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048B1 - 팔레트 - Google Patents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048B1
KR101448048B1 KR1020130028007A KR20130028007A KR101448048B1 KR 101448048 B1 KR101448048 B1 KR 101448048B1 KR 1020130028007 A KR1020130028007 A KR 1020130028007A KR 20130028007 A KR20130028007 A KR 20130028007A KR 101448048 B1 KR101448048 B1 KR 10144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wall
corner
discharge hol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081A (ko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3002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0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1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홀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홀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팔레트{THE PALLE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홀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홀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팔레트는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83978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 고안은 장방형의 본체(1)로 이루어진 통상의 파렛트에 있어서, 중앙 저부에 배출공(3)을 형성하고 이 배출공(3)과 연하는 본체(1)의 상면을 상광하협의 경사면(2)으로 구성하며 파렛트 본체(1)의 일측면 중앙의 상, 하단에는 상기 배출공 (3)과 연통되게 구성한 슬라이드공(4)(4')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공 (3) (3')에는 일측 손잡이(6)가 마련된 개폐판(5)(5')을 출입자재하게 끼워 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한구조이다.
도면부호 중 (7)은 지게차 승강용 삽입공, (8)는 칸막이, (10)은 원료수용부, (20)은 뚜껑을 나타낸다.
이하 종래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고안 파렛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고안 파렛트의 정면과 측면의 양쪽에는 지게차의 승강에 필요한 삽입공(7)이 사방에 마주보도록 형성됨은 공지된 바와 같다.
종래 고안 파렛트는 종래 원료가 수용된 포대를 적재시켜 이송하게 되는 불합리한 운송수단을 탈피하여 파렛트의 상면 사방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고 상, 하 연속적으로 끼워져 입설되는 절첩가능한 통상의 칸막이(8)를 설치하여 그 내측에 원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원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원료수용부(10)의 내측으로 이물의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여 개방된 원료수용부(10)의 상부를 밀폐시켜줌으로써 원료의 안전한 운송을 도모하게 된다.
파렛트는 원료이송에 적합한 본체(1)상면이 상광하협의 경사구조로 구성되어 원료수용부(10)의 내측에 수용된 원료가 경사면(2)을 따라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상기 경사면(2)은 원료가 그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중앙 배출공(3)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오도록 한 것으로 원료배출시 파렛트 상부 원료수용부(10)에 수용된 원료가 경사면(2)을 따라 내부 잔여량이 없이 저부로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원료의 배출은 그 중앙에 형성된 배출공(3)을 통해 파렛트의 저부로 배출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원료가 하향배출 되도록 한 원료 배출구조는 지게차가 파렛트 본체(1)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원료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곳에 파렛트의 중앙부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의 원료의 배출은 파렛트 본체(1) 일측 중앙의 상, 하단에 2중으로 구성된 개폐판(5)(5')의 손잡이(6)를 잡고 본체(1)의 외방으로 서서히 당겨줌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개폐판(5)(5')이 끼워지는 슬라이드공(4)(4')은 중앙 배출공(3)과 연통된 상태이며 개폐판(5)(5')은 그 선단이 슬라이드공(4)(4')에 끼워져 배출공(3)의 측벽과 맞닿아 배출공(3)을 긴밀히 밀폐시켜 주고있다.
이는 본체(1) 중앙의 배출공(3)으로 원료가 일시에 배출됨을 방지하고 또, 개폐판의 조절로 원료의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파렛트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파렛트는 재질 자체가 나무로 만들어져서 파렛트의 하중이 많이 나가게 되어 운반에 어려움이 있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홀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팔레트는, 팔레트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본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를 보강하고, 상기 배출홀을 둘러싸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벽과,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레트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본체의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팔레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출홀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홀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팔레트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본체의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를 보강하여, 상기 팔레트본체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팔레트본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배출홀을 둘러싸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벽과,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형성되어, 팔레트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팔렛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팔레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c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d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2의 팔레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팔레트는, 팔레트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본체(100)에는 배출홀(10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101)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는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의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에는 각 모서리에 코너지지부(150)가 형성된다. 코너지지부(150)는 팔레트본체(10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코너지지부(150)는 모서리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여러개의 코너측벽(155)과, 여러개의 코너측벽(155)을 연결하는 연결측벽(151)과, 코너측벽(15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여러개의 코너상면 또는 코너하면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상면은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너상면(150a)과 제1코너상면(150a)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코너상면(15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코너상면(150b)을 포함한다.
코너하면은 제1코너상면(15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코너하면(150c)과 제2코너상면(150b)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코너하면(150d)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코너상면과 상기 코너하면이 교대로 배치되어 중량을 감소시키고 강도는 유지할 수 있다.
제2코너상면(150b) 및 제1코너하면(150c)에는 패킹(미도시)이 설치되는 패킹설치공(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패킹이 설치되는 구조는 한국특허출원 제2012-140068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코너상면 및 상기 코너하면에는 통공이 형성된다.
코너측벽(155)에서 상기 코너상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코너측벽(154)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상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너측벽(153)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팔레트본체(100)의 각 변의 중간부분에는 가장자리지지부(170)가 형성된다. 가장자리지지부(170)는 팔레트본체(100)의 변을 따라 형성된다.
가장자리지지부(17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여러개의 가장자리측벽(175)과, 가장자리측벽(175)을 연결하는 연결측벽(172)과 가장자리측벽(17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여러개의 가장자리상면 또는 가장자리하면을 포함한다.
가장자리지지부(170)도 코너지지부(150)와 구조가 거의 유사하다.
상기 가장자리상면은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상면(170a)과, 제1가장자리상면(170a)으로부터 이격되게 제1가장자리상면(17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가장자리상면(170b)을 포함한다.
제2가장자리상면(170b)에는 패킹설치공(171)이 형성된다.
이러한 패킹설치공(152, 171)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패킹설치공(152, 171)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장자리하면은 제1가장자리상면(17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가장자리하면(170c)과 제2가장자리상면(170b)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가장자리하면(170d)을 포함한다.
가장자리측벽(175)에서 상기 가장자리상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장자리측벽(174)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장자리상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장자리측벽(173)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팔레트본체(100)에는 코너지지부(150)와 가장자리지지부(17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그릴부(160)가 형성된다. 그릴부(160)에는 격자형상으로 통공이 형성된다. 그릴부(160)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하 서술되는 포크삽입구(180, 19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팔레트본체(100)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지지부(100a)가 형성되고, 배출홀(101)은 중앙지지부(100a)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에는 배출홀(101)의 주변부에 배치되도록 보강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배출홀(101) 둘레에 형성되는 이중벽보강부(120)와, 배출홀(101) 및 이중벽보강부(12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보강부(110)를 포함한다.
배출홀(101) 및 이중벽보강부(12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사각형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보강부(110)가 형성되어, 배출홀(101) 및 상기 보강부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중벽보강부(120)는 중앙지지부(100a)에는 배출홀(101)을 둘러싸는 내벽(102)과, 내벽(102)을 둘러싸며 내벽(102)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벽(103)과, 내벽(102)과 외벽(103)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내벽(102)과 외벽(103) 사이에는 이격공간부(104)가 형성된다. 이로인해 팔레트본체(100)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결부(120a, 120b)는 내벽(102)과 외벽(103)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측벽(121)과 연결부측벽(1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면(120a) 또는 하면(120b)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면(120a) 또는 하면(120b)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면(120a) 또는 하면(120b)은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배출홀(101)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팔레트본체(100)를 더욱 경량화시킬 수 있다.
모서리보강부(110)는 내벽(102)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보강측벽(111)과, 모서리보강측벽(111)의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삼각형의 판부(11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판부(112)는 내벽과 상기 연결부의 상면(120a)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판부(112)는 내벽(102) 및 연결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판부(112)에도 삼각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외벽(103)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보강리브(106)가 여러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배출홀(101)이 형성됨으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리브(106)는 상면(120a) 하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팔레트 위에 무거운 적재물이 적재되더라도 최소의 구조물로 최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팔레트본체(100)의 측벽에는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포크삽입구(180, 190)이 형성된다. 포크삽입구(180, 190)는 배출홀(10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포크삽입구(180, 190)는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즉,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포크삽입구(180, 190)는 코너지지부(150)와 가장자리지지부(170) 사이에 형성된다.
팔레트본체(100)에는 중앙지지부(100a)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모서리연결부(140)와 변연결부(130)가 형성된다.
모서리연결부(140)는 중앙지지부(100a)의 각 모서리와 코너지지부(150)를 연결한다.
변연결부(130)는 중앙지지부(100a)의 각 변과 가장자리지지부(170)를 각각 연결한다.
이러한 모서리연결부(140)와 변연결부(130)가 형성되어, 중앙지지부(100a)에 배출홀(101)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본체(100)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모서리연결부(140)는 포크삽입구(180, 190)의 상부에만 배치된다.
모서리연결부(140)는 일정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패킹설치공(141)이 형성된다.
모서리연결부(140)는 패킹설치공(141) 둘레에 배치되도록 격자형상의 통공(142)이 형성된다. 나아가, 모서리연결부(14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삼각형상의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모서리연결부(140)의 가장자리에는 변을 따라 장공(143)이 형성된다. 장공(143)은 팔레트본체(100)의 변에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변연결부(130)는 일정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포크삽입구(180, 19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여러개의 상부변연결부(130a) 및 하부변연결부(130b)를 포함한다.
변연결부(130)는 팔레트본체(100)의 변에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러개의 상부변연결부(130a)와 하부변연결부(130b)는 번갈아 가면서 교대로 배치된다.
상부변연결부(130a)와 하부변연결부(130b)에는 팔레트본체(100)의 변에 직각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다.
상부변연결부(130a)와 하부변연결부(130b)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러한 일체형 경량용 플라스틱 팔레트에 플라스틱 원료상자나 톤빽과 같은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출홀(101)을 통해 하향으로 적재물의 내용물(플라스틱원료등)을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팔레트는 배출홀(101)의 주변부에 모서리보강부(110) 및 이중벽보강부(120)가 형성되어, 팔레트를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홀(101)이 형성되더라도 팔레트의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팔레트본체 101 : 배출홀
110 : 모서리보강부 102 : 내벽
103 : 외벽 104 : 이격공간부
120 : 이중벽보강부
120a : 상면 120b : 하면
121 : 연결부측벽 106 : 보강리브

Claims (4)

  1. 팔레트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본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의 주변부에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배출홀을 둘러싸는 내벽과, 상기 내벽을 둘러싸며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벽과,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측벽과 상기 연결부측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면 또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또는 상기 하면은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상기 배출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서리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본체의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KR1020130028007A 2013-03-15 2013-03-15 팔레트 KR10144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007A KR101448048B1 (ko) 2013-03-15 2013-03-15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007A KR101448048B1 (ko) 2013-03-15 2013-03-15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1A KR20140113081A (ko) 2014-09-24
KR101448048B1 true KR101448048B1 (ko) 2014-10-08

Family

ID=5175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007A KR101448048B1 (ko) 2013-03-15 2013-03-15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31B1 (ko) 2018-07-11 2019-12-06 엔피씨(주) 벌크백용 팔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138A (ja) * 1997-10-22 1999-05-11 Idemitsu Petrochem Co Ltd 合成樹脂製パ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510427A (ja) * 2001-11-30 2005-04-21 アルマー パッキ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大型収納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138A (ja) * 1997-10-22 1999-05-11 Idemitsu Petrochem Co Ltd 合成樹脂製パ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510427A (ja) * 2001-11-30 2005-04-21 アルマー パッキ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大型収納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31B1 (ko) 2018-07-11 2019-12-06 엔피씨(주) 벌크백용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1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3041A1 (en) Stacking crate
AU2011301168B2 (en) Bulk bin
US20160362223A1 (en) Stackable pallet container fitted with a top reinforcement frame
RU2500596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KR101448048B1 (ko) 팔레트
KR100694898B1 (ko) 농산물 포장용 박스
JP5546008B2 (ja) 箱型容器
CA2783039C (en) Bakery tray
KR20200144784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CA2709622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JP6192950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460812Y1 (ko) 파레트를 이용한 패키징 컨테이너
JP5653796B2 (ja) 蓋付き容器
JP2020029271A (ja) 容器
JP2010280425A (ja) 箱型容器
KR200443105Y1 (ko) 파레트
JP3973428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233184B2 (ja) 大型容器
RU137920U1 (ru) Тара разборная
JP7028449B2 (ja) 容器
JP2020006992A (ja) 容器
JP2004161319A (ja) 運搬用容器
KR20170070883A (ko) 포장상자용 측면 보강 앵글 및 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JPH10211935A (ja) プラスチック製通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