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444B1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444B1 KR102055444B1 KR1020190091346A KR20190091346A KR102055444B1 KR 102055444 B1 KR102055444 B1 KR 102055444B1 KR 1020190091346 A KR1020190091346 A KR 1020190091346A KR 20190091346 A KR20190091346 A KR 20190091346A KR 102055444 B1 KR102055444 B1 KR 102055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nd
- synthetic resin
- passage
- fasten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6—Table tops provided with a protecting coating made of veneer, linoleum, paper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50—Mixtures of different organic impregn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 등과 같은 자연물에 합상수지를 도포시켜 크리스탈 테이블을 빠른 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를 위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 탈포된 합성수지를 원재료에 도포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 등과 같은 자연물에 합상수지를 도포시켜 크리스탈 테이블을 빠른 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그에 따라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메마른 도시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주거환경을 대자연의 숨결 이 느껴지도록 환경친화적으로 바꾸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한 방편의 일환으로 실내에서 화분을 가꾸거나 정원에 나무를 심는 것이 일반적이며, 집을 지을 때 실내 바닥 등을 목재로 건조하는 경향이 점차로 늘고있다.
자연 소재로 만들어지는 마루 바닥재는 최근의 환경친화적인 주거성향으로 보아 건축물의 수만큼이나 시장성이 방대하다. 통상적으로, 원목을 이용한 마루 바닥재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사면돌기(=끼워맞춤)를 하여 시공한다. 다시 말해서,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정방형의 베니어 합판위에 무늬목을 접착하고 베니어 합판의 옆면중 2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2면에는 다른 베니어 합판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만든 단위판을 연속적으로 짜맞추어 시공한다. 이와는 달리, 원목의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가공하여 긴 2개의 옆면중 한쪽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다른 베니어 합판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만든 단위판을 연속적으로 짜맞추어 시공하기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마루 바닥재에는 수려한 미감을 위하여 다양한 무늬를 넣게된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짜맞추어 시공될 각각의 단위판의 상판 무늬목에 적절한 슬라이스 가공을 통해서 나뭇결 무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판에 합성수지액을 이용하여 각종 문양 등을 고주파 접착 또는 열접착 방법으로 새겨넣는다. 그런 후에는, 단위판의 무늬들이 적절하게 어울리도록 각각의 단위판들을 연속적으로 짜맞추어 시공함으로써, 원하는 전체무늬를 마루 바닥재 상에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체무늬에 맞게 각각의 단위판들을 세밀하게 끼워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노동시간 및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결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전체무늬를 그린후 착색하여 만든 커버 시트를 건물의 바닥에 시공된 마루 바닥재의 상판 표면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서 원하는 무늬를 마루 바닥재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마루 바닥재와 커버 시트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시공후 난방을 할 때 들뜰 수 있으며, 목재의 수축·팽창으로 인하여 틈새가 생겨서 전체적인 높이가 흐트러질 수 있다.
한편, 가구, 책상, 식탁 등의 목재 생활용품은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는 경우에, 표면이 손상되어 더 이 상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손상된 표면을 적절하게 복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구, 책상, 식탁 등의 외관에 대하여 싫증을 느껴서 수리 또는 교체를 원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가구, 책상, 식탁 등의 표면을 도색한 후 다시 사용하는데, 이때 원제품에 비해서 미감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합성수지를 목재나 대리석 등에 도포하여 특유의 디자인을 통해 가구를 제작할 수 있고, 원재료로부터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면서도 빠른 시간 안에 가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최종 코팅 단계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밀폐링 부착시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은,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를 위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 탈포된 합성수지를 원재료에 도포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는, 합성수지가 도포된 원재료를 경화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사 공간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가사시간(可使時間)을 줄일 수 있도록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가사 공간의 외부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황변 방지를 위한 UV 코팅,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세라믹 코팅 및 열변형 방지를 위한 고내열 수지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포기는, 탈포할 대상물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 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의 일측이 설치되어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벨브; 상기 개폐 벨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진공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진공 게이지; 및 상측에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하부 각 모서리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이동형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음압 생성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 통로 또는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체결 돌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 돌기를 통로의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통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삼각 지지대; 및 상기 삼각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삼각 지지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탄성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삼각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의 도포에도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의 크리스탈 테이블을 빠른 시간 안에 제작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코팅을 통해 크리스탈 테이블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밀폐링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화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경화틀에 담긴 원재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크리스탈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1의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탈포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몸체부를 보여a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7의 탄성 지지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경화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경화틀에 담긴 원재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크리스탈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1의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탈포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몸체부를 보여a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7의 탄성 지지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은, 우선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를 위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도 5 이하에서 설명하는 탈포기(1)를 이용하여 탈포시킨다(S11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합성수지의 특정 비율을 통한 배합과 특정 기술을 통한 연출 기법으로 형성되는 공법(예를 들어, 마블 연출 기법 또는 깊이 연출 기법 등)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원재료에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합성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교반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계 S110에서는 테이블에 도포시 기포가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포기(1)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의 제조에 따라 발생되는 기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 S110에 의해 합성수지의 탈포가 완료되면,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를 위해 테이블 형태로 제작된 원재료에 탈포가 완료된 합성수지를 도포한다(S120).
다만, 이때, 원재료의 형태는 제작하고자 하는 가구의 형태에 대응하여 테이블 이외의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때, 원재료라 함은, 목재나 대리석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다만 해당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를 도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술한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단계(S120)는, 목재 또는 대리석 등의 원재료에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목재 또는 대리석 등의 특유의 디자인을 통해 가구를 제작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상술한 단계 S120에서 합성수지가 도포된 원재료를 기 설정된 온도로 도포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킨다(S130).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20° 내지 24° 등으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장기가 소요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제품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온도를 경화과정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경화를 완료하여 신속한 제품 제작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 S130에서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표면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코팅층을 형성시킨다(S140).
일 실시예에서,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40)는, 황변 방지를 위한 UV 코팅,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세라믹 코팅 및 열변형 방지를 위한 고내열 수지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다만,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140)에서 적용될 수 있는 코팅층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구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코팅 기법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의 도포에도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의 크리스탈 테이블을 빠른 시간 안에 제작하할 수 있고, 또한, 각종 코팅을 통해 크리스탈 테이블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경화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화시키는 단계(S130)는, 우서 합성수지가 도포된 원재료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화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사 공간에 안착시킨다(S131).
상술한 단계 S131에서 원재료가 가사 공간에 안착되면, 가사시간(可使時間)을 줄일 수 있도록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가사 공간의 외부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 내지 45° 등)로 유지시킨다(S132).
즉, 일반적인 합성수지의 가사 온도인 20° 내지 24°보다 높은 40° 내지 45°에서 합성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사 시간(可使時間, pot life)이라 함은, 2액형(二液型) 도료에서 주제(主劑)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정상적인 도장(塗裝)에 사용하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을 초과하면 젤리 상태가 되어 분사 도장을 할 수 없게 되며, 일반적으로 우레탄 도료에서는 20℃에서 8 ~ 10시간이다. 단, 도료의 종류 및 기온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도 5는 도1의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탈포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탈포기(1)는, 본체(10), 개폐 벨브(20), 진공 게이지(30) 및 이동형 받침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탈포할 대상물(즉, 합성수지)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폐 벨브(20)가 설치되고, 이동형 받침대(40)의 상측에 설치된다.
개폐 벨브(20)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 펌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일측이 설치되어 개폐를 조절한다.
즉, 개폐 벨브(20)가 개방되면 진공 펌프에 의하여 형성된 음압에 의해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개폐 벨브(20)가 닫히면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진공 게이지(30)는, 개폐 벨브(20)의 상부에 설치되며, 본체(10) 내부 공간의 진공 압력의 정도를 측정한다.
이동형 받침대(40)는, 상측에 본체(10)가 안착되며, 하부 각 모서리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탈포기(1)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재료에 합성수지를 도포하기 전에 합성수지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형 받침대(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작업 공간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동형 받침대(40)
도 6은 도 5의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밀폐링(130)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탈포할 대상물이 안착되며, 개방된 상측이 상부 케이스(120)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부 케이스(120)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결 설치됨에 따라 하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시켜 탈포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하부 케이스(1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에 체결되어 탈포 과정에서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200)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링(130)은,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부 케이스(12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진공 펌프에 의해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음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110)는, 체결 돌기(2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내부 공간 크기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10)에서 상부 케이스(120)가 체결되는 정도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10)는, 상부 케이스(120)에 밀폐링(130)을 부착시키기 위해 이하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 케이스(120)에 밀폐링(130)를 부착시키기 위한 밀폐링(130)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상부 케이스(120) 또는 밀폐링(130) 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 케이스(120) 또는 밀폐링(130)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 케이스(120) 또는 밀폐링(130)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120)와 밀폐링(130)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7은 도 6의 체결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홈(300)은, 수직 통로(310), 제1 수평 통로(320), 제1 체결 통로(330), 제2 수평 통로(340) 및 제2 체결 통로(350)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310)는, 체결 돌기(20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 제1 수평 통로(320)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측 부분에 제2 수평 통로(340)가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통로(310)는, 입구 부분이 개방됨에 따라 해당 입구를 통해 공기가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고무 재질의 밀봉쇄기(7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평 통로(320)는, 체결 돌기(200)가 수직 통로(310)를 따라 하강하다가 중간 부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3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말단에 제1 체결 통로(33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330)는, 체결 돌기(2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320)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체결 통로(330)의 하측 공간에는 삼각 지지대(600)와 탄성 지지대(500)가 안착되고, 제1 수평 통로(320)의 말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상측 공간에는 체결 돌기(200)가 체결되어 체결 돌기(200)가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수평 통로(340)는, 체결 돌기(200)가 수직 통로(310)를 따라 하강하다가 최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310)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 제2 체결 통로(35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350)는, 체결 돌기(2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340)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 체결 통로(350)의 하측 공간에는 삼각 지지대(600)와 탄성 지지대(500)가 안착되고, 제1 수평 통로(320)의 말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상측 공간에는 체결 돌기(200)가 체결되어 체결 돌기(200)가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330) 또는 제1 체결 통로(330)는, 체결 돌기(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 돌기(200)를 통로의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통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삼각 지지대(600) 및 삼각 지지대(6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삼각 지지대(600)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탄성 지지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수직 통로(310)를 따라 하강하던 체결 돌기(200)가 하측 말단까지 하강하지 아니하고 중간에서 제1 수평 통로(320)를 통해 이동한 후 제1 체결 통로(330)에서 삼각 지지대(600) 및 탄성 지지대(500)에 체결되는 경우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수직 통로(310)를 따라 하강하던 체결 돌기(200)가 하측 말단까지 이동한 후 제2 수평 통로(340)를 통해 이동한 후 제2 체결 통로(350)에서 삼각 지지대(600) 및 탄성 지지대(500)에 체결되는 경우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는 탈포시키는 합성수지의 양에 따라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탈포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7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삼각 지지대(600)를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8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8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삼각 지지대(60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삼각 지지대(60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삼각 지지대(600)가 하강함에 따라 삼각 지지대(600)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도 7의 탄성 지지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삼각 지지대(600)를 지지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제1 체결 통로(330) 또는 제1 체결 통로(3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삼각 지지대(600)를 지지하면, 체결 돌기(200)의 이동에 따라 삼각 지지대(60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체결 돌기(200)가 제1 체결 통로(330) 또는 제1 체결 통로(330)로부터 쉽사리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탈포기
10: 본체
20: 개폐 벨브
30: 진공 게이지
40: 이동형 받침대
100: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30: 밀폐링
200: 체결 돌기
300: 체결홈
310: 수직 통로
320: 제1 수평 통로
330: 제1 체결 통로
340: 제2 수평 통로
350: 제2 체결 통로
400, 500: 탄성 지지대
600: 삼각 지지대
10: 본체
20: 개폐 벨브
30: 진공 게이지
40: 이동형 받침대
100: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130: 밀폐링
200: 체결 돌기
300: 체결홈
310: 수직 통로
320: 제1 수평 통로
330: 제1 체결 통로
340: 제2 수평 통로
350: 제2 체결 통로
400, 500: 탄성 지지대
600: 삼각 지지대
Claims (2)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를 위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
탈포된 합성수지를 원재료에 도포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는, 합성수지가 도포된 원재료를 경화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사 공간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가사시간(可使時間)을 줄일 수 있도록 원재료에 도포된 합성수지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가사 공간의 외부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황변 방지를 위한 UV 코팅,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세라믹 코팅 및 열변형 방지를 위한 고내열 수지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형성시키며,
상기 합성수지를 탈포시키는 단계는, 탈포기를 사용하여 상기 합성수지를 탈포시키고,
상기 탈포기는, 탈포할 대상물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진공 펌프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의 일측이 설치되어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벨브; 상기 개폐 벨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진공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진공 게이지; 및 상측에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하부 각 모서리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이동형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탈포할 대상물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체결 통로; 상기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 통로; 및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통로 또는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상기 체결 돌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 돌기를 통로의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줄 수 있도록 통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삼각 지지대; 및 상기 삼각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삼각 지지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탄성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삼각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346A KR102055444B1 (ko) | 2019-07-27 | 2019-07-27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346A KR102055444B1 (ko) | 2019-07-27 | 2019-07-27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5444B1 true KR102055444B1 (ko) | 2019-12-12 |
Family
ID=6900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346A KR102055444B1 (ko) | 2019-07-27 | 2019-07-27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44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021A (ja) * | 1993-09-09 | 1995-03-28 | Misawa Ceramics Kk | 人造大理石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489455B1 (ko) * | 2003-06-11 | 2005-05-17 | 박희홍 | 가구용 고광택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992489B1 (ko) * | 2019-05-16 | 2019-06-24 | 최윤기 | Cnc 공작기계장치 |
KR20190001796U (ko) * | 2018-01-05 | 2019-07-15 | 삼흥정공 주식회사 | 실런트 탈포 장치 |
-
2019
- 2019-07-27 KR KR1020190091346A patent/KR1020554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1021A (ja) * | 1993-09-09 | 1995-03-28 | Misawa Ceramics Kk | 人造大理石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489455B1 (ko) * | 2003-06-11 | 2005-05-17 | 박희홍 | 가구용 고광택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90001796U (ko) * | 2018-01-05 | 2019-07-15 | 삼흥정공 주식회사 | 실런트 탈포 장치 |
KR101992489B1 (ko) * | 2019-05-16 | 2019-06-24 | 최윤기 | Cnc 공작기계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특허 제10-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70209B (zh) | 一种藤艺家具专用发泡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6947241A (zh) | 一种无溶剂型运动场地防滑层自结纹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2031259B1 (ko) | 정면기 | |
KR102055445B1 (ko) | 고정용 지그 | |
CN110093138A (zh) | 一种耐黄变高强度聚氨酯美缝胶及其制备方法 | |
KR102055444B1 (ko) | 크리스탈 테이블 제조 방법 | |
CN107011832B (zh) | 一种水性无醛饰面板贴面胶水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KR102032996B1 (ko) | 절단 가공 장치 | |
KR102021340B1 (ko) |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 |
KR102039937B1 (ko) |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 |
KR102029418B1 (ko) |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 |
KR102034465B1 (ko) | 도금 장치 | |
KR102036760B1 (ko) | 벽면 흡음제 시공 구조 | |
KR102020871B1 (ko) |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 |
KR102018108B1 (ko) | 창호 조립체 시공방법 | |
CN107163442A (zh) | 一种环保石塑地板的制作工艺 | |
CN208121504U (zh) | 一种透气型自结纹跑道 | |
KR102058118B1 (ko) |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 |
KR102053859B1 (ko) |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 |
KR102064587B1 (ko) |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 |
KR102039978B1 (ko) | 철판절곡장치 | |
KR102073888B1 (ko) | 플라스틱 원료 배합 장치 | |
KR102006961B1 (ko) | 다기능 낙하물 방지망 | |
KR101020096B1 (ko) | 발포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39929B1 (ko) | 배식대 세척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