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55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55B1
KR102054055B1 KR1020177025549A KR20177025549A KR102054055B1 KR 102054055 B1 KR102054055 B1 KR 102054055B1 KR 1020177025549 A KR1020177025549 A KR 1020177025549A KR 20177025549 A KR20177025549 A KR 20177025549A KR 102054055 B1 KR102054055 B1 KR 10205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opper
printer
roll paper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619A (ko
Inventor
요시나리 다카바타케
스미오 와타나베
마사히로 쯔치야
유지 야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Abstract

프린터는, 롤 형상의 기록지가 수용되는 홀더를 갖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홀더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프린터 본체에 지지하는 베어링 기구와, 상기 커버가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커버의 측판 또는 상기 프린터 본체의 내벽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측판 또는 상기 내벽 중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기구는, 양 단부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부하가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을 지지하여 상기 측판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터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롤 형상의 기록지가 설치되는 홀더를 갖는 프린터 본체와, 프린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가 구비된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롤 형상의 기록지를 홀더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홀더에 구비한 급지축에 기록지의 심(芯)을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기록지의 보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급지축을 사용하지 않고서 홀더에 설치하는, 끼워넣는 방식의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96595호
프린터가 소형화되더라도 기록지의 크기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기록지를 소형화된 프린터에 수용하기 위해 커버를 얇게 하면, 커버의 강도가 약해져서 커버를 프린터 본체에 지지하는 베어링 기구의 강도도 저하되어, 기록지를 커버에 얹는 것만으로도 베어링부가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끼워넣는 방식의 프린터에서는,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커버를 개방하고 롤 형상의 기록지를 홀더에 장착하므로, 기록지가 개방된 커버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개방된 상태의 커버 위로 기록지가 낙하하여, 그 충격으로 커버가 이탈될 우려가 커진다.
본 개시의 목적의 하나는, 프린터 본체로부터 커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의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 형상의 기록지가 수용되는 홀더를 갖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홀더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프린터 본체에 지지하는 베어링 기구와, 상기 커버가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커버의 측판 또는 상기 프린터 본체의 내벽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측판 또는 상기 내벽 중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 기구는, 양 단부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부하가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을 지지하여 상기 측판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린터 본체로부터 커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커버를 개방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를 닫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커버를 닫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버를 개방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커버를 탈거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이다.
도 6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베어링 기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스토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퍼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퍼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퍼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기구 및 이탈 방지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탈 방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탈 방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탈 방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커버를 닫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커버를 닫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커버를 닫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커버를 닫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4a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4b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비교예에 따른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커버를 닫은 비교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정적이지 않은 예시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첨부의 도면 전체에서의 기재에 있어,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또는 부품에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참조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부재 또는 부품 간의 상대비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발명을 특정하는 것이 아닌 예시로서, 실시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 및 그 조합이 반드시 발명의 본질적인 부분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 도 6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1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커버(20A)를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1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버(20A)를 닫은 상태의 프린터(1A)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20A)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커버(20A)를 닫은 상태의 프린터(1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커버(20A)를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1A)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프린터 본체(10)로부터 커버(20A)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베어링 기구의 부분 확대도이다. 한편,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 중력 방향을 “아래 방향”, 이의 반대 방향을 “윗 방향”이라고 한다.
프린터(1A)는 끼워넣는 방식의 프린터이어서, 급지축을 사용하지 않고서 기록지(100)를 홀더(11)에 장착할 수 있다.
프린터(1A)는 프린터 본체(10), 커버(20A), 베어링 기구(50), 접촉부(60A), 이탈 방지 기구(70A)를 가지고 있다.
프린터 본체(10)는 기록지(100)를 내부에 수납하며, 인쇄 처리를 하는 인쇄 기구의 일부가 탑재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10)에는, 홀더(11), 회로 기판(12), 모터(13,14), 서멀 헤드(40), 고정 블레이드(41)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11)는 프린터 본체(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100)는 홀더(11)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홀더(11)는 크게 개구되어 있다.
기록지(100)는 감열지이며,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홀더(11)에 수납된다. 이하에서는, 롤 형상의 기록지(100)를 롤지(100a)라고도 한다.
홀더(11)의 내벽에는 복수의 리브(16)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6)에 의해, 홀더(11) 내에 장착된 롤지(100a)와 홀더(11) 내벽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롤지(100a)와 내벽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2)은 프린터 본체(10)의 상부 뒷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12)에는, 프린터(1A)에 대해 각종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탑재된다. 모터(13,14)의 한쪽은 기록지(100)를 반송하기 위해, 다른쪽은 가동 블레이드(42)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홀더(11)의 좌우 내벽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기구(50)의 일부를 구성하며 커버(20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도 6a에서는 한쪽의 축 구멍(17)만 도시). 한편, 도 6a에서는, 커버 본체(23) 및 프린터 본체(10)만을 나타내며, 모터(13,14) 및 플래튼 롤러(45) 등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멀 헤드(40)는 기록지(100)에 인쇄를 행한다.
인쇄된 기록지(100)는, 고정 블레이드(41)과 가동 블레이드(42)를 갖는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고정 블레이드(41)는 프린터 본체(10)의 상부에서, 서멀 헤드(40)의 배치 위치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20A)는 레버(21), 커버 본체(23), 가동 블레이드(42), 플래튼 롤러(45)를 가지고 있다.
커버(20A)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21)는, 커버 본체(23)의 표면에 설치된 홈(2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닫혀진 커버(20a)는 미도시의 로크 기구에 의해 로크된다. 이하에서, 커버(20A)가 닫힌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한다.
레버(21)를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커버(20A)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커버(20A)가 개방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한다.
커버 본체(23)는, 커버(20A)의 기부(基部)가 되며, 가동 블레이드(42), 플래튼 롤러(45), 접촉부(60A), 스토퍼(80A)가 배치된다. 커버 본체(23)는 수지로부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커버 본체(23)의 뒷면, 즉, 프린터 본체(10)에 대향하는 면의 면쪽에는 측판(24)이 커버 본체(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판(24)은 커버 본체(23)의 뒷면에 대해 직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측판(24)의 바깥쪽에는. 베어링 기구(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축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8)는 측판(24)의 측면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한편, 홀더(11)의 내벽에 축부(28)를 설치하고, 측판(24)에 축 구멍(17)을 설치할 수도 있다.
가동 블레이드(42)는, 커버(20A)를 닫은 상태에서, 프린터 본체(10)에 설치된 고정 블레이드(41)에 대향한다. 홀더(11)로부터 급지된 기록지(100)는, 모터에 의해 고정 블레이드(41)를 향해 이동하는 가동 블레이드(42)와 고정 블레이드(41)에 의해 절단된다.
플래튼 롤러(45)는 커버(20A)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20A)를 닫은 상태에서는, 홀더(11)로부터 급지된 기록지(100)는 서멀 헤드(40)와 플래튼 롤러(45)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쇄된다.
커버(20A)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20A)의 내벽과 홀더(11)의 내벽 사이에 기록지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커버(20A)와 홀더(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수납실(15)이라고 한다.
닫힌 상태에서 레버(21)가 조작되면, 베어링 기구(50)에 의해 프린터 본체(10)에 지지된 커버(20A)가 회전하여, 프린터(1A)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열린 상태로 된다. 열린 상태에서는, 수납실(15)이 개구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지(100a)를 홀더(11) 내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20A)를 닫음으로써, 롤지(100a)는 수납실(15)에 수납된다.
도 4는 롤지(100a)를 수납실(15)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처리에서는, 롤지(100a)로부터 기록지(100)가 도 4에서의 윗방향으로 급지되어, 서멀 헤드(40)에 의해 인쇄가 행해지며, 프린터(1A)의 배출구로부터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된다.
프린터(1A)는 끼워넣는 방식의 프린터이므로, 수납실(15)의 내부에서 롤지(100a)가 도 4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록지(100)가 프린터(1A)의 윗 방향에서부터 배출되면, 롤지(100a)는 수납실(15) 내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버(20A)를 향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6은 비교예인 커버(220)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커버(220)를 닫은 상태의 비교예에 따른 프린터(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프린터(200)도 끼워넣는 방식의 프린터이며, 커버(220)의 내벽에 도 26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225)가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100)가 고속으로 배출되면, 수납실(15) 내에서 롤지(100a)가 급격하게 이동하여, 롤지(100a)의 표면이 커버(220)의 리브(225)에 걸리거나, 롤지(100a)와 리브(225)가 충돌하거나 또한 스치게 되어 마찰음이 발생한다.
리브(225)와 롤지(100a)의 표면은, 도 26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리브(225)의 하측 위치에서 접촉하며, 마찰음도 이 위치에서 많이 발생한다. 마찰음의 발생은 프린터(200)의 정숙성의 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복수의 리브(225)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기록지(100)를 배출함에 따라 롤지(100a)의 직경이 작아지더라도, 롤지(100a)는 수납실(15) 내에서는 폭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리브(225)는 롤지(100a)의 폭방향의 같은 위치로 가압된다. 그리하여, 리브(225)에 의해 롤지(100a)에 압흔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1A)의 커버(20A)에는, 수납실(15) 내의 롤지(110a)가 접촉하는 접촉부(60A)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60A)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A)의 내벽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60A)는, 단면이 원형이며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며, 산 형상부(61A), 장착부(62A), 지지부(63A)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접촉부(60A)는,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촉부(60A)의 단면 형상도,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지(100a)에 매끄럽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 형상부(61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へ”자 형상을 가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60A)에 1개 설치되어 있다. 산 형상부(61A)는, 폭방향 중앙에서 윗 방향을 향해 돌출된 꼭대기부(64A)와, 꼭대기부(64A)를 중심으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좌우 바깥쪽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61A-1, 61A-2)를 가진다. 꼭대기부(64A)의 수납실(15)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의 최대 반경보다 크다.
장착부(62A)는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돌기(26)에 착탈 자재로 결합 가능하다. 지지부(63A)는, 산 형상부(61A)와 장착부(62A)의 사이에 위치하여, 장착부(62A)에 대해 산 형상부(61A)를 지지하며, 산 형상부(61A)의 양 단부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63A)는 측판(24)에 형성된 홈부 안에 위치한다.
장착부(62A)를 돌기(26)에 결합시킴으로써 접촉부(60A)가 커버(20A)에 장착되며, 장착부(62A)를 돌기(26)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접촉부(60A)가 커버(20A)로부터 탈거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60A)를 커버(20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접촉부(60A)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한편, 장착부(62A)를 커버(20A)에 장착하는 위치는, 돌기(2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부위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부(62A)를 커버(20A)에 고정하여 접촉부(60A)의 착탈이 불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접촉부(6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산 형상부(61A)는, 롤지(100a)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쇄선)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A) 내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롤지(100a)의 직경이 큰 경우, 수납실(15) 내의 롤지(100a)는 접촉부(60A)에 접촉한다. 한편, 롤지(100a)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롤지(100a)가 커버(20A)를 향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60A)에 접촉한다.
롤지(100a)가 이동한 경우, 또는 롤지(100a)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롤지(100a)로 가압된 산 형상부(61A)는 커버(20A)를 향해 화살표 D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롤지(100a)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된 산 형상부(61A)의 탄성에 의해, 롤지가 도 4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롤지(100a)가 커버(20A)를 향해 이동하는 힘은 감쇠된다. 따라서, 롤지가 커버(20A)를 향해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롤지(100a)가 산 형상부(61A)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음을 억제하여 프린터(1A)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의 접촉 상태에 주목한다.
이하에서, 커버(20A)에 있어, 플래튼 롤러(45)가 배치되어 있는 쪽을 “윗 방향”이라 하고, 축부(28)가 설치되어 있는 쪽을 “아래 방향”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본체(23)에는, 윗 방향에 정점을 가지는 볼록 모양의 산 형상의 접촉부(60A)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커버 본체(23)에 구비되어 있는 접촉부(60A)는 1개이다. 접촉부(60A) 중앙의 꼭대기부(64A)의 높이는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의 최대 반경보다 커서, 수납실(15) 내의 롤지(100a)의 직경에 관계 없이 산 형상부(61A)는 롤지(100a)와 2개소에서 접촉한다.
접촉부(60A)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며, 롤지(100a)와 접촉하는 산 형상부(61A)는 롤지(100a)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61A-1, 61A-2)를 가진다. 산 형상부(61A)와 롤지(100a)의 접촉은 실질적으로 점 접촉이 된다.
여기에서, “실질적인 점 접촉”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점 접촉” 뿐만 아니라, 점 접촉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접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점 접촉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접촉”이란, 비교예에서 롤지(100a)와 리브(225)의 접촉 면적보다 작은 면적에서의 점 접촉 및 선 접촉으로 한다.
또한, 산 형상부(61A)과 롤지(100a)의 접촉 면적은 롤지(100a)가 접촉부(60A)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나, “점 접촉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접촉”은 이러한 가압력의 변화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접촉 면적의 범위에서의 접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산 형상부(61A)와 접촉한 상태에서 롤지(100a)가 배출되면, 회전하는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는 실질적으로 점 접촉하므로,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의 접촉 면적은 비교예인 롤지와 리브의 접촉 면적에 비하면 작다. 따라서, 접촉부(60A)와 롤지(100a)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비교예보다 작아, 롤지(100a)는 원활하게 회전한다. 그리하여,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음이 억제되어, 정숙성이 좋은 프린터(1A)를 실현할 수 있다.
기록지(100)가 배출되어 롤지(100a)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산 형상부(61A)와 접촉하는 롤지의 폭방향 위치는 이동한다.
롤지(100a)와 산 형상부(61A)의 접촉 위치 변화를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롤지(100a-1)는 최대 직경 상태의 것이다(이하에서 “대 롤지”라고 함). 롤지(100a-2)는 직경이 최대 직경의 2/3 정도로 된 상태의 것이다(이하에서 “중 롤지”라고 함). 롤지(100a-3)는 직경이 최대 직경의 1/3 정도로 된 것이다(이하에서 “소 롤지”라고 함).
대(大) 롤지(100a-1)는 직경이 크므로, 산 형상부(61A)의 꼭대기부(64)에 가까운 윗 방향의 2개소, 도 3에서 P1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산 형상부(61A)와 접촉한다. 대 롤지(100a-1)가 접촉하는 2개소의 접촉 위치 P1은 서로 근접해 있다.
기록지(100)가 배출되어 롤지의 직경이 작아져서 중(中) 롤지(100a-2)의 상태로 되면, 접촉 위치 P1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깥쪽의 접촉 위치 P2에서, 중 롤지(100a-2)는 산 형상부(61A)와 접촉한다.
또한, 롤지의 직경이 작아져서 소(小) 롤지(100a-3)의 상태로 되면, 접촉 위치 P2보다 더 아래쪽인, 도 3에서의 바깥쪽 접촉 위치 P3에서, 소 롤지(100a-3)는 산 형상부(61A)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산 형상부(61A)가 산 모양이고 또한 롤지(100a)는 점점 직경이 작아지므로, 산 형상부(61A)와 접촉하는 롤지(100a) 의 위치는, 기록지(100)를 배출함에 따라 변화하여 점차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롤지(100a)가 산 형상부(61A)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롤지(100a)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산 형상부에 접촉하는 롤지의 폭방향 위치가 변화하므로, 기록지(100)에 압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a~도 14를 이용하여 이탈 방지 기구(70A)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20A)는, 축부(28)가 축 구멍(17)에 지지되며, 프린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커버(20A)에 외력이 더해지면, 측판(24)이 내측으로 변위하여 축부(28)가 축 구멍(17)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데스크톱 프린터에서는 롤지가 커버에 얹어질 가능성은 낮으나, 프린터(1A)와 같이 커버(20A)가 앞쪽에서 개방되는 패널 마운트 프린터인 경우에는, 용지 세팅시에 커버(20A)에 롤지(100a)를 올려두거나 커버(20A)에 떨어뜨릴 가능성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커버(20A)에 외력이 가해져서 박형화된 커버(20A)의 회전축이 파손되는 등의 위험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탈 방지 기구(70A)는, 커버(20A)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 기구(70A)는 오목부(29), 홈(27), 스토퍼(80A)를 가진다.
오목부(29)는 커버 본체(23)의 측판(24) 내벽에 형성된 바닥 있는 구멍이고, 그 외주에 측판(24)에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29a)이 형성되어 있다(도 6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29)는 축부(28)의 형성 위치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축부(28)의 축 구멍(17)으로부터의 이탈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축부(28)와 오목부(29)는 근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오목부(29)와 축부(28)를 동축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커버 본체(23)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25)에는 스토퍼(80A)가 장착되는 홈(27)이 구비되고, 홈(27)의 양쪽에는 한 쌍의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돌기(26) 사이에, 바닥면이 커버 본체(23)의 내벽과 대략 동일한 높이인 홈(27)이 형성된다. 각각의 홈(27)은 양쪽의 오목부(29)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홈(27)은 반드시 리브(25)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커버 본체(23) 내면의 다른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스토퍼(80A)는 스토퍼 본체(81A), 볼록부(82), 스토퍼면(83)을 가진다. 스토퍼 본체(81A)는 단면이 어묵 모양인 봉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 본체(81A)의 내부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84)가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보강 리브(84)의 배치 갯수 및 배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스토퍼(80A)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스토퍼 본체(81A)의 단면 형상은, 어묵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 다른 단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리브(84)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스토퍼(80A)의 강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하면 된다.
볼록부(82) 및 스토퍼면(83)은 스토퍼 본체(81A)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2)는 원주형이며 오목부(29)와 결합된다. 스토퍼면(83)은 볼록부(82)에 대해 바닥면(87) 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82)를 측판(24)의 내벽에 형성하고, 오목부(29)를 스토퍼 본체(81A)의 양단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스토퍼(80A)를 커버(20A)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로부터 탈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토퍼(80A)를 커버(20A)에 장착하기 전에, 커버(20A)를 프린터 본체(10)에 장착한다. 커버(20A)는, 측판(24)에 형성되어 있는 축부(28)를 홀더(11)에 형성되어 있는 축 구멍(17)에 끼움으로써, 프린터 본체(10)에 장착된다. 도 6a에서 화살표G로 나타내는 일점 쇄선은, 축부(28)를 축 구멍(17)으로 장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토퍼(80A)는, 프린터 본체(10)에 장착된 커버(20A)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80A)의 볼록부(82)를 측판(24)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9)에 삽입한다.
도 9는 스토퍼(80A)의 볼록부(82)가 측판(24)의 오목부(2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볼록부(82)가 오목부(29)에 결합됨으로써, 스토퍼(80A)는 홈(27)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볼록부(82)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스토퍼면(83)은, 오목부(29)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면(29a)에 대향한다.
스토퍼(80A)가 적정한 방향으로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80A)의 곡면 부분이 위를 향한다. 한편, 도 9에서는, 스토퍼(80A)의 바닥면(87, 도 7 참조)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스토퍼(80A)가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어서, 스토퍼(80A)가 적정한 방향으로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9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80A)를 회전시켜서 스토퍼(80A)의 바닥면(87)을 커버(20A)의 내벽에 대향시킨다.
도 10은 스토퍼(80A)가 커버(20A)에 적정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토퍼(80A)가 커버(20A)에 적정하게 장착되면, 스토퍼(80A)의 곡면 부분이 위를 향하므로, 프린터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에 의해 스토퍼(80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0A)를 커버(20A)에 적정하게 장착함으로써, 스토퍼 본체(81A)가 돌기(26)에 감합되고 바닥면(87)이 커버 본체(23)의 내벽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스토퍼(80A)는 홈(27)과 커버 본체(23)의 내벽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20A)에 아래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이더라도, 안쪽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측판(24)에 스토퍼면(83)이 맞닿아 스토퍼(80A)에 의해 측판(24)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스토퍼(80A)가 커버(20A)에 장착된 상태의 베어링 기구(50) 및 이탈 방지 기구(70A)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점 쇄선(C)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에 장착되고 스토퍼(80A)가 커버(20A)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축 구멍(17)과 축부(28)가 결합되고 스토퍼(80A)의 볼록부(82)가 오목부(29)에 결합된다. 한편, 도 11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스토퍼면(83)은 돌출면(29a)에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기구(50)의 중심축(도 11에서 화살표 H로 나타내는 일점쇄선)과 이탈 방지 기구(70A)의 중심축(도 11에서 화살표 K로 나타내는 일점쇄선)이 거리 ΔH만큼 어긋나 있다.
이어서, 열린 상태의 커버(20A)에 외력이 인가된 경우의 이탈 방지 기구(7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열린 상태의 커버(20A)에 윗 방향으로부터 외력(F1)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버(20A)에 외력(F1)이 인가되는 이유로는, 롤지(100a)를 교환할 때에 잘못하여 커버(20A)로 롤지(100a)를 낙하시킨 경우, 조작자가 잘못하여 커버(20A)를 눌러 버린 경우 등을 상정할 수 있다.
커버(20A)에 외력(F1)이 인가되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면, 커버(20A)의 측판(24)은 홀더(11)에 대해 안쪽으로 넘어진다. 즉, 커버(20A)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홀더(11)의 내벽과 측판(24)의 사이에는, 축 구멍(17)과 축부(28)를 이탈시키는 힘(도 12에서 화살표 F2로 나타냄)이 작용한다. 이 때, 측판(24)은 홀더(11)의 내벽보다 얇아서 강도가 약하므로, 측판(24)은 안쪽으로 변위한다.
그러나, 대향하는 측판(24)의 사이에는 스토퍼(80A)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힘(F2)에 의해 측판(24)이 안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측판(24)이 스토퍼(80A) 양단의 스토퍼면(83)에 맞닿아 측판(24)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측판(24)이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오목부(29)는 볼록부(82)를 향해 가압되므로, 측판(24)에 화살표 F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볼록부(82)가 오목부(29)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탈 방지 기구(70A)를 구비함으로써, 측판(24)의 이동이 규제되어 축부(28)가 축 구멍(17)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20A)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프린터(1A)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스토퍼(80A)에서는 지지할 수 없는 매우 큰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큰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되더라도 스토퍼(80A)가 측판(24)을 계속하여 지지하는 구성에서는, 오히려 측판(24)이 파손되거나, 스토퍼(80A)가 부러지거나, 볼록부(82)가 짓눌리거나 하여, 커버(20A)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큰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된 경우에는, 스토퍼(80A)에 의한 측판(24)의 지지를 해제하여 커버(20A)가 프린터 본체(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프린터(1A)의 손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큰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된 경우, 스토퍼(80A)가 커버(20A)로부터 이탈하도록 이탈 방지 기구(70A)를 구성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커버(20A)에 큰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의 이탈 방지 기구(70A)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되었을 때에 스토퍼(80A)의 양단에 화살표 F3로 나타내는 힘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이하에서, 이 힘을 “외력 F3”라고 함).
외력이 커버(20A)에 인가되어 측판(24)이 안쪽으로 넘어진 경우, 측판(24)이 스토퍼(80A)의 스토퍼면(83)에 맞닿아, 외력 F3가 스토퍼면(83)에 인가된다.
스토퍼면(83)은 스토퍼(80A)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므로, 외력 F3가 스토퍼면(83)에 인가됨으로써 스토퍼(80A)에 대한 모멘트가 발생하여, 도 1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80A)가 활 모양으로 변형된다.
스토퍼(80A)가 활 모양으로 변형됨으로써, 볼록부(82)와 오목부(29)가 이간되어 스토퍼(80A)와 커버(20A)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로써, 스토퍼(80A)는 커버(20A)로부터 이탈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도 14는 스토퍼(80A)가 커버(20A)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볼록부(82)와 오목부(29)의 결합이 해제되면, 활 모양으로 변형된 스토퍼(80A)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한다. 볼록부(82)가 오목부(29)로부터 이탈된 스토퍼(80A)는,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커버(20A)로부터 튀어 나온다. 이러한 이탈 방지 기구(70A)의 구성에 의하면, 큰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에 스토퍼(80A)가 자동적으로 커버(20A)로부터 이탈되므로, 측판(24)이 파손되거나 스토퍼(80A)가 부서지거나 볼록부(82)가 짓눌러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력 F3가 인가되었을 때에 스토퍼(80A)에 발생하는 변형량은, 예를 들어, 스토퍼 본체(81A)로 보강 리브(84)가 배치되는 갯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1B~1E)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1B~1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15~도 22에서, 제1 실시형태인 프린터(1A)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1B)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커버(20A)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커버(20A)를 닫은 상태에서의 프린터(1B)의 단면도이다.
프린터(1B)의 접촉부(60B)에서는, 꼭대기부(64B)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산 형상부(61B)가 1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산 형상부(61B)의 양단은, 장착부(62B)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63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산 형상부(61B)는, 롤지(100a)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A)의 내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롤지(100a)가 접촉하면, 커버(20A)를 향해 화살표 D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롤지(100a)가 커버(20A)를 향해 이동하는 힘은, 산 형상부(61B)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발생하는 탄력에 의해 감쇠되어, 롤지가 커버(20A) 쪽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롤지(100a)가 산 형상부(61B)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음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접촉부(60B)는 와이어이며, 롤지(100a)와의 접촉은 실질적으로 점 접촉이 된다. 따라서, 접촉부(60B)와 롤지(100a)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져서 마찰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3 실시형태의 프린터(1C)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커버(20A)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커버(20A)를 닫은 상태의 프린터(1C)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프린터(1C)의 접촉부(60C)는, 금속 평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산 형상으로 성형된다.
접촉부(60C)에는 산 형상부(61C)가 구비되고, 산 형상부(61C)의 양단은 장착부(62C)에 의해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다. 꼭대기부(64C)의 상변 높이는,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의 최대 반경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롤지(100a)가 산 형상부(61C)에 접촉함으로써 산 형상부(61C)는 탄성 변형하여 롤지(100a)의 이동하는 힘이 감쇠되므로, 마찰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프린터(1C)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 형상부(61C)의, 플래튼 롤러(45)에 가까운 상측 외주 둘레의 에지(65)가 롤지(100a)에 접촉한다. 이러한 에지(65)는 꼭대기부(64C)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지(65)가 롤지(100a)에 접촉하므로, 산 형상부(61C)와 롤지(100a)는 점접촉과 동등한 접촉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접촉부(60C)와 롤지(100a)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아져서 마찰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산 형상부(61C)는 산 형상이므로, 롤지(100a)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에지(65)에 접촉하는 롤지(100a)의 위치는 변화한다. 따라서, 프린터(1C)에 따르더라도 기록지(100)에 발생하는 압흔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제4 실시형태의 프린터(1D)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커버(20A)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커버(20A)를 닫은 상태의 프린터(1D)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프린터(1D)는, 접촉부(60D)의 재료로서 흡음재로 작용하는 스폰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흡음(吸音) 기능을 가지는 재료라면, 접촉부(60D)는 스폰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60D)도 산 형상부(61D)를 가지는데, 산 형상부(61D)의 양단은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다. 꼭대기부(64D)의 높이는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의 최대 반경보다 크다.
롤지(100a)의 배출에 따라 롤지(100a)가 커버(20A)를 향해 이동하면, 접촉하는 롤지(100a)에 의해 산 형상부(61D)는 가압되어 변형된다. 산 형상부(61D)가 변형됨에 따라 롤지(100a)가 도 20에 도시된 우측으로 가압되어, 롤지(100a)의 이동하는 힘이 감쇠되므로 마찰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60D)는 흡음재로서 기능하는 스폰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찰음은 접촉부(60D)에서 흡음된다.
한편, 접촉부(60D)의 경도 및 접촉부(60D)에 의한 롤지(100a)의 가압력은, 압흔이 생기지 않는 경도 및 크기가 되도록 설정된다.
도 21 및 도 22는 제5 실시형태의 프린터(1E)를 나타낸다. 도 21은 커버(20A)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커버(20A)를 닫은 상태의 프린터(1E)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E)는, 접촉부(60E)가 복수 개, 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산 형상부(61E)를 가진다. 각각의 산 형상부(61E)는 꼭대기부(64E)가 윗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각각의 산 형상부(61E)의 양단은 커버(20A)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꼭대기부(64E)의 높이는 수납실(15)에 장착되는 롤지(100a)의 최대 반경보다 크다.
한편, 각각의 산 형상부(61E)의 꼭대기부(64E)는 윗 방향이 아니라 아래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꼭대기부(64E)가 윗 방향으로 돌출된 산 형상부(61E)와, 꼭대기부(64E)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산 형상부(61E)를 혼재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롤지(100a)가 산 형상부(61E)에 접촉함으로써, 산 형상부(61E)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롤지(100a)의 이동하는 힘이, 탄성 변형하는 산 형상부(61E)에 의해 감쇠되어, 마찰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각의 산 형상부(61E)는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각각의 산 형상부(61E)와 롤지(100a)의 접촉은 실질적으로 점 접촉이 된다. 따라서, 접촉부(60E)와 롤지(100a)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아져서 마찰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E)는 복수의 산 형상부(61E)를 가져서, 산 형상부(61E)와 롤지(100a)는 다수의 지점, 프린터(1E)에서는 10개소에서 산 형상부(61E)와 롤지(100a)가 접촉하므로, 기록지(100)를 고속으로 배출하더라도 롤지(100a)를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롤지(100a)와 접촉부(60E)의 접촉점이 많아지더라도, 그 접촉 면적은 비교예의 면 접촉, 선 접촉에 비해 작다. 따라서, 다수의 지점에서 산 형상부(61E)와 롤지(100a)가 접촉하더라도, 그 접촉 위치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작으므로 마찰음을 증대시키지 않는다.
도 23은 제6 실시형태의 이탈 방지 기구(70B)를 탑재한 커버(20B)의 평면도이다.
이탈 방지 기구(70B)는 활 모양으로 만곡된 스토퍼(80B)를 가지고 있다. 커버(20B)에 형성되어 스토퍼(80B)가 감합되는 홈(27)도, 스토퍼(80B)의 형상에 대응하여 활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력이 커버(20B)에 인가되어 측판(24)이 안쪽으로 넘어지면, 외력(F3)이 스토퍼(80B)의 양단에 인가된다. 스토퍼(80B)는 미리 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외력(F3)이 인가되었을 때의 스토퍼(80B)의 변형 방향은 일정하다.
그리하여, 순간적으로 외력(F3)이 인가된 경우에도, 스토퍼(80B)가 소정의 방향으로 변형하여 커버(20B)로부터 이탈된다. 스토퍼(80B)를 활 모양으로 함으로써, 측판(24)이 파손되거나 스토퍼(80B)가 부러지거나 볼록부(82)가 짓눌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80B)가 커버(20B)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스토퍼(80A)에 접하는 홈(27)의 내벽에 경사를 둘 수도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이탈 방지 기구(70C)를 포함하는 커버(20B)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a는 커버(20B)의 평면도이고, 도 24b는 커버(20B)의 측면도이다.
이탈 방지 기구(70C)는 활 모양으로 만곡된 스토퍼(80C)를 가진다. 또한, 커버에 형성된 홈(27)도 스토퍼(80C)의 형상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80C)의 양단에 형성된 볼록부(82)는, 측판(24)에 형성된 오목부(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토퍼(80C)는 커버(20B)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도 스토퍼(80C)는 미리 활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외력(F3)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 방향은 일정하다. 그리하여, 순간적으로 외력(F3)이 인가되더라도, 스토퍼(80C)가 커버(20B)로부터 이탈하여, 측판(24)이 파손되거나 스토퍼(80C)가 부러지거나 볼록부(82)가 짓눌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80C)를 커버(20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스토퍼(80C)를 홈(27)에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볼록부(82)를 오목부(29)에 결합시킨다.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화살표 PS1은 홈(27)에 끼우지 않은 상태의 스토퍼(80C)를 나타내며, 화살표 PS2는 홈(27)에 끼운 상태의 스토퍼(80C)를 나타내고 있다.
볼록부(82)를 오목부(29)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토퍼(80C)는 볼록부(8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20B)에 장착된다. 그리하여, 도 24a 및 도 24b에서 화살표 PS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7)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스토퍼(80C)를 커버(20B)에 장착한 후, 도 24b에서의 화살표 I 방향으로 스토퍼(80C)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살표 PS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80C)를 홈(27)에 장착할 수 있다.
스토퍼(80C)는 양단이 축 지지됨으로써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만곡 형상이더라도 스토퍼(80C)는 용이하게 홈(27)에 감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탈 방지 기구(70C)에 의하면, 만곡된 스토퍼(80C)를 용이하게 커버(20B)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0C)를 커버(20B)로부터 탈거하려면, 상기 조작의 역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토퍼(80C)를 커버(20B)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25는 제8 실시형태의 이탈 방지 기구(70D)를 포함하는 커버(20B)의 평면도이다.
이탈 방지 기구(70D)의 스토퍼(80D)는, 스토퍼 본체(81D), 축(85), 코일 스프링(86)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 본체(81D)는, 단면이 U자 형상이며, 커버(20B)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축(85)이 스토퍼 본체(81D) 안으로 삽입 통과되어 있고, 스토퍼 본체(81D)는 내부에 축(85)이 삽입되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한편, 스토퍼 본체(81D)의 단면 형상은 U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를 축(85)이 삽입 관통 가능한 구성이라면, 다른 단면 형상, 예를 들어, 원 형상의 단면으로 할 수도 있다.
축(85)의 길이는, 도 2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한 쌍의 측판(24)의 이간 거리보다 짧다. 또한, 스토퍼 본체(81D)의 길이는 축(85)의 길이보다 짧다.
축(85)을 스토퍼 본체(81D)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스토퍼 본체(81D)와 축(85)이 서로 고정되며, 축(85)의 양단은 스토퍼 본체(81D)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축(85)의 스토퍼 본체(81D)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86)이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86)의 내측 단부는 스토퍼 본체(81D)의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스토퍼(80D)를 커버(20A)에 장착하면, 스토퍼 본체(81D)는 커버(20A)에 구비된 홈(27)에 감합된다. 또한, 스토퍼(80D)가 커버(2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86)의 외측 단부는 측판(24)의 내벽에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24)이 안쪽으로 넘어져서 외력(F3)이 스토퍼(80D)의 양단부에서 안쪽을 향해 인가되면, 측판(24)과 맞닿아 있는 코일 스프링(86)이 압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력(F3)이 인가되었을 때에 코일 스프링(86)이 압축됨으로써, 측판(24) 및 스토퍼(80D)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058726호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동 일본국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원에 원용한다.
1A~1E 프린터
11 홀더
15 수납실
17 축 구멍
20A,20B 커버
23 커버 본체
24 측판
25 리브
26 돌기
27 홈
28 축부
29 오목부
50 베어링 기구
70A~70D 이탈 방지 기구
80A~80D 스토퍼
82 볼록부
83 스토퍼면
85 축
86 코일 스프링

Claims (5)

  1. 롤 형상의 기록지가 수용되는 홀더를 갖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홀더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프린터 본체에 지지하는 베어링 기구와,
    상기 커버가 상기 프린터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커버의 측판 또는 상기 프린터 본체의 내벽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측판 또는 상기 내벽 중 다른 쪽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 기구는, 양 단부가 상기 측판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판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버에 부하가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측판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활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중심은, 상기 축부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177025549A 2015-03-20 2016-03-14 프린터 KR102054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8726A JP6513443B2 (ja) 2015-03-20 2015-03-20 プリンタ
JPJP-P-2015-058726 2015-03-20
PCT/JP2016/058026 WO2016152629A1 (ja) 2015-03-20 2016-03-14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19A KR20170115619A (ko) 2017-10-17
KR102054055B1 true KR102054055B1 (ko) 2019-12-09

Family

ID=5697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549A KR102054055B1 (ko) 2015-03-20 2016-03-14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0303B2 (ko)
EP (1) EP3272547B1 (ko)
JP (1) JP6513443B2 (ko)
KR (1) KR102054055B1 (ko)
CN (1) CN107428184B (ko)
WO (1) WO2016152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8306A (ja) * 2021-02-02 2022-08-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収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940B2 (ja) * 1991-03-20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真空素子の製造方法
JP2009034892A (ja) * 2007-08-01 2009-02-19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660U (ja) 1983-01-20 1984-08-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アクシミリ装置
JPS59210501A (ja) * 1984-04-17 1984-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セツト蓋体取付装置
KR100366016B1 (ko) * 2000-10-05 2002-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측면패널 결합장치
JP2003273536A (ja) * 2002-03-18 2003-09-26 Omron Corp 樹脂製扉および事務機器
JP2007320121A (ja) * 2006-05-31 2007-12-13 Toshiba Tec Corp 両面印刷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サーマルヘッド保持方法
JP4280852B2 (ja) * 2006-06-29 2009-06-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8093877A (ja) * 2006-10-10 2008-04-24 Brother Ind Ltd 電子装置
JP4992657B2 (ja) 2007-10-17 2012-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供給装置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JP3143940U (ja) * 2008-05-30 2008-08-07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バー部材のオープンロック機構
CN101722746B (zh) * 2009-12-17 2011-09-2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机及其容纸组件和纸用尽检测机构
JP5596983B2 (ja) * 2010-01-08 2014-10-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WO2012009857A1 (zh) * 2010-07-22 2012-01-26 深圳市博思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标签打印机
KR101246082B1 (ko) * 2011-04-29 2013-03-21 주식회사 신흥정밀 써멀프린터의 커버프레임 개폐장치
TWI449491B (zh) * 2011-11-18 2014-08-11 Primax Electronics Ltd 掀蓋之支撐裝置
JP5873326B2 (ja) * 2011-12-22 2016-03-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5666058B2 (ja) * 2012-03-23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JP6262429B2 (ja) * 2012-12-27 2018-0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JP6442936B2 (ja) 2014-09-03 2018-12-26 サクサ株式会社 カバー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940B2 (ja) * 1991-03-20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真空素子の製造方法
JP2009034892A (ja) * 2007-08-01 2009-02-19 Fujitsu Component Ltd 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2547A4 (en) 2018-11-07
US10040303B2 (en) 2018-08-07
EP3272547A1 (en) 2018-01-24
KR20170115619A (ko) 2017-10-17
WO2016152629A1 (ja) 2016-09-29
US20180043713A1 (en) 2018-02-15
JP6513443B2 (ja) 2019-05-15
JP2016175347A (ja) 2016-10-06
CN107428184A (zh) 2017-12-01
EP3272547B1 (en) 2020-05-06
CN107428184B (zh)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3653B2 (ja) コネクタ
KR102053190B1 (ko) 프린터
WO2011136050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EP2738037B1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US9393814B2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US10850542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locking member movable with cover
US20110260474A1 (en) Latch device
EP2607207B1 (en) Steering device
JP4311295B2 (ja) 用紙トレイ支持構造
KR102054055B1 (ko) 프린터
JP5974816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00033927A1 (en) Eject mechanism and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724189B2 (ja) プリンタ
CN220438761U (zh) 用于图形成像装置的处理盒及图形成像装置
CN113741627A (zh) 卡扣结构
JP5702215B2 (ja) プラテンローラ固定構造及びプリンタ
JP6944867B2 (ja) シリンダ錠
US7497549B2 (en) Printer with cap mechanism
JP2008130331A (ja)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のフロントパネル
JP2022174993A (ja) 抜き出し可能なスライ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