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642B1 -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642B1
KR102281642B1 KR1020200053202A KR20200053202A KR102281642B1 KR 102281642 B1 KR102281642 B1 KR 102281642B1 KR 1020200053202 A KR1020200053202 A KR 1020200053202A KR 20200053202 A KR20200053202 A KR 20200053202A KR 102281642 B1 KR102281642 B1 KR 10228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server
learning
user
pro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3662A (en
Inventor
함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0357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09775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메이드
Priority to KR102020005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 추출 및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a user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blem extraction and analysis for learning English.

Description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A system that provides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a user device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a use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 추출 및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blem extraction and analysis for learning English.

토익과 같은 시험에 대비한 영어 학습에 있어서, 많고 다양한 문제를 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토익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의 유형은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만들어진 문제들을 적절히 이용하면, 효과적인 시험 대비 및 학습이 가능할 수 있다. In learning English for exams such as the TOEIC, it is very important to face many different problems. The types of questions asked in the TOEIC test are standardized to some extent. Therefore, by properly using the existing problems, effective test preparation and learning may be possible.

기존에 만들어진 문제들을 포함하는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적절한 개수의 문제들을 선택하여 학습 자료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 수작업의 특성 상, 문제 추출에 대한 이력을 추적하기 어렵고, 새로운 문제를 추가하는 것도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When there is data including previously made problems, learning materials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number of problems. In general, this process is done manually and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time. Due to the nature of manual work,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history of problem extraction, and it is also expensive to add new problem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490호(2015.02.24.)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8045호(2019.03.18.)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3490 (February 24, 2015)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28045 (March 18, 2019).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 problem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a user device.

본 발명은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들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효과적으로 추출 및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ly extracting and providing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from a database.

본 발명은 영어 학습을 위한 새로운 문제를 데이터 베이스에 효과적으로 추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ly adding a new problem for learning English to a databas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들을 선택 및 추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extracting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에서 문제를 제공하는 방법은, 문제 선택을 위한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범위 내에서 복수의 문제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복수의 문제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는, 수량적 범위, 유형적 범위, 등급별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며, 상기 범위는, 문제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결정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problem in a system for learning English includes determining a range for problem selection, selecting a plurality of problems within the determined range, and solving the selected plurality of problems. transmitting data including The range depends on at least one of a quantitative range, a tangible range, and a range for each grade, and the ran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rvice grade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provision of the problem.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 problem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the user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문제들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by utilizing the problems accumulated in the datab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서버 및 사용자 장치 간 상호 작용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문제 추출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문제 추가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수집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shows the structure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e structure of a device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interaction between a server and a user device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database utilized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problem extraction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dding a problem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영어 문제를 추출 및 분석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문제를 추출하거나, 또는 문제를 추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xtracting and analyzing an English problem, and various techniques for extracting a problem or adding a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1 shows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101), 사용자 장치(10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includes a server 101 and a user device 102 .

서버(101)는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들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즉,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 장치이다. 서버(101)는 사용자 장치(102)의 요청에 따라 문제들을 추출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1)는 새로운 문제가 제공되면, 새로운 문제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서버(101)는 사용자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The server 101 is a device that stores big data including problems for learning English, that is, a database. The server 101 may extract and provide issue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device 102 . Also, when a new problem is provided, the server 101 may add the new problem to the database. The server 101 stores and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for users.

사용자 장치(102)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장치(102)는 서버(101)로 가입을 위한 정보, 문제 추출에 대한 요청,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2)는 서버(101)로부터 추출된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영어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2)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2)는 스마트폰, 타블렛, 컴퓨터 등의 스크린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이다.User device 102 is a device used by a user. The user device 102 may transmit to the server 101 information for subscription, a request for problem extraction, and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 device 102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extracted problem from the server 101 . In order to use the English learning ser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required to install a dedicated application in the user device 102 . The user device 102 i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creen and input means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computer, or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2 shows the structure of a device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서버(101) 및 사용자 장치(102)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장치는 제어부(202), 통신부(204), 저장부(206), 표시/입력부(208)를 포함한다. 웹툰 서버(120) 또는 결제 서버(130)의 경우, 표시/입력부(208)는 생략될 수 있다.The structure shown in FIG. 2 may be applied to the server 101 and the user device 102 . Referring to FIG. 2 , the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202 , a communication unit 204 , a storage unit 206 , and a display/input unit 208 . In the case of the webtoon server 120 or the payment server 130 , the display/input unit 208 may be omitted.

제어부(202)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는 저장부(206)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는 통신부(204)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부(206)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부(206)에 저장된 데이터, 명령어 등을 읽는다, 또한, 제어부(202)는 표시/입력부(208)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고, 검출되는 입력을 처리한다. 제어부(2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2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2 executes an application using command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6 and controls operations of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04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tores data in the storage unit 206, and reads data, command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6, The control unit 202 displays a screen through the display/input unit 208 and processes the detected input. The control unit 202 may be implemented by a microprocessor, a processor, or the like.

통신부(204)는 외부 통신망에 접속하고, 데이터/신호/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04)는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모바일 통신망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04)는 신호의 변복조, 증폭, 필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4 performs a functi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signal/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04 may perform a function of accessing an Internet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04 performs func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amplification, and filtering of the signal.

저장부(206)는 데이터, 설정정보, 명령어, 마이크로 코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206)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6)는 장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장치가 서버(101)인 경우, 저장부(206)는 영어 문제 데이터 베이스, 가입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6 stores data, setting information, commands, microcodes, applications,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206 may be implemented as a temporary or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06 may be fixed to the device or implemented in a detachable form. For example, when the device of FIG. 2 is the server 101, the storage unit 206 may store an English problem databas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like.

표시/입력부(208)는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및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은 모니터, 액정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은 터치패드, 키 버튼,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표시/입력부(208)는 액정화면 및 터치패드가 결합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표시/입력부(208)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의 집합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display/input unit 208 includes means for displaying a screen and means for sensing an input from the outside. Here, the means for displaying the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monitor, a liquid crystal screen, or the like. The means for sensing an input includes a touch pad, a key button, a sensor, a camera, and the like. The display/input unit 208 may include a touch screen in which a liquid crystal screen and a touch pad are combined. In some cases, the display/input unit 208 may be interpreted as a set of physically separated two or more hardware modul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서버(101) 및 사용자 장치(102) 간 상호 작용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1) 및 사용자 장치(102) 간 가입 절차(301), 문제 요청 및 제공 절차(302), 피드백 및 DB(database) 갱신 절차(303) 등이 수행될 수 있다.3 illustrates an interaction between a server 101 and a user device 102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a subscription procedure 301 between the server 101 and the user device 102 , a problem request and provision procedure 302 , feedback and a database (database) update procedure 303 ,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가입 절차(301)는 문제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장치(102)의 사용자가 서버(101)의 서비스에 가입하는 절차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102)는 사용자의 ID(identifier)를 비롯한 필요한 정보들을 송신하고, 서버(101)는 해당 사용자의 가입자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때, 서버(101)는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 또는 서비스 레벨을 지정 및 기록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은, 이용 요금, 가입 기간, 피드백 제공 이력 등에 기반하여 지정된다. 서비스 등급은 후술되는 문제 요청 및 제공 절차(302)에서 문제 추출에 영향을 준다. The subscription procedure 301 is a procedure in which the user of the user device 102 subscribes to the service of the server 101 in order to receive a problem provision service. To this end, the user device 102 transmits necessary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ID) of the user, and the server 101 generates and stores subscriber data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server 101 designates and records the user's service level or service level. A user's service level is designated based on a usage fee, a subscription period, a history of providing feedback, and the like. The service level affects problem extraction in the problem request and provision procedure 302 described below.

문제 요청 및 제공 절차(302)는 사용자 장치(102)가 문제의 선택 및 제공을 요청하고, 서버(101)가 이에 응하여 문제의 목록 및 해설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102)는 원하는 문제의 파트 및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서버(101)는 사용자 장치(102)의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문제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등을 고려하여 문제들을 추출할 수 있다. The problem request and provision procedure 302 is a procedure in which the user device 102 requests selection and provision of a problem, and the server 101 provides a list of problems and explan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hereto. To this end, the user device 102 may indicate the desired part and number of problems. The server 101 may extract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ervice level of the user device 102 , problems that have been provided to the user, feedback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like.

피드백 및 DB 갱신 절차(303)는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피드백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피드백은 제공된 문제의 정답을 맞추었는지 여부, 제공된 문제들 또는 개별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1)는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반하여 문제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는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문제의 보기들을 변경할 수 있다.The feedback and DB update procedure 303 receives feedback from a user and stores the feedback in a database. The feedback may include whether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vided question is correct, the user's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provided questions or individual question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erver 101 may correct the content of the problem based on the user's feedback. For example, the server 101 may change the views of the problem to lower the difficulty.

도 3에 도시된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2)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가입 절차(301), 문제 요청 및 제공 절차(302), 피드백 및 DB 갱신 절차(303)를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편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인식 기능(예: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문제 요청, 문제 풀이,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procedures shown in FIG. 3 , the user device 102 may be required to install and run a dedicated application.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required for a subscription procedure 301 , a problem request and provision procedure 302 , and a feedback and DB update procedure 303 . In this case,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provide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necessary for the user to receive the service. For example, by provid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eg, a speech to text (STT) function),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improve user convenience in at least one of a problem request, problem solving, and feedback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영어 문제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각 행은 하나의 문제를 저장한 레코드이다. 각 레코드는 복수의 열(column)들로 구성되는데, 열들은 일련번호(401), 문제(402), 보기A(403), 보기B(404), 보기C(405), 보기D(406), 정답(407), 정답 어휘(408), 연도(409), 회차(410), 품사 구분(411), 유형 구분(412), 세부1(413), 세부2(414), 세부3(415), 해설(416)을 포함한다. 4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database utilized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pecific example of a database including English problems. In Fig. 4, each row is a record storing one problem. Each record is made up of multiple columns, where the columns are serial number 401, problem 402, view A 403, view B 404, view C 405, and view D 406. , correct answer (407), correct vocabulary (408), year (409), number of times (410), part-of-speech classification (411), type classification (412), detail 1 (413), detail 2 (414), detail 3 (415) ), and a commentary 416 .

여기서, 연도(409) 및 회차(410)는 정기 시험에 기출된 문제의 경우 기출된 연도 및 회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열로서, 해당 문제가 기출 문제가 아닌 경우 사용되지 아니할 수 있다. 품사 구분(411)은 정답 어휘의 품사를 구분하는 인덱스 정보로서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 '기타'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유형 구분(412)은 문제의 유형에 대한 대분류로서, '구조', '문법', '어휘'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Here, the year 409 and the number of times 410 are columns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year and number of questions submitted in the regular exam, and may not be used when the corresponding question is not a previous question.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411 is index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part-of-speech of the correct word, as any one of 'noun', 'pronoun', 'verb', 'adjective', 'adverb', 'conjunction', 'preposition', and 'other'. can be specified. The type classification 412 is a large classification of the problem type, and may be designated as any one of 'structure', 'grammar', and 'vocabulary'.

세부1(413), 세부2(414), 세부3(415), 은 문제를 분류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며, 문제에 따라 사용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일부만 사용될 수 있다. 세부1(413)에 지정될 수 있는 값들의 후보는 유형 구분(412)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유형 구분(412)이 '구조'인 경우에 세부1(413)에 지정될 수 있는 값들 및 유형 구분(412)이 '문법'인 경우에 세부1(413)에 지정될 수 있는 값들은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 구분(412)이 '문법'인 경우, 세부1(413)은 '수일치', '명사 구분', '복합 명사' 중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Details 1 (413), detail 2 (414), and detail 3 (415) include index information for classifying problems, and may not be used or only part of them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roblem. Candidates for values that can be assigned to detail 1 413 may vary according to type classification 412 . That is, when the type classification 412 is 'structure', the value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detail 1 (413) and when the type classification 412 is 'grammar', the value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detail 1 413 are They may be different, at least in part. For example, when the type classification 412 is 'grammar', the detail 1 413 may be designated as one of 'number match', 'noun classification', and 'compound noun'.

도 4와 같이, 영어 문제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해설 등이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는 복수의 언어들로 구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은 복수의 언어 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들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database including English problems may be built. In the case of FIG. 4 , explanations and the like are written in Korean. However, in order to support users in various countries, the database may be built in multiple languages, and thus the system may provide multiple language packs. For example, the system may be implemented to support various languages such as English, Vietnamese, Chinese, and Japanese.

도 4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예를 들어, 서버(101)는 문제들을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문제 추출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들 및 문제 추가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들을 설명한다.Using the database as shown in FIG. 4 ,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erver 101 may extract problems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Hereinafter, specific operations for extracting a problem and specific operations for adding a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문제 추출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problem extraction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1)는 문제 선택 범위를 결정한다(S501). 여기서, 문제 선택 범위는 수량적 범위, 유형적 범위, 등급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문제 선택 범위는 문제 제공을 요구한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등급이 높을수록, 1회에 제공 가능한 선택 가능한 문제들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예: A 등급은 30 문제, B 등급은 10 문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문제 선택 범위는 문제 제공을 요구한 사용자의 문제 풀이 이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오답율이 높은 유형의 문제들이 속한 유형으로 문제 선택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rver 101 determines a problem selection range ( S501 ). Here, the problem selection range may be defined as at least one of a quantitative range, a tangible range, and a grade-specif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blem selection range may vary according to the service level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problem provision. For example, as the user's rating is higher, the number of selectable problems that can be provided at one time may increase (eg, 30 questions for grade A, 10 questions for grade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blem selection range may vary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history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problem provision. For example, the problem selection range may be determined as a type to which problems of a type having a high user's incorrect answer rate belong.

이후, 서버(101)는 결정된 범위 내에서 문제들을 선택한다(S502). 서버(101)는 결정된 문제 선택 범위 내에서 복수의 문제들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01)는 결정된 범위에 속하는 문제들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주어진 기준에 따라 문제 선택 범위에 의해 지정된 개수의 문제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기준은 고정적이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적인 기준은 랜덤 선택 또는 순차 선택일 수 있다. 가변적인 기준은 추출 빈도에 기반하여 정의되거나,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101 selects problems within the determined range ( S502 ). The server 101 selects a plurality of problems within the determined problem selection range. Specifically, the server 101 searches the database for problems belonging to the determined range, and extracts the number of problems specified by the problem selection range according to a given criterion. For example, a given criterion may be fixed or variable. Here, the fixed criterion may be random selection or sequential selection. The variable criterion may be defined based on the extraction frequency or based on user satisfaction.

이어, 서버(101)는 문제지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문제들을 배치한다(S503). 문제지의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2)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는 사용자 장치(102) 화면 크기, 디스플레이 타입(예: 일반 디스플레이, VR(virtual reality) 등)에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충분히 크면, 문제들을 2열 또는 3열로 배치하는 레이아웃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1)는 구성된 레이아웃 내에 선택된 문제들을 배치한다. 경우에 따라, 본 S503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Next, the server 101 configures the layout of the question paper and arranges the questions (S503). The layout of the question paper may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device 102 of the user. For example, the server 101 may determine a layout optimized for a screen size of the user device 102 and a display type (eg, a general display, virtual reality (VR), etc.). For example, if the size or resolution of the screen is large enough, a layout can be constructed that arranges the problems in two or three columns. Then, the server 101 places the selected problems in the configured layout. In some cases, this step S503 may be omitted.

이후, 서버(101)는 문제 데이터를 송신한다(S504). 서버(101)는 문제들의 내용(예: 문제 및 보기들), 레아이웃 정보, 배치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문제 데이터 패킷을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한다. 정답 및 해설에 대한 정보는 문제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거나, 또는, 이후에 별도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답 및 해설에 대한 정보는 문제들에 대한 피드백을 조건으로 송신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101 transmits the problem data (S504). The server 101 generates a problem data packet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problems (eg, problems and examples), layout information, and placement information, and sends the problem data packet to the user device 102 . Information on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question data, or may be transmitted separately later. For example, information on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may be sent subject to feedback on problems.

도 5와 같이, 서버(101)는 문제들을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다. 문제들의 선택 범위를 결정하고, 문제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101)는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유사한 패턴을 거쳐 우수한 성적을 거둔 유사 사례를 검색 후, 검색된 사례에 기반하여 문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한 사례는 단순 비교에 의해 검색되거나, 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검색될 수 있다.5 , the server 101 can extract and provide problems. Various criteria may be applied in determining the scope of selection of problems and in selecting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101 may analyze a pattern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result, search for similar cases in which excellent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similar patterns, and then extract problems based on the retrieved cases. Such similar instances may be retrieved by simple comparison, or may be retrieve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AI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많은 사용자들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AI 알고리즘의 학습(learning)이 수행될 수 있다. 서버(101)는 학습을 위해 통계 데이터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생성한 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학습 데이터로서 사용할 정보를 선별하기 위해, 서버(101)는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달성한 사용자들의 통계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버(101)는 수집된 통계 데이터를 문제 유형별 비율 및 이에 대응하는 정답율을 정기 시험의 회차 별 또는 문제 제공 시점 별로 분류하고, 해당 사용자의 특성 정보(예: 성별, 나이, 학습 빈도 등)을 확인한 후, 분류된 정보 및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When using the AI algorithm, learning of the AI algorithm may b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data for many existing users. The server 101 may perform learning after generating learning data from statistical data for learning. First, in order to select information to be used as learning data, the server 101 collects statistical data of users who have achieved scores above a certain level. Then, the server 101 classifies the collected statistical data for each question type and the corresponding correct rate for each period of the regular test or for each question provision time, and the us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eg, gender, age, learning frequency, etc.) After confirming, learning may be performed us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and the us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유사 사례에 근거하여 문제를 추출하는 경우, 문제들의 추출에 더하여, 서버(101)는 학습 스케줄을 더 제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1)는 학습 스케줄을 결정하고, 학습 스케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학습 스케줄은 다음 문제 제공 시기에 대한 권고, 문제 제공 요청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스케줄이 제공되는 경우, 스케줄에 의해 지정된 시점이 되면, 서버(101)는 문제 제공이 권장되는 시점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예: 문자 메시지, 푸시 메시지 등)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When extracting problems based on similar cases, in addition to extracting problems, the server 101 may further suggest a learning schedule. In other words, the server 101 may determine a learning schedule and transmit data indicating the learning schedule. The learning schedule may include recommendations on when to provide the next problem, the frequency of request for problem provision, and the like. When the learning schedule is provided, when the time specified by the schedule arrives, the server 101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eg, text message, push message, etc.) to the user device 102 indicating that the problem provision is recommended. there i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문제 추가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adding a problem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1)는 문제의 입력을 확인한다(S601). 문제는 서버(101)의 관리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문제는 원격에서 통신 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rver 101 checks the input of the problem ( S601 ). The problem may be entered offlin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101 . Alternatively, the problem may be entered online via a telecommunication network remotely.

이어, 서버(101)는 문제 유형을 분석 및 분류한다(S602). 서버(101)는 문제의 내용, 보기의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문제 유형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서버(101)는 보기의 품사를 확인하거나, 보기에 포함된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는 문제의 정답란의 앞뒤 단어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1)는 유사한 구조의 문제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분석 방식들의 조합에 의해, 최종적인 문제의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Then, the server 101 analyzes and classifies the problem type (S602). The server 101 analyzes the content of the problem and the content of the example, and classifies the problem typ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or example, the server 101 may check the part-of-speech of the example or search the dictionary meaning of a word included in the example. For example, the server 101 may analyze the words before and after the correct answer column of the problem.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01 may identify the type of problem with a similar structure. By a combination of various analysis approaches, the type of final problem can be determined.

이후, 서버(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문제를 추가한다(S603). 서버(101)는 문제 및 보기를 결정된 유형에 대한 정보를 함께 데이터 베이스의 새 레코드로서 저장한다.Thereafter, the server 101 adds a problem to the database (S603). The server 101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and the type determined together as a new record in the database.

도 6과 같이, 서버(101)는 문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주어진 알고리즘에 따라 문제의 유형을 결정함에 있어서, 판단 기준이 일정 이하의 확률을 가지는 경우, 관리자에게 검토를 요청하는 알림이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에 의한 판단의 정확도가 낮은 경우, 관리자의 개입에 의해 보다 명확한 유형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알림은 서버(101)에 구비된 표시 수단에 표시되거나, 통신 망을 통해 송신되는 온라인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server 101 may classify and store the types of problems. In this case, in determining the type of problem according to the given algorithm, when the determination criterion has a probability below a certain level, a notification requesting review may be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Accordingly, when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by the algorithm is low, a more clear type classification can be made by the intervention of the manager. Here, the notification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means provided in the server 101 or may be delivered as an online messag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수집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1)는 피드백 요청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한다(S701). 피드백 요청 조건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백 조건은 문제 풀이가 완료된 시점, 문제에 대한 정답이 제공된 시점, 또는 정기 시험이 종료된 시점일 수 있다. 정기 시험 종료 직후 적절한 시점에 피드백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피드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기 시험 종료 시간에 대한 정보는 시험 주최측의 사이트에서 획득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rver 101 determines whether a feedback request condition is satisfied ( S701 ). The feedback request condition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eedback condition may be a time when problem solving is completed, a time when a correct answer to a problem is provided, or a time when a regular test is finished. By requesting feedback at an appropriate time right after the end of the regular test, more accurate feedback can be obtained from the user.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end time of the regular test may be obtained from the site of the test organizer or may be input by the administrator.

피드백 요청 조건이 만족되면, 서버(101)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한다(S702). 예를 들어, 피드백 요청 메시지는 제공된 문제에 대한 만족도를 문의하는 질문, 문제 유형의 비율에 대한 만족도를 문의하는 질문, 제공되는 문제 유형의 비율 변화의 방향을 문의하는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드백 요청 메시지는 정기 시험의 응시에 제공된 문제들이 도움이 되었는지를 문의하는 질문, 제공된 문제와 정기 시험 문제의 일치 여부를 문의하는 질문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참고를 위해 정기 시험 전 제공되었던 문제들에 대한 요약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feedback reque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rver 101 generates and transmits a feedback request message (S702). For example,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question inquiring about satisfaction with a provided problem, a question inquiring about satisfaction with a ratio of problem types, and a question inquiring about a direction of change in the ratio of provided problem types. As another example,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includes questions about whether the provided questions were helpful in taking the regular exam, questions about whether the provided questions match the regular exam questions, etc., provided before the regular exam for your reference. It may further include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서버(101)는 피드백을 수신한다(S703). 피드백은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포함한다. 피드백 정보는 서버(101)에 의해 저장되고, 추후 문제 추출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The server 101 receives the feedback (S703). The feedback includes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included in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tored by the server 101 and may be utilized for later problem extrac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Claims (1)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위한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 및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문제 선택을 위한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범위 내에서 추출 빈도 또는 기존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기준에 따라 복수의 문제들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크기 및 디스플레이 타입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문제들을 배치하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레이아웃 내에 상기 복수의 문제들을 배치하고,
선택된 복수의 문제들, 상기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문제들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다음 문제 제공의 시기에 대한 권고, 문제 제공 요청 주기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터가 송신된 후,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상기 다음 문제 제공이 권장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다음 문제 제공이 권장되는 시점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영어 학습에 관련되는 정기 시험이 종료된 시각에 상기 문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만족도를 문의하는 피드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피드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범위는 수량적 범위, 유형적 범위, 등급별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며,
상기 범위는 문제의 제공을 요청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입력되는 문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입력되는 문제 및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형은 보기들의 품사, 보기에 포함된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 정답란의 앞뒤 단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가진 사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례에 기반하여 문제들을 추출하고,
상기 유사한 패턴을 가진 사례를 검색하기 위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되, i)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달성한 사용자들의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고, ii) 상기 수집된 통계 데이터를 문제 유형별 비율 및 이에 대응하는 정답율을 정기 시험의 회차 별 또는 문제 제공 시점 별로 분류하고, iii) 분류된 정보 및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학습 스케줄을 생성하되, 상기 학습 스케줄은 다음 문제 제공 시기에 대한 권고 및 문제 제공 요청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스케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학습 스케줄에 의해 지정된 시점이 되면, 문제 제공이 권장되는 시점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송신하는,
시스템.
In a system that provides a problem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a user device,
the user device used by the user; and
server; including,
The server is
determining a range for problem selec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device;
A plurality of problems are selected according to a criterion defined based on the extraction frequency or satisfaction of existing users within a determined range,
determining a layout for arranging the plurality of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a screen size and a display type of the user device;
placing the plurality of problems in the layout;
sending problem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selected plurality of problems, information about the layout,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problems to the user device;
sending schedule data including a recommendation on the timing of the next problem provision and a problem provision request period to the user device;
After the schedule data is transmitted, when a time point at which provision of the next problem designated by the schedule data is recommended arrive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ime point at which provision of the next problem is recommended arrives to the user device;
At the time when the regular test related to English learning is finished, a feedback request message inquiring about satisfaction with the plurality of problems included in the problem data is sent to the user device,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feedback request message from the user device;
The range depends on at least one of a quantitative range, a tangible range, and a graded range,
The r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rvice level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provision of the problem,
The server is
Classify the type of input problem,
Control to store the input problem and type information in a database,
The ty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assi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parts-of-speech of examples, dictionary meanings of words included in examples, and front and back words of the correct answer column,
The server is
Analyze the pattern of the user's problem solving result,
Searching for cases with a pattern similar to the analyzed pattern,
Extracting problems based on the searched cases,
Learning about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for searching for cases with the similar pattern is performed, i) collecting statistical data of users who have achieved a certain level or higher, ii) analyzing the collected statistical data by problem ty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and the correct answer rate corresponding thereto are classified by the period of the regular test or the time of providing the problem, and iii) learning is performed using the classified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erver is
Create a learning schedule, wherein the learning schedule includes a recommendation for the next problem provision time and a problem provision request period,
sending data representing the learning schedule to the user device;
When the time specified by the learning schedule arrives,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device indicating that the problem provision is recommended time,
system.
KR1020200053202A 2019-08-23 2020-05-04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KR102281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02A KR102281642B1 (en) 2019-08-23 2020-05-04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579A KR102109775B1 (en) 2019-08-23 2019-08-23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questions for english study
KR1020200053202A KR102281642B1 (en) 2019-08-23 2020-05-04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579A Division KR102109775B1 (en) 2019-08-23 2019-08-23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questions for english stu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62A KR20210023662A (en) 2021-03-04
KR102281642B1 true KR102281642B1 (en) 2021-07-26

Family

ID=7517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02A KR102281642B1 (en) 2019-08-23 2020-05-04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4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90B1 (en) * 2014-05-08 2015-02-24 학교법인 한양학원 Method for setting examination sheets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79B1 (en) * 2006-09-11 2008-04-11 박철준 A question offer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offering method thereby
KR101816665B1 (en) * 2016-02-25 2018-01-09 (주)뤼이드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nalysis educational data of multiple-choice question
KR102055256B1 (en) * 2017-09-08 2019-12-13 주식회사 듀코젠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90B1 (en) * 2014-05-08 2015-02-24 학교법인 한양학원 Method for setting examination sheets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62A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22B1 (en)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US10671620B2 (en) Method for recommending a teacher in a network teaching system
WO2021000909A1 (en) Curriculum optimis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0077824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locating abnormality, and storage medium
KR1021097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questions for english study
US10162812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to analyze mobile application feedback
US8930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in web queries
KR101773065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eionl contents
CN109360550A (en) Tes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voice interactive system
CN110674271A (en) Question and answe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9299399B (en)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JP71471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601902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language expressions using context information
US20150193428A1 (en) Semantic frame operating method based on text big-data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50059208A (en) Device for analyzing the time-space correlation of the event in the social web media and method thereof
CN108833595B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online customer service
US20200327178A1 (en) Intelligent search engine
CN114186040A (en) Operation method of intelligent robot customer service
CN114186041A (en) Answer output method
KR102281642B1 (en)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CN110929519B (en) Entity attribute extraction method and device
JP2021022292A (en)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6414968A (en) Information sear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medium and product
KR101607128B1 (en) Providing related problem method about incorrect answer
KR20220139246A (en) Method and system for language learning based on personalized search brow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