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433Y1 - 냉풍기 - Google Patents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433Y1
KR200320433Y1 KR20-2003-0010348U KR20030010348U KR200320433Y1 KR 200320433 Y1 KR200320433 Y1 KR 200320433Y1 KR 20030010348 U KR20030010348 U KR 20030010348U KR 200320433 Y1 KR200320433 Y1 KR 200320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frigerant
water supply
fa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인택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택가전 filed Critical (주)인택가전
Priority to KR20-2003-0010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킨 후 전방의 송풍구로 배출하는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풍기의 내부로 송풍구의 후방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 냉풍기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며 물을 담는 급수통; 급수통의 물을 끌어올리는 급수펌프; 유입구의 전방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다수의 배출구가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고, 제 1 단부가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연결되고 나머지 제 2 단부가 급수통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에 연결된 송수 파이프; 송수 파이프에 상단이 둘러싸여 고정된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을 이루고 양 단부가 마개에 의해 막혀 있으며 내부에 냉매가 담겨진 하나 이상의 냉매봉을 구비하고, 각 냉매봉에 의해 배면과 상면 사이로 관통 연결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냉매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풍기{APPARATUS SUPPLYING CHILLY WIND}
본 고안은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팬의 배면으로 냉각수에 의해 젖도록 구성된 부직포를 구비하고 팬의 정면으로는 냉매가 들어있는 다수의 냉매봉으로 이루어진 냉매 유니트를 구비하여 정면으로 차가운 바람을 배출하여 냉각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방 기구의 경우 대표적으로 선풍기와 에어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풍기는 단지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주변의 더운 공기가 그대로 순환되어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에어컨의 경우 고가이고 작동시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냉방병 등 부작용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선풍기와 에어컨의 중간 역할을 할 수 있는 냉풍기가 대두되었다.
냉풍기는 물과 공기의 온도차와 기화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같은 실내온도에서도 물과 공기의 온도차이가 3 ℃ 내지 5 ℃ 정도 나는 것을 감안하여, 물을 강제순환 물펌프에 의해 끌어올려 모세관에 의해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특수 부직포에 젖게 하거나 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모터에 의해 바람을 송풍시켜 수막 사이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물의 기화열 및 물 자체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냉풍기는 일반 에어컨이 컴프레셔에 의해 작동하여 1500 와트 정도의 고전류를 소모하는데 비해, 팬 가동 및 물펌프 가동에 소요되는 60 와트 내지 80 와트 정도만이 소요되므로 절전 효과가 탁월하다.
그러나 종래의 냉풍기의 경우 대체로 수막이 형성된 부직포만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냉풍기를 사용함에 따라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냉각효율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냉매가 들어 있는 냉매봉 등을 부직포의 정면 또는 배면에 구비하거나 다수의 냉매봉으로 이루어진 냉매 유니트를 부직포의 정면에 구비하여 부직포를 통과한 공기를 한번 더 냉각시켜 줌으로써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냉풍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냉풍기의 경우 대체로 냉매봉에 냉매를 넣은 상태에서 냉동실 등에서 얼린 후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냉매봉의 경우 냉매봉의 재질이 대체로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마개가 플라스틱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이 냉매가 부피팽창을 할 경우에는 마개가 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뿐만 아니라 냉매봉 자체가 찢어지거나 깨지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냉매봉의 재질로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을 사용할 경우 열전도도나 열교환율이 비교적 떨어지므로 효율적인 냉각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부직포에 물을 흘려보내기 위하여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송수파이프를 구비하고 송수파이프에 부직포의 상단을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풍기의 경우 송수파이프의 배출구멍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여 물이 유입되는 쪽으로는 수압이 높으므로 많은 물이 부직포로 흘러내리는 반면 물이 배출되는 쪽으로는 수압이 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물이 적게 부직포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부직포를 골고루 적실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냉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송수파이프는 물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였는데, 배출구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경우(통상적으로 1mm 이하) 물에 함유된 칼슘 등의 찌꺼기에 의해 배출구가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내부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냉풍기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직포와 냉매 유니트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냉매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직포로 물이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냉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정면도.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 파이프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유니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송풍구 20 : 컨트롤 패널
22 : 디스플레이부 30 : 정면 덮개
40 : 피씨비 기판 50 : 팬
60 : 유입구 70 : 부직포
72 : 송수 파이프 80 : 급수통
90 : 냉매 유니트 92 : 냉매봉
100 : 냉풍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는,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킨 후 전방의 송풍구로 배출하는 냉풍기에 있어서, 냉풍기의 내부로 송풍구의 후방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 냉풍기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며 물을 담는 급수통; 급수통의 물을 끌어올리는 급수펌프; 유입구의 전방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다수의 배출구가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고, 제 1 단부가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연결되고 나머지 제 2 단부가 급수통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에 연결된 송수 파이프; 송수 파이프에 상단이 둘러싸여 고정된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을 이루고 양 단부가 마개에 의해 막혀 있으며 내부에 냉매가 담겨진 하나 이상의 냉매봉을 구비하고, 각 냉매봉에 의해 배면과 상면 사이로 관통 연결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냉매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배출구 사이의 간격이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로 갈수록 조밀해지도록 하며,
배출구는 직경이 적어도 3mm 이상으로, 수평면과 45°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각 냉매봉의 마개로는 고무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정면도이고,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 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100)는, 정면으로는 팬(50)의 정면에 구비되어 팬으로부터 발산되는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송풍구(10), 냉풍기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20), 냉풍기(100)의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22) 및 정면 덮개(30)를 구비하며, 배면으로는 외부로부터 냉풍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60)가 구비된다. 또한, 송풍구(10)에는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그릴(12, 14)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100)의 내부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내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피씨비 기판(PCB, 40), 소정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면으로부터 정면으로 바람을 발산하는 팬(50), 팬의 후방으로 유입구(60)의 정면에 구비되는 부직포(70), 부직포로 흡수될 물을 담는 급수통(80) 및 부직포(7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매가 들어있는 다수의 냉매봉(92)으로 이루어진 냉매 유니트(90)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팬(50)은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당겨 정면으로 배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팬(50)으로는 일반의 선풍기의 팬과는 달리 길쭉한 회전축에 다수의 회전날개가 부착된 스크류 형태의 팬을 사용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냉풍기(100) 내부의 아래로부터 위로 끌어올려져 송풍구(10)로 배출되게 된다. 즉, 외부의 공기는 팬(50)의 회전에 의해 냉풍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부직포(70)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냉매 유니트(90)를 거친 후 팬(50)에 의해 끌어올려져 송풍구(10)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70)는 팬(50)과 유입구(60) 사이에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구(60)의 전방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송수 파이프(72)와 고정봉(74)에 의해 고정된다. 송수 파이프(72)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며, 일단으로는 냉풍기(10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담기 위한 급수통(8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급수관(84) 연결되며, 다른 일단으로는 송수 파이프(72)를 통과한 물을 다시 급수통(80)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86)이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통(80)의 물은 급수펌프(82)에 의해 급수관 (84)을 거쳐 송수 파이프(72)로 유입되고, 송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일부의 물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부직포(70)로 흡수되고 나머지 물은 다시 배수관 (86)을 통해 급수통(80)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되면서 부직포(70)를 계속해서 적시게 된다. 또한, 부직포(70)의 하부 영역까지 급수통(80)을 확장 형성함으로써, 부직포(7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급수통(80)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급수통(80)에 얼음물을 넣도록 한다.
급수통(8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송수 파이프(72)를 통과하면서 배출구를 통해 조금씩 배출되어 부직포(70)로 흐르게 되고, 부직포(70)는 이를 흡수하여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수막을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냉각되게 된다. 부직포(70)는 물의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 겹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내기 위하여 부직포(70)에 탄소(charcoal)를 도포시키고 항균처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유니트(90)는 부직포(70)의 정면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부직포(70)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한번 더 냉각시키게 된다. 냉매 유니트(90)는 물이나 소정의 첨가제가 가미된 냉매가 들어있는 다수의 냉매봉(92)으로 이루어지며, 냉매봉(92)을 냉동실에서 얼린 후 사용하여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냉매 유니트(90)는 각 냉매봉(92)의 배치를 통해 부직포(7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이 통로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이 인위적으로 조절된다. 즉, 도 1b 에 도시된 냉각 유니트(90)의 단면과 같이, 부직포(70)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 유니트(90)로 유입된 후 냉각봉(9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화살표와 같이 냉각 유지트 위로 배출된다. 이때, 다른 방향에 대하여는 냉각봉(92)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결국 대부분의 공기가 냉각 유니트(90)의 위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냉매봉(92)에 접촉하게 되고 다시 한번 냉각하게 되므로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냉매 유니트(90)를 통과한 공기는 팬 (50)에 의해 끌어올려져 송풍구(10)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가라앉는 특성을 가지므로 부직포(70)와 냉매 유니트(9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밑으로 가라앉으려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팬 (50)이 냉각된 공기를 끌어올리는데 장애가 되므로, 결국 송풍구(10)로 원활하게 공기를 배출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냉각된 공기를 냉매 유니트(90)를 통해인위적으로 위로 배출시켜 팬(50)에 의해 원활하게 공기를 끌어올려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매 유니트(90)를 냉풍기 내부에 집어넣거나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냉매 유니트(90)의 정면으로는 손잡이(94)를 구비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100)의 작동과 이에 따른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팬(50)을 구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60)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급수펌프(82)가 함께 구동되어 급수통(80)의 물이 급수관(84)을 거쳐 송수 파이프(72)로 유입하여 통과하게 되고, 송수 파이프(72)의 배출구를 통해 일부분이 배출되어 부직포(70)에 흡수되어 수막을 형성한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부직포(70)의 수막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수막에 의해 냉각된다.
부직포(70)를 통과한 공기는 냉매 유니트(90)로 유입되고 냉매봉(9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냉매 유니트(90)의 위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가 냉매 유니트(90)를 통과하면서 냉매봉(92)에 접촉하게 되므로 다시 냉각되게 된다.
냉매 유니트(90)의 위로 배출된 공기는 팬(50)의 회전에 의해 위로 끌어올려져 송풍구(10)로 배출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송수 파이프의 사시도로서, 부직포를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 파이프(72)의 측면으로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부직포(70)로 일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구(73)를 구비한다. 이때, 배출구(73)로 적당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배출구(73)의 직경은 3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만일, 배출구(73)의 직경이 너무 작을 경우 물 속에 함유된 찌꺼기나 칼슘 등에 의해 배출구가 쉽게 막히게 되며, 배출구(73)의 직경이 너무 클 경우 너무 많은 물이 배출되며 부직포(70)에 물이 골고루 흡수될 수 없게 된다.
또한, 급수통(80)의 물은 급수펌프(82)에 의해 끌어올려져 급수관(84)에서 송수 파이프(72)를 거쳐 배수관(86)로 흘러 나가게 되므로, 송수 파이프(72) 중 급수관(84)과 가까운 쪽이 상대적으로 배수관(86)과 가까운 쪽에 비하여 수압이 높게 된다. 즉, 물의 진행방향이 도 2 에 도시한 화살표와 같을 경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수압이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배출구 (7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오른쪽으로는 부직포 (70)로 너무 많은 물이 배출되고, 반면에 왼쪽은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적거나 극단적인 경우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7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배출구 사이의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른쪽의 배출구(73) 사이 간격을 1.5 cm 로 한 경우, 중간 지점에서는 1 cm 간격으로 형성하고 왼쪽은 0.8 cm 정도의 간격으로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왼쪽으로 갈수록 배출구(73)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더 많은 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수압차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배출구(73)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오른쪽의 배출구보다 왼쪽의 배출구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a 에 도시한 송수 파이프(72)와 같이, 배출구(73)는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45°가량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만일, 배출구(73)가 수평면과 45°이하의 각도를 이루게 되면 배출구를 통해 너무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며, 반대로 수평면과 45°이상의 각도를 이루게 되면 너무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된다. 또한, 배출구(73)가 수평면과 수직을 이룰 경우에는 배출구로 배출된 물이 뒤로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73)를 수평면과 45°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적당량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매 유니트의 사시도로서, 냉매 유니트와 함께 냉매 유니트를 구성하는 냉매봉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유니트(90)는 다수의 냉매봉(92)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96)에 의해 냉매봉의 측면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 유니트(90)는 각 냉매봉(92)의 배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위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냉매봉(92)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서 양 단부에는 내부의 냉매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기 위하여 마개(93)가 구비된다. 냉매봉(92)은 냉매를 넣은 상태에서 냉동실 등에서 냉매를 얼린 후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냉매는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므로 냉매의 팽창계수와 마개(93)의 팽창계수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마개(93)의 재질로는 이러한 팽창계수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는, 마개(93)로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할 경우 냉매가 얼면서 마개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냉각봉(92)의 재질로는 냉매가 얼 때의 파손 위험성과 열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각봉(92) 또는 마개(93)의 파손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와 접촉하는 냉각봉이 열전도도가 뛰어나므로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수막과 냉매 유니트를 통해 이중으로 공기를 냉각하여 배출하고, 부직포에 수막을 고르게 형성하여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얼면서 냉각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냉풍기는,
첫째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수막과 내부의 냉매를 얼린 상태로 사용하는 냉각 유니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이중으로 냉각시키므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고,
둘째로, 냉각봉의 배치를 통해 냉각 유니트에 유입된 공기를 인위적으로 냉각 유니트 위로 배출시켜, 차가운 공기가 가라앉는 특성을 극복하고 팬으로 원활하게 끌어올려져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셋째로, 냉각봉의 마개로 고무재질을 사용하여 냉매가 얼면서 팽창계수로 인해 마개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로, 냉매봉으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공기와 냉매 간의 열전도도와 열교환율을 향상시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다섯째로, 송수 파이프의 배출구 직경을 3mm 이상으로 형성하여 배출구가 막히거나 물이 너무 많이 배출되는 것을 방자하고 적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로, 배출구를 수평면으로부터 45°정도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적당량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배출구 사이의 간격을 수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형성함으로써 부직포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물이 배출되어 부직포가 골고루 젖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킨 후 전방의 송풍구로 배출하는 냉풍기에 있어서,
    상기 냉풍기의 내부로 상기 송풍구의 후방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팬;
    상기 냉풍기의 내부 저면에 구비되며 물을 담는 급수통;
    상기 급수통의 물을 끌어올리는 급수펌프;
    상기 유입구의 전방 상단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다수의 배출구가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고, 제 1 단부가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에 연결되고 나머지 제 2 단부가 상기 급수통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에 연결된 송수 파이프;
    상기 송수 파이프에 상단이 둘러싸여 고정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을 이루고 양 단부가 마개에 의해 막혀 있으며 내부에 냉매가 담겨진 하나 이상의 냉매봉을 구비하고, 상기 각 냉매봉에 의해 배면과 상면 사이로 관통 연결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냉매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 1 단부에서 상기 제 2 단부로 갈수록 조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직경이 적어도 3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수평면과 45°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냉매봉의 마개가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기.
KR20-2003-0010348U 2003-04-04 2003-04-04 냉풍기 KR200320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48U KR200320433Y1 (ko) 2003-04-04 2003-04-04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48U KR200320433Y1 (ko) 2003-04-04 2003-04-04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433Y1 true KR200320433Y1 (ko) 2003-07-23

Family

ID=4941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48U KR200320433Y1 (ko) 2003-04-04 2003-04-04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4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29B1 (ko) 2007-01-26 2008-03-07 주식회사 장원통상 열교환식 냉풍기
KR20140145805A (ko) 2013-06-14 2014-12-2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1849474B1 (ko) * 2016-11-25 2018-04-17 (주)비케이더블유 냉풍기
KR20200068265A (ko) 2018-12-05 2020-06-15 엄용식 급속냉방이 가능한 이동식 냉온풍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29B1 (ko) 2007-01-26 2008-03-07 주식회사 장원통상 열교환식 냉풍기
KR20140145805A (ko) 2013-06-14 2014-12-2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2054969B1 (ko) * 2013-06-14 2019-12-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1849474B1 (ko) * 2016-11-25 2018-04-17 (주)비케이더블유 냉풍기
KR20200068265A (ko) 2018-12-05 2020-06-15 엄용식 급속냉방이 가능한 이동식 냉온풍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96692A (zh) 喷淋制冷设备及控制方法
WO2021253442A1 (zh) 一种环保离心鼓风机机体水冷装置
KR20100085228A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KR200320433Y1 (ko) 냉풍기
US7861539B2 (en) Cooling fan with thermostatic air output
CN201129815Y (zh) 一种新型的冰冷扇
KR101649329B1 (ko) 제빙기를 이용한 냉풍기
WO2007081077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rtificial snow
KR200257551Y1 (ko) 냉풍기
US20160116194A1 (en) Water saving cooler
KR101849473B1 (ko) 냉풍기
KR102495575B1 (ko)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TWM453035U (zh) 水涼風扇
KR10200709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물 생성장치
KR101470958B1 (ko) 수공냉 통합식 제빙기
JP2007278620A (ja) 製氷装置およびスターリング冷却庫
KR20040080688A (ko) 냉온 소자를 이용한 수냉식 냉온풍시스템
CN205860305U (zh) 一种水箱及具有该水箱的水冷风扇
KR20080040173A (ko) 응축기 냉각장치
CN113864916B (zh) 冷风扇及旋转布液控制方法
CN219531046U (zh) 一种冷暖水塔扇
CN216132002U (zh) 用于室外换热器的喷淋系统及空调器
CN221324745U (zh) 一种地源热泵型冷却塔
CN218269774U (zh) 一种高能效速冻冷风机
KR10025446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