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97B1 - 파단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파단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97B1
KR102054097B1 KR1020187033018A KR20187033018A KR102054097B1 KR 102054097 B1 KR102054097 B1 KR 102054097B1 KR 1020187033018 A KR1020187033018 A KR 1020187033018A KR 20187033018 A KR20187033018 A KR 20187033018A KR 102054097 B1 KR102054097 B1 KR 10205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car
output signal
senso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931A (ko
Inventor
다이스케 나카자와
다이키 후쿠이
도시아키 가토
히로유키 무라카미
아키라 후미야
교헤이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파단 검지 장치는 센서와 기억부(20)와 파단 판정부(24)를 구비한다. 센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한다.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예를 들면, 권상기(11)로부터의 토크 신호이다. 기억부(20)는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한다. 파단 판정부(24)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와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의 추이에 기초하여,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파단 검지 장치
이 발명은 로프에 발생한 소선(素線)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을 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다양한 로프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은, 주 로프에 의해서 승강로에 매달린다. 주 로프는 권상기의 구동 시브와 같은 도르래에 감겨 걸린다. 주 로프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서 반복하여 구부러지기 때문에, 점차 열화된다. 주 로프가 열화되면, 주 로프를 구성하는 소선이 파단된다. 다수의 소선이 파단되면, 소선이 합쳐서 꼬아진 스트랜드가 파단되기도 한다. 또, 소선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은, 주 로프와 도르래의 사이에 이물이 말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파단된 소선 혹은 스트랜드는, 주 로프의 표면에서 돌출된다. 이 때문에, 소선 혹은 스트랜드가 파단된 상태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행해지면, 파단된 소선 혹은 스트랜드가 승강로에 마련된 기기에 접촉한다.
특허 문헌 1 및 2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의 구동 시브에 로프 가이드가 마련된다. 또, 로프 가이드의 진동이 센서에 의해서 검지된다. 센서가 검지한 진동에 기초하여, 소선 혹은 스트랜드가 파단된 것이 검지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가속도계가 마련된다. 가속도계가 검지한 가속도에 기초하여, 소선 혹은 스트랜드가 파단된 것이 검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2033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평10-81462호 공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도르래에 대해, 주 로프가 통과하는 범위가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주 로프 중, 어느 범위의 부분이 구동 시브를 통과한다. 구동 시브를 통과하는 부분이 균형 추의 서스펜션 시브를 통과한다고만은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소선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을 검출하려고 하면, 주 로프가 감겨 걸리는 각 도르래의 위치에 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균형 추의 서스펜션 시브의 위치에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는, 균형 추로부터 제어 장치의 사이에 신호선을 부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수의 센서가 필요하게 됨과 아울러 각 센서로부터 신호선을 끌고 나오지 않으면 안 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많은 도르래가 사용되는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가속도계가 검지한 돌발적인 가속도로부터 소선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을 검지한다. 그러나 가속도계가 돌발적인 가속도를 검지하는 것은, 소선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이 발생했을 때 만이 아니다. 예를 들면, 레일에 도포된 기름이 고갈되어 가면, 엘리베이터 칸이 레일의 이음매를 통과할 때 엘리베이터 칸이 근소하게 흔들린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러한 사상(事象)도 소선의 파단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으로서 검지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소선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는 파단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파단 검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의 추이에 기초하여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 이 발명에 따른 파단 검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재현성과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재현성에 기초하여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이 발명에 따른 파단 검지 장치는, 센서와 기억 수단과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센서는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한다.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은,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파단 판정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내용에 기초하여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발명에 따른 파단 검지 장치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소선 혹은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리턴 도르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리턴 도르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 로프의 파단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주 로프의 파단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주 로프의 파단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센서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센서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상세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상세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파단부가 로프 가이드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이상(異常) 변동 검출부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재현성 판정부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재현성 판정부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센서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 및 도 20을 조합하여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은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6은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은 이상 변동 검출부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복수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2)를 상하로 이동한다. 승강로(2)는, 예를 들면 건물 내에 형성된 상하로 연장되는 공간이다. 균형 추(3)는 승강로(2)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3)는, 주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2)에 매달린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3)를 매달기 위한 로핑의 방식은, 도 1에 도시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3)를 1:1 로핑으로 승강로(2)에 매달아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3)를 2:1 로핑으로 매다는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주 로프(4)는 한쪽의 단부(端部)(4a)가 승강로(2)의 고정체에 지지된다. 단부(4a)는 주 로프(4)의 단부 중, 엘리베이터 칸(1)에 가까운 쪽의 단부이다. 예를 들면, 주 로프(4)의 단부(4a)는 승강로(2)의 정부(頂部)에 마련된 고정체에 지지된다. 주 로프(4)는 단부(4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주 로프(4)는 단부(4a)측으로부터 서스펜션 시브(5), 서스펜션 시브(6), 리턴 도르래(7), 구동 시브(8), 리턴 도르래(9) 및 서스펜션 시브(10)에 차례로 감겨 걸린다. 주 로프(4)는 서스펜션 시브(10)에 감겨 걸린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주 로프(4)는 다른 쪽의 단부(4b)가 승강로(2)의 고정체에 지지된다. 단부(4b)는 주 로프(4)의 단부 중, 균형 추(3)에 가까운 쪽의 단부이다. 예를 들면, 주 로프(4)의 단부(4b)는 승강로(2)의 정부에 마련된 고정체에 지지된다.
서스펜션 시브(5) 및 서스펜션 시브(6)는 엘리베이터 칸(1)에 구비된다. 서스펜션 시브(5) 및 서스펜션 시브(6)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부에 마련된다. 서스펜션 시브(5) 및 서스펜션 시브(6)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리턴 도르래(7) 및 리턴 도르래(9)는 예를 들면 승강로(2)의 정부의 고정체에 마련된다. 리턴 도르래(7) 및 리턴 도르래(9)는 승강로(2)의 정부의 고정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구동 시브(8)는 권상기(11)에 구비된다. 권상기(11)는, 예를 들면 승강로(2)의 피트에 마련된다. 서스펜션 시브(10)는 균형 추(3)에 구비된다. 서스펜션 시브(10)는, 예를 들면 추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다. 서스펜션 시브(10)는 그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주 로프(4)가 감겨 걸린 도르래의 배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 시브(8)는 승강로(2)의 정부 또는 승강로(2)의 상방의 기계실(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어도 된다.
저울 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하중을 검출한다. 저울 장치(12)는, 예를 들면 주 로프(4)의 단부(4a)에 걸리는 하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하중을 검출한다. 저울 장치(12)는 검출한 하중에 따른 저울 신호를 출력한다. 저울 장치(12)로부터 출력된 저울 신호는, 제어 장치(13)에 입력된다.
권상기(11)는 토크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권상기(11)는 검출한 토크에 따른 토크 신호를 출력한다. 권상기(11)로부터 출력된 토크 신호는, 제어 장치(13)에 입력된다.
조속기(調速機, 15)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세이프티 기어(safety gear, 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킨다. 세이프티 기어는 엘리베이터 칸(1)에 구비된다. 세이프티 기어가 동작하면, 엘리베이터 칸(1)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조속기(15)는, 예를 들면 조속 로프(16), 조속 시브(17) 및 인코더(18)를 구비한다. 조속 로프(16)는 조속 시브(17)에 감겨 걸린다.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하면, 조속 로프(16)가 이동한다. 조속 로프(16)가 이동하면, 조속 시브(17)가 회전한다. 인코더(18)는 조속 시브(17)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인코더(18)로부터 출력된 회전 신호, 즉 조속기(15)로부터의 인코더 신호는 제어 장치(13)에 입력된다. 인코더(18)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일례이다.
도 2는 리턴 도르래(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리턴 도르래(9)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턴 도르래(9)를 지지하는 부재에 로프 가이드(19)가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은 리턴 도르래(9)의 축(9a)에 로프 가이드(19)가 마련되는 예를 나타낸다. 로프 가이드(19)는 리턴 도르래(9)의 홈으로부터 주 로프(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로프 가이드(19)는, 예를 들면, 주 로프(4) 중 리턴 도르래(9)의 홈에 감겨 걸린 부분에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주 로프(4)에 이상이 발생해 있지 않으면, 주 로프(4)는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주 로프(4)의 표면으로부터 파단부(4c)가 돌출되는 예를 나타낸다. 파단부(4c)는 주 로프(4)를 구성하는 소선이 파단된 부분이다. 파단부(4c)는 소선이 합쳐 꼬인 스트랜드가 파단된 부분이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하면, 파단부(4c)는 리턴 도르래(9)를 통과할 때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한다.
도 2 및 도 3은 주 로프(4)가 감겨 걸린 도르래의 일례로서 리턴 도르래(9)를 나타낸다. 서스펜션 시브(5), 서스펜션 시브(6), 리턴 도르래(7), 구동 시브(8) 및 서스펜션 시브(10)에, 로프 가이드(19)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로프 가이드가 마련되어도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주 로프(4)의 파단부(4c)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의 승강장에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 로프(4) 중 단부(4a)로부터 서스펜션 시브(5)에 감겨 걸린 부분의 사이에 파단부(4c)가 존재한다.
도 6은 엘리베이터 칸(1)이 최상층의 승강장에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 로프(4) 중 리턴 도르래(7)에 감겨 걸린 부분으로부터 구동 시브(8)에 감겨 걸린 부분의 사이에 파단부(4c)가 존재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으로 이동하면, 파단부(4c)는 서스펜션 시브(5), 서스펜션 시브(6) 및 리턴 도르래(7)를 차례로 통과한다.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으로 이동해도, 파단부(4c)는 구동 시브(8), 리턴 도르래(9) 및 서스펜션 시브(10)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파단부(4c)는 모든 도르래를 통과한다고는 할 수 없다. 파단부(4c)가 통과하는 도르래의 조합은, 파단부(4c)가 발생한 위치 등에 의해서 정해진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도중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파단부(4c)가 서스펜션 시브(5)를 통과하고 있을 때 상태를 나타낸다. 파단부(4c)는 서스펜션 시브(5)를 통과할 때, 서스펜션 시브(5)에 마련된 로프 가이드에 접촉한다.
도 7 및 도 8은 센서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8의 (a)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1)이 존재하는 높이와 같은 뜻이다. 도 7의 (a) 및 도 8의 (a)는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위치 0)에서 위치 P로 이동한 후에 최하층으로 돌아왔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파형은, 예를 들면 인코더(18)로부터의 회전 신호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도 7의 (b) 및 도 8의 (b)는 권상기(11)의 토크를 나타낸다.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파형은, 예를 들면 권상기(11)로부터 출력된 토크 신호의 파형이다. 도 7의 (b) 및 도 8의 (b)는 엘리베이터 칸(1)이 최하층 및 위치 P의 사이를 이동할 때의 최대 토크가 Tq1, 최소 토크가 -Tq2인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c) 및 도 8의 (c)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하중을 나타낸다.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내는 파형은, 예를 들면 저울 장치(12)로부터 출력된 저울 신호의 파형이다. 도 7의 (c) 및 도 8의 (c)는 엘리베이터 칸(1)의 적재 하중이 w[kg]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고,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1를 통과할 때 파단부(4c)가 어느 도르래를 통과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파형의 예를 나타낸다. 파단부(4c)는 도르래를 통과할 때 로프 가이드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파단부(4c)가 도르래를 통과할 때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한다. 주 로프(4)의 단부(4a)가 변위되면, 저울 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저울 신호가 영향을 받는다.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되고, 발생한 진동이 주 로프(4)의 단부(4a)에 도달하면, 저울 장치(12)로부터의 저울 신호에 변동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주 로프(4) 중 구동 시브(8)에 감겨 걸린 부분이 변위되면, 권상기(11)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신호가 영향을 받는다.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하고, 발생한 진동이 주 로프(4)의 당해 부분에 도달하면, 권상기(11)로부터의 토크 신호에 변동이 생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 장치(13)는, 예를 들면 기억부(20),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 이상 변동 검출부(22), 재현성 판정부(23), 파단 판정부(24), 동작 제어부(25) 및 통보부(26)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 11 내지 도 21도 참조하여, 파단 검지 장치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상세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후에 이어지는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즉, 도 11과 도 12에 의해서 일련의 동작 플로우가 도시된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센서 신호의 변동을 검출한다(S101).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저울 신호 및 토크 신호를 센서 신호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 이외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된 가속도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가속도 신호를 센서 신호로서 채용할 수 있다. 즉,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되면, 저울 신호 및 토크 신호와 마찬가지로 가속도 신호도 변동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센서 신호로서 토크 신호를 채용하는 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S101에 있어서, 토크 신호에 발생한 변동을 검출한다.
도 13은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되어 어느 위치에 도달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것처럼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한다. 파단부(4c)는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한 후, 주 로프(4)의 이동에 따라서 로프 가이드(19)에 스치면서 변형된다. 그 후, 파단부(4c)는 로프 가이드(19)로부터 벗어난다.
파단부(4c)와 로프 가이드(19)의 접촉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강제 외란으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하면, 권상기(11)로부터의 토크 신호에 이상한 변동이 나타난다. 이 이상 변동은 파단부(4c)의 길이와 주 로프(4)의 이동 속도에 따른 고유의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가진다. 파단부(4c)의 길이를 d[m], 주 로프(4)의 이동 속도를 v[m/s]라고 하면, 이상 변동(진동)의 주파수 f[Hz]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v/d …… (1)
도 14는 이상 변동 검출부(22)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예를 들면, 밴드 패스 필터(27), 증폭기(28) 및 판정기(29)를 구비한다. 기재를 간략화하기 위해, 도면 등에서는 밴드 패스 필터의 것을 BPF라고도 표기한다. 상술한 것처럼,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19)에 접촉하면, 권상기(11)로부터의 토크 신호에 이상한 변동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변동은, 진폭이 작은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28)가 이상 변동 검출부(22)에 구비되어 있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먼저, 입력된 토크 신호에 대해서 필터 처리를 행한다(S111). 예를 들면, 밴드 패스 필터(27)는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이란, 주 로프(4)에 존재하는 파단부(4c)가 주 로프(4)용의 로프 가이드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 성분이다. 이 특징 주파수에는, 상기 식 (1)로부터 산출되는 주파수 f가 포함된다. 또한, 길이 d는 주 로프(4)에 발생하는 파단부(4c)의 길이로서 설정된 값이다. 파단부(4c)의 길이는, 예를 들면, 0.5피치~수피치분의 스트랜드가 풀렸을 때의 그 풀린 스트랜드의 길이로서 설정된다. 주 로프(4)의 이동 속도 v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속도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정격 속도로부터 주 로프(4)의 이동 속도 v를 산출할 수 있다.
증폭기(28)는 밴드 패스 필터(27)로부터의 출력 신호 u를 2승하여, 신호를 증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 및 증폭한 것을 밴드 패스 필터 출력 혹은 필터 출력이라고 부른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증폭기(28)로부터의 출력 신호 Y(=u2)가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의 부호는 양이 된다. 이상 변동 검출부(22)가 증폭기(2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밴드 패스 필터(27)로부터의 출력 신호 u가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일례이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비선형 필터를 구비해도 된다. 이상 변동 검출부(22)에 적응 필터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해도 된다.
판정기(29)는 토크 신호의 변동, 즉 증폭기(28)로부터의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2). 출력 신호 Y와 비교되는 임계치 TH1은,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미리 기억된다.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기(29)가 판정하면,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는, 예를 들면, 인코더(18)로부터 출력된 회전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가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권상기(11)는 인코더를 구비한다. 권상기(11)에 구비된 인코더도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의 일례이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는 권상기(11)로부터의 인코더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해도 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조속기(15)가 구비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권상기(11)가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13)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다고 S112에서 판정되면,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검출한다(S113).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S111에서 얻어진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으면, S111에서 얻어진 출력 신호 Y와 그 출력 신호 Y가 얻어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 P를 기억부(20)에 기억시킨다(S114). 기억부(20)에는, 증폭기(28)로부터의 출력 신호 Y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21)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 P가 연관지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예에서는, 일부의 출력 신호 Y뿐만이 아니라, 모든 출력 신호 Y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부(20)에 기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복수 회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15).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복수 회째가 아닌 경우,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이상 변동의 발생이 처음이라고 판정한다(S116).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다음에, 재현성 판정부(23)는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재현성을 검출한다(S102).
도 15는 재현성 판정부(23)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은 시간 t1, 시간 t2, 시간 t3 및 시간 t4에서 위치 P1를 통과한다. 도 15의 (b)는 권상기(11)의 토크를 나타낸다. 도 15의 (c)는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을 나타낸다.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면, 파단부(4c)는 엘리베이터 칸(1)이 어느 위치를 통과할 때 로프 가이드에 접촉한다. 도 15는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1를 통과할 때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에 접촉하는 예를 나타낸다.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는 경우, 파단부(4c)가 어느 로프 가이드에 접촉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다. 이 때문에,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면,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에 접촉하는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1)이 통과할 때마다 그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기억부(20)에 기억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이면, 시간 t1, 시간 t2, 시간 t3 및 시간 t4에 대해 위치 P1가 기억부(20)에 기억된다. 이 때문에,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가 검출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으면,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재현성 판정부(23)는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복수 회째라고 S115에서 판정되면,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7). 재현성 판정부(23)는,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기억된 복수의 위치 P가 동일한 위치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에, S117에 있어서 재현성이 있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기억된 복수의 위치 P가 일정한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러한 위치 P가 동일한 위치라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범위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이면, 재현성 판정부(23)는 위치 P1에 있어서 재현성이 있다는 것을 판정한다.
재현성 판정부(23)는, S117에 있어서, 재현성이 있다고 판정하면, 당해 위치, 즉 동일로 간주할 수 있는 그 위치에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한 횟수를 기억부(20)에 기억시킨다(S118). 도 15에 도시하는 예이면, 시간 t2에 있어서, 위치 P1에서의 임계치 TH1의 초과 횟수가 2회인 것이 기억부(20)에 기억된다.
재현성 판정부(23)는 S117에 있어서 재현성이 없다고 판정하면,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토크 신호에 랜덤하게 발생한 변동에 기인한다고 판정한다(S119).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재현성 판정부(23)는 S117에 있어서, 동일로 간주할 수 있는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1)이 통과했을 때 출력 신호 Y가 복수 회 연속하여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경우에, 재현성이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도 16은 재현성 판정부(23)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0으로부터 위치 P의 구간을 주행했을 때 얻어진 최신의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을 나타낸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위치 P1 및 위치 P2에 있어서, 증폭기(28)로부터의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다. 도 16의 (b)는 엘리베이터 칸(1)이 같은 구간을 주행했을 때 얻어진 1 주행전의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을 나타낸다. 도 16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위치 P1, 위치 P2 및 위치 P3에 있어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일로 간주할 수 있는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1)이 통과했을 때 출력 신호 Y가 2회 연속으로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S117에서 재현성이 있다고 판정되는 예를 생각한다. 위치 P1 및 위치 P2에서는, 출력 신호 Y가 2회 연속하여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재현성 판정부(23)는 위치 P1 및 위치 P2에 있어서 재현성이 있는 것을 판정한다. 한편, 위치 P3에서는, 도 16의 (a)에 있어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재현성 판정부(23)는 위치 P3에 있어서 재현성이 있다고는 판정하지 않는다. 도 16의 (b)에 도시된 위치 P3에서의 변동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 내에서 뛰어다니는 것과 같은 재현성이 없는 사상에 기인하여 발생했다고 판정된다.
다음에, 파단 판정부(24)는 파단부(4c)의 유무를 검출한다(S103).
도 17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제어 장치(13) 및 조속기(15)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은, 승강로(2)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된다. 가이드 레일은, 다수의 레일(30)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은 복수의 레일(30)이 상하로 연결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범위에 걸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레일(30)과 그 레일(30)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된 레일(30)의 사이에는 이음매가 존재한다.
레일(30)에 도포된 기름이 고갈되어 가면,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할 때 엘리베이터 칸(1)이 근소하게 흔들린다. 주 로프(4)는 서스펜션 시브(5) 및 서스펜션 시브(6)에 감겨 걸려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이 흔들리면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할 때 센서 신호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레일(30)의 이음매에 단차(段差)가 있는 경우에도 센서 신호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도 18은 센서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4에서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하여, 센서 신호에 변동이 생긴 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할 때 센서 신호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 그 변동이 생길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이면,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4를 통과할 때마다 센서 신호에 변동이 생긴다.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은, 발생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다는 점에서, 파단부(4c)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과 유사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을 파단부(4c)에 기인하는 것과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것으로 구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세로축은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이며,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의 가로축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어도 된다.
도 19는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1를 통과했을 때 얻어진 출력 신호 Y의 추이를 나타낸다. 기동 횟수 M1에서는, 주 로프(4)에 파단부(4c)는 발생해 있지 않다. 도 19는 기동 횟수가 M2 시에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한 예를 나타낸다. 소선의 파단 및 스트랜드의 파단은, 돌발적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파단부(4c)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은 돌발적으로 발생한다.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하면, 출력 신호 Y의 값이 직전의 값과 비교하여 갑자기 커진다. 또,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하면, 도 19에 도시하는 것처럼, 그 후도 계속하여 출력 신호 Y는 큰 값을 나타낸다.
도 20은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4를 통과했을 때 얻어진 출력 신호 Y의 추이를 나타낸다. 레일(30)에 도포된 기름의 양은 갑자기 바뀌는 것은 아니다. 레일(30)에 도포된 기름은 서서히 적어지고, 기름이 공급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고갈된다. 이 때문에,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은, 시간을 들여서 서서히 커진다. 도 21은 도 19 및 도 20을 조합하여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단 판정부(24)가 기억부(20)에 기억된 내용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와 센서 신호의 변동의 추이에 기초하여 파단부(4c)의 존재를 검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파단 판정부(24)는 S118에서 임계치 TH1의 초과 횟수가 기억부(20)에 기억되면, S111에서 얻어진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20). 출력 신호 Y와 비교되는 임계치 TH2는, 임계치 TH1보다 큰 값이다. 임계치 TH2는,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미리 기억된다. 파단 판정부(24)는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토크 신호에 발생한 경미한 변동에 기인한다고 판정한다(S121). 상기 경미한 변동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파단 판정부(24)는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하고 있으면, 당해 위치에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한 횟수를 기억부(20)에 기억시킨다(S122). 다음에, 파단 판정부(24)는 S122에서 기억부(20)에 기억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복수 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23). 파단 판정부(24)는 S123에 있어서 초과 횟수가 복수 회라고 판정하면,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다고 판정한다(S124).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엘리베이터 칸(1)을 최근층(nearest floor)에 정지시킨다. 또, 통보부(26)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회사에 통보를 행한다(S125).
파단 판정부(24)는, S123에 있어서, 초과 횟수가 복수 회는 아니라고 판정하면, 임계치 TH2의 초과가 처음이기 때문에, 파단부(4c)의 유무의 판정을 보류한다(S126).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파단 판정부(24)는, S123에 있어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파단 판정부(24)는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해 있으면,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다고 판정한다(S124). 한편, 파단 판정부(24)는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파단부(4c)의 유무의 판정을 보류한다(S126). 상기 규정 횟수는, 예를 들면 3회 이상의 횟수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파단 검지 장치에서는, 주 로프(4)에 진동이 발생했을 때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파단부(4c)의 존재를 검출한다. 센서 신호로서, 예를 들면 토크 신호 혹은 저울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파단 검지 장치이면,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전용의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 적어도 1개의 센서가 있으면, 파단부(4c)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파단 검지 장치에서는, 파단 판정부(24)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와 센서 신호의 변동의 추이에 기초하여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파단 검지 장치이면, 센서 신호에 발생한 변동이 파단부(4c)에 기인하는 것인지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단부(4c)의 검출 정도가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예에서는, 파단 판정부(24)는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재현성과 임계치 TH2를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재현성에 기초하여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처럼,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은, 시간을 들여서 서서히 커진다. 이 때문에, 파단 판정부(24)는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는 경우에도,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2를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다. 파단 판정부(24)는, 예를 들면, 그 변동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정한다. 2개의 임계치 TH1 및 TH2를 채용함으로써, 센서 신호에 발생한 변동이 파단부(4c)에 기인하는 것인지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임계치 TH1 및 TH2는, 학습 운전을 행함으로써 설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제어 장치(13)는 임계치 설정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임계치 설정부는, 예를 들면, 학습 운전시의 센서 신호의 변동에 기초하여, 임계치 TH1 및 TH2를 설정한다.
학습 운전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치 완료시에 행해진다. 학습 운전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을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때 취득한 토크 신호에 대해서 필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임계치 설정부는 학습 운전에서 취득된 센서 신호의 변동의 최대치의 정수배를 임계치 TH1로 설정하고, 그 값보다 큰 값을 임계치 TH2로 설정한다. 임계치 설정부는 센서 신호의 변동의 최대치의 정수배를 임계치 TH2로 설정하고, 그 값보다 작은 값을 임계치 TH1로 설정해도 된다.
권상기(11)로부터의 토크 신호는, 경년(經年) 변화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설치 후에 변동한다. 이 때문에, 임계치 TH1 및 TH2를 정기적으로 갱신해도 된다. 임계치 TH1 및 TH2의 갱신은 짧은 간격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고려하여, 야간 등의 이용자가 적은 시간대에 학습 운전을 실시한다. 이용자를 목적층으로 운반하는 통상 운전의 속도와 같은 속도로 학습 운전을 행하면, 통상 운전 중에 파단부(4c)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보수원에 의한 정기적인 검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2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도 11의 후에 이어지는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즉, 도 11과 도 22에 의해서 일련의 동작 플로우가 도시된다. 도 22의 S120 내지 S127에 나타내는 동작은, 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상기 동작과 같다. 도 22에 나타내는 동작은, S122와 S123의 사이에 S128가 있는 점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동작과 상위(相違)하다.
도 23 및 도 24는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 있어서, 세로축은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이고,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를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의 가로축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어도 된다.
도 23은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1를 통과했을 때 얻어진 출력 신호 Y의 추이를 나타낸다. 기동 횟수가 M4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주 로프(4)에 파단부(4c)는 발생해 있지 않다. 도 23은 기동 횟수가 M5일 때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한 예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동 횟수 M5일 때, 출력 신호 Y의 값이 직전의 값과 비교하여 갑자기 커진다.
도 24는 엘리베이터 칸(1)이 위치 P4를 통과했을 때 얻어진 출력 신호 Y의 추이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센서 신호의 변동은, 시간을 들여서 서서히 커진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동 횟수가 M4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출력 신호 Y는 임계치 TH2를 초과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기동 횟수가 M5일 때,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와 도 24에 나타내는 예는, 기동 횟수가 M5일 때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처음으로 초과하는 점에서 일치한다. 도 22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이 파단부(4c)에 기인하는 것인지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동작예를 나타낸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센서 신호의 이상한 변동을 검출한다(S101). 또, 재현성 판정부(23)는 센서 신호에 생기는 변동의 재현성을 검출한다(S102).
다음에, 파단 판정부(24)는 파단부(4c)의 유무를 검출한다(S103). 예를 들면, 파단 판정부(24)는 S122에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를 기억부(20)에 기억시키면, 당해 위치에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28). 도 23에 도시하는 것처럼,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했을 경우는 출력 신호 Y가 갑자기 커진다. 이 때문에, S128에서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파단 판정부(24)는, S128에 있어서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이면, S123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도 24에 도시하는 것처럼, 레일(30)에 도포된 기름이 고갈되어 가는 경우는 출력 신호 Y가 서서히 커진다. 이 때문에, S128에 있어서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는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임계치 TH2를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경미한 변동에 기인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파단 판정부(24)는, S128에 있어서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가 아니면, S121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S128에 있어서 임계치 TH1의 초과 횟수와 비교되는 규정 횟수는,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미리 기억된다. 상기 규정 횟수는, 예를 들면 3회 이상의 횟수로 설정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동작예에서는, 파단 판정부(24)는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위치에서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2를 초과하기 전에 임계치 TH1을 초과하는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는,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다. 파단 판정부(24)는, 예를 들면, 그 변동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파단부(4c)의 검출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는 도 11의 후에 이어지는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즉, 도 11과 도 25에 의해서 일련의 동작 플로우가 도시된다. 도 25의 S120 내지 S128에 나타내는 동작은, 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상기 동작과 같다.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은, S128에서 No로 판정된 후에 S129가 어느 점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동작과 상위하다.
도 26은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 세로축은 밴드 패스 필터 출력이며,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도 26의 가로축은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여도 된다.
도 26은 시간 T2가 경과했을 때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한 예를 나타낸다. 또, 도 26은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에 접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센서 신호에 생긴 변동이 파단부(4c)에 기인하는 것인지 레일(30)의 이음매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동작예를 나타낸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센서 신호의 이상한 변동을 검출한다(S101). 또, 재현성 판정부(23)는 센서 신호에 생기는 변동의 재현성을 검출한다(S102).
다음에, 파단 판정부(24)는 파단부(4c)의 유무를 검출한다(S103). 예를 들면, 파단 판정부(24)는 S122에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를 기억부(20)에 기억시키면, 당해 위치에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28). 파단 판정부(24)는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라고 S128에 있어서 판정하면, S123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파단 판정부(24)는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는 아니라고 S128에 있어서 판정하면, 당해 위치에서의 출력 신호 Y의 최신값과 그 하나 전의 값의 차 γ를 산출한다. 그리고 파단 판정부(24)는 산출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29). 도 26에 도시하는 것처럼,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지 않으면, 출력 신호 Y는 서서히 커진다. 이 때문에, S129에 있어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임계치 TH2를 초과하는 출력 신호 Y의 검출이 경미한 변동에 기인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파단 판정부(24)는, S129에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 아니면, S121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도 26에 도시하는 것처럼,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했을 경우는 출력 신호 Y가 갑자기 커진다. 이 때문에, S129에 있어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파단 판정부(24)는 S129에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면, S124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예에서는, 파단 판정부(24)는 S128에 있어서 No이면, 차 γ와 기준값 α의 비교에 의해서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한다. S128에 있어서 No로 판정되는 것은,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1을 초과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재현성이 있고 또한 당해 위치에서 센서 신호의 변동이 임계치 TH2를 초과하기 전에 임계치 TH1을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이다. 파단 판정부(24)는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 아닌 경우는,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다. 파단 판정부(24)는, 예를 들면, 센서 신호의 변동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한 것에 기인한다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파단부(4c)의 검출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1의 후에 이어지는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즉, 도 11, 도 27 및 도 28에 의해서 일련의 동작 플로우가 도시된다. 도 27 및 도 28의 S120 내지 S129에 나타내는 동작은, 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상기 동작과 같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은, S129의 후에 S130 내지 S132가 있다는 점에 있어서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과 상위하다. 도 27 및 도 28은 엘리베이터 칸(1)이 레일(30)의 이음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기 구별을 할 수 있는 다른 동작예를 나타낸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센서 신호의 이상한 변동을 검출한다(S101). 또, 재현성 판정부(23)는 센서 신호에 생기는 변동의 재현성을 검출한다(S102).
다음에, 파단 판정부(24)는 파단부(4c)의 유무를 검출한다(S103). 예를 들면, 파단 판정부(24)는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 이하는 아니라고 S128에 있어서 판정하면,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29). 파단 판정부(24)는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라고 S129에 있어서 판정하면, 당해 위치에 있어서 기준값 α 이상의 차 γ가 검출된 것을 기억부(20)에 기억시킨다(S130). 이러한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파단 판정부(24)는, S129에 있어서 차 γ가 기준값 α 이상이 아니면, 당해 위치에 있어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나서 임계치 TH2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기준값 α 이상의 차 γ가 검출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1). 파단 판정부(24)는 기준값 α 이상의 차 γ가 검출되고 있지 않은 것을 S131에 있어서 판정하면, S121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파단 판정부(24)는, S131에 있어서 기준값 α 이상의 차 γ가 검출되면, 당해 위치에 있어서 출력 신호 Y가 임계치 TH2를 초과한 횟수가 복수 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32).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복수 회는 아닌 것을 파단 판정부(24)가 S132에서 판정하면, 동작 제어부(25)는 통상 운전을 제어한다(S127). 파단 판정부(24)는 S132에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복수 회이면, S124에 나타내는 처리로 진행한다.
파단 판정부(24)는, S132에 있어서,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파단 판정부(24)는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해 있으면, 주 로프(4)에 파단부(4c)가 발생해 있다고 판정한다(S124). 한편, 임계치 TH2의 초과 횟수가 규정 횟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동작 제어부(25)에 의해서 통상 운전이 제어된다(S127). 상기 규정 횟수는, 예를 들면 3회 이상의 횟수로 설정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에 상관없이 센서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부(20)에 기억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파단부(4c)의 돌출 방향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이 바뀌면 파단부(4c)의 로프 가이드로의 닿는 쪽이 바뀐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파단부(4c)가 돌출하는 경우, 우측의 로프 가이드(19)에 대해서 파단부(4c)가 아래에서부터 닿는 경우와 위에서부터 닿는 경우는, 그 닿는 쪽이 다르다.
도 29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파단 검지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도 10에 나타내는 동작을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에 따라 나누어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먼저,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방향이 판정된다(S104). 도 29의 S101U 내지 S103U에 나타내는 동작은,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S101 내지 S103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다. 마찬가지로, 도 29의 S101D 내지 S103D에 나타내는 동작은,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S101 내지 S103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승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하강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상이한 위치로서 다루어진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예이면, 시간 t1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시간 t3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은 위치로 간주된다. 또, 시간 t2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시간 t4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은 위치로 간주된다. 그러나 시간 t1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시간 t2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은 위치로는 간주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시간 t3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시간 t4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는 같은 위치로는 간주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파단 검지 장치이면, 파단부(4c)의 검출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1종류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3개 이상의 센서 신호를 이용해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장 간단한 예로서 2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파단부(4c)의 유무를 판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이상 변동 검출부(22)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 변동 검출부(22)는 예를 들면, 밴드 패스 필터(27a 및 27b)와, 증폭기(28a 및 28b)와, 판정기(29a 및 28b)와, 판정기(31)를 구비한다. 밴드 패스 필터(27a)는, 예를 들면 토크 신호로부터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증폭기(28a)는 밴드 패스 필터(27a)로부터의 출력 신호 u1를 2승하여, 신호를 증폭한다. 판정기(29a)는 증폭기(28a)로부터의 출력 신호 Y1이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밴드 패스 필터(27b)는, 예를 들면 저울 신호로부터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증폭기(28b)는 밴드 패스 필터(27b)로부터의 출력 신호 u2를 2승하여, 신호를 증폭한다. 판정기(29b)는 증폭기(28b)로부터의 출력 신호 Y2가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기(31)는 출력 신호 Y1 및 Y2 중 어느 것이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출력 신호 Y1 및 Y2 중 어느 것도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통상 운전이 행해진다. 출력 신호 Y1 및 Y2 중 적어도 한쪽이 임계치 TH1을 초과하고 있으면, 재현성 판정부(23)의 처리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판정기(31)에 의한 상기 동작은, S112의 판정에 대응한다.
도 31은 복수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리턴 도르래(7)에 마련된 로프 가이드에 파단부(4c)가 충돌했을 때의 센서 신호의 변동 레벨의 규모를 나타내는 게인(gain)선도이다. G1은 외력으로부터 권상기(11)의 각속도까지의 게인을 나타낸다. G2는 외력으로부터 저울 신호까지의 게인을 나타낸다.
게인 G1에서는, 1차의 고유 진동수 F1과 2차의 고유 진동수 F3의 사이에 반공진점 F2가 존재한다. 또, 2차의 고유 진동수 F3과 3차의 고유 진동수 F5의 사이에 반공진점 F4가 존재한다. 파단부(4c)가 로프 가이드에 충돌했을 때의 이상 변동(진동)의 주파수가 반공진점 F2 혹은 F4에 가까운 값이면, 토크 신호로부터 이상 변동을 검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게인 G2는 당해 주파수에 있어서 게인 G1보다 높고, 감도가 좋은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반공진점 F2 혹은 F4에 가까운 주파수에서 이상 변동을 검지하는 경우는, 토크 신호로부터 보다도 저울 신호로부터의 쪽이 검지가 용이하게 된다.
각 실시 형태에서는, 주 로프(4)에 발생한 파단부(4c)를 검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파단 검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로프에 발생한 파단부를 검지해도 된다.
부호 20-26에 나타내는 각부 및 임계치 설정부는, 제어 장치(13)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32는 제어 장치(13)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13)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32)와 메모리(3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3)는 메모리(3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32)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프로세서(3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33)로서,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를 채용해도 된다. 채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및 EEPROM 등이 포함된다.
제어 장치(13)가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제어 장치(13)의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에 따른 파단 검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발생한 파단부를 검지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승강로
3: 균형 추 4: 주 로프
4a: 단부 4b: 단부
4c: 파단부 5: 서스펜션 시브
6: 서스펜션 시브 7: 리턴 도르래
8: 구동 시브 9: 리턴 도르래
9a: 축 10: 서스펜션 시브
11: 권상기 12: 저울 장치
13: 제어 장치 15: 조속기
16: 조속 로프 17: 조속 시브
18: 인코더 19: 로프 가이드
20: 기억부 21: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
22: 이상 변동 검출부 23: 재현성 판정부
24: 파단 판정부 25: 동작 제어부
26: 통보부 27: 밴드 패스 필터
28: 증폭기 29: 판정기
30: 레일 31: 판정기
32: 프로세서 33: 메모리

Claims (16)

  1.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1 재현성과 상기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2 재현성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 및 상기 제2 재현성이 있고 또한 당해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는 파단 검지 장치.
  2.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1 재현성과 상기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2 재현성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는,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 파단 검지 장치.
  3.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1 재현성과 상기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2 재현성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고 또한 당해 위치에서의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의 최신값과 그 하나 전의 값의 차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차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는 파단 검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고 또한 당해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하기 전에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는, 당해 위치에서의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의 최신값과 그 하나 전의 값의 차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차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는 파단 검지 장치.
  5.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진동이 발생하면, 출력 신호가 변동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연관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제1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1 재현성과 상기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의 제2 재현성에 기초하여,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통과한 레일 이음매에 기인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1 재현성에 의해, 상기 로프의 파단부에 기인하는지 여부를 상기 제2 재현성에 의해 구별하는 파단 판정 수단을 구비한 파단 검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 파단 검지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하기 전에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는,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 파단 검지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재현성이 있고 또한 당해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이 상기 제2 임계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한 횟수가 규정 횟수보다 많은 경우는, 당해 위치에서의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의 최신값과 그 하나 전의 값의 차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차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는 파단 검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단 판정 수단은 상기 차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로프에 파단부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하지 않는 파단 검지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을 검출하고, 검출한 변동이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이상 변동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파단 검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상 변동 검출 수단은 상기 로프에 존재하는 파단부가 상기 로프용의 로프 가이드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특징 주파수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추출하는 파단 검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징 주파수는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를 v[m/s], 상기 로프에 발생하는 파단부의 길이로서 설정된 값을 d[m]라고 했을 경우에,
    f=v/d
    로 나타내지는 주파수 f[Hz]를 포함하는 파단 검지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변동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치 및 상기 제2 임계치를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파단 검지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로프가 감겨 걸린 구동 시브를 가지는 권상기로부터의 토크 신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하중을 검출하는 저울 장치로부터의 저울 신호인 파단 검지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파단 검지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로프가 감겨 걸린 구동 시브를 가지는 권상기로부터의 인코더 신호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세이프티 기어(safety gear)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로부터의 인코더 신호인 파단 검지 장치.
KR1020187033018A 2016-05-24 2016-05-24 파단 검지 장치 KR102054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5340 WO2017203609A1 (ja) 2016-05-24 2016-05-24 破断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31A KR20180135931A (ko) 2018-12-21
KR102054097B1 true KR102054097B1 (ko) 2019-12-09

Family

ID=6041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18A KR102054097B1 (ko) 2016-05-24 2016-05-24 파단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01559B2 (ko)
KR (1) KR102054097B1 (ko)
CN (1) CN109311629B (ko)
DE (1) DE112016006904T5 (ko)
WO (1) WO2017203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2984B2 (ja) * 2017-08-10 2021-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破断検知装置
WO2019123650A1 (ja) * 2017-12-22 2019-06-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確認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確認システム
DE112019007242T5 (de) 2019-04-23 2022-0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ucherkennungsvorrichtung
CN110626915B (zh) * 2019-08-18 2020-09-08 浙江梅轮电梯股份有限公司 基于傅里叶变换的电梯防坠独立式安全监测方法
CN110482353B (zh) * 2019-08-18 2021-03-02 浙江梅轮电梯股份有限公司 基于无线网络的电梯防坠监测系统
CN114502494B (zh) * 2019-09-27 2023-01-10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装置以及异常检测方法
CN115335312B (zh) * 2020-03-18 2023-06-13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的信息收集系统
WO2021229698A1 (ja) * 2020-05-12 2021-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KR102511001B1 (ko) * 2020-06-26 2023-03-16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검사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835A (ja)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装置及び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方法
JP2015078073A (ja) 2011-03-08 2015-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異常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339B2 (ko) 1972-01-12 1977-01-27
JPS523339A (en) 1975-06-27 1977-01-1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Information file system
JPH08104473A (ja) * 1994-10-04 1996-04-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監視診断方法及び装置
JPH1081462A (ja) 1996-09-06 1998-03-3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JP2002333431A (ja) * 2001-05-10 2002-11-2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ワイヤロープ診断測定装置
CN103204416B (zh) * 2012-01-12 2015-06-2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驱动绳轮磨损检测装置
JP5463404B2 (ja) * 2012-10-19 2014-04-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ワイヤーロープ素線切れ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073A (ja) 2011-03-08 2015-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異常診断装置
JP2014108835A (ja)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装置及び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3609A1 (ja) 2017-11-30
JP6601559B2 (ja) 2019-11-06
KR20180135931A (ko) 2018-12-21
DE112016006904T5 (de) 2019-02-14
CN109311629B (zh) 2020-11-03
JPWO2017203609A1 (ja) 2019-02-14
CN109311629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097B1 (ko) 파단 검지 장치
CN111108054B (zh) 断裂检测装置
JP6773132B2 (ja) 破断検知装置
JP4849397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KR102028293B1 (ko) 파단 검출 장치
EP3693315B1 (en) Elevator system control based on building sway
US10508001B2 (en) Elevator system
JP5224933B2 (ja) エレベーターの復旧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570470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感知器
JP4994633B2 (ja) エレベータの自動点検装置
CN109153537B (zh) 电梯装置
JP482821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3901081A1 (en) Elevator compensation assembly monitor
CN113710602B (zh) 断裂检测装置
JP7078145B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5551793A (zh) 电梯的异常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