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303A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303A
KR20160127303A KR1020150058360A KR20150058360A KR20160127303A KR 20160127303 A KR20160127303 A KR 20160127303A KR 1020150058360 A KR1020150058360 A KR 1020150058360A KR 20150058360 A KR20150058360 A KR 20150058360A KR 20160127303 A KR20160127303 A KR 2016012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humidifying
fixing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031B1 (ko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05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공기청정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와, 가습필터를 수조 내부에 고정하는 필터고정프레임과, 필터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가습필터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 및 유입라인에 구비되어 유입된 외부공기를 안내하고, 유입라인을 통한 물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공기를 가습 및 정화하고, 휴대가 용이한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가습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흔히 '에어 워셔(Air washer)' 또는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공기청정가습기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에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불어넣으면,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이 디스크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획된 다음 수조 안의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기존의 공기청정가습기는 복수의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 모양이 원 기둥 형태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와, 이 디스크 조립체의 상부에 송풍팬을 배치한 형태로서, 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흡입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 사이로 통과 유도함으로써,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막에 포획되어 수조에 고인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고, 이렇게 하여 깨끗해진 공기는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공기와 함께 케이스의 토출그릴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1-0035520호(공개일:2011.04.06)에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접촉됨으로써, 실내공기를 가습 및 정화할 수 있고, 소형으로 휴대가 용이한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라인에 의해 가습효율과 공기흐름을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제품의 넘어짐 시 물이 쏟아지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와, 상기 가습필터를 수조 내부에 고정하는 필터고정프레임과,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가습필터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 및 상기 유입라인에 구비되어 유입된 외부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유입라인을 통한 물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라인은 상기 수조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에 형성되는 연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의 둘레에는 식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접촉됨으로써, 실내공기를 가습 및 정화할 수 있고, 소형으로 휴대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단순한 조립구조에 의해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설치브라켓에 급수라인이 구비되어 물 급수가 용이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라인의 연통홀부가 필터고정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가습효율과 공기흐름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부재에 의해 제품이 넘어질 때 물이 쏟아지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모든 외부공기가 프리필터를 거쳐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필터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슈라우드와 그릴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색상 및 형상을 변경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부의 작동에 연동되는 라이팅부가 구비되어 작동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그릴의 착탈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그릴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프리필터 장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프리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기밀케이스의 장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라이팅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작동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그릴의 착탈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그릴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프리필터 장착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프리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하우징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기밀케이스의 장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본체부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라이팅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를 보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작동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는 가습부(100) 및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가습부(1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110)와, 수조(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120) 및 가습필터(120)를 상기 수조(110) 내부에 고정하는 필터고정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수조(110)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된다. 이는 육안으로 수위를 체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물론, 수조(110)는 불투명으로 형성되느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창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습필터(120)는 수조(11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접촉된다. 이러한 가습필터(120)는 섬유, 펄프 등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고정프레임(130)은 내부에 가습필터(120)가 수용되고, 수조(110)와 본체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필터고정프레임(130)의 하단부는 제1연결부(131)에 의해 수조(110)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제2연결부(134)에 의해 본체부(200)와 결합된다.
제1연결부(13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132)으로 이루어져 필터고정프레임(130)의 회전에 의해 수조(110)와 필터고정프레임(130)이 결합되고, 제2연결부(134)는 본체부(200)의 하단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5)와 걸림돌기(135)와 결합되도록 필터고정프레임(13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36)를 포함한다. 걸림홈부(136)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200)의 하강에 의해 진입되고,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가습부(100)는 본체부(200)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140)을 포함한다. 유입라인(140)은 필터고정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된다.
유입라인(14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와 필터고정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부(142) 및 유입부(142)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필터고정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연통홀부(144)를 포함한다.
유입부(142)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조(110)내에 관형상의 필터고정프레임(130)이 수용되고, 수조(110)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직경차이로 발생되는 틈새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고정프레임(130)에는 유입부(142)를 확보하고, 유입된 외부공기가 연통홀부(144)로 안내되게 하는 격벽부재(145)가 구비된다. 연통홀부(144)는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중간부위에 형성되고, 격벽부재(145)는 연통홀부(144)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부재(145)는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수조(11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조(110) 내부에서 필터고정프레임(13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부재(145)에 의해 유입부(14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모두 연통홀부(144)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연통홀부(144)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중간부위에 위치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다. 즉, 가습필터(120)는 수조(110)의 물을 흡수하게 되는데, 너무 많은 물을 흡수할 경우, 공기흐름을 저해하게 되므로, 연통홀부(144)를 중간부위에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가습필터(120)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가습효율과 공기흐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격벽부재(145)의 둘레에는 식별부재(145a)가 구비된다. 식별부재(145a)는 육안으로 뚜렷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색상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조(11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수조(110)의 수위한계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부재(145)는 수조(110)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수조(110)가 기울어질 경우에 물 쏟아짐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유입부(14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릴(150)이 형성된다.
그릴(150)은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프레임(130)으로부터 착탈부(152)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152)는 필터고정프레임(130)과 그릴(150)에 상호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밀착편(154)과, 밀착편(154)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캡(155)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캡(155)의 내측면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다.
밀착편(154)은 결합안내부(157)에 의해 상호 일치되어 필터고정프레임(130)과 그릴(15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결합안내부(157)는 밀착편(15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일치홀(158) 및 일치홀(158)에 삽입되도록 밀착편(15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일치돌기(159)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캡(155)의 내면에는 밀착편(154)을 가압하는 가압리브(156)가 형성된다. 가압리브(156)는 밀착편(154)을 긴밀히 밀착시킴으로써, 그릴(150)의 유동을 방지하고, 그릴(150)과 필터고정프레임(130) 사이를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외부공기가 유입부(142)를 통하지 않고, 필터고정프레임(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그릴(150)과 필터고정프레임(130)은 단턱부(160)에 의해 밀착된다. 단턱부(160)는 그릴(150)과 필터고정프레임(130) 결합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그릴(15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그릴(150)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단부가 수조(110)의 상단부에 접촉된다. 이로서, 유입부(14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그릴(150)을 거쳐 유입되게 된다.
유입라인(140)은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170)를 포함한다.
필터부(170)는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부(144)를 커버하는 프리필터(171)를 포함한다. 이때, 연통홀부(144)는 다각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필터부(170)는 연통홀부(144)에 대응되도록 각 면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단위필터(172)가 상호 연이어 형성된다.
단위필터(172)는 개구홀을 갖는 지지프레임(172a)과, 개구홀을 커버하는 망부재(172b)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필터(172)는 경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프리필터(171)는 각각의 단위필터(172)가 연이어 연결되어 띠 형상으로 이루며, 연통홀부(144)의 둘레를 감싸 연통홀부(144)를 커버한다.
프리필터(171)는 연통홀부(144)에 고정되는 체결부(173)를 포함한다. 체결부(173)는 필터부(17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재(174)와, 제1체결부재(174)와 체결되도록 프리필터(171)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재(175)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터부(170)는 장착부(180)에 의해 연통홀부(144)에 장착된다. 장착부(180)는 연통홀부(144)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필터부(170)의 상하면이 접하는 가이드리브(182)와, 연통홀부(144)에서 필터부(170)의 정위치를 설정하고 유지시키는 정위치설치부(185)를 포함한다.
가이드리브(182)는 연통홀부(144)와 같이 다각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리필터(171)의 상면에 접하므로써, 연통홀부(144)와 프리필터(171)의 틈새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모두 망부재(172b)를 경유하여 유입되도록 한다.
정위치설치부(185)는 연통홀부(144)에 돌출 형성되는 정위치돌기(186)와, 정위치돌기(186)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프리필터(171)에 형성되는 정위치고정홀(187)을 포함한다. 정위치돌기(186)와 정위치고정홀(187)은 상하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어 프리필터(171)의 장착 시 프리필터(171)가 수평을 유지하게 한다.
가습필터(120)는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190)에 의해 보호되고, 필터고정프레임(130) 내에서 유동이 방지된다. 필터하우징(190)은 가습필터(120)의 측면을 감싸는 그릴케이스부(192)와, 가습필터(12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받침플레이트(195)를 포함한다. 그릴케이스부(192)의 상단면에는 가습필터(120)의 상단 가장자리와 접하는 플랜지(196)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습필터(120)의 측면 둘레는 그릴케이스부(192)가 접하고, 상하면은 각각 플랜지(196)와 받침플레이트(195)가 접하여 가습필터(120)의 모든 부위를 보호하여 가습필터(12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그릴케이스부(192)는 가습필터(120)의 하단부를 감싸는 강성그릴부(193)와, 가습필터(120)의 상단부를 감싸는 노출그릴부(194)를 포함하고, 노출그릴부(194)는 강성그릴부(193)보다 가습필터(120)와의 접촉부위가 적게 형성된다. 즉, 강성그릴부(193)에는 작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노출그릴부(194)는 다수의 접촉편으로 형성되어 가습필터(120)의 상단부에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많은 면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이때, 가습필터(120)는 복수개의 필터편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필터편은 하나의 필터편이 지그재그방식으로 접어져 형성된다.
필터하우징(190)은 가습필터(120)의 둘레를 감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터하우징(190)은 각각 대응하는 부위가 후크결합되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측면에는 필터하우징(190)의 외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돌기부(137)가 형성된다. 유동방지돌기부(137)는 강성그릴부(193)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필터하우징(190)의 유동을 방지하며, 필터하우징(190)과 필터고정프레임(130) 사이를 다소 이격시킴으로써, 가습필터(120)가 원활하게 물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본체부(200)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220)과, 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토출시키는 송풍부(223) 및 송풍부(2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송풍부(223)에 의해 가습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2) 및 유입구(212)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214)를 포함한다.
본체부(200)는 가습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송풍부(223)의 작동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유입라인(140)을 통해 측면으로 유입되어 본체부(200)의 상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구(214)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슈라우드(225)가 구비된다. 토출구(214)는 설치브라켓(220)과 하우징(210) 사이 간격으로 형성되고, 슈라우드(225)는 설치브라켓(220)의 둘레면에 결속부(226)에 의해 결속된다. 이러한 슈라우드(225)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토출구(214)를 통해 토출되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확산시킨다.
결속부(226)는 설치브라켓(2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속홈(227)과, 결속홈(227)에 결합되도록 슈라우드(225)에 형성되는 결속후크(228)를 포함한다.
설치브라켓(220)에는 하우징(210)의 내면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레그(222)가 형성된다.
설치브라켓(220)의 하부에는 송풍부(223)가 구비되고, 송풍부(223)는 제어부(240)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32) 및 구동모터(232)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부재(234)를 포함하며, 하우징(210)에는 팬부재(234)의 회전시 손가락 유입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그릴(215)이 형성된다.
제어부(240)는 설치브라켓(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밀케이스(242)와, 기밀케이스(242)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44) 및 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어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245)를 포함한다.
기밀케이스(24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로기판(244)이 안착된다. 이때, 설치브라켓(220)의 저면은 기밀케이스(242)의 상부를 커버한다. 그리고, 설치브라켓(220)에는 기밀케이스(242)의 측면 상단 일부와 접하는 물유입방지리브(224)가 형성된다. 즉, 물유입방지리브(224)는 설치브라켓(2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급수라인(260)으로 공급되는 물이 제어부(2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밀케이스(242)의 내부에는 이온화장치(243)가 구비된다. 이온화장치(243)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각종 세균과 곰팡이, 악취 분자를 제거할 수 있다.
기밀케이스(242)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끼움결속부(250)에 의해 고정되고, 끼움결속부(250)는 하우징(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편(252) 및 걸림편(252)이 끼움결합되도록 기밀케이스(242)에 형성되는 끼움편부(254)를 포함한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편부(254)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걸림편(252)이 삽입되므로써, 상호 연결되고, 설치브라켓(220)의 결합레그(222)와 일치되어 체결부재(256)에 의해 한번에 결합된다.
스위치부(245)는 설치브라켓(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즉, 설치브라켓(220)의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회로기판(244)에 신호를 전달하여 송풍부(223)를 구동시킨다. 이때, 스위치부(245)의 터치방식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브라켓(220)에는 수조(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260)이 구비된다.
급수라인(260)은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22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볼록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만곡부(262)와, 만곡부(26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물을 안내하는 급수가이드(264) 및 급수가이드(264)의 물을 수조(110)로 전달하는 하방급수가이드(266)를 포함한다.
급수가이드(264)는 하방급수가이드(266)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만곡부(262)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하방급수가이드(266)측으로 안내한다. 이때, 슈라우드(225)는 급수라인(260)의 급수가이드(264)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방급수가이드(266)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2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264)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밀착리브(264)는 하방급수가이드(266)와 외측을 격리시켜 하방급수가이드(266)를 통해서만 수조(110)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한 제어부(240)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송풍부(223)는 구동모터(232)와 팬부재(234)를 포함하며, 구동모터(232)는 모터고정브라켓(270)에 의해 기밀케이스(242)의 저면에 고정된다. 모터고정브라켓(270)은 결합부(272)에 의해 기밀케이스(242)에 결합된다. 결합부(272)는 모터고정브라켓(27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기밀케이스(242) 측면에 밀착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접촉리브부재(273)와, 접촉리브부재(273)를 기밀케이스(242)에 결속시키는 결합부재(274)를 포함한다. 이때, 기밀케이스(242)의 측면에는 접촉리브부재(273)가 안내되는 안내홈부(275)가 형성되고, 안내홈부(275) 중 대각방향에 위치한 안내홈부(275)에는 결합공이 결속되는 가고정돌기(275a)가 형성된다.
가고정돌기(275a)는 접촉리브부재(273)의 진입방향으로 경사면에 형성되어 접촉리브부재(273)의 진입만으로 결합공과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안내홈부(275) 중 대각방향에 형성되는 가고정돌기(275a)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대각방향의 결합공에 결합부재(274)가 결합되므로써, 완전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200)에는 본체부(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라이팅부(280)가 구비된다. 라이팅부(280)는 도 16과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고, 내면에 블랙코팅되어 노출창(284)이 구비되는 커버캡(282) 및 커버캡(282)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상황을 노출창(284)을 통해 표시하는 조명부(287)를 포함한다.
노출창(284)은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캡(28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전원토출창(285)과 기능에 따라 조명부(287)의 다른 발광모션을 노출하는 기능노출창(28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명부(287)는 전원토출창(285)과 기능노출창(286)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다. 특히, 기능노출창(286)과 대응되는 조명부(287)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200)의 작동상황에 따라 발광모션이 변경된다.
즉, 가습량을 조절하기 위해 팬부재(234)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팬부재(234)의 구동속도에 따라 기능노출창(286)을 통해 발광모션의 속도도 가감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작동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습공기청정기(1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100)를 조립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의 내부에 필터고정프레임(1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연통홀부(144)에는 필터부(170)가 장착된 후 삽입된다.
필터부(170)는 띠 형상의 프리필터(171)로 이루어지고, 프리필터(171)의 정위치고정홀(187)을 정위치돌기(186)에 일치시켜 삽입시킨 후 체결부(173)에 의해 결합시킨다. 이때, 프리필터(171)의 상하면은 가이드리브(182)에 접한상태로 장착된다.
이처럼 필터부(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고정프레임(130)은 수조(110)에 삽입되어, 제2연결부(134)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수조(110)에 고정된다. 필터고정프레임(130)의 결합으로 인해 수조(110)의 내측면과 필터고정프레임(130) 사이에는 유입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필터고정프레임(130)에는 격벽부재(145)가 구비되어 유입부(142)롤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연통홀부(144)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142)는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한 그릴(150)에 의해 커버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릴(150)은 착탈 가능한 구조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그릴(150)을 적용하여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측에는 가습필터(120)가 삽입된다. 가습필터(120)는 필터하우징(190)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된다. 즉, 가습필터(120)의 둘레를 필터하우징(190)의 커버하여, 가습필터(120)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필터고정프레임(130) 내에 삽입된다.
이후,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를 조립한다. 하우징(210)의 내부에 송풍부(223)와 제어부(240)를 결합한다.
먼저, 기밀케이스(242)의 하부에 송풍부(223)를 결합한다. 즉, 구동모터(232)는 팬부재(234)와 결합되고, 모터고정브라켓(270)에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고정브라켓(270)은 기밀케이스(242)의 저면에 결합부(272)에 의해 결합된다. 즉, 모터고정브라켓(270)에 구비되는 접촉리브부재(273)가 기밀케이스(242)의 안내홈부(275)에 삽입되고, 안내홈부(275) 중 대각방향의 안내홈부(275)에는 가고정돌기(275a)가 형성되어 접촉리브부재(273)를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274)에 의해 완전결합된다.
따라서, 기밀케이스(242)의 하부에 송풍부(223)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밀케이스(242)를 하우징(210)에 결합한다. 먼저, 기밀케이스(242)의 내부에는 회로기판(244)이 구비되고, 회로기판(244)은 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밀케이스(242)의 내부에는 이온화장치(243)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밀케이스(242)는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고, 끼움결속부(250)에 의해 결합된다. 즉, 한 쌍의 끼움편부(254) 사이에 하우징(210)의 걸림편(252)이 삽입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설치브라켓(220)의 결합레그(222)를 일치시켜 체결부재(256)에 의해 한번에 결합한다.
설치브라켓(220)의 저면에는 물유입방지리브(224)가 형성되어 기밀케이스(242)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브라켓(220)에는 슈라우드(225)가 결속부(226)에 의해 결속된다. 즉, 슈라우드(225)에 형성되는 결속후크(228)가 설치브라켓(220)의 결속홈(227)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의 가습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수조(110) 내에 물을 채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는 상부로 물을 급수한다. 즉, 설치브라켓(220)의 중앙부로 물을 급수하면, 공급되는 물은 만곡부(262)를 따라 급수가이드(264)로 이동되고, 급수가이드(264)는 하방급수가이드(266)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방급수가이드(266)를 통해 수조(110)에 물을 전달한다. 이때, 하방급수가이드(266)에는 하우징(2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267)가 구비되어 다른 곳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슈라우드(225)가 급수가이드(264)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외부로 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공급된 물은 수조(110)로 전달된다. 수조(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육안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필터고정프레임(130)에는 격벽부재(145)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수위한계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양의 물을 급수할 수 있다. 격벽부재(145)에는 식별부재(145a)가 구비되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후, 외부전원과 전원연결부(290)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라이팅부(280)에 의해 전원인가 상태를 확인할 있다. 이는 커버캡(282)의 전원토출창(285)을 통해 조명부(287)가 점등됨으로써, 전원인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위치부(245)를 작동시켜 가습공기청정기(10)를 작동시킨다. 스위치부(245)는 설치브라켓(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작동신호를 회로기판(244)에 인가할 수 있다. 이처럼 회로기판(244)에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232)의 구동에 의해 팬부재(234)가 회전되어 외부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라이팅부(280)의 기능노출창(286)에 의해 발광모션이 노출됨으로써, 장치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능노출창(286)을 통한 발광모션은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션의 회전속도로 가습량을 확인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이처럼 팬부재(234)가 회전하게 되면, 외부공기는 유입라인(140)을 통해 측면으로 유입되고, 본체부(200)의 토출구(2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실내를 가습한다.
이러한 가습작동을 살펴보면, 팬부재(234)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는 유입부(142)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부(142)에는 그릴(150)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유입부(14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연통홀부(144)를 통해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연통홀부(144)의 하부에는 격벽부재(145)가 구비되어 유입된 외부공기가 연통홀부(144)로 정확하게 진입되게 한다. 그리고, 연통홀부(144)에는 프리필터(171)가 구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때, 연통홀부(144)의 상단에는 가이드리브(182)가 구비되어 프리필터(171)의 상단에 접하는데, 이는 프리필터(171)와 필터고정프레임(130)의 사이 틈새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모든 공기가 프리필터(171)를 거쳐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필터링효과를 향상시킨다.
필터고정프레임(13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가습필터(120)와 접촉되어 가습공기가 되어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하우징(190)의 상단부는 노출그릴부(194)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가습필터(120)의 상단부와 넓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키고, 공기흐름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된 가습공기는 하우징(210)과 설치브라켓(220)에 사이에 형성된 토출구(21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실내를 가습한다. 이때, 토출구(214)에는 슈라우드(225)가 구비되어 가습공기를 외측으로 확산하면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가습공기청정기(10)는 그 컵 형상의 소형으로 형성되어 도 20과 같이 차량의 컵홀더에 비치되어 차량의 실내공기를 가습하고,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접촉됨으로써, 실내공기를 가습 및 정화할 수 있고, 소형으로 휴대가 용이하며, 각 부품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단순한 조립구조에 의해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의 설치브라켓에 급수라인이 구비되어 상부로 물급수가 가능하여 편의를 제공하고, 유입라인의 연통홀부가 필터고정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가습효율과 공기흐름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습공기청정기 100 : 가습부
110 : 수조 120 : 가습필터
130 : 필터고정프레임 131 : 제1연결부
132 : 나사산 134 : 제2연결부
135 : 걸림돌기 136 : 걸림홈부
137 : 유동방지돌기부 140 : 유입라인
142 : 유입부 144 : 연통홀부
145 : 격벽부재 145a : 식별부재
150 : 그릴 152 : 착탈부
154 : 밀착편 155 : 고정캡
156 : 가압리브 157 : 결합안내부
158 : 일치홀 159 : 일치돌기
160 : 단턱부 170 : 필터부
171 : 프리필터 172 : 단위필터
172a : 지지프레임 172b : 망부재
173 : 체결부 174 : 제1체결부재
175 : 제2체결부재 180 : 장착부
182 : 가이드리브 185 : 정위치설치부
186 : 정위치돌기 187 : 정위치고정홀
190 : 필터하우징 192 : 그릴케이스부
193 : 강성그릴부 194 : 노출그릴부
195 : 받침플레이트 196 : 플랜지
200 : 본체부 210 : 하우징
212 : 유입구 214 : 토출구
215 : 안전그릴 220 : 설치브라켓
222 : 결합레그 224 : 물유입방지리브
225 : 슈라우드 226 : 결속부
227 : 결속홈 228 : 결속후크
223 : 송풍부 232 : 구동모터
234 : 팬부재 240 : 제어부
242 : 기밀케이스 243 : 이온화장치
244 : 회로기판 245 : 스위치부
250 : 끼움결속부 252 : 걸림편
254 : 끼움편부 256 : 체결부재
260 : 급수라인 262 : 만곡부
264 : 급수가이드 266 : 하방급수가이드
264 : 밀착리브 270 : 모터고정브라켓
272 : 결합부 273 : 접촉리브부재
274 : 결합부재 275 : 안내홈부
275a : 가고정돌기 280 : 라이팅부
282 : 커버캡 284 : 노출창
285 : 전원노출창 286 : 기능노출창
287 : 조명부 290 : 전원연결부

Claims (5)

  1.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를 수조 내부에 고정하는 필터고정프레임;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가습필터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 및
    상기 유입라인에 구비되어 유입된 외부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유입라인을 통한 물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은 상기 수조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에 형성되는 연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필터고정프레임의 중간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의 둘레에는 식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150058360A 2015-04-24 2015-04-24 가습공기청정기 KR10236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60A KR102361031B1 (ko) 2015-04-24 2015-04-24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60A KR102361031B1 (ko) 2015-04-24 2015-04-24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303A true KR20160127303A (ko) 2016-11-03
KR102361031B1 KR102361031B1 (ko) 2022-02-11

Family

ID=5757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360A KR102361031B1 (ko) 2015-04-24 2015-04-24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0463A (en) * 2019-01-02 2020-07-22 Dyson Technology Ltd Air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28U (ko) * 2010-05-11 2011-11-17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가습기
JP2014020708A (ja) * 2012-07-20 2014-02-03 Panasonic Corp 加湿装置
KR200476833Y1 (ko) * 2014-08-29 2015-04-07 박성훈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28U (ko) * 2010-05-11 2011-11-17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가습기
JP2014020708A (ja) * 2012-07-20 2014-02-03 Panasonic Corp 加湿装置
KR200476833Y1 (ko) * 2014-08-29 2015-04-07 박성훈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0463A (en) * 2019-01-02 2020-07-22 Dyson Technology Ltd Ai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031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3420A2 (en) Air washer
KR20180065164A (ko) 복합형 공기청정기
KR101994087B1 (ko) 습식 공기청정기
US20170122601A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2016013681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3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3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29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0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1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90063521A (ko)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KR2017012760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1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0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2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0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2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300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729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12681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336630B1 (ko) 공기청정가습기의 제어방법
KR10242929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105220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103165A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