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256B1 -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256B1
KR102055256B1 KR1020170114971A KR20170114971A KR102055256B1 KR 102055256 B1 KR102055256 B1 KR 102055256B1 KR 1020170114971 A KR1020170114971 A KR 1020170114971A KR 20170114971 A KR20170114971 A KR 20170114971A KR 102055256 B1 KR102055256 B1 KR 10205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learning
item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8045A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듀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듀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듀코젠
Priority to KR102017011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56B1/en
Priority to PCT/KR2017/009971 priority patent/WO2019050074A1/en
Publication of KR2019002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목, 범위, 문제 유형 및 난이도별로 분류된 다수의 문항과 정답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출제 서버와, 출제 서버로 문항 및 정답을 제공하는 문제 은행 서버와, 문항을 직접 입력 또는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항을 선택하여 출제 서버에 등록함으로서 문항을 출제하는 출제 단말 및 출제 단말에서 출제된 문항을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답안지를 작성하여 출제 서버로 송신하는 학습 단말을 포함하고, 출제 서버는 학습 단말의 답안지를 채점하여 과목, 범위, 난이도, 문항의 유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학습 성향을 분석하고, 저장된 문항들중에서 분석된 학습 성향에 해당되는 문항을 추출하여 출제 단말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estion server that includes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questions and answers that are classified by subject, range, question type, and difficulty, a question bank server that provides questions and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 server, and directly inputs a question. Or selecting a question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and registering the question in the question server, and a learning terminal for answering the question from the question server to the question server to create an answer sheet and send it to the question server. The server scores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ing terminal, analyzes the learning propens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ubject, a range, a difficulty level, and a question type, and extracts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learning propensity from the stored items and provides the question to the question terminal. Based on the learning system that can provide the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Can provide.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교육 시장은 온라인 교육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학원 등 오프라인 교육과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장은 유무선 통신망의 보급, 스마트폰 등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확산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Recently, the education market is changing to the online education market. Unlike offline education such as academy, online education service can receive education at any place without any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the cost is relatively low. Its growth is showing continued growth.

최근 ICT 산업 발전에 따른 디지털화와 스마트 교육이 화두가 되면서 스마트 스쿨 사업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어 스마트 스쿨 관련 산업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As digitalization and smart education have become a hot topic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the smart school business infrastructure is expanding.

이와 같은 스마트-러닝 콘텐츠 및 환경의 확산으로 PC 위주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로 E-러닝 콘텐츠의 사용 환경이 확장됨에 따라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이러한 콘텐츠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로써 사용자의 학습 참여 기회는 증가하고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여 지식 정보의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The spread of smart-learning content and environment has made it possible to use such content without time and place constraints as the usage environment of e-learning content is expanded from PC-based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s a result, opportunities for learning participation are increased, and access to content is easy, and knowledge information is actively shared.

허나, 국내 기술의 대부분은 별도의 독립적인 디지털 문항제작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관리시스템의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로서 주요 기능이 아닌 부가적인 기능인만큼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용자 경험환경과 기능 개발이 우선되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는 그 사용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 However, most of the domestic technology is provided as an additional service of the management system rather than providing separate independent digital item production and evaluation services. Development is not a priority, so its usability is very low in the field.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한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service that can provide an optimized user experience considering the user's position as much as possible.

특히 문항 서비스의 경우 기존에 출제된 기출 문항과 학원 또는 기관에서 만든 문항들을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채택하여 푸는 시스템이 주를 이루고 있어 문항을 출제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시스템 자체가 매우 무겁고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가 미진한 문제점을 갖는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item service, the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the existing questions and the system that the user adopts and solves the questions made by the institute or institution, and the area where the questions can be asked is very limited, and the system itself is very heavy and Servi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has a minor problem.

한국 특허출원 제2013-0083408호(2013.07.16)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3-0083408 (2013.07.16) 한국 특허출원 제2011-0040312호(20110040.28)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1-0040312 (20110040.28)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항 출제 유형과 학습패턴을 분석하여 출제자 및 학습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question item type and learning pattern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that can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the questions and learn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d distributing a service platform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항 출제자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고, 해당 문항에 대한 학습자와 학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교육과 공교육 기관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that can be applied to private and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as it can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question creator, and to ensure learners and learning results on the ques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짧고 심플한 콘텐츠를 선호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주요 타겟으로 하는 개별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개념으로 구성된 작은 단위의 학습 콘텐츠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ivid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targets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who prefers short and simple contents as a cloud-based digital that can provide a small unit of learning contents composed of one concept in a mobile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ollowing exampl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목, 범위, 문제 유형 및 난이도별로 분류된 다수의 문항과 정답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출제 서버와, 출제 서버로 문항 및 정답을 제공하는 문제 은행 서버와, 문항을 직접 입력 또는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항을 선택하여 출제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들에 시험 문항을 출제하는 출제 단말과, 출제 단말에서 출제된 문항을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답안지를 작성하여 출제 서버로 송신하는 학습 단말 및 소속과 과목 및 전문분야, 학부모 정보, 개인 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출제 단말과 학습자 단말의 등록과, 수강일정, 출결상황, 학부모 공지 사항을 출제 서버에 게시 또는 학부모 단말에 송신하고, 학습자 단말들과 출제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출제 서버는 학습 단말의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취약한 과목, 범위, 문항 유형에 대한 학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련 문항을 제공하고, 출제 단말은 문항의 유형과, 그림과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출제 서버로부터 추천된 문항의 편집툴을 제공하는 문항 제작 모듈과, 입력된 문항별로 출제자의 식별 정보와 문항의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태그를 기록하는 태그 기록모듈과, 문항의 공유를 불특정 다수의 학습 단말에게 전체 공유와, 선택된 학습 단말, 복수의 학습 단말들로 연계된 그룹중 어느 하나로 공유를 설정하는 문항 공유 모듈과, 태그 기록 모듈의 태그정보와 문항 공유 모듈의 공유 정보를 포함하여 문항 및 정답을 출제 서버에 등록하는 문항 등록 모듈과, 출제 문항들의 리스트와, 수행 결과가 포함되는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출제 포트폴리오 생성모듈과, 출제 서버로부터 문항을 요청 및 추천된 문항을 수신하는 출제 서비스 수신모듈 및 모바일 환경에서 출제 현황 정보와 채점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출제 서버로부터 학습 단말들의 학습 결과를 수신 및 출력하는 결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출제 서버로부터 추천된 문항은 출제 서버에서 학습 단말의 답안지를 채점하여 과목, 범위, 난이도, 문항의 유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출제 단말의 출제 경향을 분석하여 출제 단말과 동일 그룹으로 설정된 학습 단말들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일별로 제공되는 특정 과목에서 특정 주제에 관련한 문항이고, 출제 서버와 출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학습 단말들의 학업 성취도가 낮은 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특정과목에서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학습문제, 강의 자료, 동영상, 전자책, 파일중 적어도 하나를 일별로 제공하고, 출제 현황 정보는 출제 서버에 게시된 문항들에 대하여 학습 단말들의 답안지 제출 비율과, 제출된 답안지들의 점수와 정답률과, 마감시간을 넘긴 문항 또는 시험지, 마감시간 이전의 문항 또는 시험지, 답안지를 제출한 학습 단말과 제출하지 않은 학습 단말을 포함하고, 채점 결과는 출제 문항을 공유한 학습 단말들의 문항별 채점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하되, 문항별로 정답자와 오답자와, 기간과 지역과 과목 및 범위 별로 석차가 포함되고, 학습 단말은 출제 단말 또는 관리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여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부정행위 방지 모듈을 포함하고, 출제서버는 출제 단말과 문제 은행 서버로부터 수신 또는 등록된 문항을 암호화하여 저장 및 등록하고,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들에 실시간 송신하거나, 문항 등록 메세지를 송신하는 등록모듈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마이크로 러닝 개념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주제에 해당되는 하나의 문제, 또는 설정된 시간 및 용량 이하의 동영상, 오디오, e-book 및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 단말에 제공하는 문항 추출 모듈과, 관리 단말에서 수신된 출제자 및 학습자 정보를 출제자 DB와 학습자 정보 DB에 각각 저장하고, 관리 단말에 의해 요청된 알림 메세지를 학부모 단말과 학습 단말로 송신하고, 출결 및 수강현황을 관리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동일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들과 관리 정보를 공유하거나, 출제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학부모 단말에 메세지를 송신하는 관리 모듈 및 등록된 문항들의 다운로드 횟수와, 학습 단말들과, 출제 단말 들간의 문항 거래와 출제 단말과 학습 단말의 유료 문항 구매시에 비용 결제를 진행하여 출제자들의 저작권 보호 및 비용을 지불하는 문항 유통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estion server that includes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questions and answers that are classified by subject, range, question type, and difficulty, a question bank server that provides questions and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 server, and directly inputs a question. Alternatively, the questionnaire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is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question server, the questionnaire terminal to answer the test questions to the set learning terminals, and the questions asked at the questionnaire terminal from the question server to create an answer sheet to the question server Register the registration terminal, learner's terminal, attendance schedule, attendance status, and parents' notice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terminal and affiliation, subject, specialty, parent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o be sent to the question server or to the parent terminal. And a management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nd set learner terminals and the question terminal in a group. Providing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to provide relevant ques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weak subject, range, and item type, and the questionnair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of item, picture, audio and video data An item production module that provides a multimedia data to be edited, a tool for editing an item recommended from an item server, a tag recording module for recording a tag includ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tem and a search keyword of an item for each item entered, and an item sharing To the non-specified plurality of learning terminals, the entire sharing, the item sharing module for setting sharing to any one of a selected learning terminal and a group linked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terminals, tag information of the tag recording module and sharing information of the item sharing module. A question registration module that registers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 server, a list of questions, and a result A portfolio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portfolio that is included, an entry service reception module for requesting a question and a recommendation item from an entry server, and outputting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and scoring results in a mobile environment in real time, and a learning terminal from the entry server. And a resul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learning results of the questions, and the questions recommended from the question server are the questionnaires of the questionnair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ubject, a range, a difficulty level, and a question type by grading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ing terminal in the question server. This is a question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in a specific subject provided on a daily basis so as to compensate for the weak part of the learning terminals set in the same group as the question terminal by analyzing the trend, and at least one of the question server and the question terminal ha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earning terminals. To reinforce the lower part Provide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subject, such as learning questions, lecture materials, videos, e-books, and files on a daily basi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questions or exams past the deadline, questions or exams before the deadline, learning devices that submitted the answer sheet, and learning devices that were not submitted, and the grading results are scored by the items of the learning terminals that shared the questions. Receives and outputs the results in real time, including questions with correct answer and in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period, region, subject, and range, and learning terminal prevents cheating by executing remote control of the question terminal or management terminal It includes an action prevention module, the question server encrypts the question received or register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And a registration module that registers and transmits in real time to the shared set learning terminals, or sends an item registration message, and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bject to provide a curation service of a micro learning concept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or A question extraction modul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video, audio, e-book, an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ime and capacity to the learning terminal, and storing the questionnaire and learn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in the questionnaire DB and the learner information DB, respectively. Send the notification message requested by the management terminal to the parent terminal and the learning terminal, and collect attendance and attendance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to share management information with the learning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or at the request of the question terminal The management module for sending a message to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registered items and the learning terminals; Providing and distributing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including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that pays the copyrights and fees of the questions by paying the fee when the item transaction between the questions terminal and the payment terminal of the question terminal and the learning terminal is purchased The platform can provide a learning system.

삭제delete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문항을 제공함에 따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문항의 공유와, 특정 학습자 또는 학습자들간의 학습 공유가 가능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학습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learning opportunity at a low cost as it is possible to share a question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to share learning among specific learners or learners by providing questions on a cloud basis.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들의 활동 및 학습데이터를 분석하여 출제자 및 학습자들에게 최적화된 문항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고, 학습 포트폴리오를 자동 생성할 수 있어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activity and learning data of the service users to recommend the item content optimized for the questions and learners, and can automatically generate a learning portfolio has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또한, 본 발명은 출제자가 문제 출제시 정답에 연계된 키워드를 지정함에 따라 문항의 유형에 상관없이 답안지 채점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여 학습자와 출제자의 관리와 평가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questionnaire designates a keyword associated with the correct answer when the question is asked, the real-time processing of the answer sheet scor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question type, so that the learner and the questionnaire can be managed and evaluated in real time, thereby learning the learner's learning effect There is an effect to maximize.

또한, 본 발명은 문항별로 출제자의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공개된 문항들의 공유 범위를 확인할 수 있어 문항들의 유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출제자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is recorded for each item,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haring range of the open ques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manage the distribution of the question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questionnaire.

또한, 본 발명은 짧고 심플한 콘텐츠를 선호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주요 타겟으로 하는 개별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개념으로 구성된 작은 단위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고, 스낵 컬쳐(SNACK CULTURE)와 같은 짧은 콘텐츠에 최근의 모바일 세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시장성 및 경제성이 높은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ivid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mainly targeting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who prefers short and simple contents, and is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by providing a small unit of learning contents composed of one concept, and is a snack culture. It is an invention having high marke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because it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suitable for the recent mobile generation to such short cont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학습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제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출제 서버의 서버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S1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출제단말의 메인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의 포트폴리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의 문항 출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의 문항 내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의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학습 단말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학습 단말의 문항 풀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학습 단말의 문항 내역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 결과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questi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question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control unit of the question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 S300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screen of a questi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portfolio screen of the entry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question entry screen of the entry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detail screen of an entry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screen of the entry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screen of a learning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estion solving screen of a learning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detail screen of a learning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confirmation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Wealth ”,“… Gi ”,“… However, terms such as “module”, “device”, and the lik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학습 단말과 출제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learning terminal and the entry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Navigation,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smartwatch, smart glass, HMD ( head mounted displa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문항 및 정답을 제공하는 문제은행 서버와, 문항을 출제하여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개인들에게 공유하는 출제 단말(100)과, 출제 단말(100)에서 출제된 문항을 게시 및 제공하는 출제 서버(300)와, 출제 서버(300)에 게시된 문항을 다운로드 한 후 답안을 작성하여 출제 서버(300)로 송신하는 학습 단말(2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estion bank server that provides questions and answers, a questionnaire terminal 100 that shares a quest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r specific individuals, and a question that is asked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The questionnaire server 300 for posting and providing,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to download the questions posted on the questionnaire server 300 to write the answer to the questionnaire server 300 to transmit.

문제 은행 서버(500)는 학원, 출판사, 학교, 기관등 학습 문항을 제작하여 배포하는 기관에 해당된다. 여기서, 문제 은행 서버(500)는 출제 서버(300)에 문항을 등록하고, 각각의 문항에 대한 유료 또는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공유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corresponds to an institution that produces and distributes learning items such as a school, a publisher, a school, and an institution. Here,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may register the items in the question server 300 and set a sharing range so that the questions can be downloaded for a fee or free of charge.

여기서, 출제 단말(100)은 교육업에 종사하는 개인, 또는 공공 및 사교육 기관의 출제자가 자신의 전분 과목이나, 과목내의 범위별로 문항을 출제한다. 이를 위하여 출제 단말(100)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문항 제작툴을 이용하여 문항을 출제하고, 제작된 문항과 답안을 출제 서버(300)로 등록한다. Here, the questions terminal 100, the individual who is engaged in the education industry, or the questionnaire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questions questions by their starch subjects, or the range within the subject. To this end, the question terminal 100 questions the question using the item production tool provid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nd registers the produced question and answer to the question server 300.

이때 출제 단말(100)은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할 건지 또는 특정 개인들(학습 단말(200))에게만 공유할 건지를 선택하여 출제 서버(300)로 등록할 수 있고, 문항별(예를 들면, 주관식)로 출제자, 학습자 또는 기관명등과 같이 출제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태그를 기록하여 저작권을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question terminal 100 may select whether to share to an unspecified number or only to specific individuals (learning terminal 200) to register with the question server 300, by question (for example, the subjective ), A tag that can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 such as the name of the questionnaire, learner, or institution can be recorded to indicate copyright.

또한, 출제 단말(100)은 각 문항별 정답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함에 따라 자동채점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제 단말(100)은 출제 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문항에 대한 학습 단말(200)의 수행 결과(예를 들면, 해당 문항의 학습을 진행한 학습 단말(200) 및/또는 채점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stion terminal 100 may be set to enable automatic scoring by setting a keyword for the 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performs the result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on the question through the question server 300 (for example,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 or the scoring result of the learning of the question) You can check in real time.

여기서, 출제자는 초, 중, 고, 대학교나 학원의 선생님, 또는 소속과 단체에 속하지 않은 개인일 수 있다. Here, the questionnaire may be a teacher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university or academy, or an individual who does not belong to the affiliated organization.

학교나 학원의 선생님은 출제 단말(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담당한 학생들에서 쪽지시험을 치르게 하거나, 정기 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은 출제 단말(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제작한 문항들을 불특정 다수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eacher of the school or academy to use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take a note test, or to conduct a regular test in the students in charge of the individual, the individual using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make their own questions It can be provided free or for a fee to an unspecified number.

학습 단말(200)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게시된 문항들을 선택하고, 해당 문항에 대한 답안을 작성하여 출제 서버(300)로 송신하고, 출제 서버(300)로부터 그 결과를 확인한다. 여기서, 학습 단말(200)은 사용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기까지의 시간과, 학습 성향(예를 들면, 과목, 범위)과 문항 난이도, 학습된 문항의 유형(예를 들면, 객관식과 주관식, 또는 선택형과 단답형 및 서술형)의 분포비율등의 데이터등을 포함하는 학습 패턴을 출제 서버(300)로 송신한다. The learning terminal 200 selects questions post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creates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transmits the question to the question server 300, and checks the result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Here, the learning terminal 200 is a time until the user inputs the answer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the learning propensity (for example, subject, range) and item difficulty, the type of the learned item (for example, multiple choice and subjective expression) Or a learning pattern including data such as a distribution ratio of a selection type and a short answer type and a narrative type) to the question server 300.

출제 서버(300)는 문제 은행 서버(500)와 출제 단말(100)로부터 등록된 문항을 불특정 다수, 또는 출제 단말(100)로부터 특정된 학습 단말(200)들에게만 공유될 수 있도록 문항을 게시하고, 게시된 각 문항을 선택한 학습 단말(200)에 해당 문항을 제공한다. The question server 300 posts an item so that the question registered from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the question terminal 100 can be shared to an unspecified number or only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specifi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The corresponding item is provided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that selects each posted item.

그리고 출제 서버(300)는 출제 단말(100)의 답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를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 양측에 모두 제공한다. 즉 출제 서버(300)는 학습 단말(200)의 답안지를 자동 채점하여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제 단말(100)에 제공한다.The question server 300 checks the answer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in real time and provides it to both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That is, the question server 300 automatically scores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question terminal 100 in real time.

또한, 출제 서버(300)는 학습 단말(200)의 학습 패턴과 학습 평가 결과를 수집하여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학습자가 취약한 과목이나 범위, 문항의 유형에 대한 학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련 문항을 제공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question server 300 collects the learning pattern and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to calculate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subject, range, or type of item that is vulnerable. Providing a curation service that provides questions.

또한, 출제 서버(300)는 출제 단말(100)의 출제 경향(과목, 범위, 난이도)과, 해당 문항을 다운로드 하는 학습 단말(200)의 학습 평가 결과(과목/범위/문항의 유형별 정답율 또는 점수)를 참조하여 맞춤형 출제를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출제 서버(300)는 출제 단말(100)에서 출제된 문항을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취약한 과목, 범위, 문항유형을 분석하여 출제자에게 자신의 담당 학생들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문항들을 추천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stion server 300 is a question tendency (subject, range, difficulty)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to download the item (subject / range / item type of correct answer rate or score ) To provide curation services for customized questions. That is, the question server 300 analyzes the vulnerable subjects, ranges, and item types of the learners learning the questions on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recommend the questions that can complement the vulnerable parts of the students in charge of the question. Cur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여기서, 바람직하게로 출제 서버(300)는 문제 은행 서버(500)에서 제공된 문항과, 출제 단말(100)에서 등록된 문항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게시판에 게시 및/또는 공유된 모든 문항의 유통(예를 들면, 다운로드 또는 공유 횟수)을 관리 및 산출하여 출제 단말(100) 또는 문제 은행 서버(500)에 소정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즉, 출제 서버(300)는 게시된 문항들을 다운로드 또는 공유하는 학습 단말(200) 및/또는 출제 단말(100)에 비용을 결제하도록 유료화함도 가능하다. Here, preferably, the question server 300 distributes all items posted and / or shared on the bulletin board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question provided by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the question registered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number of downloads or shares) is managed and calculated to set the payment terminal 100 or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to pay a predetermined cost. That is, the question server 300 may make a fee to pay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 or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download or share the posted items.

또한, 여기서, 출제 단말(100) 및 출제 서버(300)는 마이크로 러닝(MICRO LEARNING)의 학습 콘텐츠로서 개별 학습자들의 학습 단말에 짧고 심플한 내용으로서 문제를 출제 및/또는 제공하는 것으로서 큐레이션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iz terminal 100 and the quiz server 300 as a learning content of the micro learning (MICRO LEARNING) as a short and simple content to the learning terminals of individual learners to proceed with the curation service as a question and / or provide Can be.

예를 들면, 각각의 문제는 1일당 1항의 문제로서 제공되되, 각각의 문제는 1나의 개념(예를 들면, 물리학에서 질량보존의 법칙)에서 작은 단위(예를 들면, 질량 보존의 법칙을 이용한 반응물 또는 생성물의 산출)로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problem is presented as a one-term problem per day, each of which uses one unit (e.g.,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in physics) using small units (e.g.,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Production of reactants or products).

즉, 본 발명의 출제 단말(100) 및 출제 서버(300)는 전체 학습자들에게 동일한 주제와 다항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복 수회 출제하고, 각각의 문제들에 대한 오답율 및 과목과 성향등을 분석하여 학습자 개별적으로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되, 큐레이션 서비스는 분석된 학습 성향에 따라 개별 학습자들에게 매일 특정주제에 관련된 1개의 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hole learner questions a plurality of questions consisting of the same topic and polynomial, and to analyze the error rate and subject and propensity for each problem The learner provides a curation service that provides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individually, but the curation service may be performed by asking one learner a question related to a specific topic every day according to the analyzed learning disposition.

또한 큐레이션 서비스는 문제뿐만 아니라 강의자료나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제공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정과목에서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1개의 문제, 1분 이하의 동영상, 15분 이하에서 정독가능한 파일이나 전자책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curation services can provide not only problems but also lecture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example, a particular subject may include one issue pertaining to a topic, a video for less than one minute, a file or ebook that can be read in less than 15 minutes.

관리 단말(400)은 출제 서버(300)에 출제자의 정보와 학습자의 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출제자 정보는 소속기관(학교, 학원, 개인)과, 개인정보와, 담당 과목 및/또는 전문분야가 포함될 수 있다. 학습자 정보는 소속(예를 들면, 학교, 학원, 개인)과 개인정보, 학부모 연락처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management terminal 400 registers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s and the learners in the question server 300. Here,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may include affiliated organizations (schools, academies, individuals), personal information, subjects and / or specialty fields. Learn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ffiliation (eg, school, academy, individual), personal information, and parent contact information.

여기서, 관리 단말(400)은 출제 단말(100)과 복수의 학습 단말(200)을 그룹화하도록 설정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XX학교의 0학년 0반 선생님과 학생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management terminal 400 may be set to group the questions terminal 100 and the plurality of learning terminals 200. For example, a grade 0 class 0 teacher and students from school XX can be set up as a group.

즉, 출제자는 자신과 그룹 연계된 복수의 학습자들에게 온라인을 통하여 문항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questionnaire can provide a plurality of learners linked to the group through online and check the result in real time.

따라서, 관리 단말(400)은 이와 같이 그룹화된 학습자들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학교나 학원의 수강일정, 출결상황, 학부모 공지 사항을 출제 서버에 게시하거나, 직접 송신함도 가능하다. 특히, 관리 단말(400)은 학생관리를 위하여 출제 서버(300)를 통하여 학부모들의 모바일 단말 또는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로 공지사항을 전달함도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management terminal 400 may post the school schedule or attendance, attendance status, and parents' notices to the question server or directly transmit the group or learners in order to more easily manage the grouped learners.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terminal 400 may also transmit announcements to the mobile terminal or questions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of the parents through the question server 300 for student management.

이와 같은 출제 단말(100) 내지 출제 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the question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본 발명에서 출제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ntry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출제 단말(100)은 출제 제어부(110)와, 출제 단말 통신부(120)와,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130)와, 출제 단말 입력부(140)와, 출제 단말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quiz terminal 100 includes a quiz control unit 110, a quiz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a quiz terminal display 130, a quiz terminal input unit 140, and a quiz terminal storage unit 150. It includes.

이중 출제 단말 통신부(120)는 출제 서버(300) 및/또는 타 출제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출제 단말 통신부(120)는 출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완성된 문항과 정답을 출제 서버(300)로 송신하고, 출제 서버(300)로부터 각 문항의 공유 및 수행결과를 수신받아 출제 제어부(110) 및 출제 단말 저장부(150)로 출력한다. The dual question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question server 300 and / or the other ques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completed question and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server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question control unit 110, and receives the result of sharing and performing each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It is output to the question control unit 110 and the question terminal storage unit 150.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130)는 출제 서버(300)부터 수신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화면을 출력한다. The question terminal display 130 outputs a screen by the application received and execut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출제 단말 입력부(140)는 입력된 명령을 출제 제어부로 출력한다. The question terminal input unit 140 outputs the input command to the question control unit.

여기서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130)와 출제 단말 입력부(140)는 상호 독립된 장치이거나,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entry terminal display 130 and the entry terminal input unit 140 may be independent devices 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as a touch type display.

출제 단말 저장부(150)는 완성된 문항 및 정답을 저장한다. The question terminal storage unit 150 stores the completed questions and answers.

출제 제어부(110)는 문항 제작 모듈(111)과, 문항 등록 모듈(112)과, 출제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113)과, 문항 공유 모듈(114)과, 결과 수신 모듈(115)과, 출제 서비스 수신 모듈(116)과, 태그 기록 모듈(117)을 포함한다. The questionnaire control unit 110 includes an item production module 111, an item registration module 112, an item portfolio generation module 113, an item sharing module 114, a result receiving module 115, an item service receiving Module 116 and tag recording module 117.

문항 제작 모듈(111)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문항 작성툴 및 편집툴을 포함한다. 여기서, 문항 작성툴은, 도 12를 참조하면, 다 수개의 문항 유형(예를 들면, 선택형(예를 들면, OX 선택형, 객관식), 단답형, 서술형)과, 그림과 오디오 및 영상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문항 유형에 따른 보기와 지문과 같은 작성 데이터를 제공한다. 편집툴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된 문항의 편집기능(예를 들면, 복사, 삭제, 붙이기, 잘라내기, 색상 변환, 이미지나 오디오 데이터 삽입)을 제공한다.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includes an item writing tool and an editing tool provided by an application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Here, referring to FIG. 12, the item writing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item types (eg, selective (eg, OX selective, multiple choice), short answer, narrative), and at least one of pictures, audio, and video. It provides the included multimedia data and composing data such as views and fingerprints according to the item type. The editing tool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eg, copy, delete, paste, cut, color conversion, image or audio data insertion) of the item recommend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즉, 문항 제작 모듈(111)은 입력된 명령(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문항 출제 메뉴(a)의 선택)이 입력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가 포함된 화면을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즉, 문항 제작 모듈(111)은 선택된 문항의 유형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보기나 지문의 유형을 제공하고, 입력된 내용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항을 제작한다. 또한, 문항 제작 모듈(111)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된 문항 또는 이전 제작된 문항을 편집할 수 있도록 편집툴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nput command (for example, selection of the item question menu (a) illustrated in FIG. 10) is input, the item producing module 111 displays a screen including a menu as illustrated in FIG. 12. Output to 130. That is, the item producing module 111 inserts multimedia data into the selected item type, provides a type of view or fingerprint, and combines the input contents to produce one item. In additio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may provide an editing tool to edit the item or the previously produced item recommend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또한, 문항 제작 모듈(111)은 출제 단말 입력부(140)에서 출력된 명령에 따라 문항별 정답을 설정한다.In additio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sets the correct answer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command output from the entry terminal input unit 140.

또한, 문항 제작 모듈(111)은, 도 12에 도시된 문항 작성 메뉴(f)를 통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문항의 영역(예를 들면, 언어, 수리영역등의 과목과, 과목별 범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통하여 입력된 내용으로 문항을 제작한다. In additio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select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item and the area of the item (eg, a subject such as language, a mathematical area, and a range of subjects) through the item creation menu f shown in FIG. 12. The item is produced from the contents entered through the menu.

또한, 문항 제작 모듈(111)은 입력된 정답과 문항 및 정답 키워드를 연계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links and sets the input correct answer and the question and the correct answer keyword.

정답 키워드는 정답에 포함된 문자와 단어, 숫자, 도형중 적어도 하나로서 출제자가 입력하면, 문항 제작 모듈(111)에서 연계 설정한다. The correct answer keyword is set to be linked i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when the questionnaire inputs at least one of letters, words, numbers, and figures included in the correct answer.

출제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113)은 출제 단말(100)별로 출제 서버(300)의 게시판에 게시된 전체 문항과, 학습 단말(200)에서 다운로드된 문항 숫자와, 자체 저장된 작성 완료된 문항들의 날짜별, 과목별로 분류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The question portfolio generation module 113 includes all questions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of the question server 300 for each question terminal 100, the number of questions download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date and the subject of the completed completed items. Create a portfolio categorized by star.

문항 공유 모듈(114)은 각각의 문항별로 설정되는 공유 가능한 학습 단말(200)과 공유 개시 시간과 공유 마감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문항 공유 모듈(11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마감시간 메뉴와 공유하기 메뉴가 선택된 후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문항의 마감시간과 공유 가능한 학습 단말(200)을 설정한다. 여기서, 마감시간은 공유 가능한 시간을 의미하며, 공유 가능한 학습 단말(200)은 아이디, 이름, 또는 단체나 그룹명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tem sharing module 114 sets the shareabl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sharing start time and the sharing deadline set for each item.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item sharing module 114 may select the learning terminal 200 that can be shared with the deadline of the corresponding item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after the set deadline menu and the sharing menu are selected. Set it. Here, the deadline means a shareable time, and the shareable learning terminal 200 may be input as an ID, a name, or a group or group name.

여기서, 문항 공유 모듈(114)은 문제 이외에 동영상, 오디오, 전자문서, e-book등도 공유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item sharing module 114 may share a video, audio, electronic document, e-book, etc. in addition to the problem.

학습 단말(200)들은, 예를 들면, 학원, 학교, 전공과, 학년, 반, 그룹별로 분류 되거나, 출제 단말(100)과 연계 설정될 수 있다. The learning terminals 200 may be classified by, for example, a school, a school, a major, a grade, a class, or a group, or may b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question terminal 100.

즉, 문항 공유 모듈(114)은 설정된 공유 시간부터 마감시간 동안 해당 문항을 특정 학습 단말(200)들에서만 다운로드 또는 송신하도록 설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문항 공유 모듈(114)은 학습 단말(200)에 출력된 문항 또는 복 수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시험지(평가지)의 답안이 입력 가능한 시간을 설정한다. That is, the item sharing module 114 sets to download or transmit the corresponding item only from the specific learning terminals 200 during the deadline from the set sharing time. More preferably, the item sharing module 114 sets a time at which the answer of the test paper (evaluation paper) consisting of a question or a plurality of questions output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can be input.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서버(300)에서 게시된 문항들을 수행 결과를 수신 및 출력한다. 예를 들면, 결과 수신 모듈(11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된 학습 단말들중에서 답안지를 제출한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receives and outputs a result of performing items post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may display a ratio of submitting answer sheets among the shared learning terminals.

또는 결과 수신 모듈(115)에서 수신되는 출제 현황은 마감시간 이전의 답안지를 제출한 학습 단말들과, 답안지를 제출하지 않은 학습 단말(200)들과, 각 학습 단말(200)들의 점수(정답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questionnaire received by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may include learning terminals that submitted answer sheets before a deadline, learning terminals 200 that did not submit an answer sheet, and scores of correct learning terminals 2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아울러, 결과 수신 모듈(115)의 출제 현황은 마감시간을 넘긴 문항들과, 마감 시간 이전의 문항(또는 시험치)을 구분하여 표시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status of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the items over the deadline and the items (or test values) before the deadline.

즉,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단말(100)에서 공유된 학습 단말들의 수행 결과를 수신 및 출력한다. 이와 같은 출제 현황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구성된 출제 현황 메뉴(b)의 선택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다. That is,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receives and outputs execution results of the learning terminals shared by the question terminal 100. Such a questionnaire status is output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display 130 as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questionnaire status menu (b) configured on the screen is input as shown in FIG. 10.

또한,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문항을 공유한 학습 단말(200)들의 문항별 채점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한다. 즉,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자동채점된 각각의 문항 및 학습 단말(200)별 채점 결과를 수신 및 출력한다. 예를 들면, 결과 수신 모듈(115)은 도 10의 실시간 문항 메뉴(d) 또는 문항 내역 메뉴(g)를 통하여 채점결과가 수신된 문항들을 출력하고, 문항이 선택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항 및 정답과, 정답자와 오답자를 포함한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receives and outputs the grading results for each item of the learning terminals 200 sharing the questions in real time. That is,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receives and outputs the scoring result for each item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which are automatically scor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For example,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outputs the items for which the scoring result is received through the real-time item menu (d) or the item history menu (g) of FIG. 10, and when the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4. Similarl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cluding the questions and the correct answers and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re output.

또한, 평가 결과는 문항별 정답자와 오답자와, 기간별, 범위별, 평가지별로 산출된 점수와, 기간/지역/과목/범위별로 석차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 may include the correct answer and incorrect answer for each item, scores calculated by period, range, and evaluation site, and the ranking by period / region / subject / range.

출제 서비스 수신 모듈(116)은 출제 서버(300)에서 추천된 문항들을 수신하여 이를 메인 메뉴(도 10 참조)에 수신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출력한다. The question service reception module 116 receives the questions recommend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and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reception of the questions on the main menu (see FIG. 10).

여기서 출제 서버(300)의 추천 문항들은 출제 서버(300)에서 해당 출제 단말(100)의 출제 경향(예를 들면, 과목, 범위, 난이도, 문항 유형)을 분석하여 해당 출제자의 성향과 공유된 학습 단말(200)(또는 그룹 설정된 학습 단말)의 학습 평가 결과에 따라 추천된 것이다. Here, the recommended items of the question server 300 are analyzed by the question server tendency (eg, subject, range, difficulty, item type)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in the question server 300, the learning shared with the propensity of the question It is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of the terminal 200 (or group set learning terminals).

즉, 출제 서버(300)의 추천 문항들은 타 출제 단말(100)과 문제 은행 서버(500)에서 불특정 다수의 학습 단말(200) 및 출제 단말(100)에 공유 설정된 문항들중에서 출제자의 출제 성형과 학습 단말들의 학업 성취도가 낮은 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추천된 것이다. That is,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 server 300 may includ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of the questionnaire among the questions that are shared among the unspecified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 terminal 100 in the other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It is recommended to reinforce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earning terminal.

여기서, 출제 서버(300)는 문항들뿐만 아니라 학습 또는 기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나 자료를 제공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정보나 자료는 문제은행서버(500), 출제 단말(100) 및 학습단말(200)중에서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question server 300 may provide information or materials to help learning or other real life as well as questions. Such information or data may be provided among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태그 기록 모듈(117)은 문항별로 기록되는 출제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저작권 정보와, 검색 키워드(예를 들면, 출제자의 식별정보, 소속 기관명, 단체명, 그룹명)를 태그로서 기록한다. The tag recording module 117 records copy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recorded for each item, and a search keyword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or, the organization name of the organization, the group name, and the group name) as a tag.

문항 등록 모듈(112)은 작성된 문항과 정답 및 문항정보(영역과, 난이도와 과목, 범위, 공유)와, 태그 기록 모듈(117)의 출제자 정보 및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태그정보와, 문항 제작 모듈(111)의 정답에 연계되는 정답 키워드 정보를 출제 서버(300)에 송신하고, 등록을 요청한다. The item registration module 112 may include a written question, correct answer, and item information (area, difficulty, subject, range, and shar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the search keyword of the tag recording module 117, and the item production module. Correct answer keywo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rrect answer of 111 is transmitted to the question server 300, and registration is requested.

여기서, 정답 키워드 정보는 문항 제작 모듈(111)에서 등록된 정답에 연계된 키워드로서 서술형의 경우에 정답 키워드로 설정된 단어들과 답안지에 입력된 단어들과의 일치 비율 및 순서에 따라 점수를 차등적으로 부여하기 위함이다. 정답 키워드는 문자, 도형, 숫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correct keyword information is a keyword associated with the correct answer registered in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the score is differential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io and order of the words set as the correct answer keyword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type and the words entered in the answer sheet This is to give. The correct answer keywor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tter, a figure, and a number.

아울러, 출제 단말(100)의 문항 등록 모듈(112)은 출제자의 강의 자료나, 학습 단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나 전자책을 선택하여 출제 서버(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출제 단말(100)은 공유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자료나 정보를 유료로 설정하거나, 무료 다운로드 가능한 학습 단말(200)을 지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tem registration module 112 of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may select the lecture materials of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or e-books that may be helpful to the learning terminal, and upload them to the questionnaire server 300. In this case, the question terminal 100 may set a sharing range and set the corresponding material or information for a fee, or designate a learning terminal 200 that can be downloaded for free.

이때, 출제 단말(100)에서 업로드된 학습 자료는, 예를 들면, 동영상 강의의 경우에 1분 이하, 전자책이나 파일의 경우 15분 이하의 시간 이내에 정독이 가능한 분량으로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learning material uploaded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may be generated in an amount that can be read within a time of 1 minute or less in the case of a video lecture, and 15 minutes or less in the case of an e-book or a file.

도 3은 본 발명에서 학습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단말(200)은 학습 제어부(210)와, 학습 단말 통신부(220)와, 학습 단말 디스플레이(230)와, 학습 단말 입력부(240)와, 학습 단말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learning terminal 200 includes a learning control unit 210, a learning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20, a learning terminal display 230, a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40, and a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It includes.

여기서, 학습 단말 디스플레이(230)와 학습 단말 입력부(240)는 별개로 구성(예를 들면, 데스크탑의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되거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이 입력과 출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일체화될 수 있다. Here, the learning terminal display 230 and the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4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or example, a display and a keyboard of a desktop) or integrated as a touch type display capable of both input and output, such as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Can be.

학습 단말 통신부(220)는 출제 서버(300) 및/또는 타 학습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learning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20 communicates with the question server 300 and / or the other learning terminal 200.

학습 단말 저장부(250)는 수신된 문항 및 평가 결과를 저장한다.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stores the received question and the evaluation result.

학습 제어부(210)는 출제 서버(300) 또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설정된 화면 및 메뉴를 출력시키는 앱 실행 모듈(211)과, 출제 단말(100)에서 공유 설정된 문항들을 수신 및 출력하는 공유 문항 수신 모듈(212)과, 출제 서버(300)에서 추천된 문항 및 출제 단말(100)에서 공유된 문항중에서 선택된 문항을 수신 및 출력하는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과, 답안지를 생성하는 답안지 생성 모듈(214)과, 학습 패턴을 추출하는 학습 패턴 분석 모듈(215)과, 학습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학습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216)과,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부정행위 방지 모듈(217)과, 학습 문항을 타 학습 단말(200)과 공유설정하는 학습 문항 공유 모듈(218)과,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학습 결과 수신모듈(219)을 포함한다. The learning control unit 210 executes an application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or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outputs a set screen and a menu,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module 211 that receives and outputs the shared items set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The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2,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selected item among the questions shar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and the item recommend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and an answer sheet for generating an answer sheet A generation module 214, a learning pattern analysis module 215 for extracting a learning pattern, a learning portfolio generation module 216 for generating a learning portfolio, a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for preventing cheating, and learning And a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218 for sharing the item with another learning terminal 200, and a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219 for receiving a learning result.

앱 실행 모듈(211)은 출제 서버(300) 또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예를 들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화면 및 메뉴들을 학습 단말 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앱 실행 모듈(21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항 풀기(i)와 학습현황(j) 및 포트폴리오 선택 메뉴(k)와, 실시간으로 수신된 문항을 실시간 문항 메뉴(ㅣ)와,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된 문항이 출력되는 맞춤 문항 메뉴가 포함된 앱실행화면을 출력한다.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executes the application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or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outputs the screens and menus shown in FIGS. 15 to 18 to the learning terminal display 230, for exampl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may solve the question (i), the learning status (j), the portfolio selection menu (k), and the received item in real time. ) And an app execution screen including a customized item menu for outputting a recommended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공유 문항 수신 모듈(212)은 출제 단말(100) 또는 타 학습 단말(200)에서 해당 학습 단말(200)(학습자)에 공유 설정된 문항을 수신한다. 여기서 공유 문항 수신 모듈(212)은 타 학습 단말(200) 또는 출제 서버(300)에서 공유된 문항의 수신 또는 게시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출력하고, 선택된 문항을 앱 실행화면에 출력한다. The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2 receives an item set to be shared by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learner)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or the other learning terminal 200. Here, the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2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hared item is received or posted by another learning terminal 200 or the question server 300, and outputs the selected item on the app execution screen.

여기서, 공유 문항 수신 모듈(212)은 출제 단말(100) 또는 타 학습 단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공유된 문항을 수신한다. 학습자는 앱 실행 화면의 실시간 문항 메뉴(l)를 선택하므로 실시간으로 수신된 문항을 확인한다. Here, the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2 receives a question shared in real time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or the other learning terminal 200. The learner selects the real-time item menu (l) of the app execution screen, so he / she checks the received item in real time.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은 출제 서버(300)에서 추천된 문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고, 추천 문항의 수신명령에 따라 출제 서버(300)에서 송신된 추천 문항을 수신하여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앱 실행 화면의 맞춤 문항 메뉴(m)을 통하여 알림 및 출력한다.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 recommended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nd stores the learning terminal by receiving the recommendation item transmitt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ccording to a receiving command of the recommendation item. Stored in the unit 250, and the notification and output through the custom item menu (m) of the app execution screen.

또한,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은 출제 서버(300)에서 운영되는 게시판에 게시된 문항들중에서 선택된 문항을 수신하여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receives a selected item among the questions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operated in the question server 300 and stores it in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출제 서버(300)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 설정된 문항들은 게시판에 게시될 수 있고, 학습 단말(200)에서 유료로 구매한 뒤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항의 유료 구매는 출제자들의 저작권을 보장 및 보호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출제 서버(300)에서 수신된 추천 문항 역시 유료로 구매하거나 무료로 수신될 수 있다. Here, preferably, the items set to be shared by the unspecified number in the question server 300 may be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and may be downloaded after purchasing for a fee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paid purchase of such items is to guarantee and protect the copyrights of the participants. Similarly, the recommendation item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may be purchased or paid for free.

따라서,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은 유료 문항을 선택시에 이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금융정보(예를 들면, 은행계좌, 신용카드번호, 공인 인증서)가 포함되어 금융서버와 결제를 진행함도 가능하다. Therefore,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performs payment with the financial server including the learner's financial information (eg, bank account, credit card number, authorized certificate) so that the payment item can be selected upon payment. It is also possible.

답안지 생성 모듈(214)은 앱 실행 화면에서 출력된 문항의 답안에 입력된 내용을 답안지로 생성한다. The answer sheet generation module 214 generates the content input in the answer of the question output on the app execution screen as the answer sheet.

학습 패턴 분석 모듈(215)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시간과, 선택 문항의 유형, 문항의 과목, 범위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학습패턴을 추출하여 출제 서버(300)로 송신한다. The learning pattern analysis module 215 extracts a learning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earner's item solving time, a selected item type, a subject of a question, and a range, and transmits the learning pattern to the question server 300.

학습 포트폴리오 생성모듈(216)은 학습 단말(200)에서 수행된 문항들의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행 문항은 출제 단말(100) 또는 타 학습 단말(200)에서 공유 설정된 문항들과, 출제 서버(300)로부터 구매 및 추천된 문항을 포함한다. 포트폴리오는 수행된 문항들을 폴더로 구분한 리스트로서 출력되고, 타 학습 단말(200)로의 보내기, 삭제, 편집 메뉴가 포함된다. The learning portfolio generation module 216 generates a portfolio of questions performed in the learning terminal 200. Here, the performance question includes questions that are shared and set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or another learning terminal 200, and items purchased and recommend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The portfolio is output as a list of the items to be divided into folders, and includes a menu for sending, deleting, and editing to another learning terminal 200.

부정 행위 방지 모듈(217)은 출제 단말(100) 또는 관리 단말(400)의 원격 제어, 화면 캡춰 및 화면 전환 방지, 타 프로그램 자동 종료, 또는 입력키들을 선택적으로 사용제한할 수 있다. The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may selectively control remote control, screen capture and screen changeover, automatic termination of other programs, or input keys of the entry terminal 100 or the management terminal 400.

예를 들면, 부정 행위 방지 모듈(217)은 문항 풀이 시간중에 해당 문항의 유출이나 자료 화면의 출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 캡춰나 화면 전환을 제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may limit screen capture or screen switchin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rresponding item or the output of the data screen during the item pooling time.

또한, 부정 행위 방지 모듈(217)은 출제 단말(100) 또는 관리 단말(400)에서 학습 단말(2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출제자 또는 관리자가 학습자의 문항 풀이 과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executes a remote control algorithm to remotely control the learning terminal 200 from the questioning terminal 100 or the management terminal 400 so that the questionnaire or the administrator can solve the questions of the learner in real time. To be monitored.

또한 부정 행위 방지 모듈(217)은 앱 실행화면의 실행시에 타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하여 불법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인한 불법 공유등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automatically terminates other programs when the app execution screen is executed to prevent illegal sharing due to the use of illegal programs.

또한, 부정 행위 방지 모듈(217)은 앱실행화면의 실행시에 키보드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등의 입력장치에서 해킹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예를 들면, ~, !, @, #, $등의 특수키)들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is an input key (for example, ~,!, @, #, $ For inputting a hacking command from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touch type display when the app execution screen is executed. Special keys).

학습 문항 공유 모듈(114)은 학습 단말(200)에서 유료 또는 무료로서 다운로드한 문항들중에서 공유 범위가 불특정 다수로 설정된 문항들을 타 학습 단말(200)로 송신한다. 즉, 본 발명은 학습자들간에 학습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각 문항들은 학습 단말(200)간의 공유 횟수(송신가능한 횟수)가 설정될 수 있다. The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114 transmits to the other learning terminal 200 items in which the sharing range is set to an unspecified number among items download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as paid or fre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haring of learning information among learners. More preferably, each item may be set the number of times of sharing (transmittable number)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 200.

여기서, 학습 문항 공유 모듈(114)은 타 학습 단말 또는 출제 서버에 학습자료(동영상, 오디오, e-book, 전자문서 파일)를 공유 또는 업로드함도 가능하다. Here, the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114 may share or upload learning materials (video, audio, e-book, electronic document file) to another learning terminal or a question server.

학습 결과 수신 모듈(219)은 문항 또는 시험지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학습 결과 수신모듈(219)에서 수신된 평가 결과는 앱 실행 모듈(211)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화면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학습 결과는 전체 문항 수 대비 정답율과 각 문항별 정답 여부 및/또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 환산된 점수로서 표시될 수 있다. The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219 receive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item or the test paper and store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n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The evaluation result received by the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219 is executed by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For example, it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output learning result may be displayed as a score converted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rate with respect to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and whether each item is correct and / or set criteria.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제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question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출제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20)와, 서버 제어부(310)와,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question server 30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a server control unit 310, and a database 330.

서버 통신부(320)는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 및 문제 은행 서버(5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수신된 정보를 서버 제어부(310) 및 데이터베이스(330)로 출력하고, 서버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신한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20 communicates with the question terminal 100,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outpu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rver control unit 310 and the database 330, and the server control unit. The information an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330 are transmitted under the control of 310.

데이터베이스(330)는 출제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출제자 DB(331)와, 문항이 저장된 문항 DB(332)와, 학습자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자 정보 DB(333)와, 문항별 정답이 저장되는 정답 DB(334)와, 학습자 및 출제자의 분석 정보가 저장되는 분석 DB(335)를 포함한다. The database 330 may include a questionnaire DB 331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a questionnaire, an item DB 332 that stores items, a learner information DB 333 that stores learner information, and a correct answer DB that stores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 334, and an analysis DB 335 in which analysis information of learners and questions is stored.

출제자 DB(331)는 출제자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포함된 개인정보와 직업, 소속기관/단체/그룹명)가 저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출제자가 출제한 문항들의 유통과정을 통하여 다운로드(공유)된 문항의 갯 수와 이에 따른 누적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questionnaire DB 331 stores the questionna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and occupation including ID and password, affiliated organization / group / group name). More preferably, the number of questions downloaded (shared) through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questions asked by the questionnaire and the cumulative amount information accordingly may be included.

문항 DB(332)는 문제 은행 서버(500)와, 출제 단말(100)로부터 등록된 문항이 저장된다. 여기서 문항 DB(332)에 등록된 각각의 문항은 태그에 기록된 검색 키워드가 설정되었다. The question DB 332 stores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the question register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Here, for each item registered in the item DB 332, a search keyword recorded in the tag is set.

학습자 정보 DB(333)는 학습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소속 기관/단체/그룹, 출결 정보, 학부모 연락처, 수강 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learner information DB 33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arner's ID and password, affiliation / group / group, attendance information, parent contact information, and course information.

정답 DB(334)는 각 문항별로 연계 설정된 정답이 저장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선택형, 서술형 또는 단답형과 같이 문자, 숫자, 도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정답을 구성할 경우에 해당 문자, 숫자, 도형이 정답 키워드로 설정된 정답 키워드 테이블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rrect answer DB 334 stores the correct answer set for each question. Here, for example, when a correct answer is includ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etter, a number, and a figure, such as a selection type, a descriptive type, or a short answer type, a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in which the corresponding letter, number, or figure is set as a correct answer keyword may be included.

분석 DB(335)는 학습자의 학습 분석 정보와, 출제자의 출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학습 분석 정보는 학습 단말(200)의 문항/시험/기간/범위/과목별 점수, 지역/기간/과목/범위별 석차와, 문항 유형별 점수와 석차 및 난이도별 정답율(점수)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부족한 과목, 범위, 유형을 포함한다. The analysis DB 335 stores the learner's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s.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s the learner by analyzing the score of the question / test / period / range / subject, region / period / subject / range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score by the question type and the correct rate (score) by the grade and difficulty Include subjects, ranges, and types that are lacking.

출제 정보는 출제 단말(100)의 누적된 출제 문항의 유형, 난이도, 과목, 범위와, 공유 문항 횟수와, 공유 대상인 학습 단말(200)들의 문항 유형별로 정답율과 오답율에 대한 통계치를 포함한다. The question information includes statistics on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wrong answer rate for each type of question, the difficulty, the subject, the range, the number of shared items, and the item types of the learning terminals 200 to be shared.

학습 분석 정보와 출제 정보는 서버 제어부(310)에서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에 문항을 추천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question information are used as data for recommending items to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in the server controller 310.

즉, 서버 제어부(310)는 학습 단말(200)별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과목과 범위의 문항과, 문항 유형을 추출한 학습 분석 정보를 추출하고, 또는 출제자의 성향 및 목적에 맞는 과목, 유형, 범위 및 난이도의 통계값을 산출하여 출제 정보를 산출한다. That is, the server controller 310 extracts the items having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tems of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tem types, or the subjects, types, ranges, and the likes of the subjects' propensity and purpose for each learning terminal 200.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statistical value of difficulty.

그리고, 서버 제어부(310)는 산출된 학습 분석 정보와 출제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문항을 추출하여 해당 학습 단말(200) 및 출제 단말(100)에 추천한다. The server controller 310 extracts the ques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by using the calculated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s the question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 terminal 100.

서버 제어부(31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서버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The server controller 3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controll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버 제어부(310)는 등록 모듈(311)과, 키워드 테이블 생성 모듈(312)과, 학습 평가 모듈(313)과, 문항 관리 모듈(314)과, 문항 추출 모듈(315)과, 분석 모듈(316)과, 관리 모듈(317)과, 문항 유통 관리 모듈(318)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erver controller 310 includes a registration module 311, a keyword table generation module 312, a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an item management module 314, and an item extraction module 315. And an analysis module 316, a management module 317, and an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318.

등록 모듈(311)은 출제 단말(100)과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문항을 문항 DB(332) 및 정답 DB(334)에 저장하고, 게시판에 등록 또는 실시간 공유시킨다. The registration module 311 stores the questions received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in the question DB 332 and the correct answer DB 334, and registers or shares them in real time on the bulletin board.

예를 들면, 등록 모듈(311)은 출제 단말(100) 또는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문항과 정답이 수신되면, 이를 문항 DB(332)와 정답 DB(334)에 각각 저장하고, 게시판에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200)들만이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게시판에 등록하거나 해당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200)들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module 311, when the questions and answers are receiv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or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stores them in the question DB 332 and the correct answer DB 334, respectively, and share the bulletin board Only the set learning terminals 200 are registered in the bulletin board so that they can be downloaded or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corresponding shared set learning terminals 200.

여기서, 등록 모듈(311)은 등록 문항들중 특정한 학습 단말(200)에게만 공유가 설정되었다면, 해당 학습 단말(200)들에 공유 설정된 문항이 등록됨을 알리는 메세지 및/또는 해당 문항을 송신함도 가능하다. Here, if sharing is set only for a specific learning terminal 200 among the registration items, the registration module 311 may transmit a message and / or a correspond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hared setting item i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learning terminals 200. Do.

아울러, 등록 모듈(311)은 등록된 문항 및 정답을 모두 암호화하여 문항 DB(332) 및 정답 DB(334)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module 311 preferably encrypts all registered questions and correct answers and stores them in the question DB 332 and the correct answer DB 334.

문항 관리 모듈(314)은 출제 단말(100) 및/또는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등록된 문항의 유형, 난이도, 출제일, 과목, 범위, 출제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문항 정보를 추출하여 문항 DB(332)에 등록한다. The item management module 314 extracts ite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difficulty, question date, subject, range, and question type of the registered item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 or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It registers in the DB 332.

키워드 테이블 생성 모듈(312)은 정답 DB(334)에 저장된 각 정답별로 연계 설정된 정답 키워드를 추출하여 정답 키워드 테이블을 생성한다. 정답 키워드 테이블은 문항별 정답을 구성하는 숫자, 문자, 도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keyword table generation module 312 generates a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by extracting a correct answer keyword associated with each correct answer stored in the correct answer DB 334.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umbers, letters, and figures constituting the 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학습 평가 모듈(313)은 학습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답안지를 채점하여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에 결과(점수)를 송신한다. 여기서, 학습 평가 모듈(313)은 답안지에 기재된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변환하고, 정답 키워드 테이블을 XML 데이터로 변환시켜 양자를 비교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scores the answer sheet receiv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result (score) to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Here,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may convert the data described in the answer sheet into XML data, convert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into XML data, and compare the two to calculate a score.

즉, 학습 평가 모듈(313)은 서술형 답안지에서 입력된 단어, 숫자, 도형들중에서 정답 키워드 테이블에 기록된 단어, 숫자, 도형들과의 일치 횟수, 순서 또는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That is,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differentially assigns sco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order or the ratio of words, numbers, and shapes recorded in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among words, numbers, and figures inputted from the narrative answer sheet. Can be.

예를 들면, 정답 키워드 테이블에 총 4개의 단어가 구성되었을 경우에, 답안지에 위 4개의 단어가 모두 포함되었을 때에는 100점, 3개가 포함될 경우에 75점, 1개가 포함되었을 경우는 25점으로 채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 단말(200)의 점수는 분석 DB(335)에 기간별 지역별, 일별, 문항별로 분류되어 누적 저장된다.For example, if a total of four words are included in the correct keyword table, the score sheet will be scored 100 if all four words are included, 75 if three, and 25 if one is included. can do. The scores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are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analysis DB 335 by region, day, and item for each period.

또는 본 발명은 답안지의 정답 키워드의 순서를 설정하여 채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술형의 경우 'A는 B를 포함하고, C는 D를 포함할 수 있다'로서 정답이 설정되었고, 답안지에 'A, C, B, D'의 순서로 기재되었을 경우에는 순서가 일치되지 않기에 O점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답안지에 'A, B, D, E'가 기재될 경우에 50점으로 채점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by scoring the order of the correct answer keywords on the answer she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escriptive form, the correct answer is set as 'A may include B and C may include D', and when the answer sheet is written in the order of 'A, C, B, D', the order is Because it does not match, it can handle O point. Or, if 'A, B, D, E' is written on the answer sheet, the student may score 50 points.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정답 키워드 테이블과, 답안지의 XML 데이터 중에서 단어의 일치율과 순서를 조합하여 자동 채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scored by combining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and the matching rate and order of words in the XML data of the answer sheet.

분석 모듈(316)은 학습 평가 모듈(313)의 평가 결과를 누적하고, 지역/기간/과목/과목의 범위/학교/학원별로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와, 해당 학습자의 소속 지역/과목/기간/학교/학원/그룹내의 석차와, 문항의 유형별 정답율과 오답율중 적어도 하나의 통계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335)에 저장한다. The analysis module 316 accumulat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the average score of learners by region / period / subject / course range / school / academy, and the region / subject / period / school of the corresponding learner.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anking of the school / group, and at least one statistical value of the correct answer rate and wrong answer rate for each type of item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analysis DB (335).

또한, 분석 모듈(316)은 학습 단말(200)의 누적된 통계값을 통하여 학업 성취도가 낮은 과목, 범위, 문항의 유형을 포함하는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335)에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316 calculates and stores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ject, the range, and the type of the item having low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accumulated statistical value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stores it in the analysis DB 335.

학습 분석 정보는 위와 같은 학습자의 학습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기간/지역/학교별 평균 점수 이하의 과목이나, 오답율이 높은 문형의 유형, 평균점수가 동점대의 타 학습 단말(200)에 비하여 부족한 과목과, 문형의 유형, 과목의 범위가 포함된다.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s a subject below the average score for each period, region, or school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as above, but a type of sentence type with a high wrong answer rate, and a subject having an average score tha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learning terminals 200 in a tie. And type of sentence, subject range.

또한, 분석 모듈(316)은 출제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335)에 저장한다. 출제 정보는 출제 단말(100)(출제자)별 기간별, 과목별, 과목의 범위별 출제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의 비율과, 공유설정되는 학습 단말(200)들의 평균 점수와 정답율의 누적된 통계값으로 출제자의 출제 성향을 산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316 calculates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analysis DB 335. The question information is a cumulative statistical value of the type and difficulty of the questions by period, subject, and range of subjects by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exhibitors), and the average score and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ing terminals 200 to be shared. The questionnaire disposition is calculated.

문항 추출 모듈(315)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문제 은행 서버(500) 또는 불특정 다수로 공유 설정된 출제 단말(100)에서 등록된 문항들중에서 학습 단말(200)의 학습 분석 정보와, 출제 단말(100)의 출제 정보에 해당되는 문항을 추출하여 학습 단말(200) 및 출제 단말(100)로 송신한다. The question extracting module 315 may include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among the questions registered in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stored in the database 330 or the question terminal 100 that is set to be unspecified, and the question terminal (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of 100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 terminal 100.

예를 들면, 학습 단말(200)은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평균 점수가 낮은 과목 및/또는 범위내에서 오답율이 높은 유형의 문형이 추천되고, 출제 단말(100)은 지금까지 출제 빈도가 높은 과목이나 범위에서 평균 난이도 또는 보다 높거나 낮은 난이도를 갖고, 학습 단말(200)들에게 오답율이 높은 유형의 문항 또는 정답율이 높은 유형의 문항으로 추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rning terminal 200 is a type of sentence type with a high incorrect rate within the subject and / or range of low average score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question terminal 100 has a high frequency of questions so far The average difficulty or higher or lower difficulty in the subject or range, and may be recommended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as a type of question with a high incorrect rate or a type with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또한, 문항 추출 모듈(315)은 상술한 문제위주의 콘텐츠뿐만 아니라 출제단말 또는 문제은행서버, 또는 타 학습 단말에서 제공된 학습정보(예를 들면, 동영상 강의, e-book, 문서 파일, 이미지, 오디오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tem extraction module 315 may not only provide the problem-oriented content described above, but also learning information (eg, a video lecture, an e-book, a document file, an image, audio, etc.) provided by an entry terminal or a question bank server or another learning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data).

여기서, 문항 추출 모듈(315)은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마이크로 러닝 개념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주제에 해당되는 하나의 문제, 또는 1분 이하의 동영상 및/또는 오디오, 15분 이내에 정독 가능한 e-book 또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item extracting module 315 can read a single probl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bject, or video and / or audio of 1 minute or less, within 15 minutes to provide a curation service of a micro learning concept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Can provide e-book or material

관리 모듈(317)은 관리 단말(400)에서 수신된 출제자 및 학습자 정보를 출제자 DB(331)와 학습자 정보 DB(333)에 각각 저장한다. 여기서 관리 모듈(317)은 관리 단말(400)에 의해 요청된 알림 메세지를 각 학습자들의 학부모에게 송신하거나, 해당 학습자들의 학습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module 317 stores the questionnaire and learn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400 in the questionnaire DB 331 and the learner information DB 333, respectively. Here, the management module 317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requested by the management terminal 400 to the parents of each learner or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of the learners.

또한, 관리 모듈(317)은 학습자의 출결 및 수강현황을 관리 단말(400)로부터 수집하여 동일 그룹내에 속한 학습 단말들에 관리 정보를 공유 하거나, 출제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학부모들의 단말로 메세지를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module 317 collects the attendance and attendance status of learners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400 to share management information with learning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or transmit a message to parents' terminals at the request of the questions terminal. do.

또한, 관리 모듈(317)은 학습 단말(200) 및 출제 단말(100)들간의 커뮤니티가 가능한 정보 공유 게시판을 관리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module 317 manages an information sharing bulletin board that enables a community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s terminal 100.

문항 유통 관리 모듈(318)은 등록된 문항들의 다운로드 횟수(공유 횟수)와, 학습 단말(200)들과, 출제 단말(100) 들간의 문항 거래를 승인 및/또는 출제 단말(100)과 학습 단말(200)의 유료 문항의 구매시에 비용 결제를 진행한다. The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318 approves and / or approves the item transaction between the registered items (number of times of sharing), the learning terminals 200, and the questions terminal 100, and / or the questions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At the time of purchase of the paid item of 200, payment proceeds.

즉, 문항 유통 관리 모듈(318)은 각 문항별로 설정된 공유 범위에 따라서 학습 단말(200)들과 출제 단말(100)들간의 문항 공유(거래)를 승인 또는 불승인하고, 유료 문항의 경우에 비용 결제를 진행한다. 이는 출제자들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기 위함이다. That is, the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318 approves or disapproves the item sharing (transaction)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s 200 and the questions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haring range set for each item, and pays the fee in the case of a paid item. Proceed. This is to protect the copyrights of the participants and to pay a fair pr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출제 단말(100)에서 출제 서버(300)에 문항의 등록 및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S100 단계와, 학습 단말(200)에서 출제 서버(300)에서 게시 또는 공유된 문항을 수신하여 학습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S200 단계와, 출제 서버(300)에서 출제 단말(100) 및 학습 단말(200)에 문항을 추천하는 S30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S100 of receiving a result of registering and performing an item in the question server 300 in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posted or shared in the question server 300 in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step S200 of receiving and learning an item and receiving the result, and the step S300 of recommending an item to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in the question server 300.

이중, S100 단계는 도 7과 도 10 내지 도 14, S200 단계는 도 8과 도 15 내지 도 18, S300 단계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Of these, steps S1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10 through 14, and step S2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15 through 18, and step S300.

도 7은 S1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출제 단말(100)의 메인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포트폴리오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문항 출제 화면, 도 13은 문항 내역 화면, 도 14는 출제 단말(100)의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 S100,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main screen of the entry terminal 100, FIG. 11 is a view showing a portfolio screen, FIG. 12 is a question entry scree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screen of the entry terminal 100.

도면들을 참조하면, S100 단계는 로그인하는 S110 단계와, 문항 제작 모듈(111)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문항을 작성하는 S120 단계와, 문항의 태그 기록 및 공유를 설정하는 S130 단계와, 출제 서버(300)에 등록하는 S140 단계와, 공유된 학습 단말(200)들의 결과 및 현황을 수신하는 S150 단계와, 출제 서버(300)로부터 문항을 추천받는 S16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step S100 is a step S110 of logging in, step S120 of creating an item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step S130 of setting tag recording and sharing of an item, and a question server ( Step S140 to register in step 300, the step S150 of receiving the result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hared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step S160 is recommended for the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S110 단계는 출제자가 자신의 출제 단말(100)의 메인 화면에 출력된 입력창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단계이다.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entry user logs in by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into an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entry device 100.

S120 단계는 출제자가 메인화면에 출력된 문항 출제 메뉴(a)를 선택하여 출제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문항의 유형과 보기 및 지문과, 그림과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문항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In step S120, the questionnaire selects a question item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 and selectively utilizes a plurality of question types and views and fingerprints provid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pictures, audio, and video data. Step to write.

여기서, 출제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항의 유형(예를 들면,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 또는 객관식, 주관식)을 선택 메뉴와, 문항 타이틀의 입력창과, 문항 질문의 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He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question control unit 110 selects an item type (for example, an optional type, a short answer type, a narrative type, or a multiple choice type, a short answer type) and a menu for inputting an item title. , To display a screen including an input window for the question.

따라서, 문항 제작 모듈(111)은 각각의 선택 메뉴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장과 영상과 오디오 및 그림중 적어도 하나를 문항에 포함시키고, 해당 문항의 정답을 생성한다. Accordingly,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ntence, an image, audio, and a picture input through each selection menu and an input window in the item, and generates a correct answer for the corresponding item.

즉, 출제자는 각각의 입력창과 메뉴를 선택하여 문항의 질문 및/또는 보기를 입력하고, 완료 명령을 입력하면, 문항 제작 모듈(111)은 각각의 입력창에 입력된 내용들로 하나의 문항과 해당 문항의 정답을 생성한다. That is, the questionnaire selects each input window and menu, inputs a question and / or view of an item, and inputs a completion command, and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displays one item and the contents input in each input window. Generate the correct answer for the question.

또한, 출제자는 해당 문항의 정답에 포함되는 정답 키워드를 입력하고, 문항 제작 모듈(111)은 해당 문항의 정답과 정답 키워드를 연계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inputs a correct answer keyword included in the correct answer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nd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links and sets the correct answer and the correct answer keyword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S130 단계는 문항의 태그와 공유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태그 기록 모듈(117)은 문항 제작 모듈(111)에서 문항 작성 완료신호가 출력되면, 작성된 문항에 출제자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개인정보 또는 아이디)와,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태그를 해당 문항에 기록한다. 이때 검색 키워드는 문항의 타이틀로서 자동 설정되거나 출제자가 출제 단말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별도 키워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130, a tag and sharing of the item are set. When the item creation comple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the tag recording module 117 outputs a tag including the questionna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or ID) and a search keyword in the corresponding item. To record. In this case, the search keyword may be automatically set as a title of an item or set as a separate keyword inputted by the questionnaire terminal input unit 140.

문항 공유 모듈(114)은 입력되는 공유 설정 명령에 따라 해당 문항의 공유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출제자는 자신의 출제 단말 입력부(140)를 통하여 공유 범위를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아이디 또는 그룹의 학습 단말(200)들로서 설정할 수 있다. The item sharing module 114 sets a sharing range of the corresponding item according to the input sharing setting command.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may set the sharing range as the learning terminals 200 of an unspecified number or a specific ID or group through his or her questionnaire terminal input unit 140.

이때, 문항 공유 모듈(114)은 문항 출제 화면에서 공유 범위와 공유 개시, 공유 마감 시간의 선택 명령에 따라서 불특정 다수, 특정 아이디/소속학교/그룹/단체의 학습 단말(200)들에 해당 문항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거나, 게시판에서 해당 학습 단말(200)들에게만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item sharing module 114 to the corresponding questions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of the unspecified number, specific ID / elementary school / group / group according to the command to select the sharing range and the sharing start, the sharing deadline on the item entry screen It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or can be downloaded only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terminals 200 from the bulletin board.

S140 단계는 출제 단말(100)에서 작성된 문항을 출제 서버(300)로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출제 단말(100)의 문항 공유 모듈(114)은 출제 단말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등록 명령에 따라서 출제 서버(300)로 해당 문항의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문항 등록 모듈(112)은 공유 정보와 태그 정보와, 정답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Step S140 is a step of registering the question made by the question terminal 100 to the question server 300. The item sharing module 114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requests the question server 300 to register the item in response to a regist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question terminal input unit 140. In this case, the item registration module 112 transmits the shared informatio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correct answer keyword information.

S150 단계는 출제 서버(300)로부터 서버에 등록된 문항(출제 문항)을 공유 받은 학습 단말(200)들의 수행 결과 및 현황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출제 단말(100)은 문항 내역 메뉴(g)가 선택되면, 도 13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제 서버(300)에서 수신된 문항별 수행 결과 및/또는 수행 현황을 출력 또는 출제 서버(300)에 요청한다. Step S150 is a step of receiving the result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received the questions (question items) registered on the server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For example, when the item history menu (g) is selected, the question terminal 100 outputs the execution result and / or the execution status for each item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Ask the question server 300.

즉, 출제 단말(100)의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등록된 각각의 문항들중에서 마감된 문항과, 현재 수행(공유)중인 문항의 수행 현황을 수신 및 출력한다. 수행 현황은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200)들중에서 문항 풀이가 완료된 학습 단말(200)들의 숫자나 비율로서 표시된다. That is,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of the questions terminal 100 receives and outputs the closed items among the items registered from the questions server 300 and the performance status of the items currently being executed (shared). The performance status is displayed as the number or ratio of the learning terminals 200 that have completed question solving among the shared learning terminals 200.

여기서, 결과 수신 모듈(115)은 수행중인 문항 또는 수행 완료된 문항들에서 문제풀이가 완료된 학습 단말(200)의 점수(또는 정답과 오답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결과 수신 모듈(115)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항 풀이가 완료된 학습 단말(200)들중에서 정답을 입력한 정답자와, 오답을 입력한 오답자로서 학습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또는 다수의 문항들로 이루어진 시험지 또는 단답형 및/또는 서술형 문항의 경우에는 답안지에 입력된 단어나 숫자, 도형의 비율에 따라 채점된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Here,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may check and output the score (or correct answer and incorrect answer)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in which the problem solving is completed in the question that is being performed or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completed. 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result receiving module 115 outputs a learning evaluation result as a correct answerer who inputs a correct answer and a wrong answerer who inputs an incorrect answer among the learning terminals 200 for which the corresponding question is completed. .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questions or a short answer and / or narrative question, scores scored according to the ratio of words, numbers, and shapes entered in the answer sheet may be displayed.

S160 단계는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 문항을 수신 및 출력하는 단계이다. 출제 서버(300)는 출제 단말(100)의 출제 성향(과목, 난이도, 문항의 유형, 범위)과, 공유 학습 단말(200)의 정답율(점수)을 분석하여 타 출제 단말(100) 및/또는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등록된 문항을 추천한다. Step S160 is a step of receiving and outputting a recommendation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The question server 300 analyzes the question propensity (subject, difficulty, item type, range)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correct answer rate (score) of the shared learning terminal 200 to identify other question terminal 100 and / or The question registered from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is recommended.

따라서, 출제 단말(100)의 출제 서비스 수신 모듈(116)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추천 문항의 정보를 메인 화면에 출력 또는 알림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출제자는 추천 문항을 이용하여 학습 단말(200)들에 문항을 출제함도 가능하고, 문항 제작 모듈(111)의 편집툴을 구동시켜 추천된 문항을 편집하여 신규 문항으로 변경하여 출제함도 가능하다. Therefore, the question service receiving module 116 of the question terminal 100 may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item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on the main screen or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may also answer questions to the learning terminals 200 using the recommended questions, and edit the recommended questions by driving the editing tool of the item production module 111 to change the questions to new questions. It is possible.

여기서, 추천 문항은 무료 또는 유료 구매로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유료 문항일 경우에는 출제 서비스 모듈에서 출제 서버(300)로 해당 문항의 구매를 요청하고, 비용 결재를 진행하여 해당 문항을 구매한다. Here,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set as free or paid purchase. If the question is paid, the question service module requests the question to the question server 300 to purchase the question and proceeds to pay the fee to purchase the question.

도 8은 본 발명의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학습 단말의 메인 화면, 도 16은 문항 풀기 화면, 도 17은 문항 내역 화면, 도 18은 결과 확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main screen of a learning terminal, FIG. 16 is an item solving screen, FIG. 17 is an item detail screen, and FIG. 18 is a result confirmation screen.

위 도면들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학습 단말(200)이 로그인하는 S210 단계와, 문항을 수신 및 출력하는 S220 단계와, 문항의 답안지 생성 및 학습 패턴을 분석하는 S230 단계와, 답안지를 출제 서버(300)에 제출하고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S240 단계와,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 문항을 수신받는 S25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above drawings, step S200 is a step S210 to log in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S220 to receive and output an item, S230 to analyze an answer sheet generation and a learning pattern of an item, and a questionnaire server ( S240 step of submitting to 300 and receiving the evaluation result, and S250 step of receiving a recommendation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S210 단계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단말(200)에서 앱을 실행시킨 뒤에 메인 화면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단계이다. 학습 제어부(210)는 학습 단말 입력부(240)를 통하여 실행 명령이 출력되면, 앱 실행 모듈(211)을 구동시켜 메인 화면을 출력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 Step S210 is a step in which the learner executes an app in his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n logs in by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on the main screen. When the execution command is output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40, the learning controller 210 drives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to output a main screen. Therefore, the learner logs in by entering his ID and password.

S220 단계는 학습 단말(200)에서 문항을 수신 및 출력하는 단계이다. 학습 단말(200)의 앱 실행 모듈(211)은 학습 단말 디스플레이(230)에,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메인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학습 단말(200)의 메인 화면은 문항 풀기 메뉴(i)와, 학습 현황 메뉴(j)와, 포트폴리오 메뉴(k)와, 실시간으로 수신된 문항을 출력하는 실시간 문항 메뉴(l)와, 출제 서버(300)에서 추천된 추천 문항을 출력하는 맞춤 문항 메뉴(m)가 포함된다. Step S220 is a step of receiving and outputting questions in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outputs the main screen illustrated in FIG. 15 to the learning terminal display 230. Here, the main screen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is a question solving menu (i), a learning status menu (j), a portfolio menu (k), a real-time item menu (l) for outputting the received item in real time, A customized item menu (m) for outputting the recommended item recommend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is included.

따라서, 앱 실행 모듈(211)은 출제자가 문항 풀기 메뉴(i)를 선택하면,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문항 풀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공유 문항 수신 모듈(212)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문항을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앱 실행 모듈(211)은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된 문항을 앱화면에 출력한다. Therefore, when the questionnaire selects the question solving menu i,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switches to the question solving screen shown in FIG. 16,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2 stores the item receiv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in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the app stored in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Print to the screen.

S230 단계는 학습 단말(200)에서 답안지를 생성하고, 학습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답안지 생성 모듈(214)은 학습 단말(200)에 출력된 앱 화면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을 해당 문항과 연계된 답안지를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230, the answer sheet is generated in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learning pattern is analyzed. The answer sheet generating module 214 may set an answer sheet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question, when the answer is input within a set time through the app screen output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여기서, 각각의 문항은 마감시간이 설정되고, 마감시간이 경과되면 문항에 대한 답안지가 생성되지 않도록 설정함도 가능하다. Here, each question is set a deadline, it is also possible to set so that the answer sheet for the question is not generated when the deadline elapses.

또한, 학습 패턴 분석 모듈(215)은 문항 출력부터 답안 입력까지 걸리는 시간과, 전체 시험지의 답안 입력에 걸리는 시간, 선택된 문항의 유형과 범위, 과목, 난이도가 포함된 학습 패턴을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learning pattern analysis module 215 calculates a learning pattern including a time taken from outputting an item to inputting an answer, a time required for inputting an answer of the entire test paper, a type and range of a selected question, a subject, and a difficulty level.

여기서, 학습 단말(200)은 문항 풀기 메뉴(i)가 선택되어 화면에 문항이 출력된 이후부터 부정행위 방지 모듈(217)이 구동되어 타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 특수키의 선택 제한, 화면 캡춰 및/또는 화면전환을 방지 또는 제한한다. Here, the learning terminal 200 is a cheating prevention module 217 is driven after the item solving menu (i) is selected and the item is output on the screen to force other programs to terminate, limit the selection of special keys, screen capture and / Or prevent or limit the screen transition.

즉, 본 발명은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고, 각 문항별로 공유 범위와 공유시간 및/또는 마감시간을 설정함에 따라 한정된 시간 내에 강의실 또는 그 외 공간에서 쪽지 시험 또는 정기 시험을 온라인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heating, and by setting a sharing range, sharing time and / or deadline for each item, a message test or a regular test can be conducted online in a classroom or other space within a limited time. have.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복 수개의 문항들이 포함된 시험지(평가지) 형태로서 공유 문항이 수신되면, 화면에서 동시 출력되는 화면의 갯 수와 각 문항별 화면 출력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when a shared item is received in the form of a test paper (evaluation sheet) including a plurality of items, the number of screen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output time for each item may be limited.

이때 학습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216)은 수신된 문항들을 추가하여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포트폴리오는 공유 설정된 타 학습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보내기와 삭제, 편집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arning portfolio generation module 216 generates the portfolio by adding the received questions. The portfolio may include a send, delete, and edit menu for transmission to other learning terminals 200 that are shared.

또한, 본 발명은 학습 단말(200)들간에 공유 가능하다. 즉, 학습 단말(200)은 출제 단말(100)로부터 공유 설정된 문항외에 출제 서버(300)의 게시판에 등록되어 불특정 다수로 공유 설정된 문항을 다운로드 한 후, 타 학습 단말(200)에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hared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s (200). That is,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be registered in the bulletin board of the question server 300 in addition to the item set to be shared by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n may be shared to other learning terminal 200 after downloading the item set to be shared by an unspecified number. .

이때, 학습자는 포트폴리오 메뉴(k)를 선택한 후 출력되는 포트폴리오의 문항들중에서 선택하고, 공유 대상인 학습 단말(200)의 아이디를 입력하여 송신 명령을 입력한다. At this time, the learner selects a portfolio menu (k) and then selects among the items of the outputted portfolio, inputs a transmission command by inputting the ID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to be shared.

따라서, 학습 문항 공유 모듈(114)은 학습 단말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의해 공유 설정된 타 학습 단말(200)(학습자의 아이디)로 해당 문항을 송신한다. 이때, 학습 단말은 해당 문항의 공유정보를 출제 서버(300)에 송신한다. Therefore, the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114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tem to the other learning terminal 200 (the learner's ID) set to be shared by the command input from the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40. In this case, the learning terminal transmits the shar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to the question server 300.

출제 서버(300)의 문항 유통 관리 모듈(318)은, 예를 들면, 해당 문항의 공유 횟수나 공유 범위를 확인하여 이를 승인 또는 불승인할 수 있고, 해당 문항의 공유 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문항 DB에 저장하고, 출제 단말에 공유 사실을 송신한다. The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318 of the question server 300 may, for example, check the number of sharing of the item or the sharing range of the item and approve or disapprove it, and update the item sharing information and store it in the item DB. Then, the fact of sharing is transmitted to the question terminal.

S240 단계는 학습 단말(200)에서 답안지를 출제 서버(300)로 제출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앱 실행 모듈(211)은 문항 또는 시험지에 설정된 마감시간이 완료되거나, 또는 학습 단말 입력부(240)로부터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답안지 생성 모듈(214)에서 생성된 답안지를 출제 서버(300)로 송신한다. Step S240 is a step of submitting the answer sheet to the question server 300 in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receives the result.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transmits the answer sheet generated by the answer sheet generation module 214 to the question server 300 when the deadline set in the question or the test sheet is completed or the comple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40. do.

이후, 학습 결과 수신 모듈(115)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답안지의 채점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단말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저장된 학습 평가 결과는 앱 실행 모듈(211)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하여 출력된다, 학습 평가 결과는 전체 문항 수 대비 정답율로서 표현될 수 있고, 또는 설정된 기준에 따른 점수(또는 정답율)로서 산출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115 receives the scoring result of the answer sheet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nd stores it in the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250. The stored learning evaluation result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as shown in FIG. 15 by the app execution module 211.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may be expressed as a correct answer rate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or a score (or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a set criterion. Can be calculated as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학습 평가 결과는 동시에 같은 문항에 대한 답안지를 제출한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 또는 석차, 동점대를 이룬 학습 단말(200)의 비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may further include a ratio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having an average score or a ranking, a ranking, and a tie of learners who submitted answer sheets for the same question at the same time.

또한, 학습 단말(200)은 해당 문항의 유형과, 범위, 난이도 및 문항별 풀이 시간을 포함하는 학습 패턴을 산출하여 출제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학습 패턴 및 학습 평가 결과는 해당 학습자의 학습 성향 및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된다. In addition,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calculate a learning pattern including a type of a corresponding item, a range, a difficulty level, and a time for solving each item, and transmit the learning pattern to the question server 300. The learning pattern and learning evaluation results are used as basic data for the learner's learning propensity and analysis.

S250 단계는 학습 단말(200)에서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 문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추천 문항은 출제 서버(300)에서 학습자의 학습 패턴 및 학습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가 낮은(또는 평균 점수가 낮은) 과목이나 범위에 해당되는 문항과, 오답율이 높은 과목과 범위와 유형의 문항, 문제 풀이 시간이 더 긴 유형의 문항중 적어도 하나로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된다. In step S250, the learning terminal 200 receives a recommendation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The recommendation item analyzes the learner's learning pattern and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in the question server 300 to determine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s or range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or the low average score), and the subjects and ranges and types with the high incorrect rate. Questions, problem solving At least one of the longer types of questions consists of items that can increas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따라서,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은 출제 서버(300)로부터 추천 문항이 수신되면, 메인화면을 통하여 추천 문항의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고,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출제 서버(300)로부터 해당 문항을 다운로드 한다. 여기서 추천 문항은 유료 또는 무료로 설정될 수 있다.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213)은 유료 문항의 경우에 해당 문항 구매를 출제 서버(300)에 요청하고 비용 결재를 진행한다. Accordingly, when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receives the recommendation item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of the recommendation item through the main screen, and downloads the question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when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do. Here,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set as paid or free. The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3 requests the question server 300 to purchase the corresponding item in the case of a paid item and proceeds with the payment.

이와 같이 비용 결재된 유료 문항의 경우에는 타 학습 단말(200)과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공유 가능한 횟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paid item paid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ring with other learning terminals 200 is enabled. Alternatively, the number of times that can be shared is preferably set.

도 9는 본 발명의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 S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출제 단말(100) 및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문항을 수집하는 S310 단계와, 수집된 문항을 게시판에 등록 및 공유 학습 단말(200)에 제공하는 S320 단계와, 답안지를 수신하여 자동채점 및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S330 단계와, 학습 단말(200)로부터 학습 패턴을 수집하고 학습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는 S340 단계와, 학습 분석 정보에 따라 학업 성취도의 향상이 필요한 해당 과목과 범위 및/또는 유형의 문항을 추출하는 S350 단계와, 추출된 문항을 학습 단말(200)에 추천하는 S36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step S300 is a step S310 of collecting items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nd step S320 of registering the collected items on a bulletin board and providing the shared learning terminal 200. In step S330 to receive the answer sheet to generate automatic scoring and evaluation information, and S340 to collect the learning pattern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analyze the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S350 step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ubject and range and / or type of items that ne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and S360 step of recommending the extracted item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S31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출제 단말(100) 및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문항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출제 서버(300)는 출제 단말(100)과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문항과 정답, 태그정보와 키워드 정보 및 공유 정보를 수신한다. The step S310 is a step of collecting questions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in the question server 300. Here, the question server 300 receives questions, answers, tag information, keyword inform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즉, 등록 모듈(311)은 출제 단말(100)들과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수집된 문항을 문항 DB(332)로 저장한다. 이때 각 문항들은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학습 단말(200)로 공유가 설정된다. 이때 학습 단말(200)의 공유는 학습자들이 속한 단체나, 그룹으로 지정됨도 가능하다. That is, the registration module 311 stores the questions collected from the question terminals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as the question DB 332. At this time, each item is set to be shared by the unspecified number or the specific learning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sharing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be designated as a group or a group to which the learners belong.

불특정 다수로 공유 설정된 문항은 출제 단말(100) 또는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유료로서 문항의 구매 비용이 설정될 수 있다. For a non-specified number of items set to be shared, the purchase cost of the item may be set as a fee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or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키워드 테이블 생성 모듈(312)은 출제 단말(100)과 문제 은행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각 문항별 정답 키워드를 확인하여 정답 키워드 테이블을 생성하여 정답 DB(334)로 저장한다. The keyword table generation module 312 checks the correct answer keywords for each question receiv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500, generates a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and stores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as the correct answer DB 334.

S32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수집된 문항을 게시판에 등록 및/또는 공유설정된 학습 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등록 모듈(311)은 수집된 문항을 게시판에 등록하고,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200)들에 알림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320, the questions collected by the question server 300 are transmitted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registered and / or shared on the bulletin board. Here, the registration module 311 may register the collected items in the bulletin board and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hared learning terminals 200.

바람직하게로는 공유된 문항은 공유 개시 시간과 마감시간이 모두 설정되고, 등록 모듈(311)은 해당 공유 개시시간에 따라 게시판에 게시되거나,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200)에 직접 송신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ared item has both a sharing start time and a deadline set, and the registration module 311 may be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o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hared learn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haring start time.

S33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각 학습 단말(200)들의 답안지를 수신하여 자동 채점하는 단게이다. 학습 평가 모듈(313)은 각 학습 단말(200)로부터 마감 시간 이전에 수신된 답안지에 입력된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정답 DB(334)에 저장된 정답 키워드 테이블을 XML 데이터로 변환시켜 양자를 비교한다.Step S330 is a step of receiving the answer sheet of each learning terminal 200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and automatically scoring.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converts the data inputted on the answer sheet received before the deadline from each learning terminal 200 into XML data, and converts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stored in the correct answer DB 334 into XML data to convert both. Compare.

그리고 학습 평가 모듈(313)은 양자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정답과 오답으로 판정하거나, 일치 비율에 따라서 설정된 점수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학습 단말(200) 및/또는 출제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3 determines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both match, or determines the set score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io, and the result in real time to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 or the question terminal 100 Send.

아울러, 분석 모듈(316)은 각 학습 단말(200)별 학습 평가 결과를 누적시켜 학습 평가 정보를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316 calculates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by accumulating learning evaluation results for each learning terminal 200.

S34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학습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학습 패턴과 학습 평가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분석 모듈(316)은 학습 패턴과 학습 평가 정보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가 낮은 과목, 범위 및 문항의 유형이 포함된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335)에 저장한다. 또는 분석 모듈(316)은 학업 성취도가 높은 과목 및 범위와, 정답율이 높은 문항의 유형이 포함된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함도 가능하다. Step S34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pattern and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200 in the question server 300. The analysis module 316 calculates and stores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ject, the range, and the type of the item having low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learning pattern and the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n the analysis DB 335. Alternatively, the analysis module 316 may calculat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a high academic achievement subject and a range, and a type of a high correct answer item.

또한, 분석 모듈(316)은 출제 단말(100)들의 출제 성향을 분석하여 출제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335)에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316 analyzes the questionnaire tendency of the questions terminal 100, calculates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analysis DB (335).

S35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학습 단말(200)의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문항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문항 추출 모듈(315)은 문항 DB(332)에 저장된 문항중에서 학습 분석 정보에 해당되는 문항들을 추출한다. Step S350 is a step of extracting a question that can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earning terminal 200 in the question server 300. The item extraction module 315 extracts items corresponding to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from items stored in the item DB 332.

또한, 문항 추출 모듈(315)은 문항 DB(332)에 저장된 문항들중에서 출제 정보에 일치되는 문항들을 추출한다. In addition, the item extraction module 315 extracts items that match the item information from the items stored in the item DB 332.

S360 단계는 출제 서버(300)에서 출제 단말(100) 및 학습 단말(200)에 추출된 문항을 추천하는 단계이다. 문항 추출 모듈(315)은 추출된 문항을 해당 학습 단말(200)과 출제 단말(100)에 각각 송신한다. 이때, 출제 단말(100) 및 학습 단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에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여 추천 문항의 수신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출제자 또는 학습자는 자신의 단말에 수신된 문항을 확인한 뒤에 수신(또는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tep S360 is a step of recommending the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question server 300 to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The item extraction module 315 transmits the extracted items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naire terminal 10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question terminal 100 and the learning terminal 200 may display a notification message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o indicate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recommended item. Therefore, the questionnaire or learner may determine the reception (or purchase) after checking the item received in his terminal.

여기서, 출제 서버는 학습자별로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되, 큐레이션 서비스는 분석된 학습 성향에 따라 개별 학습자들에게 매일 특정 주제에 관련된 1개의 문제를 출제하는 마이크로 러닝 콘텐츠로서 제공된다. Here, the question server provides a curation service that provides customized learning content for each learner, but the curation service provides each learner as a micro-learning content that asks each learner one question related to a specific topic according to the analyzed learning disposition. do.

여기서, 큐레이션 서비스는 문제뿐만 아니라 강의자료나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제공함도 가능하다. 또한, 큐레이션 서비스는 특정 주제에 관한 작은 단위의 콘텐츠로서, 예를 들면, 특정과목에서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1개의 문제, 1분 이하의 동영상, 오디오, 15분 이하에서 정독 가능하는 전자문서, e-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curation service can provide not only problems but also lecture materials and information. In addition, curation service is a small unit of content on a specific subject, for example, one problem related to a subject in a specific subject, a video of 1 minute or less, audio, an electronic document that can be read in 15 minutes or less, e-book may be inclu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이루어진 평가를 기초로 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마이크로 러닝 개념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제자에게는 다양한 방식의 툴을 제공함에 따라 문항의 출제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an automatic evaluation, and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of a micro learning concept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nswer questions by providing a variety of tools to the questions.

또한, 본 발명은 학습 단말(200)간, 출제 단말(100)간의 문항 거래가 가능하고, 거래된 문항들의 공유를 한정함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tem trading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 200 and the questionable terminal 100, an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pyright by limiting the sharing of the traded items.

또한, 본 발명은 학원 또는 학교에서 관리 단말(400)로부터 학생들의 수강 정보와 출결관리등을 출제 서버(300)에서 관리하고, 이를 공지할 수 있어 학원 및 학교등에서 학생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attendance information and attendance management, etc. of students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400 in the academy or school in the question server 300, it can be known that can be applied as a means for student management in academy and school, etc. It i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출제 단말 110 : 출제 제어부
111 : 문항 제작 모듈 112 : 문항 등록 모듈
113 : 출제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 114 : 문항 공유 모듈
115 : 결과 수신 모듈 116 : 출제 서비스 수신 모듈
117 : 태그 기록 모듈 120 : 출제 단말 통신부
130 : 출제 단말 디스플레이 140 : 출제 단말 입력부
150 : 출제 단말 저장부 200 : 학습 단말
210 : 학습 제어부 211 : 앱 실행 모듈
212 : 공유 문항 수신 모듈 213 : 학습 서비스 수신 모듈
214 : 답안지 생성 모듈 215 : 학습 패턴 분석 모듈
216 : 학습 포트폴리오 생성 모듈 217 : 부정 행위 방지 모듈
218 : 학습 문항 공유 모듈 219 : 학습 결과 수신 모듈
220 : 학습 단말 통신부 230 : 학습 단말 디스플레이
240 : 학습 단말 입력부 250 : 학습 단말 저장부
300 : 출제 서버 310 : 서버 제어부
311 : 등록 모듈 312 : 키워드 테이블 생성 모듈
313 : 학습 평가 모듈 314 : 문항 관리 모듈
315 : 문항 추출 모듈 316 : 분석 모듈
317 : 관리 모듈 318 : 문항 유통 관리 모듈
320 : 서버 통신부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관리 단말 500 : 문제 은행 서버
100: questions terminal 110: questions control unit
111: Item Production Module 112: Item Registration Module
113: question portfolio generation module 114: item sharing module
115: result receiving module 116: question service receiving module
117: tag recording module 120: entry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question terminal display 140: question terminal input unit
150: question terminal storage 200: learning terminal
210: learning control unit 211: app execution module
212: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213: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214: answer sheet generation module 215: learning pattern analysis module
216: learning portfolio generation module 217: anti-cheating module
218: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219: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220: learning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learning terminal display
240: learning terminal input unit 250: learning terminal storage unit
300: question server 310: server control unit
311: registration module 312: keyword table generation module
313: learning evaluation module 314: item management module
315: Item Extraction Module 316: Analysis Module
317: Management Module 318: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320: server communication unit 330: database
400: management terminal 500: question bank server

Claims (15)

과목, 범위, 문제 유형 및 난이도별로 분류된 다수의 문항과 정답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출제 서버;
출제 서버로 문항 및 정답을 제공하는 문제 은행 서버;
문항을 직접 입력 또는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항을 선택하여 출제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들에 시험 문항을 출제하는 출제 단말;
출제 단말에서 출제된 문항을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답안지를 작성하여 출제 서버로 송신하는 학습 단말; 및
소속과 과목 및 전문분야, 학부모 정보, 개인 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출제 단말과 학습자 단말의 등록과, 수강일정, 출결상황, 학부모 공지 사항을 출제 서버에 게시 또는 학부모 단말에 송신하고, 학습자 단말들과 출제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고,
출제 서버는 학습 단말의 학습 분석 정보를 산출하여 취약한 과목, 범위, 문항 유형에 대한 학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련 문항을 제공하고,
출제 단말은
문항의 유형과, 그림과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출제 서버로부터 추천된 문항의 편집툴을 제공하는 문항 제작 모듈;
입력된 문항별로 출제자의 식별 정보와 문항의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태그를 기록하는 태그 기록모듈;
문항의 공유를 불특정 다수의 학습 단말에게 전체 공유와, 선택된 학습 단말, 복수의 학습 단말들로 연계된 그룹중 어느 하나로 공유를 설정하는 문항 공유 모듈;
태그 기록 모듈의 태그정보와 문항 공유 모듈의 공유 정보를 포함하여 문항 및 정답을 출제 서버에 등록하는 문항 등록 모듈;
출제 문항들의 리스트와, 수행 결과가 포함되는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출제 포트폴리오 생성모듈;
출제 서버로부터 문항을 요청 및 추천된 문항을 수신하는 출제 서비스 수신모듈; 및
모바일 환경에서 출제 현황 정보와 채점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출제 서버로부터 학습 단말들의 학습 결과를 수신 및 출력하는 결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출제 서버로부터 추천된 문항은
출제 서버에서 학습 단말의 답안지를 채점하여 과목, 범위, 난이도, 문항의 유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출제 단말의 출제 경향을 분석하여 출제 단말과 동일 그룹으로 설정된 학습 단말들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일별로 제공되는 특정 과목에서 특정 주제에 관련한 문항이고,
출제 서버와 출제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학습 단말들의 학업 성취도가 낮은 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특정과목에서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학습문제, 강의 자료, 동영상, 전자책, 파일중 적어도 하나를 일별로 제공하고,
출제 현황 정보는
출제 서버에 게시된 문항들에 대하여 학습 단말들의 답안지 제출 비율과, 제출된 답안지들의 점수와 정답률과, 마감시간을 넘긴 문항 또는 시험지, 마감시간 이전의 문항 또는 시험지, 답안지를 제출한 학습 단말과 제출하지 않은 학습 단말을 포함하고,
채점 결과는
출제 문항을 공유한 학습 단말들의 문항별 채점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하되, 문항별로 정답자와 오답자와, 기간과 지역과 과목 및 범위 별로 석차가 포함되고;
학습 단말은
출제 단말 또는 관리 단말의 원격 제어를 실행하여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부정행위 방지 모듈;을 포함하고,
출제서버는
출제 단말과 문제 은행 서버로부터 수신 또는 등록된 문항을 암호화하여 저장 및 등록하고, 공유 설정된 학습 단말들에 실시간 송신하거나, 문항 등록 메세지를 송신하는 등록모듈;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마이크로 러닝 개념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주제에 해당되는 하나의 문제, 또는 설정된 시간 및 용량 이하의 동영상, 오디오, e-book 및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 단말에 제공하는 문항 추출 모듈;
관리 단말에서 수신된 출제자 및 학습자 정보를 출제자 DB와 학습자 정보 DB에 각각 저장하고, 관리 단말에 의해 요청된 알림 메세지를 학부모 단말과 학습 단말로 송신하고, 출결 및 수강현황을 관리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동일 그룹에 속한 학습 단말들과 관리 정보를 공유하거나, 출제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학부모 단말에 메세지를 송신하는 관리 모듈; 및
등록된 문항들의 다운로드 횟수와, 학습 단말들과, 출제 단말 들간의 문항 거래와 출제 단말과 학습 단말의 유료 문항 구매시에 비용 결제를 진행하여 출제자들의 저작권 보호 및 비용을 지불하는 문항 유통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A question server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questions and answers classified by subject, range, problem type, and difficulty;
A question bank server that provides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 server;
An entry terminal which directly inputs an item or selects an item received from an entry server, registers the entry in the entry server, and submits a test item to the shared learning terminals;
A learning terminal receiving questions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from the questionnaire server, preparing answer sheets, and transmitting the questionnaire to the questionnaire server; And
Registration of student and learner terminals including at least one of affiliation, subjects and specialty, parent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of class schedule, attendance status, and parental notices on the topic server, or transmission to the parent terminal. Includes; management terminal for setting the field and the entry terminal in a group,
The questionnaire server calculates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learning terminal and provides related ques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of the vulnerable subjects, ranges, and question types.
Question terminal
An item production module that provides a type of item, multimedia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picture, audio, and video data, and an editing tool of an item recommended from an entry server;
A tag recording module for recording a tag includ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questionnaire and a search keyword of an item for each input item;
An item sharing module configured to share the item to all of the unspecified learning terminals as one of a group shared with a selected learning terminal and a plurality of learning terminals;
An item registration module that registers an item and a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server including tag information of the tag recording module and sharing information of the item sharing module;
A question portfolio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list of question questions and a portfolio including an execution result;
A question service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a question request from the question server and a recommended question; And
And a result receiving module for outputting the questionnaire status information and the scoring result in real time in a mobile environment,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ing terminals from the question server.
The questions recommended by the question server
The questionnaire server scores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ing terminal and analyzes the tendency of the question terminal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ubject, range, difficulty, and question type to compensate for the weak part of the learning terminals set in the same group as the question terminal. Questions about a specific subject in a particular subject,
At least one of the question server and the question terminal
In order to reinforce the low achievement level of the learning terminal, provide at least one of daily learning questions, lecture materials, videos, e-books, and files related to a single subject in a specific subject,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The rate of submission of answer sheets by the study terminals, the scores and correct answers of the submitted answer sheets, the questions or exams past the deadline, the questions or exams before the deadline, and the study terminals that submitted the answer sheets Including learning terminals that do not,
The scoring result is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coring results for each item of the learning terminals sharing the questions in real time, including correct answers and incorrect answers for each item, and a ranking for each period, region, subject, and range;
Learning terminal
Includes; cheating prevention module for preventing cheating by executing a remote control of the question terminal or the management terminal,
The question server
A registration module for encrypting and storing items received or registered from the question terminal and the question bank server, storing and registering the item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shared learning terminals in real time or sending an item registration message;
In order to provide a curation service with a micro-learning concept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at least one probl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opic or a video, audio, e-book and material of a set time and capacity or less is provided to the learning terminal. Item extraction module;
Save the questions and learn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in the questionnaire DB and the learner information DB, and send a notification message requested by the management terminal to the parent terminal and the learning terminal, and collect attendance and attendance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A management module for sharing management information with learning terminals belonging to the group or sending a message to the parent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question terminal; And
An item distribution management module for paying copyright protection and cost of the questions by paying for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registered items, the item transactions between the learning terminals, the question terminals, and the purchase of the paid items of the question terminals and the learning terminals;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including.
삭제dele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문항 유형은
객관식, OX형, 복수 정답, 단답형, 서술형, 그림과 오디오 및 영상중 어느 하나가 결합된 멀티미디어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tem type is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multiple choice, multiple choice, OX, multiple correct answers, short answer, narrative, picture and audio and video combined.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문항 제작 모듈은
정답에 연계된 문자, 도형, 숫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정답 키워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tem production module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question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wherein a correct keyword including at least one of letters, figures, and numbers associated with the correct answer is set.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출제 서버는
출제 단말로부터 등록된 출제 문항의 정답에 설정된 문자, 숫자, 도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키워드 테이블을 생성하는 키워드 테이블 생성 모듈;
학습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항들을 검색 및 추출하여 출제 단말에 추천하는 문항 추출 모듈;
학습 단말로부터 수신된 답안과 저장된 키워드 테이블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점수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학습 단말 및 출제 단말로 송신하는 학습 평가 모듈;
학습 평가 모듈의 평가 결과를 누적하고, 지역, 기간, 과목, 과목의 범위, 학교, 학원별로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와, 해당 학습자의 소속 지역, 과목, 기간, 학교, 학원, 그룹내의 석차와, 문항의 유형별 정답율과 오답율중 적어도 하나의 통계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정보;와, 기간, 과목, 범위별로 출제 단말의 출제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 비율과, 공유설정되는 학습 단말들의 평균 점수와 정답율의 누적된 통계값으로 출제자의 출제 성향이 산출된 출제 정보;를 산출하여 분석 DB에 저장하는 분석 모듈; 및
문항의 유형, 난이도, 출제일, 과목, 범위, 출제자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문항 관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estion server
A keyword tabl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keyword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etter, a number, and a figure set in a correct answer of a question item registered from a question and answer terminal;
An item extraction module that analyzes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retrieves and extracts items stored in a database, and recommends them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A learning evalu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comparing the answers receiv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with the stored keyword table,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scores, and transmitting the scores to the learning terminal and the quiz terminal in real time;
It accumulat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calculates the average score of learners by region, period, subject, subject range, school, and academy, the student's region, subject, period, school, academy, group rankings, and questions.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statistical value of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incorrect answer rate for each type of; An analysis module for calculating and storing the ques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questionnaire tendency of the ques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al value; And
An item management module that registers item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ype, a difficulty level, a question date, a subject, a range, and a question type of an item;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urther including a.
청구항 5항에 있어서, 학습 평가 모듈은
학습 단말에서 수신된 답안지와, 정답 키워드 테이블의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변환시킨 뒤에 비교하여 일치 비율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question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or converting the answer sheet received from the learning terminal and the data of the correct answer keyword table into XML data and then assigning a score according to a matching ratio.
삭제dele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학습 단말은
출제 단말로부터 공유된 문항을 출제 서버로부터 수신 및 출력하는 공유 문항 수신 모듈;
출제 서버로부터 추출된 문항을 수신 및 출력하는 학습 서비스 수신모듈;
입력된 답안을 추출하여 답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답안지를 출제 서버로 송신하는 답안지 생성 모듈;
문항 풀이시간, 선택 문항의 유형, 선택 문항의 과목 및 유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학습 패턴을 생성하여 출제 서버로 송신하는 학습 패턴 분석 모듈;
수신 또는 저장된 문항을 타 학습 단말에 송신하는 학습 문항 공유 모듈; 및
출제 서버로부터 채점결과를 수신 및 출력하는 학습 결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terminal
A shared item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question shared from an item terminal to an item server;
Learning servi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question server;
An answer sheet generation module for extracting an input answer to generate an answer sheet and sending the generated answer sheet to the question server;
A learning pattern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learning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question solving time, a type of a selected item, a subject, and a type of the selected item, to a question server;
A learning item shar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received or stored item to another learning terminal; And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a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including a learning resul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grading result from a question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14971A 2017-09-08 2017-09-08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5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71A KR102055256B1 (en) 2017-09-08 2017-09-08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09971 WO2019050074A1 (en) 2017-09-08 2017-09-12 Study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loud-based digital question writing solution and implementing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71A KR102055256B1 (en) 2017-09-08 2017-09-08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45A KR20190028045A (en) 2019-03-18
KR102055256B1 true KR102055256B1 (en) 2019-12-13

Family

ID=6563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71A KR102055256B1 (en) 2017-09-08 2017-09-08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5256B1 (en)
WO (1) WO201905007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951A (en) 2021-11-23 2023-05-31 남명진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new solu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339B1 (en) * 2019-03-29 2020-11-10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A problem curation system and method reflecting the similarity of the user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similarity of the problem context in the question bank
KR102109775B1 (en) * 2019-08-23 2020-05-12 유스타온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questions for english study
KR102281642B1 (en) * 2019-08-23 2021-07-26 주식회사 피플메이드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CN110991277B (en) * 2019-11-20 2023-09-22 湖南检信智能科技有限公司 Multi-dimensional multi-task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CN111899583A (en) * 2020-07-24 2020-11-06 南开大学 Independent question-proposing type mutu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KR102482291B1 (en) * 2020-09-25 2022-12-29 (주)인프라케이 Preventing dishonest acts for online examinations by using permissioned blockchain network and online examination server using the same
KR102408389B1 (en) * 2020-10-23 2022-06-13 유정준 System for online education
KR102572818B1 (en) * 2020-10-29 2023-08-30 주식회사 더캣코리아 Cat-based integrated testing inspection device and system
CN112365183B (en) * 2020-11-26 2023-04-14 江西台德智慧科技有限公司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method
KR102534086B1 (en) * 2020-12-08 2023-05-19 엔에이치엔애드 (주) Network server and method to communicate with user terminal based on plurality of multimedia contents
KR102418472B1 (en) * 2021-03-29 2022-07-08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KR102645986B1 (en) * 2021-04-14 2024-03-11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Server for supporting class based on team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KR102382036B1 (en) * 2021-07-16 2022-04-04 주식회사 마커룸 Apparatus of providing problem for online learning using crawlign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
KR102598698B1 (en) * 2021-09-07 2023-11-06 주식회사 맞추다 User-customizing learning service system
KR20230080113A (en) * 2021-11-29 2023-06-07 신은영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location and type of question automatically in learning contents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39B1 (en) * 2013-02-20 2015-04-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101761562B1 (en) * 2016-08-29 2017-07-26 정철웅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tes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58A (en) * 2001-07-21 2001-08-30 -- Multi-administration remote education system offering mutual interface among parents of students, sons and daughters, teacher and superintendent
KR20100006799A (en) * 2008-07-08 2010-01-22 주식회사 유비온 Online assessment item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20100022916A (en) * 2008-08-20 2010-03-03 정근수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test contents by program
KR101032533B1 (en) 2009-10-14 2011-05-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e description by feature distillation
KR20130041414A (en) * 2011-10-17 2013-04-25 두산동아 주식회사 Method for scoring discription-type question automatically
JP6052960B2 (en) 2012-01-12 2016-12-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Method for producing soft magnetic iron-based powder
KR101847898B1 (en) * 2014-03-11 2018-04-12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ques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116789A (en) * 2015-03-31 2016-10-10 정대욱 A method for learning record management and a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119620A (en) * 2015-04-06 2016-10-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lou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39B1 (en) * 2013-02-20 2015-04-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101761562B1 (en) * 2016-08-29 2017-07-26 정철웅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t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951A (en) 2021-11-23 2023-05-31 남명진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new solu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074A1 (en) 2019-03-14
KR20190028045A (en)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56B1 (en)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Selwyn et al. A necessary evil? The rise of online exam proctoring in Australian universities
Wei Gemiverse: The blockchain-based professional certification and tourism platform with its own ecosystem in the metaverse
Kimbark et al. Effectiveness of the student success course on persistence, reten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 engagement
Hodge et al. The changing ecology of the curriculum marketplace in the era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Roetzer The marketing performance blueprint: strategies and technologies to build and measure business success
Karnad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ies
Dawkins Mass email at university: current literature and tactics for future use
Foley We really need to talk about owner-managers and financial awareness!
Keane et al. A vision of the digital future-government funding as a catalyst for 1 to 1 computing in schools
Blackburn In My End Is My Beginning: eLearning at the Crossroads.
Lee et al. Lessons learned from two years of K-MOOC experience
Sharp Branding millennials: A thematic analysis utilizing hiring professionals and popular press books
Rust et al. Starting off right: Institutional resources for online student success
US20220343405A1 (en) Web-Based Platform for the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lmarwani E3-Electronic education for English: Developing mobile learning and teaching in Saudi Arabia
Petrilli Toward a Golden Age of Educational Practice.
Acevedo-Berry Successful strategies to address disruptive innovation technologies in the digital-media industry
Klidas et al. Data Literacy in Practice: A complete guide to data literacy and making smarter decisions with data through intelligent actions
Bright et al. Educational Technology: Barrier or Bridge to Equitable Access to Advanced Learning Opportunities?
Arif et al. Digitalisati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Capital Market Education
Guarcello Blended learning and bottlenecks in th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ystem: An empirical look at the importance of demographic and performance analytics
Ainooson-Noonoo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to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in Senior High schools in the Cape Coast Metropolis
Crock et al. Open Universities Australia: The evolution of open access and online education opport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