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728U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728U
KR20110010728U KR2020100004939U KR20100004939U KR20110010728U KR 20110010728 U KR20110010728 U KR 20110010728U KR 2020100004939 U KR2020100004939 U KR 2020100004939U KR 20100004939 U KR20100004939 U KR 20100004939U KR 20110010728 U KR20110010728 U KR 201100107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umidifier
space
air
hydrox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4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728U/ko
Publication of KR20110010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습기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측방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방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공간부로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 발생기와,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어 하부가 수용되는 물에 잠기고 상부가 상기 흡기구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수산기가 하부로부터 전달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에 강하고 세척이 용이한 천연 삼베류의 섬유를 기화필터로 적용함과 아울러 공기가 흐르는 과정에서 와류나 정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화필터의 사용기간을 장기화할 수 있고, 내부에 이물질이 쉽게 끼지 않아 빈번한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중에 수분을 뿜어내는 기구로써, 가습기는 물을 전기 히터로 가열하여 그 가열된 수증기를 내뿜어 습도를 조절하는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그 진동으로 생기는 물 입자를 이용 한 초음파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뿐 아니라, 공기의 흐름으로 물을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기화식 가습기 및 복합식 가습기 등도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기화식 가습기는 공기대류를 이용해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의 가습기로서, 제품에 따라 전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 제품과, 팬을 이용해 회전하는 디스크 드럼 등에 부착된 수분에 공기를 불어 넣어주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의 제품으로 나뉜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는 공기 흐름으로 물을 증발시켜 습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가습기 주변이 눅눅해지는 일이 없고, 물속에 포함된 입자가 큰 먼지나 불순물은 분사되지 않으며 가습 거리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는 기화필터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고 수명이 짧아 필터의 교체시기가 빠른 단점과, 공기의 배출방향이 측방을 향하는 것들이 있어 찬 공기가 사용자에게 바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류나 정체현상에 의해 공기의 자연스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끼어 청소시기를 앞당기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이 용이한 삼베섬유를 기화필터로 적용하여 필터의 교환주기를 장기화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와류나 정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빈번한 유지관리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장치의 동작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측방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방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공간부로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 발생기와,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어 하부가 수용되는 물에 잠기고 상부가 상기 흡기구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수산기가 하부로부터 전달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구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먼지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하로 개방된 격자 형태의 틀을 이루는 필터 고정구 및, 상기 필터 고정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기화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고정구는,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공간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필터 고정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공간부 벽면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화필터는 삼베류의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에 강하고 질긴 삼베 종류의 섬유를 기화필터로 사용함으로써, 기화필터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교체 주기를 장기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향 배출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와류나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가습기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류나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먼지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청소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화된 공기가 가습기의 측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찬 공기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 내부와 필터 고정구의 형상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해 요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 내부와 필터 고정구의 형상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해 요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습기(100)는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230)가 형성되고, 측방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211)가 형성되며, 상방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221a)가 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공간부(230)로 수산기(OH)를 발생시키는 수산기 발생기(300)와, 공간부(230)에 장착되어 하부가 수용되는 물에 잠기고 상부가 상기 흡기구(211)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기(300)에서 발생되는 수산기가 하부로부터 전달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필터부(400) 및, 상기 필터부(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흡기구(2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2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5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는, 원, 사각, 다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는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케이스(210)와,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케이스(2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210)는 일정 량의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의 기능과, 필터부(4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20)는 팬(50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흡기구(211)는,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의 연결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흡기구(211)에는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공간부(2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먼지필터(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필터(212)는, 흡기구(211)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 적용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흡기구(211)를 사각 홀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먼지필터(212)도 그와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흡기구(211)에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역으로 사용 기간이 다 되었을 때에는 흡기구(211)로부터 빼내어 세척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배기구(221a)는, 상부케이스(220)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공간부(230)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향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20)의 상부 면을 분리가능하게 덮개(221)로 구비시키고, 상기 덮개(221)에 상기 배기구(221a)를 다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덮개(221)를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221)가 설치되는 홀을 통해 팬(500)을 분리시켜 청소한 후, 청소가 완료된 팬(500)을 용이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팬(500)이 동작할 때 본체(200)의 측방에 형성된 흡기구(21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230)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가 공간부(23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기구(221a)를 통해 외부로 상향 배출된다. 이때, 흡기구(211)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은 먼지필터(212)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필터부(400)의 구성은, 하부케이스(210)의 공간부(230) 내에 설치되며, 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하로 개방된 격자 형태의 틀을 이루는 필터 고정구(410) 및, 상기 필터 고정구(4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기화시키는 기화필터(4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고정구(410)는 본체(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고정구(410)와 하부케이스(210)의 벽면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고정구(410)의 하단이 하부케이스(210)에 형성된 공간부(230)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상단이 상부케이스(220)의 하단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화필터(420)는, 오염이 많이 된 경우 빼내서 세척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화필터(420)는 삼베류의 섬유를 이용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베류의 섬유는, 물에 강하고 질긴 삼베류의 섬유로 되어 있어 세척이 용이하며, 자연친화적이어서 유해 물질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
수산기 발생기(300)는, 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산기(OH)를 발생시키며, 이때 생성된 수산기는 기화필터(420)와 물이 위치되는 하부케이스(210)의 공간부(230)로 전달된다.
상기 수산기(OH)는, 대기권의 오존(O3)이 자외선과 만나면 광화학 작용으로 오존이 깨어져 일어나는 전리 현상으로, 산소 원자(O) 1개가 떨어져 나와 대기권 중에서 수증기(H2O)로부터 수소 원자(H+)와 결합하여 인체에 무해한 수산기(OH)를 생성하게 된다. 즉, 수산기 발생기(300)로부터 발생되는 수산기가 물에 포함된 나쁜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해(살균소독)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팬(500)은, 상부케이스(220)의 공간부(230)에 구동축이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날개(520)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팬(500)은 상부케이스(220)의 상부에 구비된 덮개(221)의 개방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가습기는 팬(50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전원 공급시 모터가 날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수산기 발생기(300)가 공간부(230)로 수산기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흡기구(2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이 먼지필터(212)에 의해 걸러지면서 공간부(2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30)로 유입되는 공기는 날개의 회전동작에 의해 배기구(22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공간부(230)의 하부에 수용된 물은 수산기 발생기(300)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기화필터(420)에 의해 걸러지면서 증발되고, 이 증발되는 수분은 날개의 회전동작에 의해 공기와 함께 배기구(221a)를 통해 상향 배출되는 작동순서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물에 강하고 질긴 삼베 종류의 섬유를 기화필터(420)로 사용함으로써, 기화필터(420)의 교체 주기를 장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향 배출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와류나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가습기(100)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류나 정체가 발생하지 않아 먼지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청소도 용이하다.
또한, 기화된 공기가 가습기의 측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찬 공기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가습기(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가습기 200: 본체
210: 하부케이스 211: 흡기구
212: 먼지필터 220: 상부케이스
221: 덮개 221a: 배기구
230: 공간부 300: 수산기 발생기
400: 필터부 410: 필터 고정구
420: 기화필터 500: 팬
510: 모터 520: 날개

Claims (6)

  1. 물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측방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방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공간부로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수산기 발생기;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어 하부가 수용되는 물에 잠기고 상부가 상기 흡기구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수산기가 하부로부터 전달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먼지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물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하로 개방된 격자 형태의 틀을 이루는 필터 고정구; 및
    상기 필터 고정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기화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배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구는,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공간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필터 고정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공간부 벽면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필터는, 삼베류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2020100004939U 2010-05-11 2010-05-11 가습기 KR201100107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39U KR20110010728U (ko) 2010-05-11 2010-05-11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39U KR20110010728U (ko) 2010-05-11 2010-05-11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28U true KR20110010728U (ko) 2011-11-17

Family

ID=7288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939U KR20110010728U (ko) 2010-05-11 2010-05-11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728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805A (ko) 2013-06-14 2014-12-2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160126811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2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0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3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4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3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298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2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805A (ko) 2013-06-14 2014-12-2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160126811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2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0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3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4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3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298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2A (ko) * 2015-04-24 2016-11-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728U (ko) 가습기
KR101003912B1 (ko) 물 분사식 팬 장치에 의한 공기정화기와 그 정화방법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JP2011145031A (ja) 加湿機
JP2012032058A (ja) 加湿装置
KR101754474B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JP2008039327A (ja) 加湿装置
KR100728248B1 (ko) 공기청정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KR102107164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240123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CN113260444B (zh) 空气净化装置
KR100690064B1 (ko) 공기청정기
CN209181150U (zh) 一种便捷式空气净化器
KR101806603B1 (ko) 휴대용 에어워셔
KR20130092038A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20200086972A (ko) 가습기
KR101902788B1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JP2011137605A (ja) 加湿機
JP2011158104A (ja) 加湿機
JP5812080B2 (ja) 加湿装置
KR200429518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KR20130066316A (ko)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JP2011017502A (ja) 加湿用回転体洗浄方法及びそれを実行する加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