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69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69B1
KR102054969B1 KR1020130068412A KR20130068412A KR102054969B1 KR 102054969 B1 KR102054969 B1 KR 102054969B1 KR 1020130068412 A KR1020130068412 A KR 1020130068412A KR 20130068412 A KR20130068412 A KR 20130068412A KR 102054969 B1 KR102054969 B1 KR 10205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frame
humidification
humidifie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805A (ko
Inventor
이병필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 기능뿐만 아니라, 냉기를 송풍하여 실내 냉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가습기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가습용 물의 저장이 가능한 수조; 송풍팬에 의해 이동하는 송풍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송풍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가 삽탈가능한 틀로 구성되며,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필터부재는 가습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되고, 냉방이 이루어지는 냉방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에 저장된 냉각제를 냉각시킨 후 상기 가습필터가 제거된 상기 필터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냉방기능의 수행 시 가습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가습기에 의하면, 냉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장치의 활용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 기능뿐만 아니라, 냉기를 송풍하여 실내 냉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수증기를 내어 실내의 습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그러나, 가습기는 겨울철과 같이 건조한 환경에서는 실내 습도를 높이기 위해 활용성이 높으나, 여름철과 같이 다습한 환경에서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습기의 여름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728호(2011.11.17.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433호(2003.07.23.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454호(2011.01.18.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0543호(2003.01.06.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기능뿐만 아니라 냉방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가습용 물의 저장이 가능한 수조; 송풍팬에 의해 이동하는 송풍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송풍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가 삽탈가능한 틀로 구성되며,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필터부재는 가습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되고,
냉방이 이루어지는 냉방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에 저장된 냉각제를 냉각시킨 후 상기 가습필터가 제거된 상기 필터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냉방기능의 수행 시 가습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제는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격자형태 또는 지그재그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가습필터 대신에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냉각제가 주입 및 배출되는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에 저장된 상기 냉각제가 융해되면 융해된 냉각제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조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필터프레임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필터프레임에 저장된 상기 냉각제의 충전 및 교체 시기를 알리는 알림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냉방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장치의 활용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포함된 필터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필터프레임에 가습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필터프레임이 냉방용으로 사용될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필터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필터프레임에 가습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필터프레임이 냉방용으로 사용될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하우징(110), 전면패널(120), 송풍팬(130), 수조(140), 물통(150), 필터부재(160) 및 필터프레임(170)을 포함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필터(180)와, 상기 필터프레임(17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0)와, 냉각제의 충전 및 교체를 알리는 알림부(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130)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송풍팬(13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20)은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덮도록 구성되며, 실내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습용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150)은 가습용 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수조(140)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조(140)에 가습용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60)는 후술할 필터프레임(17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통기성을 가진다.
이러한 필터부재(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130)에 의해 이동하는 송풍공기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송풍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재(160)는 가습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160)가 가습필터로 구성된 경우, 필터부재(160)는 하단 일부가 수조(140)에 침지되도록 배치되어, 수조(140)에 저장된 가습용 물을 흡수할 수 있고, 필터부재(160)를 통과하는 송풍공기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에서, 필터부재(160)는 가습필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프레임(170)은 하우징(110) 내부에서 송풍팬(130)에 의해 이동하는 송풍공기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송풍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필터프레임(170)은 내부에 냉각제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프레임(170)은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필터프레임(170)은 파이프가 절곡되거나, 복수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필터프레임(170)의 내부에 저장되는 냉각제는 필터프레임(17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에서, 필터프레임(170)의 내부에는 물이 충전될 수 있으며, 필터프레임(170)에 충전된 물은 별도의 냉각장치를 통해 얼음상태로 냉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에서, 냉각제는 얼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 주위의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유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필터프레임(170)은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격자형태 또는 지그재그형태로 구성되어, 필터프레임(170)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게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프레임(17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72)와 수직파이프(174)가 연결되어 격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필터프레임(170)의 형태는 격자형태 또는 지그재그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하는 송풍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자유로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냉각제가 저장된 필터프레임(170)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제에 의해 냉각된 필터프레임(170)과 접촉하여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터프레임(170)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필터프레임(170)이 파이프로 구성된 경우, 필터프레임(170)에는 냉각제가 주입 및 배출되는 주입구(17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필터프레임(170)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모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터프레임(170)을 구성하는 파이프가 모두 연통된 경우, 주입구(176)를 통해 필터프레임(170) 전체에 냉각제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필터프레임(170)은 필터부재(160)가 삽탈가능한 틀을 구성하여, 형태가 유연한 필터부재(16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필터프레임(170)이 냉각제를 저장한 상태로 송풍공기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필터프레임(170)과 송풍공기가 열교환하며 송풍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가습필터 또는 공기정화필터(18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프레임 기능과 함께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기능도 가진다.
사용자는 여름철과 같이 덥고 습한 환경에서, 실내 가습은 필요하지 않고 실내 냉방이 필요한 경우, 가습기(100)에서 가습필터를 배제하고, 필터프레임(170)에 물을 충전한 후 냉장고를 통해 냉각시키고, 얼음이 저장된 상태의 필터프레임(170)을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냉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프레임(170)은 내부에 저장된 냉각제(물)이 융해되면 융해된 냉각제(물)이 주입구(176)를 통해 수조(140)로 저장되도록, 주입구(176)가 수조(140)를 향해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융해된 냉각제는 수조(140)에 저장되어 냉각제의 처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80)는 특별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예로, 프리 필터(181), 미디엄 필터(182), 탈취 필터(183) 및 헤파 필터(1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190)는 필터프레임(17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프레임(170)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온도센서(190)는 상기 알림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알림부(200)는 온도센서(190)에서 측정한 필터프레임(17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필터프레임(170)에 저장된 냉각제의 충전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가습기 110 : 하우징
112 : 토출구 120 : 전면패널
122 : 흡입구 130 : 송풍팬
140 : 수조 150 : 물통
160 : 필터부재 170 : 필터프레임
172 : 수평파이프 174 : 수직파이프
176 : 주입구 180 : 공기정화필터
190 : 온도센서 200 : 알림부

Claims (11)

  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가습용 물의 저장이 가능한 수조;
    송풍팬에 의해 이동하는 송풍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송풍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가 삽탈가능한 틀로 구성되며,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필터부재는 가습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되고,
    냉방이 이루어지는 냉방기능 수행의 경우,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에 저장된 냉각제를 냉각시킨 후 상기 가습필터가 제거된 상기 필터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냉방기능의 수행 시 가습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에 냉각제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격자형태 또는 지그재그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냉각제가 주입 및 배출되는 주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내부에 저장된 상기 냉각제가 융해되면 융해된 냉각제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조로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필터프레임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필터프레임에 저장된 상기 냉각제의 충전 및 교체 시기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가습필터 대신에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30068412A 2013-06-14 2013-06-14 가습기 KR10205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12A KR102054969B1 (ko) 2013-06-14 2013-06-14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12A KR102054969B1 (ko) 2013-06-14 2013-06-14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05A KR20140145805A (ko) 2014-12-24
KR102054969B1 true KR102054969B1 (ko) 2019-12-12

Family

ID=5267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412A KR102054969B1 (ko) 2013-06-14 2013-06-14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9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33Y1 (ko) * 2003-04-04 2003-07-23 (주)인택가전 냉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43A (ko)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엘티에스 아이스 쿨러
KR101119591B1 (ko) 2009-07-10 2012-03-09 성우전자주식회사 선풍기
KR20110010728U (ko) 2010-05-11 2011-11-17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33Y1 (ko) * 2003-04-04 2003-07-23 (주)인택가전 냉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05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80403A (ja) 加湿水冷ファン
JP2018036045A (ja) 外部温度を上昇させないで殺菌機能を含む除湿装置
JP2016020782A (ja) 気化式空気調和機
KR101231485B1 (ko) 가습, 제습 및 난방 기능이 있는 창호 시스템
JP2012042150A (ja) 冷風機
JP2017040443A (ja) 冷暖風送風機
US9599354B2 (en) Evaporative HVAC apparatus
KR101231306B1 (ko)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KR102054969B1 (ko) 가습기
CN206113185U (zh) 冷凝水再利用家用空调
US10443870B2 (en) Evaporative HVAC apparatus
US10343489B2 (en) Evaporative HVAC apparatus
KR101680696B1 (ko) 산업용 크린룸 설비(ICR, industrial clean room) 내의 헤파필터 교체 알림 시스템
CN212930603U (zh) 一种冰箱内部气流用除湿装置
CN203771607U (zh) 一种多功能空气调节器
KR20140074672A (ko) 열재생 제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기
JP7109763B2 (ja) 冷風装置
KR200466518Y1 (ko) 냉풍기
JP2011052885A (ja) 空気調和機
CN209116504U (zh) 一种制冷设备的保护装置
CN103822323A (zh) 一种多功能空气调节器
KR101619464B1 (ko)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CN210624781U (zh) 一种带有多孔陶瓷加热体的风扇
CN220624220U (zh) 空调室内机
CN102252498B (zh) 一种常温态湿度控制存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