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306B1 -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306B1 KR101231306B1 KR1020120035245A KR20120035245A KR101231306B1 KR 101231306 B1 KR101231306 B1 KR 101231306B1 KR 1020120035245 A KR1020120035245 A KR 1020120035245A KR 20120035245 A KR20120035245 A KR 20120035245A KR 101231306 B1 KR101231306 B1 KR 101231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window
- window frame
- heat exchange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창호에서 전열교환, 자연 공기정화, 제습, 가습, 난방을 겸해서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및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가습장치는 발열부, 배출부, 열전도발산부, 송풍장치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및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가습장치는 발열부, 배출부, 열전도발산부, 송풍장치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창호에서 전열교환, 자연 공기정화, 제습, 가습, 난방을 겸해서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채광·환기·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창호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는 시공시 단열재를 사용하여 실내외의 열교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있으므로 실내의 열손실은 대개 창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창호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될 경우 복창으로 형성하여 내창과 외창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도록 설계하고 있다.
물론 최근에는 단창을 설치하되 창에 설치되는 유리를 이중으로 겹치는 페어글라스가 사용되어 단일유리보다는 단열효과를 대폭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또한 이중의 유리사이를 일정길이 이격시키고 이격된 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등록 0654401호에서는 착탈이 가능한 환풍수단이 구비된 다기능 환기창호를 제시한 바 있다. 이 선행기술은 내창과 외창을 하나로 형성한 프레임의 일측에 흡배기공을 형성하여 창을 개방하지 않고서 실내외의 공기흡배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환기창호를 제시한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프레임과 내창 및 외창이 최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측에 송풍기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흡배기공의 댐퍼조절에 의해 흡배기공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창과 외창 사이의 공간으로 실내외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실내외의 흡배기가 수동의 조작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여 조작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직접 실내로 유입됨으로 황사, 미세먼지, 유해성분이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식은 실내의 열 또는 냉기를 외부에 그냥 방출하게 되어 에너지 손실이 막대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급속한 산업발전과 실내 생활의 확대 그리고 창호를 통한 범죄가 증가하는 등에 있어 심화되고 있는 대기오염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그대로 유입하기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유해한 상황으로 발전되어 창호를 통한 환기에 지장을 주고 실내 공기 오염은 환경 질병을 유발하여 환기에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대기오염과 방범 및 안전 문제에도 불구하고 하절기에는 창호의 환기 역할이 그런데로 효력이 있으나 동절기에는 실내 온도를 급격히 저하시키는 등의 이유로 창을 통한 환기가 쉽지 않아 공기청정기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공기청정기의 역할 또한 이러한 상황을 제치고 쾌적한 실내 공기의 유지에는 한계가 있는 복합적인 상황이어서, 기존 창호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기대는 단열성과 방음성 그리고 수밀성만으로는 부족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는 특히 습도가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주택에서는 별도로 가습기를 구비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에 이르러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또한 실내의 난방시스템 특히 주택의 경우에는 온돌 구조를 이루고 있거나 중앙난방을 하는 경우에도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물 변경 등의 추가 시공없이 창호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기존의 주택과 건물에 간편히 시공할 수 있는 전열교환장치가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창문을 열지 않고도 자연통풍기능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황사, 매연, Mist 등의 같은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어 대기오염도가 높을 때에도 창문을 열지 않고도 자연통풍식의 공기정화기능이 있으면서도 대기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열교환기능 또는 자연통풍식의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계절별 특성에 맞는 환기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창호 시스템에서는 볼 수 없는 실내에 가습을 할 수 있거나, 제습을 할 수 있으며, 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및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복합형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실내공기정화기능, 가습기능, 제습기능 또는 난방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가습장치는 발열부, 배출부, 열전도발산부, 송풍장치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부가함에 따라 구조물 변경 등의 추가 시공 없이 창호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기존의 주택과 건물에 간편히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황사, 매연, Mist 등의 같은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어 대기오염도가 높을 때에도 창문을 열지 않고도 자연통풍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전환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전열교환기능 또는 자연통풍식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계절, 날씨, 대기오염도의 변화에 따른 실내의 환기 기능을 전천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내에 별도의 제습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내에 별도의 가습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서도 높은 가습효과를 창출하며 특히 창호틀에 번식할 수 있는 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여 청소가 거의 필요없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실내에 별도의 난방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난방기능을 수행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 제습 또는/및 난방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 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그 기능을 자유 자재로 선택할 수 있어 전천후 실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부가 창호틀에 형성되어 있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상기한 전열교환기능 및 공기정화기능을 점검하고 필터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하며 제습기능, 가습기능 또는/및 난방기능을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입체 모형도.
도 3은 전열교환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유입유로 환기구와 유출유로 환기구가 횡면 창호틀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유입유로 환기구와 유출유로 환기구가 횡면 창호틀에 형성된 것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환장치가 구비된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환장치가 구비된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c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전환장치가 구비된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 및 가습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통풍구 및 유출통풍구, 중앙제어부 등이 창호틀에 형성된 도면.
도 8b도 8b발명에 따른 유입통풍구 및 유출통풍구가 창호틀에 형성된 입체 모형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가습장치.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개념도.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발열부의 개념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탈부착형 열전도발산부.
도 15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점검부가 형성된 창호 시스템.
도 16은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점검부의 작동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적 창호 시스템의 개념도.
도 18,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복합적 창호 시스템의 모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입체 모형도.
도 3은 전열교환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유입유로 환기구와 유출유로 환기구가 횡면 창호틀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유입유로 환기구와 유출유로 환기구가 횡면 창호틀에 형성된 것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환장치가 구비된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환장치가 구비된 자연통풍형의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c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전환장치가 구비된 창호틀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 및 가습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통풍구 및 유출통풍구, 중앙제어부 등이 창호틀에 형성된 도면.
도 8b도 8b발명에 따른 유입통풍구 및 유출통풍구가 창호틀에 형성된 입체 모형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가습장치.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된 개념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개념도.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발열부의 개념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탈부착형 열전도발산부.
도 15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점검부가 형성된 창호 시스템.
도 16은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 중 점검부의 작동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적 창호 시스템의 개념도.
도 18,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복합적 창호 시스템의 모형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창문을 열지 않고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열교환하여 에너지 소모 없이 환기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을 열지 않고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자연통풍으로 환기시키되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를 높여주는 가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난방기구 없이 실내에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창호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구비하여 열교환이 가능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창호 시스템이라 함은 일반적인 건물, 가건물 또는 주택에 설치된 창문이나 문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어 실내외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열교환이 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창호틀에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창호가 통상적으로 4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전제하에 창호는 통상 4개의 창호틀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4개의 창호틀로 이루어진 창호의 어느 하나 이상의 창호틀에 그 내부가 2개의 통로로 구획되어 있다.
2개의 통로 중 하나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를 유출유로라고 한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통로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하는데 이를 유입유로라고 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전열교환장치가 창호틀에 설치되는 경우에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는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열교환장치는 통과하는 유체의 열을 교환하는 장치 또는 수단의 총체를 의미한다.
전열교환장치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열교환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뜨거운 유체와 찬 유체가 이 열교환판을 통하여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열교환장치(110)는 유입부(111)와 유출부(112)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고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는 상기한 열교환판(113)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입부와 유출부에 각기 열함량이 다른 유체가 이동할 때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열교환장치는 일반적으로 열교환을 목적으로 제조되고 사용되는 통상의 전열교환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열교환장치가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의 공기가 유출유로를 통과하고 전열교환장치의 유출부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외부의 공기는 창호틀의 유입유로를 통과하여 전열교환장치의 유입부를 통과하면서 실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실내의 따뜻하고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신선하고 찬 외부의 공기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에도 실내의 차고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신선하고 따뜻한 외부의 공기의 열을 빼앗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실내에서 냉방이나 온방을 실시하여 실내와 외부와 온도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창호를 열어서 환기하지 않아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에너지 손실(열손실 또는 냉방손실)을 잃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틀의 유입유로 또는/및 유출유로에 송풍장치(120)를 구비하여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유통을 촉진하게 할 수 있다.
송풍장치는 통상의 모터를 구비한 송풍기 또는 압축기 등을 채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창호를 통하여 공기를 환기시키는 효과를 보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는 가로 또는 세로의 창호틀(100) 하나에 유입유로(10) 및 유출유로(20)를 형성하고 여기에 전열교환장치(110)를 구비하고 송풍장치(120)를 구비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상기한 창호틀에 유입유로 환기구(11, 12) 및 유출유로 환기구(21, 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입입로 환기구 및 유출유로 환기구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환기가 되게 되는 작용을 한다.
즉, 유입유로 환기구의 기능은 실외의 공기가 실외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유로 환기구(11)를 통하여 창호틀에 유입되고 전열교환장치를 통과하여 실내 방향으로 형성된 유입유로 환기구(12)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유출유로 환기구의 기능은 실내의 공기가 실내 방향으로 형성된 유출유로 환기구(21)를 통하여 창호틀에 유입되고 전열교환장치를 통과하여 실외 방향으로 형성된 유출유로 환기구(22)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의 수평틀에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의 수평틀에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환기구의 면적이 수직틀에 형성된 경우보다 더 크게 될 수가 있어 환기 효율이 증대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수평틀에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하나의 창호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실시예는 수직틀에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수평틀은 수직틀에 연장되는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틀에 유입유로 환기구(11, 12) 및 유출유로 환기구(21, 2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수평틀과 수직틀에 형성된 각각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는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수직틀의 전열교환장치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진 유입공기와 유출공기가 수평틀의 유입유로 환기구 및 유출유로 환기구를 통하여 유입되고 배출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틀 형성되어 있는 유출유로 상에 유출유로 필터부(114)가 구비되어 있을 수가 있어 공기를 정화하여 유입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는 유입유로 환기구, 즉 외부와 접촉하는 환기구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유입유로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유로상의 필터부는 통상의 공기정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차단부는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에서 전열교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차단하게 해주고 또는 유통하게 해주는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유로 차단부(13) 및 유출유로 차단부(23)가 형성된 것은 하나의 예시이다.
유입유로 차단부 및 유출유로 차단부는 창호틀 외부에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창호틀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차단부는 개폐문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개폐문에 대한 개폐작동장치를 부가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는 차단부는 어떠한 형태나 구성이라도 유입유로와 유출유로를 흐르는 공기를 차단하고 유통하게 해주는 것은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유입유로 환기구 및 유출유로 환기구의 개폐를 하게 하는 장치도 본 발명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의 차단부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전열교환 창호시스템의 송풍기,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의 차단부 등에 대한 작동 제어를 간편하고 쉽게 할 수 있도록 창호의 외부에 제어 장치를 부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창호틀에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여 황사, 포그 또는 박무가 발생하는 경우 창호문을 열지 않고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면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창호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풍구(210)가 형성된 창호틀(200)이 구비된다. 도 5의 예는 수평틀에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틀 내부에 공기정화장치(31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정화장치의 의미는 가스상 또는 입자상의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공기정화장치로는 통상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필터, 액체를 분사하여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러버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틀 내부에 필터부(310-1)를 구성하여 공기정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부는 외부 공기가 통과되면서 자동적으로 정화되면서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는 자동차 또는 생활용품 등과 같은 통상의 공기정화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는 오래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필터부에 송풍장치를 구비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자연 통풍력에 인위적인 통풍력을 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송풍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어 창호틀을 통과하는 자연풍의 흐름이 센 경우에는 별도로 송풍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인위적인 통풍력을 가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송풍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송풍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틀에 전환장치(300)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환장치의 기능은 전열교환 창호 시스템의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창호 시스템의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환장치라 함은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에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해주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환장치는 어떤 시스템이나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의 전환을 이루게 할 수 있는 장치나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상기한 전열교환기능 또는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즉, 전열교환기능은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면서 실내의 공기가 함유하고 있는 열을 전달해주거나 또는 열을 빼앗는 기능을 하고 공기정화기능은 순수히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그 공기를 정화하여 유입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능이 수행될 때에는 공기정화기능을 할 수 없게 하고 자연적인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때에는 전열교환기능이 수행될 수 없도록 하는 장치로서 전환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처럼 본 발명의 전환장치는 상기한 전열교환장치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과 공기정화 창호 시스템을 서로 연계시켜 주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열교환기능 또는 공기정화기능을 선택하게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환장치는 도 6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틀에 결합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전열교환 창호 시스템과 공기정화 창호 시스템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틀에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환장치가 창호틀에 구비된 것이 큰 기술적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전환장치(300)는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 사이에는 필터부(3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b의 예에서는 하기할 전환장치통풍구에 필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경우에 필터부가 형성되는 곳은 외부와 접하는 창호틀의 통풍구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유통부와 제2유통부의 의미는 상기한 통풍구를 통하여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저류시키거나 유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로와 같은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환장치에서 통풍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전환장치통풍구(3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창틀의 통풍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전환장치통풍구란 전환장치에 형성된 제1유통부 또는 제2유통부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환장치의 제1유통부는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에 형성된 유입유로와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환장치의 제2유통부는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에 형성된 유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에 형성된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유입유로 환기구 및 유출유로에 연결되는 유출유로 환기구는 통풍구가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전환장치의 제1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입개폐장치(32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환장치의 제2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출개폐장치(3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전환장치의 내부에는 필터부 개폐장치(3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장치들 모두는 문 또는 차단기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로를 막거나 열어 주는 기능을 하는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개폐장치들에는 개폐 여부를 제어하게 하고 전열교환기능과 공기정화기능을 선택하게 하는 개폐제어장치(340)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창호틀 외부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개폐제어장치는 통상의 기계적 수단 또는 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제어장치는 MCU(micro control unit) 또는 전기회로,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장치에서 개폐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메카니즘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유입개폐장치와 유출개폐장치를 열게 하는 경우 필터부 개폐장치는 닫게 하도록 한다. 또한 그 반대로 유입개폐장치와 유출개폐장치를 닫게 하는 경우 필터부 개폐장치는 열리게 한다.
이와 같은 개폐제어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전열교환 창호 시스템과 공기정화 창호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과 작용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개폐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메카니즘 작용을 상기한 개폐제어장치(340)로서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환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하기할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창호틀에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구성되는 경우 이들과 연계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복합형 전환장치(300-1)인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형 전환장치는 상기한 전환장치와 유사하나 필터부가 실내에 접하는 전환장치통풍구에 장착된 점과 그 작동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형 전환장치는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전환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창호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장치 및 공기정화장치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창출된다.
도 6c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복합형 전환장치는 필터부(310-1)가 전환장치통풍구(35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환장치통풍구에 필터부(310-1)가 장착되어 있고,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 사이에는 필터부 개폐장치(3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합형 전환장치의 제1유통부(320)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구성되는 창호틀의 유입통풍구(5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틀에 형성된 유입통풍구가 복합형 전환장치의 전환장치통풍구에 접촉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전환장치의 제1유통부는 제1내부순환개폐장치(321-1)가 구비되고 제2유통부는 제2내부순환개폐장치(331-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수직 창호틀에 장착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와의 공기유통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의 복합형 전환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은 아래와 같다.
도 6c에서 보는 것처럼 필터부 개폐장치가 닫히는 경우 제1내부순환개폐장치는 열리고 제2내부순환개폐장치는 닫히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를 통과하는 실내의 공기는 정화되면서 도 7b의 수직창호틀로 유입되고 유출통풍구(520)로 배출되어 실내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수직 창호틀에 장착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를 가동하지 않고 송풍장치만 가동하는 경우 실내공기는 순환되면서 정화되는 것이다.
또한 수직 창호틀에 장착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를 가동하면서 하는 경우 공기정화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기능은 주로 봄, 겨울철에 실내공기만 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용하게 수행된다.
또한 필터부 개폐장치가 열리는 경우 제1내부순환개폐장치는 닫히고 제2내부순환개폐장치도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수직 창호틀에 장착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외의 공기를 정화시켜서 실내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필터부 개폐장치, 제1내부순환개폐장치 및 제2내부순환개폐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에 대한 제어는 상기한 개폐제어장치 또는 이러한 개폐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중앙제어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제어부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제어장치를 모두 구비하여 모든 장치를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복합형 전환장치에 의한 작용으로 공기정화기능, 실내공기만의 공기정화기능, 제습기능, 가습기능 또는 난방기능을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사용자가 창호의 문을 열지 않고도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도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창호의 문을 열지 않고도 실외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공기정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열교환기능 또는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형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의 문을 열지 않고도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문을 열지 않고도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필터링 기능을 구비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만을 순환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능과 자연 공기정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형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를 제거해주는 제습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되어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7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장치(600)는 수직틀(500)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수평틀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창호틀에 실내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구(510, 5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처럼 통풍구는 유입통풍구(510)와 유출통풍구(5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통풍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경우 하나의 통풍구로 구성될 수 있다.
통풍구의 의미는 실내의 공기가 통과하여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구멍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유입통풍구로 실내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제습장치를 통과하여 습기가 제거되어 다시 유출통풍구로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제습장치는 통상의 제습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습장치는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시켜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의 제습장치는 실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개방된 통로에 설치된 필터, 상기 필터의 전면에 위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로 구성된다.
아울러, 열교환기에 냉매가 순환토록 하는 압축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을 거쳐 응축수는 저장하는 수조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필터의 전면에 위치되어 흡입된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수분을 응결토록 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토출된 공기에 열을 제공하는 응축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한 증발기와 같은 냉각 장치를 통과할 때 수분이 응결되게 하는 작용을 하는 어떠한 제습장치 또는 제습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는 제습형 필터를 본 발명의 제습장치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습장치는 창호틀에 장착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하되 열교환기의 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제습장치가 바람직하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습장치가 창호틀에 장착되어 있어 응축수가 생성되는 제습장치인 경우에 창호틀의 하단에 물받이 수조(61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조의 응축수를 제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장치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측정수단이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습도측정수단은 통상의 습도측정센서, 습도측정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는 제습제어장치가 부가 구성될 수 있어 측정된 습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습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습제어장치는 통상의 CPU, MCU(Micro Controller Unit), 전자회로 또는 전자기 회로가 구성된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장치는 실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부 및 습도상황을 보여주는 모니터부가 구비된 중앙제어부(900)가 창호틀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습 기능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창호틀에 가습장치를 장착하여 실내의 습도를 높여주는 기능을 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7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장치(700)는 수직틀(500)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수평틀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은 창호틀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통풍구는 유입통풍구(510)와 유출통풍구(5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통풍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경우 하나의 통풍구로 구성될 수 있다.
통풍구의 의미는 실내의 공기가 통과하여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구멍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유입통풍구로 실내공기가 가습장치로 유입되고 가습장치는 습기를 생성하여 유출통풍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시킨다.
본 발명에서 가습장치는 물분자의 결합에너지를 끊어서 물분자가 기체상태로 되어 대기중으로 포함되게 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통상적인 가열장치로 이용되는 가열식, 초음파 방식 또는 이들을 혼합한 복합형 그 어느 것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가습장치는 물통로를 통과하는 물을 히터로 가열하고 이것을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발생한 초음파를 통하여 기체의 물분자로 만들어 대기 중으로 송풍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창호틀에 장착된 가습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창호틀에 수도관과 연결된 물공급관을 구성하여 가습장치에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창호틀에 별도의 수조(710)와 펌프를 구비하여 가습장치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한 가습장치가 부피가 작고 가습 성능이 매우 우수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가습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은 창호틀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일반적인 가습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창호틀 내부가 건조되지 않아 곰팡이, 세균 등의 미생물이 서식하여 실내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창호틀 내부에 가습장치를 장착하여도 상기와 같은 미생물 발생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 있는 가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롭게 개발된 가습장치를 구비하여 창호틀에 장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열전소자 또는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열전소자형 가습장치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된다.
열전소자라 함은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열전소자는 회로의 안정화와 열, 전력, 빛 검출 등에 사용하는 서미스터,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냉동기나 항온조 제작에 사용되는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소자 중에 특히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사용함에 특징이 있다.
펠티에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가습장치(700)는 발열부(720), 배출부(730), 열전도발산부(740), 송풍장치(760)로 구성되어 있다.
발열부는 물유입관(770)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때 발열부는 상기한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열전소자에 발열을 하게 하는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발열부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열부는 열을 발산하게 된다. 통상 열전소자에 의한 발열은 40~70도씨 정도로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발열부는 전원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발열부의 한 예로 도 12에서 보는 것처럼 내부가 텅빈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공간부을 형성하는 물수조가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어 가열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서 보는 것처럼 내부의 텅빈 공간부에 물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겹겹의 판들로 이루어진 접촉확장부(721)가 형성될 수 있어 가열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확장부는 열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접촉확장부에서도 가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통상의 수도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물통에서 연결되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유입관에 밸브(771)를 구비하여 발열부로의 물 유입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출부는 발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발열부에서 가열된 물이 배출부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배출부는 물을 분출하는 노출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많은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하나의 예이며,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인 가열된 물이 구멍 등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태도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출부는 발열부와 같이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배출부 자체에서도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출부는 발열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수가 있다. 배출부는 하기할 바와 같이 열전도발산부와 많은 부분이 접촉되어 있어 열전도발산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배출부와 함께 발열부와 탈부착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출부와 발열부의 탈부착은 통상적인 탈부착 수단을 채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인 탈부착 수단이란 방수기능을 구비하여 결합과 탈착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열장치는 열전도발산부가 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열전도발산부는 배출부의 미세한 구멍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물의 표면적을 급격히 확장시키면서 이 표면적이 확장된 물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를 의미한다.
물의 표면적을 확장시킨다는 의미는 상기 가열된 물의 접촉면적을 넓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에서 보는 것처럼 열전도발산부는 다수의 판들이 겹겹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배출되는 물이 이 다수의 판들에 접촉하여 기화되는 속도를 증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발산부의 하나의 예로써 도 14에서 보는 것처럼 열전도발산부는 원통형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삼각, 사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기둥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도발산부는 상기한 배출부에 쉽게 부착하고 탈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열전도발산부가 오래 사용하여 교환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매우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4에서 보는 것처럼 열전도발산부는 탄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다 개구부(741)를 형성함에 따라 배출부에 용이하게 결합하고 탈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필요시 상기한 배출부와 함께 교환할 경우에는 함께 가습장치에서 탈리시켜 교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열전도발산부는 발열부 및 배출부와 접촉되어 있어서 발열부 및 배출부에서 발산하는 열을 전도 받아 그 자체로 열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발산부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전도발산부에 접촉한 가열된 물은 표면적이 현저히 증대되고 뿐만 아니라 열전도발산부의 전도열에 의한 가열 기능이 수행되어 물의 기화는 매우 현저하게 증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물의 잠열과 포화수증기압을 이용한 것으로서 종래의 가습장치에서는 볼 수 없는 현저히 높은 가습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 송풍장치(760)에서 불어주는 바람에 의하여 물의 기화 속도는 매우 급격히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가습장치에 적외선소독장치(750)를 부가하여 열전도발산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한다.
적외선소독장치는 통상의 적외선소독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열전도발산부를 향해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적외선소독장치는 열전도발산부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창호틀 내부의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열부에로의 물유입 여부와 그에 가열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습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가습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물유입관 밸브는 다음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습도측정수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에 따라 물유입관 밸브를 열어 가습장치에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자동적인 물공급은 물유입관 밸브로 솔레노이드 밸드 등을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물공급에 따라 발열부를 가동시키도록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이 공급되면서 가습 작용은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습도측정수단에 의하여 원하는 습도에 도달하였을 경우 물공급은 중단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습장치에 남아 있는 물을 완전히 기화시키기 위하여 발열부는 계속 가동하도록 하게 한다.
계속 가동하는 시간은 사용자의 필요(예를 들어 3~60분 정도 더 가열)에 의하여 상기한 가습제어장치에 타이머 기능을 추가하여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습제어장치에 의한 제어작용에 의하여 가습장치 내의 물을 완전히 기화시켜 가습장치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가습제어장치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장치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측정수단이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습도측정수단은 통상의 습도측정센서, 습도측정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는 가습제어장치가 부가 구성될 수 있어 측정된 습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습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제어장치는 통상의 CPU, MCU(Micro Controller Unit), 전자회로 또는 전자기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된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실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부 및 습도상황을 보여주는 모니터부가 구비되고 가습제어장치가 구비된 중앙제어부(900)가 창호틀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가습장치의 중앙제어부는 상기한 제습장치의 중앙제어부와 함께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틀에 난방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실내의 난방이 가능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창호의 수평틀에 난방장치(800)를 장착하여 유입통풍구(510)로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히터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유출통풍구(520)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줌으로써 난방이 가능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통상적인 전기히터, 라디에이터, 벽걸이 히터 등과 같은 통상의 히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난방장치에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수단이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온도측정수단은 통상의 온도센서, 온도측정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장치에는 난방제어장치가 부가 구성될 수 있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난방장치를 가동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통상의 CPU, MCU(Micro Controller Unit), 전자회로 또는 전자기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된 제어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실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부 및 온도상황을 보여주는 모니터부가 구비된 중앙제어부(900)가 창호틀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가 있다.
상기한 바처럼 난방장치의 중앙제어부는 상기한 제습장치 또는/및 가습장치의 중앙제어부와 함께 장착되어 있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제습장치, 가습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없어도, 이와 같은 기능들을 단순한 창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난방장치가 하나의 수직 창호틀(500)에 모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창호틀에 모두 장착하는 이유는 창호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상기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난방장치를 창호틀에 설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점검 및 교환이 용이하며 하나의 송풍장치로 3가지 장치의 송풍장치로 모두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창호틀 내부는 구획되어 있고 기능전환통풍구(5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전환통풍구에는 기능전환개폐장치(5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7b의 실시예는 왼쪽 구획에는 난방장치가 장착되고, 오른쪽 구획에는 윗쪽에 가습장치 아래쪽에는 제습장치가 장착된 사례이다.
따라서 위에 설치된 기능전환개폐장치에 의한 기능전환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능전환통풍구가 열리는 경우, 아래쪽에 설치된 기능전환통풍구는 기능전환개폐장치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위쪽 기능전환통풍구가 닫히는 경우 아래쪽 기능전환 통풍구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으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가습장치와 제습장치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방장치를 가동할 경우에는 위쪽 기능전환통풍구를 닫고 아래쪽 기능전환통풍구를 열어서 가동하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난방할 수가 있다.
상기한 기능전환개폐장치는 기능전환개폐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기능전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이와 같은 제어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에 대한 중앙제어부의 제어장치에 부대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제어부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제어장치를 모두 구비하여 모든 장치를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수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난방장치가 하나의 수직 창호틀(500)에 모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창호틀에 모두 장착하는 이유는 창호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상기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난방장치를 창호틀에 설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점검 및 교환이 용이하며 하나의 송풍장치로 3가지 장치의 송풍장치로 모두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창호틀 내부는 구획되어 있고 기능전환통풍구(5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전환통풍구에는 기능전환개폐장치(5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7b의 실시예는 왼쪽 구획에는 난방장치가 장착되고, 오른쪽 구획에는 윗쪽에 가습장치 아래쪽에는 제습장치가 장착된 사례이다.
따라서 위에 설치된 기능전환개폐장치에 의한 기능전환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능전환통풍구가 열리는 경우, 아래쪽에 설치된 기능전환통풍구는 기능전환개폐장치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위쪽 기능전환통풍구가 닫히는 경우 아래쪽 기능전환 통풍구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으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가습장치와 제습장치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방장치를 가동할 경우에는 위쪽 기능전환통풍구를 닫고 아래쪽 기능전환통풍구를 열어서 가동하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난방할 수가 있다.
상기한 기능전환개폐장치에 대한 기능전환 제어는 앞서 설명한 제습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에 대한 중앙제어부의 제어장치에서 제어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창호틀에 점검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상기한 제습, 가습 또는 히터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검사하고 수리하고 교환할 수 있는 기능과 작용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점검부는 도 15에서 보는 것처럼 창호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습장치, 가습장치, 난방장치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점검부는 창호틀 본체프레임(4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부분프레임(420)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창호틀로서 기능하지만 점검이 필요할 때는 부분프레임을 창호틀 본체프레임에서 탈리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점검이 끝난 후에는 다시 창호틀 본체프레임에 결합시켜 완전한 창호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점검부의 부분프레임과 창호틀 본체프레임과의 탈부착수단은 통상의 탈부착수단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못 등과 같은 탈부착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분프레임을 창호틀 본체프레임과 나사, 못 등을 결합하고 나서 점검시에는 나사, 못 등을 빼서 부분프레임을 탈착하여 점검하고 다시 나사, 못 등을 박아 결합하게 한다.
또한 통상적인 암놈과 수놈의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수단 또는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부분프레임을 창호틀 본체프레임의 탈부착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7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은 전열교환기능, 자연통풍식 공기정화기능, 제습기능, 가습기능 또는/및 난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창호 시스템의 개념도를 보게 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창호틀과 수직 창호틀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유입통풍구, 유출통풍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창호틀 내부에는 전열교환기능, 자연통풍식 공기정화기능, 제습기능, 가습기능 또는/및 난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기능이 장착된 수평 창호틀 또는 수직 창호틀이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 창호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는 건물 등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 창호틀과 수직창호틀의 조립식 구성은 통상의 창호 시스템의 조립식 구조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창호에 본 발명의 다기능 장치인 전열교환장치, 공기정화장치, 제습장치, 가습장치 또는/및 난방장치를 장치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창호를 제작, 판매, 시공하는 산업분야 및 건설 분야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자재, 건축자재를 제작, 판매, 유통하는 산업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분야, 에너지 기술의 산업분야에도 적용되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10 : 창호틀 유입유로 11, 12 : 유입유로 환기구
13 : 유입유로 차단부
20 : 창호틀 유출유로 21, 22 : 유출유로 환기구
23 : 유출유로 차단부
100 : 창호틀(수직) 110 : 전열교환장치
111 : 전열교환장치 유입부 112 : 전열교환장치 유출부
113 : 열교환판 114 : 유출유로 필터부
120 : 송풍장치 200 : 창호틀(수평)
210 : 통풍구 300 : 전환장치
300-1 : 복합형 전환장치
310 : 공기정화장치 310-1 : 필터부
311 : 필터부 개폐장치
320 : 제1유통부 321 : 유입개폐장치
321-l : 제1내부순환개폐장치
330 : 제2유통부 331 : 유출개폐장치
331-1 : 제2내부순환개폐장치
340 : 개폐제어장치 350 : 전환장치통풍구
400 : 점검부 410 : 부분프레임
420 : 본체프레임
500 : 수직 창호틀 510 : 유입통풍구
520 : 유출통풍구 530 : 기능전환개폐장치
531 : 기능전환통풍구
610 : 제습장치 물받이 수조 700 : 가습장치
710 : 가습장치 수조 720 : 발열부
721 : 접촉확장부 730 : 배출부
740 : 열전도발산부 741 : 개구부
750 : 적외선 소독장치 760 : 송풍장치
770 : 물유입관 771 : 밸브
800 : 난방장치 900 : 중앙제어부
13 : 유입유로 차단부
20 : 창호틀 유출유로 21, 22 : 유출유로 환기구
23 : 유출유로 차단부
100 : 창호틀(수직) 110 : 전열교환장치
111 : 전열교환장치 유입부 112 : 전열교환장치 유출부
113 : 열교환판 114 : 유출유로 필터부
120 : 송풍장치 200 : 창호틀(수평)
210 : 통풍구 300 : 전환장치
300-1 : 복합형 전환장치
310 : 공기정화장치 310-1 : 필터부
311 : 필터부 개폐장치
320 : 제1유통부 321 : 유입개폐장치
321-l : 제1내부순환개폐장치
330 : 제2유통부 331 : 유출개폐장치
331-1 : 제2내부순환개폐장치
340 : 개폐제어장치 350 : 전환장치통풍구
400 : 점검부 410 : 부분프레임
420 : 본체프레임
500 : 수직 창호틀 510 : 유입통풍구
520 : 유출통풍구 530 : 기능전환개폐장치
531 : 기능전환통풍구
610 : 제습장치 물받이 수조 700 : 가습장치
710 : 가습장치 수조 720 : 발열부
721 : 접촉확장부 730 : 배출부
740 : 열전도발산부 741 : 개구부
750 : 적외선 소독장치 760 : 송풍장치
770 : 물유입관 771 : 밸브
800 : 난방장치 900 : 중앙제어부
Claims (7)
-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고,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되,
상기 전환장치는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가 형성되고, 통풍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전환장치통풍구(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입개폐장치(321)가 장착되어 있고, 제2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출개폐장치(3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환장치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고,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되,
상기 전환장치는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가 형성되고, 통풍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전환장치통풍구(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입개폐장치(321)가 장착되어 있고, 제2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출개폐장치(3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환장치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으며,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되,
상기 전환장치는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가 형성되고, 통풍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전환장치통풍구(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입개폐장치(321)가 장착되어 있고, 제2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출개폐장치(3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환장치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 실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유출유로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상기 유출유로와 유입유로가 형성된 창호틀에 전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방출팬이 구성되고 상기 유입유로에 유입팬이 구성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능을 보유하고,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창호틀과, 선택적으로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틀의 내부에 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틀은 유입통풍구와 유출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되 실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호틀의 내부에 제습 장치, 가습장치 및 난방장치가 어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고,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열교환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되,
상기 전환장치는 제1유통부(320)와 제2유통부(330)가 형성되고, 통풍구(210)와 접하는 부분에는 전환장치통풍구(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입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입개폐장치(321)가 장착되어 있고, 제2유통부와 전열교환장치가 장착된 창호틀의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곳에 유출개폐장치(3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환장치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습장치는 발열부, 배출부, 열전도발산부, 송풍장치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창호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형 전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실내공기정화기능, 가습기능, 제습기능 또는 난방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5245A KR101231306B1 (ko) | 2012-04-05 | 2012-04-05 |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5245A KR101231306B1 (ko) | 2012-04-05 | 2012-04-05 |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1306B1 true KR101231306B1 (ko) | 2013-02-07 |
Family
ID=4789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5245A KR101231306B1 (ko) | 2012-04-05 | 2012-04-05 |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130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7049B1 (ko) | 2015-05-20 | 2015-11-06 | 반채범 | 열교환 자동 환기시스템이 설치되는 이중창호 |
CN107990427A (zh) * | 2017-05-28 | 2018-05-04 | 袁功峰 | 环窗框式室内空调机 |
KR101877723B1 (ko) * | 2017-08-07 | 2018-07-12 | 노수영 |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
KR102078925B1 (ko) * | 2018-09-21 | 2020-02-1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호형 환기 장치 |
US20220298786A1 (en) * | 2021-03-22 | 2022-09-22 | IntEGrA D&C Inc. | Integrated modular smart facade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7781Y1 (ko) * | 1995-12-30 | 1999-10-01 | 전주범 | 가습기 |
KR20030087872A (ko) * | 2002-05-10 | 2003-11-15 | 주식회사 이지음 | 창문형 환기장치 |
KR20090056443A (ko) * | 2007-11-30 | 2009-06-03 |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
KR20100081452A (ko)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
-
2012
- 2012-04-05 KR KR1020120035245A patent/KR1012313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7781Y1 (ko) * | 1995-12-30 | 1999-10-01 | 전주범 | 가습기 |
KR20030087872A (ko) * | 2002-05-10 | 2003-11-15 | 주식회사 이지음 | 창문형 환기장치 |
KR20090056443A (ko) * | 2007-11-30 | 2009-06-03 |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
KR20100081452A (ko)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건축과 환경 |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7049B1 (ko) | 2015-05-20 | 2015-11-06 | 반채범 | 열교환 자동 환기시스템이 설치되는 이중창호 |
CN107990427A (zh) * | 2017-05-28 | 2018-05-04 | 袁功峰 | 环窗框式室内空调机 |
KR101877723B1 (ko) * | 2017-08-07 | 2018-07-12 | 노수영 |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
KR102078925B1 (ko) * | 2018-09-21 | 2020-02-1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호형 환기 장치 |
US20220298786A1 (en) * | 2021-03-22 | 2022-09-22 | IntEGrA D&C Inc. | Integrated modular smart facade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6650B2 (en) |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 |
KR101231485B1 (ko) | 가습, 제습 및 난방 기능이 있는 창호 시스템 | |
KR101083866B1 (ko) | 냉난방 기능이 일체화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 |
JP4051487B2 (ja) | ヒートポンプ式シャワーブース | |
KR101231306B1 (ko) |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 |
CN104061630B (zh) | 单元式新风处理机 | |
KR20130013576A (ko) |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 |
JP2008039374A (ja) | 換気空調装置 | |
JP4735573B2 (ja) | 換気空調装置 | |
KR20090087560A (ko) | 가습기와 제습기를 내장한 공기청정기 | |
KR20110105037A (ko) | 냉난방 기능이 일체화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 |
US20080028775A1 (en) | Method and Device Enabling Defined Temperature and Hygrometric Conditions to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Inside Premises | |
JP4683548B2 (ja) | デシカント式換気装置 | |
KR102497520B1 (ko) | 환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컨 | |
KR101162973B1 (ko) | 제습기능이 구비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 |
CN105864933B (zh) | 具有水平交叉流间接蒸发制冷装置的空调机组 | |
KR102324917B1 (ko) | 욕실 설치형 소형 에어컨 | |
KR100504136B1 (ko) | 개방형 다공성 금속을 이용한 냉각탑 겸용 증발식 공조장치 | |
WO2006035827A1 (ja) | 換気装置及び建物 | |
US10343489B2 (en) | Evaporative HVAC apparatus | |
CN109059141A (zh) | 地面调温与新风温度调节除湿联动的室内气候调节系统 | |
US9845960B2 (en) | Evaporative HVAC apparatus | |
KR20180107494A (ko) | 통합 세대 환기장치 | |
RU2657992C1 (ru) |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й квартиры | |
KR20030030472A (ko) | 환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