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472B1 -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472B1
KR102418472B1 KR1020210040563A KR20210040563A KR102418472B1 KR 102418472 B1 KR102418472 B1 KR 102418472B1 KR 1020210040563 A KR1020210040563 A KR 1020210040563A KR 20210040563 A KR20210040563 A KR 20210040563A KR 102418472 B1 KR102418472 B1 KR 10241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arning
education
employee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Priority to KR102021004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arning 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comprising: a requesting terminal for requesting an education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legal compulsory education and entering a number of employees in a business plac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for displaying and playing an e-learning content online for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lected by the requesting terminal; and a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erver which includes a database part for registering and saving an e-learning content related to at least one legal compulsory education, a transmission part for transmitting an education guide according to a type of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business place when receiving a consultation inquiry by a call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or via an e-mail, and a play management part for permitting an access such that e-learning content can be played i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when a request for education is made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The system provides differentiated solutions leading active changes in a member in the business place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Description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본 발명은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법정의무교육을 온라인으로 실시할 때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근무지에서 적용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which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o focus on content when conducting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online,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can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 by monitoring whether it is applied at work. to provide.

국제노동기구(ILO)의 폭력과 괴롭힘 협약의 채택으로 폭력과 괴롭힘으로부터 자유로운 일의 세계에 대한 권리가 처음으로 국제 조약에서 명시되었고,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산업안전법과 같은 3 개의 법률에 4 가지 유형의 행위를 법규로 규율하고 있다. 한국의 법규가 시기에 따라 각 행위들을 달리 규율하게 된 것에 기인하지만, 일터 괴롭힘의 각 행위들은 일하는 사람의 인격권과 함께 노동환경권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는 동일하다. 한국은 5 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매년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법정의무교육이 있는데, 개인정보보호법 교육, 직장내성희롱예방 교육, 장애인인식개선 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 등이 해당된다. 교육 방법은 자체 교육, 집합 교육, 원격 교육, 홍보물 게시 및 배포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사업주나 내부 직원이 직접 교육을 실시하는 자체 교육, 전문 강사의 강의로 이루어지는 집합 교육, 온라인 교육이 가능하지만, 법정의무교육을 온라인으로 진행할 경우, 고용노동부의 정식 인증을 받은 위탁 교육기관인지 꼭 확인해야 한다With the adop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nvention on Violence and Harassment, the right to a world free of violence and harassment was first stipulated in an international treaty. 4 types of conduct are regulated by law. Although it is due to the fact that Korean laws and regulations regulate each a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each act of workplace bullying is essentially the same in that it infringes the right to work environment as well as the moral right of the worker. In Korea, there is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that is compulsory for workers every year at workplaces with five or more employees, and includes education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education on prevention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education on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education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methods can be conducted in the form of self-education, group training, distance training,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publicity materials. When conducting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online, be sure to check whether it is a consigned educational institution officially accredi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이때, 법정의무교육을 위한 업무 시간 관리 방법과 온라인 교육을 위한 플랫폼이 각각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188799호(2020년12월08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2258호(2016년05월12일 공개)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로부터 주 단위의 업무 리스트를 공유받고, 각 계정의 주간예상업무 시간을 추론하며, 법정의무교육 진행일 및 예상소요시간을 획득한 후 예상소요시간을 기초로 한 주간 각 직원의 총 근무시간을 생성하고, 한 주간 총 근무시간이 법정제한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총 근무시간이 법정제한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줄을 조정하여 법정의무교육을 시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구성과, 콘텐츠 제공용 확장형 플랫폼을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후 교육 콘텐츠를 공유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work time management method for legal compulsory education and a platform for online education were each researched and developed. In Patent No. 2016-0052258 (published on May 12, 2016), a weekly work list is shared from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the weekly expected work hours of each account are inferred, and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progress date and forecast After obtaining the required time, the total working hours of each employee are created based on the expected required time, and if the total working hours in a week exceeds the legal limit, the schedule is set so that the total working hours do not exceed the legal limit. The configuration for scheduling to adjust and implementing legal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configuration for sharing educational contents after each client accesses and using the various data additionally generated over time using an expandable platform for content provision are each has been disclosed.

다만, 전자의 경우 법정의무교육 자체를 진행하는 플랫폼이라기 보다는 법정의무교육을 위해 직원들이 주 52시간을 초과근무하지 않도록 직원의 업무를 스케줄링하는 구성에 불과하고, 후자의 경우에도 단순히 유튜브와 같이 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법정의무교육은 강제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발생하며, 특히 개인정보보호교육 미교육 후 정보유출사고 발생 시 5억 원 이하의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개인정보취급자라면 꼭 필요한 교육이다. 사업주 및 위탁 교육기관의 장은 교육 실시 후 관련 자료를 3 년간 보관해야 하며, 법정의무교육은 근로자의 안전과 기업의 재산, 더불어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실시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요식행위와 같이 형식과 절차만을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심지어는 보험회사에서 법정의무교육을 무료로 해주겠다고 홍보하면서 정작 의무교육보다 보험상품설명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도 한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으로 법정의무교육을 실시하면서도 실질적인 내용을 담당자가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it is not a platform that conducts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itself, but rather a composition that schedules employees' work so that employees do not work over 52 hours a week for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It is nothing more than providing a platform to share Since mandatory statutory education is compulsory, if it is not implemented, a fine for negligence will occur. In particular, if an information leakage accident occurs after not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a fine of 500 million won or less may occur, so it is a necessary educ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handlers. Employers and the heads of entrusted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keep relevant data for 3 years after the training is conducted. Most importantly, most of them follow only the formalities and procedures, such as catering, and even when insurance companies advertise that they will provide compulsory legal education for free, they spend more time explaining insurance products than compulsory education. Accordingly, in the post-corona er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allows the person in charge to understand the actual contents while conducting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online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닝(E-Learning) 기반으로 법정의무교육을 실시할 사업장의 직원에게 온라인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들을 때 집중은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동영상 강의가 종료된 후에는 테스트를 거쳐 숙지 여부를 확인하며, 테스트 후에는 근로시간 내 교육한 내용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업무에 쫓겨 형식상으로만 교육을 듣는다거나 일상생활에서는 전혀 지켜지지 않아 사업장 및 직원에게도 과태료나 벌금의 형태로 피해가 발생하는 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프로세스로 조직원의 능동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line content to the employees of the workplace to conduct legal compulsory education based on E-Learning, while checking whether they are paying attention when listening to the online video lecture, and the video lecture i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st, students are tested to see if they are familiar with it, and after the test, by establishing a platform that monitors whether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during working hours are being followed properly, they either receive education only formally because they are chased by work, or they do not receive education at all in daily lif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in the form of fines or fines to business sites and employees due to non-compliance, and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olution that leads to active change of members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을 선택한 후 사업장 내 인원을 입력한 후 교육을 요청하는 요청 단말, 요청 단말에서 선택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요청 단말에서 호(Call) 또는 이메일로 상담문의가 수신되는 경우, 법정의무교육의 종류 및 사업장 내 인원에 따른 교육안내를 전송하는 전송부, 요청 단말에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엑세스를 허가하는 재생관리부를 포함하는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quest terminal for requesting education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and inputting personnel in the workplac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lected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that outputs and reproduces E-Learning content for When a consultation inquiry is received,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rai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egal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workplace, and a playback that permits access to play e-learning content o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when training is requested from a request terminal Includes a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management uni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이러닝(E-Learning) 기반으로 법정의무교육을 실시할 사업장의 직원에게 온라인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들을 때 집중은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동영상 강의가 종료된 후에는 테스트를 거쳐 숙지 여부를 확인하며, 테스트 후에는 근로시간 내 교육한 내용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업무에 쫓겨 형식상으로만 교육을 듣는다거나 일상생활에서는 전혀 지켜지지 않아 사업장 및 직원에게도 과태료나 벌금의 형태로 피해가 발생하는 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프로세스로 조직원의 능동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le providing online content to the employees of the workplace who will conduct legal compulsory education based on E-Learning, it is checked whether they are paying attention when listening to the online video lecture. After the video lecture is over, a test i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student is familiar with the subject, and after the test, the platform is built to monitor whether the content taught during working hours is being properly followed. A differentiated solution that can prevent damage in the form of fines or fines to business sites and employees because it is not observed or observed in daily life, and induces active change of members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conscionable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instead of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request terminal 100, a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have. However, since the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legal obligatio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reques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the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은,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법정의무교육을 요청하는 사업주 또는 사업장의 담당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요청 단말(100)은, 각 직원 단말(400)을 등록하고 각 직원 단말(400)에서 법정의무교육을 이수한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요청 단말(100)은,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각 직원 단말(400)의 교육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랜덤 모니터링 결과 등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business owner or an employee in charge of a workplace who requests legal compulsory education using an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request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for registering each employee terminal 400 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result of completing legal compulsory education in each employee terminal 400 . In addition, the request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random monitoring results for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each employee terminal 400 from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 단말(100)로부터 원하는 법정의무교육의 종류 및 근로자 수를 수신하거나 상담문의가 이메일 또는 호(Call) 수신으로 온 경우 이에 대응하는 답변을 요청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직원 단말(400)이 등록되면 각 직원 단말(400)의 카메라 등으로부터 직원이 이러닝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는지, 실제로 생활에서 적용되고 있는지를 수집하여 요청 단말(100)로 리포팅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직원 단말(400)에서 테스트 결과 60 점 이상인 경우 수료증을 발급하되, 각 테스트는 각 직원 단말(400) 간 공유될 수 없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각 직원 단말(400)로 서로 다른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정답만 공유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이수하지 않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강사와 직원 간의 선호도 매칭을 통하여 직원이 선호하는 강사의 이러닝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각 사업장별로 필요한 교육과 가격 등을 홍보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nd,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desired type of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number of workers from the request terminal 100, or requests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consultation inquiry by e-mail or call reception. It may be a server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whether the employee is concentrating on e-learning content from the camera of each employee terminal 400 when each employee terminal 400 is registered, and whether it is actually applied in life. It may be a server that reports to the requesting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sues a certificate of completion if the test result in each employee terminal 400 is more than 60 points, but each test is processed so that it cannot be shared between each employee terminal 400 or each employee By providing different problems to the terminal 400, it may be a server that prevents the completion of education in a way that only correct answers are shared. In addition,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llows the employee to view the instructor's preferred e-learning content through preference matching between each instructor and employee, and promotes training and prices required for each business site. It can be a server that

여기서,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직원 단말(400)은, 각 구간마다 출력되는 팝퀴즈에 정답을 제출해야 계속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직원 단말(400)은 집중도 파악을 위하여 포어그라운드 또는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등을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제어권을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핸드오버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직원 단말(400)은,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교육 후 모니터링을 할 때 랜덤으로 선택되어 음성발화, 텍스트 입력 및 사진이나 동영상 전송 등의 이벤트를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an employee's terminal using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And,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e-learning content provided by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In addition, th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can continuously reproduce the e-learning content by submitting the correct answer to the pop quiz output for each section. In addition, the employee terminal 400 transmits at least one program driven in the foreground or background mode to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and transfers the control right to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It may be a handover terminal. In addition, the employee terminal 400 is selected at random when monitoring after training in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rovides events such as voice utterance, text input, and photo or video transmission to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server ( 300)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an implementation of an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n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부(310), 전송부(320), 재생관리부(330), 학습관리부(340), 집중력관리부(350), 모니터링부(360) 및 집중도측정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database unit 310, a transmission unit 320, a reproduction management unit 330, a learning management unit 340, a concentration management unit 350, a monitoring unit ( 360) and a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37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로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요청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E-learning-based courtroom with at least one requesting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by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interlock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at least one reques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ar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You can install or open web pages, etc.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reques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E-Learning)의 개념을 먼저 설명한다.The concept of E-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이러닝은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학습(Online Learning), 웹 학습(Web Learning), 전자 학습(Electronic Learning), 웹기반 훈련(WebBased Training; WBT), 원격교육(Long-Distance Education)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자율적인 학습(Autonomous Learning)과 대화형 강의(Interactive Teaching)를 장려하고 있다. 사실상 이러닝은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과 거의 유사한 의미로 통용되고도 있는데, 이러닝 학습자들은 이러닝 관련 앱(Application)을 사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즐겁게 학습하면서 업무수행능력향상과 자기계발에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닝은 학습자의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이면서 자기 주도적인(Self-Initiated) 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E-learning encompasses Internet-based Online Learning, Web Learning, Electronic Learning, WebBased Training (WBT), and Long-Distance Education. Autonomous Learning and Interactive Teaching are encouraged. In fact, e-learning is often used in a similar sense to online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and e-learning learners use e-learning-related applications to enjoy learning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improving work performance and self-development. . Therefore, e-learning can be said to be an efficient and self-initiated learn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f learners.

이러닝의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 기반 하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 둘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열린 학습, 분산형 학습, 융통성 있는 학습을 제공한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활동을 지향한다. 넷째, 다양한 형태의 학습경험,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과 같은 학습체제를 강조한다. 이러닝이 교육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인프라와 교수-학습 환경이 갖추어져야 하고, 잘 설계된 콘텐츠(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구현, 가독성 있는 시각적 설계 등 고려)가 제공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learning takes place based on network system technology including the Internet. Second, it provides open learning, distributed learning, and flexible learning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ird, we aim for interactive activities so that teachers and learners and learners and learners can cooperate and communicate in various ways. Fourth, learning systems such as various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re emphasized. In order for e-learning to produce educational results, an appropriate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must be provided for learners, well-designed content (multimedia information provision, hypertext and hypermedia implementation, readable visual design, etc.) must be provided, and effective In order for teaching-learning to take place, the participation and effort of both teachers and learners is required.

한국의 경우 이러닝 이용 학습자가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러닝은 직원들이 업무와 관련된 해결책을 찾고, 최신 지식에 접근하고,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기업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정보시스템성공모델(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ISSM)에 기초한 이러닝에서는 시스템 품질과 정보 품질이 보다 강조 되어 왔었다. 이러닝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습 내용의 품질(정보 품질)과 지원 기술 및 운영 시스템의 품질(시스템 품질), 과정 운영자 및 튜터의 지원활동(서비스 품질) 모두가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이러닝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하기까지 많은 시간, 노력, 그리고 인력이 투입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서비스 운영 단계는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닝 서비스 운영은 이러닝의 학습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학습 내용의 품질(정보 품질)과 함께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소이다. 이러닝 서비스 운영관리는 이러닝 학습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학습참여자, 학습과정, 학습자료, 학습결과, 학습지원시스템(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LCMS)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In Korea, the number of learners using e-learning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e-learning, which is being conducted in companies, allows employees to find work-related solutions, access the latest knowledge, provide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ultimately increase corporate performance. lets you do it In e-learning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ISSM),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have been more emphasized.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e-learning, the quality of th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quality), the quality of the supporting technology and operating system (system quality), and the support activities of the course operator and tutor (service quality) are all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a lot of time, effort, and manpower are invested in designing and developing e-learning content, but the service operation stage tends to be relatively unimportant.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e-learning, e-learning service operation is a factor that emphasizes its importance along with the quality of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quality). E-learning service operation and management refers to activities that systematically support and manage learning participants, learning processes, learning materials, learning results, and 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LCMS) so that e-learning 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smoothly.

똑같은 학습 콘텐츠로 학습하더라도 어떻게 학습을 지원하고 운영하느냐에 따라 그 성과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닝 서비스 운영관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실패를 막고, 보다 풍부하고 고차원적인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닝은 교육 콘텐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성된 전달시스템, 서비스 운영관리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비스 내용인 무형의 교육 콘텐츠, 전달매체, 운영과정은 학습자 만족을 결정하고 이는 학습자 구전 행위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 소비자의 전자 구전(electronic Word-Of-Mouth; e-WOM)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은 e-비즈니스의 새로운 마케팅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e-비즈니스 기업들은 고객주도형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통해 고객의 니즈와 아이디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제품-서비스 및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험을 표현하고 공감하며 공유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더욱이 e-비즈니스 기업은 소비자로 하여금 마케팅 메시지를 다른 소비자들에게 전파하도록 촉진하고 격려하여 기업 메시지 도달범위와 효과를 극대화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This is because even if you learn from the same learning content,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how you support and operate the learning. Through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learning services,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rner failures and support richer and higher-level learning activities. Since e-learning consists of educational content, a delivery system consisting of software and hardware, and service operation management, the intangible educational content, delivery medium, and operating process, which are service content, determine learner satisfaction, which can be linked to learner word of mouth. Viral marketing through consumer electronic Word-Of-Mouth (e-WOM) on the Interne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arketing tool for e-business. E-business companies are encouraging consumers to express, empathize and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products-services and brands by actively engaging consumers to acquire customer needs and ideas through customer-driven communication spaces. Moreover, e-business companies are attempting to maximize the reach and effectiveness of their corporate messages by promoting and encouraging consumers to disseminate their marketing messages to other consumer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직원들을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시키고, 교육으로 인한 인식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기본 개념을 체득했는지에 대한 테스트, 집중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 또 교육 이후에도 랜덤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이러닝 기반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employee is actively involved in education, and a test on whether the basic concept has been acquired so as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awareness due to the education, feedback on whether he is focused, and education After that, by collecting data at random, it analyzes information about whether it is being applied in real life, so that e-learning-based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교육의 경우, 예를 들어 양방향 교육의 경우에는, 즉 학생(직원)과 교수자(강사)가 실시간으로 온라인에서 진행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닝 콘텐츠가 미리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간 양방향 교육에 있어서는 직원과 강사의 상호작용으로 학습자(직원)들의 적극적인 강의 참여도를 통해 강의자는 강의에 대한 피드백을, 학습자들은 개인의 응답 전달로 다른 학습자들과 소통하기 위하여, SignalR을 사용해 PC, 웹, 모바일 같은 멀티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atabase conversion unit 310 may register and store e-learning content for at least one legal compulsory educatio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real-time edu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eractive education, that is, when students (employees) and instructors (instructors) conduct online in real time, the e-learning content may not be stored in advance. In real-time interactive educ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ff and the instructor, the instructor provides feedback on the lecture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staff), and the learners communicate with other learners by delivering individual responses. Algorithms that can be applied to multi-platform such as , web, and mobile can be used.

청중 응답 시스템에서는 학습자들의 응답이 강의자의 기기로부터 모든 학습자들에게 공유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경우 응답할 수 있는 방식이 복잡하거나 비용이 부과되지 않아야 하며, 응답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강의자 기기에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접근이 쉽고 응답 전달이 빠른 웹을 통한 데이터 전달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강의 환경은 강의자와 학습자가 한 공간에서 진행되고, 동일한 인터넷 환경에서 강의가 진행되므로 웹을 활용한 데이터 전송이 가장 이상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ASP.NET을 통해 프로그래머들은 동적인 웹 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고, ASP.NET용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인 SignalR을 활용하면 서버 코드가 클라이언트 측 웹 응용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비동기 알림(Asynchronous Notifications)를 보낼 수 있다. In an audience response system, learners' responses must be shared by all learners from the instructor's device, the way the learners can respond must not be complicated or costly, and the response data must be delivered to the instructor's device in real time. For this, the most ideal method of data delivery through the web, which is easy to access and provides quick response. In addition, in the lecture environment, the lecturer and the learner are conducted in one space, and the lecture is conducted in the same Internet environment, so data transmission using the web may be the most ideal. To this end, ASP.NET, a web application framework developed by Microsoft, enables programmers to create dynamic web sites, web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Asynchronous Notifications can be sent in real time to the side web application.

이와 같은 SignalR에서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하는 HTML5 API 웹 소켓 (WebSocket)과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 RPC)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RPC 통신은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의 함수 및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 방식이며, 실행 프로그램 또는 로컬 위치 및 원격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ignalR은 .NE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웹 뿐만 아니라 동일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는 Xamarin에서 Android 및 iOS 자체의 앱 개발이 가능하므로 확장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SignalR에서는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머의 경우 C#언어를 통해 웹 소켓 통신을 구현할 수 있고, C# WinForm, ASP.NET MVC(Model View Controller), Xamarin과 같이 PC, 웹,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 WinForm을 사용한 PC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현하여 강의자의 환경을 구성하고, ASP.NET을 사용한 허브 구현, ASP.NET MVC를 사용한 모바일 또는 웹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현하여 학습자의 응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In SignalR like this, HTML5 API WebSocket, which enabl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browser and the server, and Remote Procedure Call (RPC)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and client can be used. RPC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rocesses that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functions and procedures in different address spaces without coding for separate remote control, and the same cod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execution program or the local location and the remote location. In addition, because SignalR uses .NET library, it has excellent extensibility because it is possible to develop apps for Android and iOS itself in Xamarin that can use the same library as well as on the web. In SignalR, programmers using Visual Studio can implement web socket communication through C# language, and can be utilized in PC, web, and mobile environments like C# WinForm, ASP.NET Model View Controller (MVC), and Xamarin. For example, you can implement the PC client function using C# WinForm to configure the instructor's environment, implement the hub using ASP.NET, and implement the mobile or web client function using ASP.NET MVC to build the learner's responsive environment. can

SignalR을 활용한 청중 응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데, 먼저 허브를 개발하기 위해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허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Microsoft.AspNet.SignalR.System Web 라이브러리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Nuget Package로 검색하여 설치하고, C#으로 코딩을 진행할 수 있다. 허브 프로젝트가 생성이 되면 프로젝트의 Startup.cs 클래스를 수정하여 SignalR 통신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열어주는 configuration 설정을 적용해야 한다. 이후, 외부에서 허브로 “/signalr” 이름으로 접근하는 클라이언트들에게 파이프라인을 열어주고, 크로스 도메인으로 허브에 접속하는 유저를 모두 허용하게 하는 미들웨어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옵션을 모두 허용으로 적용 후 SignalR 허브를 실행한다. 강의자용 클라이언트는 비주얼 스튜디오의 Windows Forms Application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허브와 동일한 C#을 사용하고, Nuget Package의 Microsoft.AspNet.SignalR.client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학습자용 클라이언트도 유사하게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를 생성한다.You can build a development environment to implement an audience response system using SignalR. First, create an ASP.NET Web Application project using Visual Studio to develop a hub. To implement the hub function, the Microsoft.AspNet.SignalR.System Web library can be searched for with Nuget Package provided by Visual Studio and installed, and coding can be carried out in C#. When the hub project is created, the configuration setting that opens the pipeline for SignalR communication must be applied by modifying the Startup.cs class of the project. After that, the middleware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option that opens the pipeline to clients accessing the hub from the outside with the name of “/signalr” and allows all users accessing the hub through cross-domain is allowed. After applying, run SignalR Hub. The lecturer client creates a project with Windows Forms Application of Visual Studio, uses the same C# as the hub, and installs the Microsoft.AspNet.SignalR.client library of Nuget Package. The learner client similarly creates an ASP.NET Web Application project in Visual Studio.

Web 클라이언트는 외부에서 SignalR 통신을 위한 jQuery.SignalR.js 스크립트 파일을 직접 프로젝트에 포함시킨다. jQuery를 사용하면 일반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작업하는 것보다 10배 이상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jQuery의 빠른 생산성과 넓은 범용성으로 파생된 라이브러리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웹 GUI 기반 라이브러리인 jQuery UI를 통해 윈도우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성의 UI를 쉽게 만들 수 있고, 최근에는 jQuery가 모바일용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로컬 서버 세팅을 해야 하는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서버를 위한 웹 기반 서비스인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 서버는 내부에서 SignalR 통신 확인을 위해 필수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SignalR은 ASP.NET으로 웹 소켓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IIS설정은 별도의 설치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Windows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IIS서버, 허브, 클라이언트 구성 준비가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SignalR 통신을 할 수 있다.The web client includes the jQuery.SignalR.js script file for SignalR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directly in the project. Using jQuery,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compared to working with ordinary JavaScript code, and libraries derived from jQuery's fast productivity and wide versatility are being created. Therefore, you can easily create a UI with the same functionality as a Windows application through jQuery UI, a web GUI-based library, and recently, jQuery also supports the creation of web applications for mobile. Lastly, local server setting is required.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server, a web-based service for servers used in Windows operating system, must be set as essential to check SignalR communication inside. Since SignalR uses a web socket application with ASP.NET, there is no separate installation file for IIS settings and can be set as a Windows function. When the IIS server, hub, and client configuration preparations are completed, SignalR communication can begin in earnest.

상술한 환경을 통해, SignalR을 이용한 강의 진행 정보와 강의자 및 학습자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먼저 허브를 오픈하여 강의자용 클라이언트에서 그룹을 생성하고, 학습자용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그룹에 접속하면 SignalR 통신이 시작된다. 따라서 강의자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학습자용 클라이언트는 옵션에 맞게 동작하고, 그에 맞는 응답을 허브로 전달하면 허브에서 강의자용 클라이언트로 대상과 응답을 전송하고 허브에서는 그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process of sharing lecture progress information using SignalR and information between the lecturer and the learner. First, open the hub, create a group in the lecturer client, and connect to the group created in the learner client to start SignalR communication. Therefore, if a desired option is selected in the instructor client, the learner client operates according to the option, and if the corresponding response is delivered to the hub, the hub transmits the target and response to the instructor client, and the hub displays the result.

먼저 클라이언트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클래스와 강의자 클라이언트에 학습자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매니저 클래스를 생성하고, 허브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실행되면 허브를 오픈한다. 강의자용 클라이언트의 허브 접속과 그룹 생성은 먼저 허브로 접속한 후 그룹을 설정하도록 요청한다. 허브에서 성공적으로 그룹이 생성되면 학습자 클라이언트의 접속이 가능한데, 접속순서는 강의자용 클라이언트와 동일하다. 이때 동일한 그룹명으로 허브에 접속 요청해야 생성된 그룹으로 등록된다. 학습자 클라이언트의 그룹 접속이 완료되면 강의자에게 접속된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여 강의자 프로그램에 표시되도록 해야 하는데, 클라이언트가 그룹 접속될 때 허브에 생성된 그룹 이름을 검색하여 검색된 그룹이 있는 경우 그룹 강의자의 Connection Id로 사용자 접속 함수를 호출하고, 호출된 강의자 클라이언트에서는 접속사용자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그룹에 접속할 경우 강의자 단말기의 UI를 포함할 수 있고, 객관식 및 주관식 문제를 출제할 수 있는 강의자 프로그램의 UI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강의자가 선택한 응답 모드에 따라 학습자 프로그램이 표출하는 UI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First, create a class that can classify client users and a manager class that can classify learner users on the lecturer client. When the hub project is executed and executed, the hub is opened. To connect to the hub of the lecturer client and create a group, first connect to the hub and then request to set up the group. When the group is successfully created in the hub, the learner client can connect, and the access ord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lecturer client. At this time, you must request access to the hub with the same group name to be registered as a created group. When the group connection of the learner client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is delivered to the lecturer so that it is displayed in the lecturer program. When the client connects to the group, the group name created in the hub is searched. The user connection function is called with Id, and the called lecturer client displays the connected user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accessing a group of learners, the UI of the instructor terminal may be included, and the UI of the instructor program may include multiple-choice and subjective-type questions, and the learner program will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ponse mode selected by the instructor. UI may be included.

즉 허브 그룹이 생성되어 있고, 학습자 및 강의자의 클라이언트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강의자의 버튼 동작에 따라 학습자의 응답 수단이 변경되고 그 응답이 강의자의 프로그램에 표시되는 기능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클라이언트에서 응답을 전송했을 경우, 강의자 프로그램의 화면에 응답 정보가 공유되어야 하는데, 학습자가 객관식, 주관식의 답안을 전송할 때마다 강의자에게 정보가 전달되고, 그 때마다 강의자 프로그램에서는 실시간으로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학습자(직원) 접속 상황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고, 학습자가 의도적이거나 비의도적으로 강의자 환경에서 이탈했을 경우, 강의자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중 접속자가 응답을 해야 하는데, 즉 실제 강의 환경에서는 특정 강의자의 강의 시간에 최소 수십 명의 학습자가 동시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되기 때문에, 별도로 제작된 다중 접속 툴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다중 응답을 전송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a function is provided in which a hub group is created and the learner's response mean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button operation and the response is displayed in the instructor's program while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s clients are interconnected. Finally, when a response is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client, the response information must be shared on the screen of the instructor program. Whenever the learner sends multiple-choice or subjective answers, the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instructor, and each time the instructor program sends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may be changed. By using this, the learner (staff) access status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and when the learn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deviates from the lecturer environment, the lecturer can be configured to check it in real time. In addition, multiple accessors must respond, that is, in an actual lecture environment, at least several dozen learners respon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lecture time of a specific lecturer. You can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sends a message and checks the result.

전송부(320)는, 요청 단말(100)에서 호(Call) 또는 이메일로 상담문의가 수신되는 경우, 법정의무교육의 종류 및 사업장 내 인원에 따른 교육안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요청 단말(100)에서 호 발신이 된 경우 전송부(320)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담당자 단말(미도시)과 연결할 수 있다. When a consultation inquiry is received by a call or e-mail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100, the transmission unit 320 may transmit training guid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and personnel in the workplace. If the call originating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100, the transmission unit 320 may connect to at least one terminal in charg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관리부(330)는, 요청 단말(100)에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엑세스를 허가할 수 있다. 요청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을 선택한 후 사업장 내 인원을 입력한 후 교육을 요청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요청 단말(100)에서 선택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출력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관리부(330)는 실시간 강의가 아닌 경우, 즉 미리 저장된 이러닝 콘텐츠를 재생해주는 경우 엑세스권을 허가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The reproduction management unit 330 may permit access so that the e-learning content is reproduced i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when training is requested from the request terminal 100 . The requesting terminal 100 may request training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and then inputting the number of people in the workplace, an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is, for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lected in the requesting terminal 100 E-Learning content can be printed and played online. The reproduction management unit 330 may manage permission of access when not in a real-time lecture, that is, when replaying pre-stored e-learning content.

학습관리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팝퀴즈(PopQuiz) 중 랜덤함수로 선택한 어느 하나의 팝퀴즈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간 문제 및 정답 공유가 없도록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로 전송되는 팝퀴즈를 모두 서로 다르게 추출하여 전송하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팝퀴즈에 대한 정답을 맞출 때까지, 이러닝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되어 수료 완료 처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learning management unit 340, when the e-learning content is reproduced in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selects any one pop quiz selected by a random function among at least one previously registered PopQuiz at a preset time interval Extracts and transmits to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and extracts and transmits all the pop quizze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differently so that there is no sharing of problems and correct answers betwee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 until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answers the correct answer to the pop quiz, the reproduction of the e-learning content may be stopped and the completion process may not be completed.

예를 들어, 1 시간 짜리인 개인정보보호법 강의이고, 중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이 끝나는 시점이 영상 프레임별로 메타데이터 처리되어 있다면, 해당 시점에 팝퀴즈를 출력하고 해당 키워드에 대한 주관식, 객관식, OX 등 다양한 형태로 팝퀴즈를 제공하고, 제공된 팝퀴즈에 정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입력될 때까지 이러닝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온라인 수료의 경우에는 진도율 80%이상, 시험 100점 만점, 진행단계평가의 획득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100점 중 60점 이상 취득한 자에 한하여 발급되기 때문에 진도율도 중요하다. 진도율을 채우기 위해서 대다수의 직원들은 해당 영상을 재생만 시켜놓고 보지도 않고 다른 급한 일을 하거나 업무 외 시간에는 해당 영상을 틀어놓고 자는 등의 경우가 허다하다. 이때, 팝퀴즈의 경우 키워드를 각 중요 부분별로 짚고 넘어갈 수 있으니 좋지만, 이 또한 직원 메신저에서 팝퀴즈 내용-키워드-정답번호 등이 공유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랜덤하게 각 직원 간 공유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문제를 낼 수 있다. 랜덤하게 추출되지만 동일한 부서 내 직원의 직원 단말(400)로는 동일한 팝퀴즈가 출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동일한 키워드를 묻는 문제라도, 객관식, 주관식, OX 등으로 서로 다르게 출제하는 경우에는 문제를 다양하게 많이 만들어낼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 one-hour lecture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point at which the explanation of important keywords ends is processed by video frame as metadata, a pop quiz is output at that point, and subjective, multiple-choice, OX, etc. Pop quiz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if the correct answer is not entered in the provided pop quiz, the playback of e-learning content is stopped until input. In the case of online completion, the progress rate is also important because it is issued only to those who have achieved more than 80% of the progress rate, 100 points in the test, and 60 points out of 100 by converting the points obtained in the progress evaluation to a perfect score of 100 points. In order to fill the progress rate, most of the employees play the video and do other urgent work without watching it, or sleep with the video on during non-work hour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Pop Quiz, it is good to be able to point out keywords for each important part, but this is also because the contents of the pop quiz-keyword-correct answer number, etc. can be shared in the employee messenger, so that it cannot be shared randomly between each employee. may present different problems. Although it is randomly extracted, it is set so that the same pop quiz is not given to the employee terminal 400 of an employee in the same department. Even a question asking for the same keyword can create a lot of questions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such as multiple-choice, subjective, OX, etc.

집중력관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의 백그라운드 모드 또는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을 강제종료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과 연동된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경우 연동하여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서의 구동을 연동하여 강제종료시킬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management unit 350, when the e-learning content is reproduced i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at least one web page, app page, When at least one of the programs and applications is driven, at least one web page, an app page, and at least one web page in a fixed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to forcibly terminate the program and application, When at least one of an app page, a program, and an application is driven, the operation in a fixed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may be forcibly terminated by interlocking the operation.

예를 들어, 직원 C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들어야 하는데, 왜 들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들을 마음도 없다. 이에, 직원 C는 산업안전보건교육 관련 이러닝 콘텐츠를 직원 단말(400)로 재생하면서, 데스크탑으로 업무를 보는 경우, 표시상으로는 직원 C가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모두 재생하여 이수한 것처럼 나오지만, 실제적으로 들은 것이 없다. 또는, 직원 C가 산업안전보건교육 관련 이러닝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멀티탭으로 카트라이더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직원 C가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모두 들은 것처럼 기록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에 따라, 직원 단말(400)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 예를 들어 데스크탑이나, 이동 단말, 예를 들어, 탭(Tab)이나 패드 또는 노트북과 같은 다른 단말에 입력 이벤트(키스트로크 또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 이를 강제종료시키고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employee C needs to tak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ut he doesn't know why or doesn't want to listen to it. Accordingly, when Employee C plays work on the desktop while playing the e-learning content related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the employee terminal 400, on the display, it appears that Employee C has reproduced and completed all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training, but what he actually heard is none. Alternatively, if employee C plays a kart rider game with a multi-tap while playing e-learning content related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t is recorded as if employee C had actually heard all of the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training, but this is not the case. Accordingly, at least one fixed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employee terminal 400, for example, a desktop or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n input event (keystroke or mouse) to another terminal such as a tab (Tab) or pad or notebook When a click event) occurs or another program is running, it is forced to close and not run so that the focus is on the e-learning content.

모니터링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에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된 후, 업무시간 내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직원 단말(400)을 추출하여, 발화된 음성, 입력된 텍스트 및 입력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법정의무교육을 통해 진행된 기 저장된 과태료 또는 벌금 부과 대상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요청 단말(100)로 리포팅할 수 있다. 이때, 어느 직원이 추출될 것인지는 랜덤함수에 의해 정해지므로 모르나,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법정의무교육에서 이를 어기는 대상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성별, 나이, 직급, 직종 등에 기반하여 해당 대상자 정보를 가지는 직원을 추출하도록 가중치를 둘 수도 있다.After the e-learning content for legal compulsory education is reproduced i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the monitoring unit 360,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of any one of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randomly during business hours to the request terminal 100 by monitoring whether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the spoken voice, the input text, and the input image can report. At this time, it is not known which employee will be extracted because it is determined by a random function, but based on demographic data, information on subjects who violate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for example, gender, age, position, occupation, etc. Weights may be applied to extract employees with corresponding target information.

또, 텍스트는 그 자체로, 음성발화는 STT(Speech to Text)를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될 수 있고, 변환된 텍스트는 자연어처리(NLP)한 후, 법정의무교육 관련하여 민원이 제기된 사항이나 민원사례집을 참조하여 두 가지의 문장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고 과태료 또는 벌금 부과 대상이라면, 혹은 처벌대상이라면 이를 직원 단말(400)로 또는 요청 단말(100)로 안내해줄 수 있다. 위계질서 내에서 성희롱으로 판결된 사례 및 성추행으로 신고된 민원 등을 수집하고 데이터마이닝으로 군집화하여 학습 및 테스트 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 한 후, 직원 단말(400)로부터 음성발화가 인식되고, 발화자가 직원인 경우, 발화자의 음성발화를 STT(Speech to Text)로 변환하여 기 설정된 군집화된 성희롱성 발언과 유사 또는 동일한 경우를 추출하여 1 문장 당 1 회로 카운트를 할 수 있다. 만약 자신이 성추행성 발언인지 모르고 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직원 단말(400)로 전달하여 패널티가 적용되는 기준을 알려줄 수도 있고, 적용되는 기준을 알려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횟수나 주기 또는 빈도 등이 기준값을 초과한 직원에게는 패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In addition, text itself and voice utterance can be converted into text using STT (Speech to Text), and the converted text is subjected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nd complaints related to legal compulsory education Comparing two sentences or texts with reference to the case book of civil complaints, and if it is the subject of a fine or fine, or if it is a subject of punishment, it can be guided to the employee terminal 400 or the request terminal 100 . After collecting cases adjudicated as sexual harassment and complaints reported as sexual harassment within the hierarchy, clustering them through data mining, learning and testing, and model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voice speech is recognized from the employee terminal 400, and the speaker In the case of an employee, by converting the speaker's speech to STT (Speech to Text), similar or identical cases to the preset clustered sexual harassment remarks can be extracted and counted once per sentence. If there is a case where he did not know that he or she was making a sexual assault statement,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employee terminal 400 to inform the standard to which the penalty is applied, and the number, period, frequency, etc. Employees who exceed this threshold may be subject to penalties.

집중도측정부(370)는,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과 연동되는 헤드밴드형태의 비침습형 4채널 뇌파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시각 자극 기반의 연속수행검사(Simplifi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수행하여 주의집중도를 산출하고, 주의집중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이러닝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되어 수료 완료 처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Intensity measurement unit 370, when the e-learning content for legal compulsory education is played,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400 and a non-invasive 4-channel EEG measurement device in the form of a headband that is linked to the visual stimulus-based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calculated by performing a Simplifi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layback of e-learning content is stopped and the completion process can be set not to be processed.

만약, A 직원이 성희롱예방교육을 들어야 하는데, A 직원은 당장 1 시간 내에 마감이 급하다. 이에 따라, A 직원은 마감을 먼저 처리하고 퇴근시간에 1 시간 짜리 성희롱예방교육을 듣기로 하고, 통근버스에 탔으나 잠에 들어버렸다. 이러한 경우 1 시간 동안 성희롱예방교육 관련 이러닝 콘텐츠는 재생(출력)되지만 실제로 A 직원이 들은 내용은 없다. 이에 따라, EEG 측정 툴을 이용하여 주의집중도를 계산하고 그 미만인 경우에는 재수강 또는 수료를 완료하지 않을 수 있다. If employee A needs to take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employee A is in a hurry to finish within an hour. Accordingly, employee A decided to complete the deadline first and receive an hour-long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during work hours, boarded the commuter bus, but fell asleep. In this case, e-learning contents related to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are played (printed) for one hour, but employee A has not actually heard anything.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calculated using the EEG measurement tool, and if it is less than that, retake or completion of the course may not be completed.

뇌파 측정은 기존의 복잡하고 부착하기 힘든 일반적인 침습형 뇌파 장비와 달리 간단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헤드밴드 형태로 제작된 InteraXon 사의 4채널 EEG 장비인 Muse 2017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전두엽의 2채널(AF8, AF9)과 측두엽 2채널(Tp9, Tp10) 총 4 채널에서 발생하는 뇌파 데이터 수집할 수 있다. Muse 2017은 다양한 시중의 뇌파 측정 장비들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간소화된 휴대용 뇌파 측정 장비로서 그 기능을 검증 받았다. 뇌파 측정은 피험자의 귓불(A1) 부분을 기준으로 한 단극유도법을 사용하여 전두엽, 측두엽의 Fp1, Fp2, TP9, TP10 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뇌파 측정 부위는 International 10-20 System를 따를 수 있고, 전극 부착 위치는 각 전극이 놓이는 위치가 대뇌의 어떤 부분에 속하는 지와 좌측과 우측 부위 중 어디 속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Fp(Frontal Polar)는 전두엽, T(Temporal)는 측두엽이 만나는 교차점이다. 또 홀수는 머리의 좌측에 놓이는 전극, 짝수는 우측에 놓이는 전극, 소문자 z는 머리의 중앙을 지나는 부분을 나타낸다. 뇌파 신호는 256Hz의 샘플링 주파수,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를 거쳐 컴퓨터에 저장된다.For EEG measurement, you can use Muse 2017, InteraXon's 4-channel EEG equipmen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eadband for simple and quick measurement, unlike the conventional complex and difficult-to-attach general invasive EEG equipment. It is possible to collect EEG data generated from a total of 4 channels of 2 channels in the frontal lobe (AF8, AF9) and 2 channels in the temporal lobe (Tp9, Tp10). Muse 2017 has a relatively low price compared to various EEG measurement devices on the market, and its function has been verified as a simplified portable EEG measurement device. For EEG measurement, Fp1, Fp2, TP9, and TP10 regions of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can be measured using the unipolar induction method based on the subject's earlobe (A1). The EEG measurement site can follow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nd the electrode attachment posi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ich part of the brain belongs to where each electrode is placed and whether it belongs to the left or right side. Fp (Frontal Polar) is the intersection of the frontal lobe and T (Temporal) is the temporal lobe. Also, odd numbers indicate electrode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head, even numbers indicate electrodes placed on the right side, and a lowercase letter z indicates a par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d. EEG signals are stored in a computer through a sampling frequency of 256 Hz and Fast Fourier Transform (FFT).

이렇게 측정된 뇌파 데이터는 뇌파 장비인 Muse 2017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잡파 등을 제거하고 필터링 한 결과 값을 분석할 수 있다. 뇌파 데이터 중 손실이 있는 부분, 접촉 불량 등의 이유로 비정상정인 값이 기록된 부분의 제외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주의집중도(Attention and Concentration, AC)는 뇌파 분석에 따른 EEG 주의집중도와 SCPT 평가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SCPT 주의집중도로 나눌 수 있다. EEG 주의집중도와 SCPT 주의집중도를 곱연산하여 최종적인 주의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평소 상태와 연속수행검사를 진행할 때의 뇌파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동일한 표본에서 변수의 차이를 비교하는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시행하여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명상을 진행할 때와 Visual SCPT 콘텐츠를 진행할 때의 주의집중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위해 R(3.5.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The EEG data measured in this way can be analyzed after filtering and removing noise provided by Muse 2017, an EEG device. Data consistency can be maintained by excluding the part where there is a loss of the EEG data, the part where the abnormal value is recorded due to poor contact, etc.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C) can be divided into EEG concentration according to EEG analysis and SCPT attention concentr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CPT evaluation result. By multiplying EEG attention and SCPT attention, the final concentration can be calculated. Paired T-test, which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in the same sample, can be performed to compare EEG changes in the usual state and during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when performing meditation and when performing Visual SCPT content, and R (3.5.0 Ver.) program can be used for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

<EEG AC 분석><EEG AC Analysis>

뇌파의 경우 각 채널(Fp1, Fp2, TP9, TP10)에서의 알파, 베타, 감마, 세타 값이 동시에 나타난다. 각 주파수 값을 분류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파워스펙트럼 분석은 각 주파수 영역이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각 채널에서 얻어진 뇌파 데이터는 정규화 과정을 거쳐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는 데이터로 변환된다. EEG 주의집중도는 각 채널에서 주파수 영역에 따라 구분된 5개의 뇌파에서 주의집중과 관련이 있는 알파파, 베타파의 비율과 휴식, 수면 시 나타나는 세타파와의 비율로 산출할 수 있으며, 주의집중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하 수학식 1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EG, alpha, beta, gamma, and theta values in each channel (Fp1, Fp2, TP9, TP10) appear simultaneously. Power spectrum analysis can be used as a metho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each frequency value. Power spectrum analysis is to find out how much weight each frequency domain occupies. For effective data analysis, EEG data obtained from each channel is converted into data having a value between 0 and 1 through a normalization process. EEG attention intensity can be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alpha and beta waves related to attention in 5 brain waves divid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domain in each channel to theta wave appearing during rest and sleep, and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s judged. In order to do this, Equation 1 below can be used.

Figure 112021036782856-pat00001
Figure 112021036782856-pat00001

이때, αpower는 알파파, βpower는 베타파, θpower는 세타파이다.At this time, αpower is alpha wave, βpower is beta wave, and θpower is theta wave.

<SCPT AC 분석><SCPT AC Analysis>

SCPT 주의집중도는 정반응비율, 반응시간 평균점수, 반응시간 표준편차점수 3가지 평가 항목을 모두 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반응시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작을수록 높게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대 반응시간인 1에서 빼는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이하 수학식 2와 같다. 이때, S는 표적자극이고, R은 반응시간, X는 평균을 의미한다.SCPT attention can be calculated by adding up all three evaluation items: forward reaction rate, average reaction time score, an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 score. Sinc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action time should be evaluated as being smaller, it can be expressed by subtracting it from 1, which is the maximum reaction time,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Here, S is the target stimulus, R is the reaction time, and X is the average.

Figure 112021036782856-pat00002
Figure 112021036782856-pat00002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SCPT기반의 콘텐츠를 소비함과 동시에 EEG 기기를 통해 EEG 데이터를 획득,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집중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4채널 뇌파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해당 뇌파 데이터는 퓨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집중력과 관련된 뇌파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류한다. 집중도를 나타내기 위한 알파파, 베타파 등 각각의 뇌파 신호를 추출하여 EEG 평가 지수를 산출하고 SCPT 검사 변수들의 평가 값들을 종합하여 SCPT 평가 지수를 산출한다. 앞서 산출한 두 개의 EEG, SCPT 평가 지수를 통해 집중도 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객관적인 집중도를 알아볼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centration index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processing EEG data through the EEG device while the user consumes SCPT-based content. EEG generated in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is measured using a 4-channel EEG device, and the EEG data related to concentration is classified into a frequency domain using Fourier transform. EEG 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by extracting each EEG signal such as alpha wave and beta wave to indicate concentration, and the SCPT evaluation index is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evaluation values of SCPT test variables. Through the two previously calculated EEG and SCPT evaluation indices, the user's objective concentration can be recognized by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index.

<fNIRS 기반 집중력 모니터링><fNIRS-based concentration monitoring>

또는 휴대성을 높이고 뇌 활동을 혈류 내 산소 포화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fNIRS)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fNIRS는 EEG에 비해 비교적 장비의 시간 해상도가 떨어지고, fMRI에 비해 공간 해상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개발된 무선 헤드셋 타입의 경우 휴대성이 매우 높아 일상에서의 뇌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인지 실험에 활용 여지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닝 콘텐츠(집중력을 요구하는 인지 태스크)가 출력되는 동안 측정한 fNIRS 신호를 통하여 집중력이 발휘되는 동안의 뇌 전두엽 혈류 내 산소포화도를 관찰하고, 사용자의 집중 정도를 정량화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시각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집중력이 높을수록 이후에 진행되는 시각 자극과 관련된 질문에 대한 응답의 정확도가 높을 것이라고 가정한 후, 시각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측정된 fNIRS 신호로 집중력 정도를 정량화하고, 응답 정확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기계학습 기반의 분류 문제를 통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자는 정량화된 집중 점수를 통해 본인의 학습 과정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개개인에게 맞는 학습법을 제안하는 등 학습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Alternatively,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fNIRS), which increases portability and can measure brain activity through oxygen saturation in the bloodstream, is in the spotlight. Althou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atial resolution is lower than that of fMRI, the recently developed wireless headset typ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portable and therefore has a lot of room for use in cognitive experiments to check brain functions in daily life. Accordingly, through the fNIRS signal measured while the e-learning content (a cognitive task that requires concen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the oxygen saturation in the frontal lobe blood flow of the brain during concentration is observed, and the user's concentration is quantified in real time can be analyzed and monitored. Assuming that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during the presentation of the visual stimulus,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related to the visual stimulus will be higher. It can be verified whether it can be predicted through a machine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problem. Through this application, learners can objectively analyze their learning process through quantified concentration scores, and instructors can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monitoring the learning status of learners and suggesting individual learning methods.

<시선인식 기반 집중도 판단><Evaluation of concentration based on gaze recognition>

집중도측정부(370)는 만약 상술한 기구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소한 웹캠을 이용하여 현재 직원인 수강생이 졸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현재 앉아는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의 시선을 판단하기 위하여 OpenCV을 이용하여 이러닝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얼굴 각도와 눈동자의 눈에서의 위치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눈에서의 눈동자 위치뿐 아닌 얼굴각도 이용하여 판단하고, 눈의 개폐를 Landmark 68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깜빡임을 검출하여 학습중인 사용자의 졸음을 판단할 수 있다. 평소에는 직원이 강의를 들을 일이 별로 없으므로, 평소에는 회사에 마련된 데스크탑을 통하여 평소 업무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취득하여 실시간 영상 처리를 하게 된다. 이때, 얼굴 랜드마크 검출을 위하여 Cascade 기반의 랜드마크 검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랜드마크에서의 얼굴을 검출하고, 다시 얼굴의 각도를 검출한 후, 얼굴에서 눈을 찾게 되고 눈에서의 눈동자 위치를 검출한다. 얼굴 각도 값과 눈동자 위치 값을 기반으로 시선을 판단하게 된다.If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370 is not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device, at least using a webcam,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student, who is a current employee, is dozing or sitting or not. To this end, in order to determine the gaze of the learner, OpenCV is used to determine the angle of the face of the users who use e-learning and the position of the pupil in the eye. In addition to the position of the pupil in the eye, it is determined using the angle of the f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yes can be recognized using the Landmark 68 algorithm. By detecting the blin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rowsiness of the learning user. Since employees do not usually listen to lectures, they usually acquire images of their usual work through the desktop provided in the company and process the images in real time. At this time, a cascade-based landmark detection method can be used to detect a face landmark. After detecting a face in the landmark, and detecting the angle of the face again, the eye is found on the face, and the pupil position in the eye is determined. detect The gaze is determined based on the face angle value and the pupil position value.

일반적으로 시선 판단 시 눈에서의 눈동자 위치만을 가지고 시선을 판단하는데 눈동자의 위치가 중요한 판단 매체이지만 눈동자의 위치만을 가지고 처리하는 경우, 얼굴 각도의 따른 눈동자 위치는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선 판단시 얼굴 각도를 먼저 검출 후 눈에서의 눈동자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judging the gaze, the position of the pupil is an important judgment medium in judging the gaze only with the position of the pupil in the eye. In the example, when determining the gaze, the angle of the face is first detected,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pupil in the eye is detected.

<부적정 수강방지><Prevention of improper enrollment>

덧붙여서, 집중도측정부(370)는 부적정 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특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부적정 수강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의 얼굴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웹캠 앞에 사진을 놓을 경우 시스템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연구로 딥러닝을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과 몸을 탐지 후 연관성을 추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사람이 앉아 있는 환경과 유사하게 생성할 경우 역시 무력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집중도측정부(370)는, 사람은 온라인 강의를 보는 과정에서 강의의 선호도와 상관없이 약간의 감정변화를 보이며 이는 표정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이용한다. 온라인 강의 수강 중 감정변화, 필기, 자세변경 등으로 인해 순간적인 표정 변화가 발생한다. 즉, 사람은 온라인 강의 중 의도치 않은 표정변화가 자연스럽게 발생함을 보여준다.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370 may use a characteristic seen in the course of a person taking an online lecture in order to prevent improper attendance. In order to prevent improper enrollment, research on human face detection has been conduc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disable the system if a picture is placed in front of a webcam. As a complementary study, deep learning was used to detect a person's face and body and then extract the correlation to solve the problem,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sabled when it was created similarly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is sitting.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370 utilizes the fact that a person shows a slight emotional change in the course of viewing an online lecture regardless of a lecture preference, and this is revealed by a facial expression. During online lectures, momentary changes in facial expressions occur due to emotional changes, notes, and posture change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unintentional facial expression changes occur naturally during online lectures.

이를 위해, 객체탐지 및 감정분류를 통합한 부적정수강 탐지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웹캠을 통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몸 전체와 얼굴을 취득하고 Face, Person Class로 나누어 Bounding Box 좌표를 추출한다. 추출된 Face, Person의 좌표를 Bounding Box Area Calculation System으로 전송하여 두 클래스의 연관성을 추출한다. 사람의 몸과 얼굴이 형용할 수 있는 자세가 한정되어 있어 연관성 추출을 통한 학습자의 강의수강 여부가 판단 가능하며 이를 정상(Normal) 또는 비정상(Abnormal)으로 반환한다. 또한, Face의 좌표 및 이미지 데이터를 Emotion and Judgment System으로 전송하여 학습자의 표정데이터를 분석한다. 표정 분석을 통해 무표정, 분노, 혐오, 두려움, 기쁨, 슬픔, 놀람의 감정을 분류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use an inappropriate attendance detection model that integrates object detection and emotion classification. The whole body and face of a learner taking an online lecture are acquired through a webcam, and the Bounding Box coordinates are extracted by dividing it into Face and Person Class. By sending the extracted Face and Person coordinates to the Bounding Box Area Calculation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lasses is extracted. Since there are limited postures that a person's body and face can describ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learner has taken a lecture by extracting associations, and this is returned as Normal or Abnormal. In addition, the face's coordinates an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Emotion and Judgment System to analyze the learner's expression data. Facial expression analysis can classify the emotions of expressionlessness, anger, disgust, fear, joy, sadness, and surprise.

이러한 두 시스템의 정보를 통합하는 Automatic Learning Authentication Judgment System은 학습자의 표정 변화 및 얼굴과 몸전체의 연관성 추출을 통한 강의 수강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인증(Learning Authentication) 여부를 판단한다. 학습자가 온라인 강의 중 정면을 응시하지 않거나 자리를 이탈할 시 객체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학습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적정수강을 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웹캠 앞에 학습자가 아닌 사람과 유사한 인형 등으로 사람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듯한 환경을 생성하더라도 지속적인 표정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학습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Automatic Learning Authentication Judgment System, which integrates the information of these two systems, determines whether or not learning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whether or not to take a lecture by extracting the learner's facial expression chan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e and the body. If a learner does not stare at the front during an online lecture or leaves his/her seat, object detection is not performed normally, and learning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normally, so it is judged that the student is taking an improper course. In addition, even if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a person is taking an online lecture with a doll similar to a person, not a learner, in front of the webcam, continuous facial expression change does not occur, so learning authentication may not be performed.

<Kirkpatrick 모형><Kirkpatrick Model>

상술한 구성을 모두 실시하게 되면, 교육 중, 후 및 실제 적용 사례까지 모두 검토해볼 수 있게 된다. 즉, Kirkpatrick 모형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대표적인 결과평가 모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되고 있다. Kirkpatrick 모형은, 반응(Reaction), 학습(Learning), 행동(Behavior), 결과(Results)의 4 단계로 구성된다. 반응(Reaction) 평가란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반응평가는 프로그램 종료시 실시한다. 교육주제(유용성, 흥미 등), 강사(의사소통 능력, 주제에 대한 지식 등), 교육시설(쾌적성, 편리성 등), 교육일정 등에 대한 만족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며 하나의 서술형 제안을 포함한다 설문지법, 인터뷰, 관찰의 방법으로 측정가능한데, 설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반응평가는 향후 교육 개선과 교육평가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관리자에게 향후 프로그램의 평가 기준 설정에 필요한 양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때, 반응은 집중력관리부(350) 또는 집중도측정부(370)를 통하여 반응을 측정할 수 있고, 청중 참여도, 즉 각 직원의 참여도나 응답에 따라 반응을 측정할 수도 있다.When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re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review all of the cases during, after, and practically applying the training. That is, the Kirkpatrick model can be applied, which is a representative result evaluation model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The Kirkpatrick model consists of four steps: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Reaction evaluation is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subjects with education, and reaction evaluation is carried out at the end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opics (usefulness, interest, etc.), instructors (communication skills, subject knowledge, etc.), educational facilities (comfort, convenience, etc.), training schedule, etc. are survey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one descriptive type Suggestions are included The questionnaire method,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s can be used for measurement, but the questionnaire method is the most used. Responsiveness evalu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on future education improvement and education evaluation, and provides managers with quantitat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for future programs. In this case, the reaction may measure the reaction through the concentration management unit 350 or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370, and may measure the reaction according to the audience participation, that is, each employee's participation or response.

학습(Learning) 평가란 지식 습득, 기술 증진, 태도 변화를 측정하며, 학습내용의 이해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학습평가는 교육내용과 학습한 지식, 기술, 또는 태도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며,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형식을 변형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평가형식은 지필 테스트, 태도관찰, 수행평가 등을 사용하며, 동의형 문항, 진위형문항, 선다형 문항, 문장완성 테스트, 매칭테스트 중 조합해서 사용한다. 학습평가는 지식, 기술의 증진 및 태도의 변화 측정에 목적이 있으므로 측정시기의 경우 사전지식을 보유하는 경우와 보유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측정할 수 있다. 만일 교육대상자가 교육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다면 교육을 시작할 때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교육 후에 같은 문제로 사후 테스트를 시행하여야 한다. 만일 주제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사후평가만 시행해도 된다. 학습평가는 교육을 통해 지식 습득, 기술 증진, 태도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다음 단계인 행동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학습관리부(340)에서 팝퀴즈나 이후 수료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평가를 할 수 있다.Learning evaluation is a step in which knowledge acquisition, skill enhancement, and attitude change are measured,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is evaluated. Learning evaluation includes educational content and content related to learned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and can be measured by changing the forma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the evaluation format, paper-based test, attitude observation, performance evaluation, etc. are used, and a combination of consent-type questions, true-false-type questions, multiple-choice questions, sentence completion test, and matching test is used. Learning evaluation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knowledge and skills and measuring changes in attitude, so the measurement period can be measured by dividing the case with or without prior knowledge. If the subject of education has prior knowledge about educa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education and a post-test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same problem after the education. If you do not have any knowledge of the subject, you can only conduct an ex post evaluation. Learning evaluation has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serves as a basis for objectively evaluating how knowledge is acquired, skill enhancement, and attitude change through education,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next step, behavior change. This may be evaluated while the learning management unit 340 conducts a pop quiz or a test for subsequent completion.

행동(Behavior) 평가란 교육대상자가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직무에서의 행동 변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행동평가는 설문조사와 설문지, 관찰 및 체크리스트, 작업 재검토,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의 방법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교육대상자의 직무 관련 행동을 관찰한 사람이 측정하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인 외에도 동료, 상사, 부하, 고객 등에 의해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기도 한다. 행동평가는 행동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므로 교육 종료 3-6개월 후에 실시한다. 교육 대상자들은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전까지 행동을 변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더라도 바로 행동을 실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행동변화의 발생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 행동변화는 언제나 가능하지만 또한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행동평가는 반응평가, 학습평가보다 평가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어렵지만, 이는 상술한 모니터링부(360)를 통하여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하다.Behavior evaluation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behavioral change in the job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subjec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Behavioral assessment can be measured using methods such as surveys and questionnaires, observations and checklists, task review, interviews, and focus groups. It is measured by a person who observes the job-related behavior of the subject, and to increase reliab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and analyzed from colleagues, bosses, subordinates, and customers in addition to the person himself/herself. Behavioral evaluation is carried out 3-6 months after the end of education because it requires a period for behavioral changes to appear. This is because trainees cannot change their behavior until they are given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behavior. Even if given the opportunity to apply what has been learne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timing of the behavior change in that it may not be possible to immediately execute the behavior. Behavior change is always possible, but it may not happen at all. For this reason, the behavior evaluation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evaluate than the reaction evaluation and learning evaluation, but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analyze it through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unit 360 .

결과(Results) 평가는 교육대상자가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조직에 발생하는 최종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최종 결과에는 비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가 모두 포함된다. 재무적 성과로는 생산성 증가, 품질 증가, 비용감소, 심각한 사고 빈도 감소, 판매 증가, 이직율 감소, 이익 상승이 있으며, 비재무적 성과로는 리더십, 의사소통, 동기, 시간관리, 권한분산, 의사결정, 경영변화 등이 있다. 성과가 나타날 시간이 있어야 하므로 교육 종료 후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인 6 내지 12개 월 후에 평가를 실시한다. 가능하다면 교육 전과 후 모두 평가를 실시해야 하며, 평가항목에 대한 사전, 사후 기록 및 수치를 이용할 수 있다.Results evaluation is the stage in which the final results generated by the training target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are evaluated. The end result includes both non-finan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Financial outcomes include increased productivity, increased quality, reduced costs, reduced serious accidents, increased sales, reduced turnover, and increased profits. Non-financial outcomes include leadership, communication, motivation, time management, decentralization, and decision-making. , management changes, etc. Since there must be time for the results to appear, the evaluation is conducted 6 to 12 months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period, which is a certain period of time. If possible, both before and after training should be evaluated, and pre- and post-records and figures for evaluation items are available.

이하, 상술한 도 2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utory mandat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 단말(100)로부터 상담을 받으면 담당자를 연결하거나 이메일로 응답을 하도록 하고, 신청이 접수되면 각 직원 단말(400)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를 전송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URL 또는 단축 URL을 전송한다. 그리고, (b)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직원 단말(400)에서 접속을 하는 경우, 사업장, 소속, 직원이름 등의 간단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러닝 콘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집중도를 파악하고 현재 다른 업무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를 모니터링하며, 다른 업무에 따른 이벤트, 예를 들어 다른 프로그램 구동, 키스트로크 발생, 마우스 이벤트 발생 등이 일어난다면 이를 모두 원격으로 강제종료시키고 이러닝 콘텐츠에 집중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a)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nnects a person in charge when receiving a consultation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100 or responds by e-mail, and when the application is received, each employee terminal 400 of Send a text message to a phone number to send a URL or shortened URL that allows you to install a related application or access a web page. And, (b)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simple information such as business place, affiliation, and employee name when accessing from each employee terminal 400, and then increases concentration while the e-learning content is output. Identify and monitor whether you are currently working on another task, and if an event according to another task, such as running another program, generating a keystroke, or a mouse event, occurs, force it to close remotely and focus on the e-learning content. do.

(c) 그리고,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랜덤으로 팝퀴즈를 출력하여 직원 단말(400)에서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 팝퀴즈가 추출된 부분, 즉 [영상 프레임-메타데이터-팝퀴즈-텍스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팝퀴즈가 추출된 부분의 영상 프레임 구간을 추출하여 다시 재생하도록 한다. 이때 팝퀴즈가 추출된 소스가 영상 프레임이라는 의미이지, 영상 프레임이 출력되는 구간에 팝퀴즈가 출력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팝퀴즈는 해당 구간이 종료된 후 출력되도록 동기화된다. 예를 들어, 1분 1초부터 3분까지 A 문제에 대한 배경개념, 기본지식 등을 설명했다면, A 문제(팝퀴즈)는 3분 이후, 예를 들어, 3분 1초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d) 교육 후 실제 생활에서 적용이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을 이수한 직원 중 어느 한 직원을 랜덤으로 뽑아, 입력되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음성발화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처벌대상은 아닌지, 규정대로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법정의무교육에 근거한 법에서 가장 많이 처벌되어 왔던 성별, 나이, 직급 등을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로 추출하여 가중치를 준 후 랜덤함수로 랜덤하게 뽑을 수도 있고, 아무런 가중치 없이 랜덤하게 뽑을 수도 있다.(c) And,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utputs a pop quiz at random and when the employee terminal 400 fails to respond, the part from which the pop quiz is extracted, that is, [video frame-metadata-pop quiz -Text], extract the video frame section of the part from which the pop quiz is extracted and play it again. At this time, it means that the source from which the pop quiz is extracted is an image frame, and does not mean that the pop quiz is output in the section where the image frame is output. The pop quiz is synchronized to be output after the corresponding section ends. For example, if the background concept and basic knowledge of question A were explained from 1 minute 1 second to 3 minutes, question A (pop quiz) will be set to be output after 3 minutes, for example, 3 minutes and 1 second. can In addition, (d) after training,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t is applied in real life, one of the employees who completed the training is randomly selected, and input text, photos, videos, voices, etc. a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subject to punishment You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are doing the right thing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At this time, the sex, age, rank, etc., which have been punished the most in the law based on each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can be extracted as demographic data and weighted, and then randomly selected with a random function, or randomly without any weight. .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페이지이고, 도 4b의 회사소개를 선택하는 경우 도 4c 및 도 4d와 같은 소개 페이지가 제공되고, 도 4b의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경우, 도 4e와 같은 수강신청 화면이 제공된다.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4f와 같은 샘플 강의가 출력될 수도 있고 실제로 전화문의를 한 후 신청을 한 경우에만 엑세스를 허가하여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g와 같이 강의목록을 별도로 볼 수도 있고, 도 4h와 같이 각종 법정의무교육 과정을 신청할 수도 있으며, 도 4i와 같이 각 과정을 소개하는 페이지와 이를 플레이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j는 상담을 신청하는 페이지이고, 이를 통하여 신청을 할 수도 있고 이메일이나 메신저 또는 전화상담도 가능하다. 또 도 4k와 같이 자주묻는 질문-답변을 통하여 궁금한 점을 미리 찾아볼 수도 있고, 도 4l과 같이 공지사항을 안내할 수도 있다.Figure 4a is a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sion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lecting the company introduction of Figure 4b, an introduction page as shown in Figures 4c and 4d is provided, and when the curriculum of Figure 4b is selected , a course registration screen as shown in FIG. 4E is provided. If any one of them is selected, a sample lecture as shown in FIG. 4F may be output, or it may be set to be output by allowing access only when an application is made after actually making a phone inquiry. You can view the lecture list separately as shown in FIG. 4G, apply for various legal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as shown in FIG. 4H, and provide a page for introducing each course and a page for playing it as shown in FIG. 4I. 4J is a page for requesting a consultation, through which an application can be made, and an e-mail, messenger, or phone consulta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K , you can search for questions in advance through frequently asked questions-answers, or guide announcements as shown in FIG. 4L .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FIG. 1 or easily from the described content. Since it can be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한다(S5100).5,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registers and stores e-learning content for at least on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5100).

그리고,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요청 단말에서 호(Call) 또는 이메일로 상담문의가 수신되는 경우, 법정의무교육의 종류 및 사업장 내 인원에 따른 교육안내를 전송한다(S5200).In addition,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education guid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and personnel in the workplace when a consultation inquiry is received by a call or e-mail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S5200).

또,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요청 단말에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엑세스를 허가한다(S5300).In addition, th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permits access to play e-learning content in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when the requesting terminal requests education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s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FIGS. 1 to 4 or easily from the described content Since it can be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have.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the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lso,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directly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e-learning-based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asically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cordabl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을 선택한 후 사업장 내 인원을 입력한 후 교육을 요청하는 요청 단말;
상기 요청 단말에서 선택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출력하여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요청 단말에서 호(Call) 또는 이메일로 상담문의가 수신되는 경우, 법정의무교육의 종류 및 사업장 내 인원에 따른 교육안내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요청 단말에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상기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엑세스를 허가하는 재생관리부, 상기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과 연동되는 헤드밴드형태의 비침습형 4채널 뇌파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시각 자극 기반의 연속수행검사(Simplifi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수행하여 주의집중도를 산출하고, 상기 주의집중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이러닝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되어 수료 완료 처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집중도측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상기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팝퀴즈(PopQuiz) 중 랜덤함수로 선택한 어느 하나의 팝퀴즈를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로 전송하고, 동일한 부서 내의 직원의 직원 단말로는 동일한 팝퀴즈가 출제되지 않도록 설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상기 팝퀴즈에 대한 정답을 맞출 때까지, 상기 이러닝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되어 수료 완료 처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학습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상기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과 연동된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서의 구동을 강제종료시키는 집중력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에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이러닝 콘텐츠가 재생된 후, 교육 후 실제 생활에서 적용이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업무시간 내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직원 단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느 하나의 직원 단말과 관련한 발화된 음성, 입력된 텍스트 및 입력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상기 법정의무교육을 통해 진행된 기저장된 과태료 또는 벌금 부과 대상인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요청 단말로 리포팅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이러닝 기반 법정의무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request terminal for requesting training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statutory compulsory training and inputting the number of people in the workplac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for outputting and playing the e-learning content online for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lected in the request terminal; and
A database for registering and storing e-learning contents for at least one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when a consultation inquiry is received by call or e-mail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reproduction management unit that permits access so that the e-learning content is reproduced in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when training is requested from the requesting terminal, When the e-learning content for the legal compulsory education is reproduced, the at least one By using a non-invasive 4-channel EEG measuring device in the form of a headband that is linked with an employee terminal of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for setting the e-learning content to stop playing and not process completion if less than, when the e-learning content is played on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at least one pop quiz registered in advance at a preset time interval (PopQuiz) extracts any one pop quiz selected by a random fun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sets so that the same pop quiz is not asked to the employee terminal of an employee in the same department, and the at least one employee Until the terminal answers the correct answer to the pop quiz, a learning management unit that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e-learning content so that the completion processing is not completed, when the e-learning content is reproduced in the at least one employee terminal, the at least one Concentration management unit for forcibly terminating driving in the fixed terminal or mobile terminal whe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and an application is driven in a fixed terminal or mobile terminal interlocked with an employee terminal of the at least one After the e-learning content for legal compulsory education is played on the employee terminal of Extracting one employee terminal,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the spoken voice, input text, and input image related to the extracted any one employee terminal is a pre-stored fine or a statutory mandat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a fine is imposed and reporting to the requesting terminal;
An e-learning-based legal compulsory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40563A 2021-03-29 2021-03-29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KR102418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63A KR102418472B1 (en) 2021-03-29 2021-03-29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63A KR102418472B1 (en) 2021-03-29 2021-03-29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472B1 true KR102418472B1 (en) 2022-07-08

Family

ID=8240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563A KR102418472B1 (en) 2021-03-29 2021-03-29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4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70B1 (en) * 2023-08-11 2024-04-24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231A (en) * 2012-07-18 2014-01-28 양승호 Problem-bank type online eval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with individually designed questions
KR20190028045A (en) *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듀코젠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2914B1 (en) * 2018-01-30 2019-07-23 한종현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for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KR102167797B1 (en) * 2020-03-09 2020-10-19 최명기 TEB Platform
KR20210001419A (en)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제이앤비즈 Us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view consulting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231A (en) * 2012-07-18 2014-01-28 양승호 Problem-bank type online eval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with individually designed questions
KR20190028045A (en) *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듀코젠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2914B1 (en) * 2018-01-30 2019-07-23 한종현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for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KR20210001419A (en)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제이앤비즈 Us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view consulting service
KR102167797B1 (en) * 2020-03-09 2020-10-19 최명기 TEB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70B1 (en) * 2023-08-11 2024-04-24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eeler et al. Effects of immediate feedback delivered via webcam and bug-in-ear technology on preservice teacher performance
Blayone et al. Ready for digital learning? A mixed-methods exploration of surveyed technology competencies and authentic performance activity
Danitz et al. The mindful way through the semester: Evaluating the impact of integrating an acceptance-based behavioral program into a first-year experience course for undergraduates
Saldert et al. Conversation partner training with spouses of persons with aphasia: A pilot study using a protocol to trace relevant characteristics
Usher et al. Online vs. on-campus higher education: Exploring innovation in students' self-reports and students' learning products
Randolph et al. The impact of iCoaching on teacher-delivered opportunities to respond
Greisel et al. Pre-service teachers’ evidence-informed reasoning: Do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facilitate the use of scientific theories to analyze teaching problems?
Mirra et al. The overwhelming need: How the unequal political economy shapes urban teachers’ working conditions
KR102418472B1 (en)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Šerić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tudent behavior: A cross-national perspective
Lugo et al. Advocacy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f school-bas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Vivante et al. Examining science teachers' engagemen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 multimodal situated perspective
McGraw et al. Activating teaching dispositions in carefully constructed contexts: Examining the impact of classroom intensives
Barthakur et al. Challenges in Assessments of Soft Skills: Towards Unobtrusive Approaches to Measuring Student Success
Wang et al. The effects of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social cognitive career group counseling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Zawacki et al. The use of remote monitoring to increase staff fidelity of protocol implementation when working with adults with autism
Watson et al. Self-monitoring to support the goals of students with autism on college campuses
Owiny Virtual coaching in Guatemala: Can it be effective for changing targeted teacher behaviors?
Qi et al. Fostering noticing in prospective teachers through a video-based course: Results of an intervention study from China
Cawthon et al. Professional preparedness and perspectives on transition for individuals who are deaf or hard-of-hearing
Syvan et al. Principles for successful employment integration of people with HF-ASD
Brenya Higher education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bout approaches to teaching in a blended learning mode in a developing country
Yousif Examining engineering & technology students' acceptance of network virtualization technology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saud et al.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student self-regulatory strategi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olquhoun Proposed Coding Structure to Comparing Self-Reported Digital Technology Competence and Observed Performance dur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Tasks. A Report Prepared in Partial Requir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Master of Education Program at the Ontario Tech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