018-02-21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KR10205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81A KR102056774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81A KR102056774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98A KR20190100698A (ko) 2019-08-29
KR102056774B1 true KR102056774B1 (ko) 2019-12-17

Family

ID=6777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581A KR102056774B1 (ko) 2018-02-21 2018-02-21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98A (ko) 2020-03-23 2021-10-01 손태석 학교 교과 내신성적 관리를 위한 인터넷 강의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4337B (zh) * 2019-12-17 2023-08-01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系统
KR102218973B1 (ko) * 2019-12-31 2021-02-2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호작용 네트워크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5003A (ja) * 2014-12-11 2016-06-23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オフィス活動分析システム、オフィス活動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5003A (ja) * 2014-12-11 2016-06-23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オフィス活動分析システム、オフィス活動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98A (ko) 2020-03-23 2021-10-01 손태석 학교 교과 내신성적 관리를 위한 인터넷 강의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98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60487B (zh) 混合课程教学的系统和方法
KR101899921B1 (ko) 온라인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온라인 한국어 학습 방법
KR102056774B1 (ko) 온라인 강의 기반 학생 간 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Lafford et al. CMC technologie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What's on the horizon?
KR102097777B1 (ko) 사용자 필기 데이터 기반의 학습 성취도 판단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Mader et al. Videoconferencing: A new opportunity to facilitate learning
CN108597281A (zh) 一种交互式学习系统和交互式学习方法
CN111738889A (zh) 一种支持多终端的omo智能互动性云教室系统
KR102534275B1 (ko) 어학 학습 단말, 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3385A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2245B1 (ko) 멀티뷰 방식의 학습서비스제공장치
KR102009575B1 (ko) 스터디 테마카페 제공 방법, 스터디 테마카페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탑재한 모듈 및 시스템
KR20200051318A (ko) 경량 인스턴트 영상 데이터 기반의 일대일 학습 코칭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CN109191958A (zh) 信息的交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30012652A (ko) 온라인 원격 강의 제어 시스템 및 온라인 원격 강의 제어 방법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Fox Tree et al. Conversational fluency and attitudes towards robot pilots in telepresence robot-mediated interactions
KR20190117423A (ko) 원포인트 온라인 강의를 위한 입장과 퇴장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서버 및 시스템
KR102623534B1 (ko) 능동적 수업 참여가 가능한 원격 강의 시스템
Mohamed Yusoff et al. Embracing online distance learning software in the time of Movement Control Order (MCO)
KR102110240B1 (ko) 온라인 강의 기반의 화면 개인화 및 배분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시스템
Li A study on college EF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QQ international
Smith et al. Broadening the NLP Agenda in Learning Analytics for the Age of AI
Barber Self-contained virtual field trips in community science through point-to-point videoconferencing
Germanova et al. Introduction of mobil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in the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