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131B1 - 벌크백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벌크백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131B1
KR102053131B1 KR1020180080595A KR20180080595A KR102053131B1 KR 102053131 B1 KR102053131 B1 KR 102053131B1 KR 1020180080595 A KR1020180080595 A KR 1020180080595A KR 20180080595 A KR20180080595 A KR 20180080595A KR 102053131 B1 KR102053131 B1 KR 10205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inforcing
reinforcing part
pal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호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8008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3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3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레트에 토출부를 형성하여 벌크백을 팔레트에 올려놓은 채로 토출할 수 있어 토출시에도 벌크백을 팔레트 채로 이송할 수 있어 운용이 간편한 벌크백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크백용 팔레트 {Pallet for bulk bag}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레트에 토출부를 형성하여 벌크백을 팔레트에 올려놓은 채로 토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볍고 내구성이 강화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백(10)이란 날리기 쉬운 대량의 제품을 적재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커다란 자루를 말하며, 식품, 화학품, 약품 등의 분야에서 사용한다. 벌크백(10)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벌크백(10)의 상부에는 지게차(30)의 포크(31)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지게차(30)는 상기 손잡이에 포크(31)를 걸어 벌크백(10)을 운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손잡이는 직물 등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 포크(31)를 상기 손잡이에 걸거나 상기 손잡이에서 제거할 때마다 수작업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벌크백(10)을 입고하거나 출고할 때는 벌크백(10)을 팔레트(20) 위에 올려, 팔레트(20)를 포크(31)로 들어 운반한다.
하지만 벌크백(10)의 내용물을 토출할 때에는 팔레트(20) 채로 운반하면 벌크백(10)의 하부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없어, 벌크백(10)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10-1448048'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448048'의 팔레트는 팔레트본체에 배출홀이 형성되고, 배출홀 주변에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팔레트본체의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팔레트본체는 일정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팔레트본체의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팔레트본체의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고, 배출홀의 크기가 작아 팔레트본체의 배출홀을 통해 벌크백의 내용물이 충분히 흘러내려오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팔레트본체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팔레트가 무겁고, 모서리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44804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팔레트에 배출구를 형성하더라도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팔레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크백용 팔레트는 제1보강부와,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보강부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부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보강부와 상기 제2보강부가 서로 교차되는 보강부 교차부는,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보강부의 양단에서 이격된 곳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채널이 상기 보강부의 하부 및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통공과, 상기 제1통공을 상기 제1보강부 또는 상기 제2보강부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 교차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통공과, 상기 제2통공을 대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보강부가 교차되어 생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평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의 외측 중앙부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평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의 단부와 상기 제2보강부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평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테두리의 하부가 2열 리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의 측면에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의 상부는 다른 보강부의 하부와 겹쳐쌓을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벌크백용 팔레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팔레트 본체의 중앙부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벌크백을 팔레트 위에 올려놓은 채로 벌크백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 둘레에 형성되는 보강부의 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본체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고, 벌크백의 내용물이 충분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토출구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팔레트 모서리 중 파손 발생이 빈번한 모서리부를 본체 중앙을 향하여 들어가게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팔레트 모서리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팔레트 테두리의 하면을 2열 리브 구조로 형성하여 팔레트 테두리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팔레트 바닥면 중 지면에 닿는 부분을 리브 구조로 형성하여, 지면과 팔레트가 선접촉을 하게 함으로써 팔레트 바닥면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팔레트를 단층 구조로 형성하여 팔레트를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백용 팔레트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벌크백용 팔레트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본체(100)는 본체(100)의 중앙부에는 형성되는 토출부(110)와, 토출부(110)의 둘레에 형성되는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우물정(井)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0)는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10)는 토출부(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토출구(111)와, 보강부(120)와 토출구(111) 사이에 형성되는 제1평판(112)을 포함한다.
토출부(110)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본체(100)의 최대 가로 및 세로 길이의 약 1/3이 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평판(112)은 제1평판(112)의 외측이 토출부(110)를 둘러싸고 있는 보강부(120)의 하단과 연결되고, 보강부(120) 하단에서 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보강부(120)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평판(112)이 형성되는 평면과 본체(100)의 상면이 형성되는 평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토출부(110) 위에 올라가는 벌크백(10) 하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벌크백(10)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하부에 토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형성된 벌크백(10)을 안정감 있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토출시 벌크백(10)의 하부의 일부가 평상시보다 좀 더 삽입되어, 내용물이 잘 흘러나올 수 있다.
제1평판(112)의 네 모서리에는 제1보강판(113)이 각각 형성된다.
제1보강판(113)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공(114)을 포함한다.
통공(114)은 장공 2개가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송은 제1보강판(113)의 빗변과 수직되게 배치된다.
통공(114)에 의해 제1평판(112)을 경량화 시키고, 제1평판(112) 네 모서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평판(112)의 중앙부에는 토출구(111)가 형성된다.
토출구(111)에는 본체(100) 위에 올라가는 벌크백(10)의 중앙부가 위치하게 된다.
토출구(111)는 벌크백(10)의 내용물이 토출구(111)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한다.
토출구(111)는 하나의 커다란 구멍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토출구(111)는 제1보강판(113)에 의해 팔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부(120)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부(121a) 2개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부(121b) 2개가 서로 교차되어 우물정(井)자 형상이 되게 형성된다. 보강부(120)의 중앙부에는 토출부(110)가 형성된다.
제1보강부(121a)와 제2보강부(121b)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보강부 교차부(122)가 형성된다.
보강부(120)의 측면 및 단면의 형상은 도 5 및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2보강부(121a,121b)는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긴 사다리꼴이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2보강부(121a,121b)는 길이가 긴 쪽의 양측면 및 상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2보강부(121a,121b)는 길이가 짧은 쪽의 양측면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를 개방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2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제1보강부(121a)의 하부에는 제1채널(123a)이 형성되고, 제2보강부(121b)의 하부에는 제2채널(123b)이 형성된다. 제1채널(123a)과 제2채널(123b)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채널 교차부(124)가 형성된다.
제1,2채널(123a,123b)의 양 끝단에는 포크(31)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구(101)가 형성된다. 포크(31)는 포크 삽입구(101)를 통해 삽입되어 제1,2채널(123a,123b)을 통과한다.
포크 삽입구(101)는 제1,2채널(123a,123b)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포크(31)는 폭이 넓은 포크 삽입구(101) 하부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보강부(121a)와 제1채널(123a) 및 제2보강부(121b)와 제2채널(123b)에는 보강부 교차부(122)의 양쪽에 제1살빼기부(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살빼기부(126)의 중앙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살빼기부(126)의 밑면의 높이는 포크 삽입구(101)의 윗부분의 높이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어, 포크 삽입구(101)로 포크(31)가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해준다.
제1살빼기부(126)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살빼기부(126) 중앙부의 상부 측면 및 하부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살빼기부(126)의 중앙부는 제1살빼기부(126)를 제1,2보강부(121a,121b)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간판(126a)과, 제1살빼기부(126)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126b)과, 제1살빼기부(126)의 측면에 형성되는 리브(126c)를 포함한다.
중간판(126a)은 제1살빼기부(126)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1살빼기부(126)가 형성되더라도 제1,2보강부(121a,121b)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통공(126b)은 제1살빼기부(126)의 하부 테두리와 중간판(126a) 사이에 형성되며, 제1살빼기부(126)와 중간판(126a)의 형상에 따라, 끝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통공(126b)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공(126b)은 제1살빼기부(126)를 경량화하고, 제1살빼기부(126)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리브(126c)는 제1,2채널(123a,123b)을 제1,2채널(123a,123b)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26c)는 일측이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2채널(123a,123b)의 측면과 연결된다.
리브(126c)는 복수의 평판이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살빼기부(126)에 의해 제1,2보강부(121a,121b)는 경량화되는 동시에 강도가 향상된다.
보강부 교차부(122) 및 채널 교차부(124)에는 제2살빼기부(12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살빼기부(127)의 중앙부는 십(十)자의 형상으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살빼기부(127)의 중앙부의 밑면의 높이는 포크 삽입구(101)의 윗부분의 높이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어, 포크 삽입구(101)로 포크(31)가 삽입될 때 가이드역할을 해준다.
제2살빼기부(127)의 중앙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살빼기부(127) 중앙부의 상부 측면 및 하부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살빼기부(127)의 중앙부는 십자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중간판(127a)과, 제2살빼기부(127)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127b)과, 제2살빼기부(127)의 측면에 형성되는 리브(127c,127d)를 포함한다.
중간판(127a)은 제2살빼기부(127)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2살빼기부(127)가 형성되더라도 보강부 교차부(12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통공(127b)은 제2살빼기부(127)의 하부 테두리와 중간판(127a) 사이에 형성되며, 제2살빼기부(127)와 중간판(127a)의 형상에 따라, 제2살빼기부(127)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은 끝이 둥근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제2살빼기부(127)의 중심에서 먼 부분은 끝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통공(127b)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공(127b)은 제2살빼기부(127)를 경량화하고, 제2살빼기부(127)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리브(127c)는 채널 교차부(124)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27c)는 일측이 상기 십자의 측면 중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의 모서리와 연결되고, 타측이 채널 교차부(124)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모서리와 연결된다.
리브(127d)는 중간판(127a)과 같은 선상에 형성된다.
리브(127d)는 채널 교차부(124)를 십자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27d)는 일측이 상기 십자의 측면 중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모서리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살빼기부(126)의 측면과 연결된다.
리브(127d)는 두 개의 평판이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살빼기부(127)에 의해 보강부 교차부(122)는 경량화되는 동시에 강도가 향상된다.
제2살빼기부(127)의 상기 십자의 측면 중 내측으로 들어간 부분과 보강부 교차부(122)의 테두리 사이의 공간에는 통공(12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공(128)은 끝이 둥근 직각삼각형 2개가 서로 빗변을 마주보고 배치되게 형성된다. 통공(128)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공(128)에 의해 보강부 교차부(122)는 경량화되는 동시에 강도가 향상된다.
제1보강부(121a)와 제1채널(123a) 및 제2보강부(121b)와 제2채널(123b)의 중앙부에는 제1살빼기부(126)와 제1살빼기부(126) 사이에 제1살빼기부(126)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3살빼기부(1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살빼기부(129)의 중앙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살빼기부(129) 중앙부의 길이방향 폭은 제1살빼기부(126) 중앙부의 길이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살빼기부(129) 중앙부의 강도가 제1살빼기부(126) 중앙부의 강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2보강부(121a,121b)의 중앙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제3살빼기부(129)의 중앙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살빼기부(129)의 밑면의 높이는 포크 삽입구(101)의 윗부분의 높이와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어, 포크 삽입구(101)로 포크(31)가 삽입될 때 가이드역할을 해준다.
제3살빼기부(129)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3살빼기부(129) 중앙부의 상부 측면 및 하부 테두리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3살빼기부(129)의 중앙부는 제3살빼기부(129)를 제1,2보강부(121a,121b)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간판(129a)과, 제3살빼기부(129)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129b)과, 제3살빼기부(129)의 측면에 형성되는 리브(129c,129d)를 포함한다.
중간판(129a)은 제3살빼기부(129)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3살빼기부(129)가 형성되더라도 제1,2보강부(121a,121b)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통공(129b)은 제3살빼기부(129)의 하부 테두리와 중간판(129a) 사이에 형성되며, 제3살빼기부(129)와 중간판(129a)의 형상에 따라, 끝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통공(129b)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통공(129b)은 제3살빼기부(129)를 경량화하고, 제3살빼기부(129)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리브(129c)는 제1,2채널(123a,123b)을 제1,2채널(123a,123b)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29c)는 일측이 상기 중앙부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2채널(123a,123b)의 측면과 연결된다.
리브(129c)는 복수의 평판이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29d)는 제1,2채널(123a,123b)을 제1,2채널(123a,123b)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의 평판과, 상기 길이방향 평판의 중앙부에 교차되고 제1,2채널(123a,123b)을 제1,2채널(123a,123b)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평판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방향 평판은 일측이 제3살빼기부(129)의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살빼기부(126) 또는 제3살빼기부(129)의 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폭방향 평판은 양측이 제1,2채널(123a,123b)의 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폭방향 평판은 후술할 돌출부(125a)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3살빼기부(129)에 의해 제1,2보강부(121a,121b)는 경량화되는 동시에 강도가 향상된다.
본체(100)에서 충격이 빈번이 일어나는 지점에는 제1모서리 보강부(130)와 제2모서리 보강부(140)가 형성된다.
제1모서리 보강부(130)는 보강부(120)의 외측 모서리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제1모서리 보강부(130)는 일측이 보강부(120)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보강부(120)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보강부(120)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평판(131)을 포함한다.
제2평판(131)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2보강판(132)이 형성된다.
제2보강판(132)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114)이 형성되어 제2평판(131)의 양측 모서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모서리 보강부(140)는 보강부 교차부(122)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중 본체(100)의 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2모서리 보강부(140)는 일측이 보강부(120)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보강부(120)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보강부(120)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평판(141)을 포함한다.
제3평판(141)의 모서리에는 제3보강판(142)이 형성된다.
제3보강판(142)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114)이 형성되어 제2평판(131)의 양측 모서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모서리 보강부(130,140)는 제1,2보강부(121a,121b)의 끝부분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 충격으로 인한 본체(100)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보강부(120)의 상판에 형성되는 외측면에는 돌출부(125)가 보강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25)의 하면은 제1,2,3평판(112,131,141)에 연결되어 견고한 구조를 형성한다. 돌출부(125)의 외측면이 제1,2,3평판(112,131,141)의 안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2,3평판(112,131,141)에 의해 돌출부(125)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돌출부(125a)는 제1,2보강부(121a,121b)의 중앙부에 복수로 형성된다. 즉, 돌출부(125a)는 보강부 교차부(122)와 보강부 교차부(122)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125a)는 측면에서 봤을 때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125a)는 사각형 형태인 것보다 더 안정감 있게 하중을 분산시키고, 강도를 향상시킨다.
돌출부(125a)의 외측면의 기울기는 보강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울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돌출부(125b)는 보강부 교차부(122)의 상하방향 모서리에 형성된다.
돌출부(125b)는 직육면체의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25b)에 의해 보강부 교차부(122)와 제2평판(131)의 모서리 부분의 강도가 향상된다.
돌출부(125b)는 돌출부(125b)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브(129d)에 의해 강도가 향상된다.
돌출부(125b)의 측면의 기울기는 보강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울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돌출부(125c)는 제1,2보강부(121a,121b) 양끝단의 측면에 형성된다.
돌출부(125c)는 측면에서 봤을 때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125c)는 사각형 형태인 것보다 더 안정감 있게 하중을 분산시키고, 강도를 향상시킨다.
돌출부(125c)의 외측면의 기울기는 보강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울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보강부(120)의 하판에 형성되는 내측면의 기울기는 보강부(120) 상판에 형성된 기울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보강부(120) 내측면은 돌출부(125)의 형태에 따라 굴곡지거나 절곡지게 형성된다.
즉, 돌출부(125)가 형성된 부분은 제1,2채널(123a,123b)의 폭이 넓고, 돌출부(12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1,2채널(123a,123b)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보강부(120)에 전체적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부는 다른 본체(100)의 하부와 겹쳐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벌크백용 팔레트의 적재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체(100)의 테두리(150)의 하면에는 리브(151)가 형성된다.
리브(151)는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모서리 보강부(130) 테두리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151a)와, 제1,2보강부(121a,121b) 양단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151c)와, 제1평판(112) 테두리의 각 중앙부에 형성되는 리브(151d)와, 제1,2보강부(121a,121b)양단과 보강부 교차부(122) 사이에 형성되는 리브(151g)는 2열로 형성되어 충격에 의한 테두리(150)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제1보강판(113) 테두리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151d)와, 제2보강판(132) 테두리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151b)와, 제3보강판(142) 테두리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151f)는 제1,2,3보강판(113,132,142)에 형성되어있는 통공을 피해 형성된다.
이러한 리브(151a,151b,151d,151e,151f,151g)로 인해, 본체(100)는 지면과 닿는 부분을 리브(151)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지면과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하여 불균일한 지면에서 본체(100)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벌크백(10)의 토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체(100) 위에 벌크백(10)을 올려놓는다.
벌크백(10)은 지게차(30)나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본체(10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다. 벌크백(10)의 중앙부가 토출구(111) 위에 오게 올려놓는다.
벌크백(10)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 벌크백(10)이 올라가 있는 본체(100)의 포크 삽입구(101)에 지게차(30)의 포크(31)를 끼워 넣어 벌크백(10)과 본체(100)를 동시에 들어올린다. 그리고 벌크백(10)과 본체(100)를 토출 장치로 운반하여, 본체(100)를 토출 장치 위에 올려놓는다.
벌크백(10) 하부에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치가 따로 없는 경우, 본체(100)의 토출구(111)를 통해 커터 등을 이용해 벌크백(10) 하부에 구멍을 내거나, 본체(100)의 토출구(111)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장치를 연다.
벌크백(10) 하부에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경우, 본체(100)의 토출구(111)를 통해 상기 장치를 연다.
그러면 토출 장치에 벌크백(10)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벌크백 20: 팔레트
30: 지게차 31: 포크
100: 본체 101: 포크 삽입구
110: 토출부 111: 토출구
112: 제1평판 113: 제1보강판
114: 통공 120: 보강부
121a: 제1보강부 121b: 제2보강부
122: 보강부 교차부 123a: 제1채널
123b: 제2채널 124: 채널 교차부
125: 돌출부 126: 제1살빼기부
127: 제2살빼기부 128: 통공
129: 제3살빼기부 130: 제1모서리 보강부
131: 제2평판 132: 제2보강판
140: 제2모서리 보강부 141: 제3평판
142: 제3보강판 150: 테두리
151: 리브

Claims (7)

  1. 제1보강부와,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보강부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부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보강부와 상기 제2보강부가 서로 교차되는 보강부 교차부는, 상기 제1보강부 및 상기 제2보강부의 양단에서 이격된 곳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채널이 상기 보강부의 하부 및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통공과, 상기 제1통공을 상기 제1보강부 또는 상기 제2보강부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 교차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통공과, 상기 제2통공을 대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중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벌크백용 팔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부와 상기 한 쌍의 제2보강부가 교차되어 생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평판이 포함되는 벌크백용 팔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외측 중앙부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평판이 더 포함되는 벌크백용 팔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의 단부와 상기 제2보강부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 하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3평판이 더 포함되는 벌크백용 팔레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테두리의 하부가 2열 리브 구조로 형성되는 벌크백용 팔레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측면에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의 상부는 다른 보강부의 하부와 겹쳐쌓을 수 있는 벌크백용 팔레트.
  7. 삭제
KR1020180080595A 2018-07-11 2018-07-11 벌크백용 팔레트 KR10205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95A KR102053131B1 (ko) 2018-07-11 2018-07-11 벌크백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95A KR102053131B1 (ko) 2018-07-11 2018-07-11 벌크백용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131B1 true KR102053131B1 (ko) 2019-12-06

Family

ID=688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95A KR102053131B1 (ko) 2018-07-11 2018-07-11 벌크백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1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1586A (ja) * 2010-06-11 2013-08-08 バルク ハンドリング オーストラリア グルー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バッグ用パレット
KR20140113081A (ko) * 2013-03-15 2014-09-24 엔피씨(주) 팔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1586A (ja) * 2010-06-11 2013-08-08 バルク ハンドリング オーストラリア グルー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バッグ用パレット
KR20140113081A (ko) * 2013-03-15 2014-09-24 엔피씨(주) 팔레트
KR101448048B1 (ko) 2013-03-15 2014-10-08 엔피씨(주)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8469C (en) Nestable pallet
CN105939939B (zh) 能够叠放的合成材料容器
EP0945356A1 (en) Synthetic resin pal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US10131470B2 (en) Bulk bag with reduced midbody circumference
US10538360B2 (en) Nestable pallet with runners
KR20060091302A (ko) 물품 수납 케이스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20030038713A (ko) 합성수지 팔레트
US9586720B2 (en) Pallet structure
KR102053131B1 (ko) 벌크백용 팔레트
JP457289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WO2017177347A1 (es) Contenedor plástico para el almacenamiento y transporte de productos agrícolas; método para apilar contenedores
JP7094542B2 (ja) 蓋部材
KR200428425Y1 (ko) 상자의 손잡이 구조와 그 상자
AU2011234621B2 (en) Crate
JP7144031B2 (ja) 容器
KR20200144784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JP2003034330A (ja) 運搬用パレット
US20190263585A1 (en) Strap guide and pail pack having the same
KR101916343B1 (ko) 지게차의 포크의 보조장치가 사용되는 파렛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JP2012056621A (ja) 保冷容器
JP4303356B2 (ja) 運搬用パレット
KR20200145696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