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01B1 -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01B1
KR102052501B1 KR1020190020978A KR20190020978A KR102052501B1 KR 102052501 B1 KR102052501 B1 KR 102052501B1 KR 1020190020978 A KR1020190020978 A KR 1020190020978A KR 20190020978 A KR20190020978 A KR 20190020978A KR 102052501 B1 KR102052501 B1 KR 10205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paper
layer
binding
layers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찬
Original Assignee
김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찬 filed Critical 김기찬
Priority to KR102019002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1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20Mountings for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45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stacking sheets of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2201/00Bushings or mountings integral with the grind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부에 공구의 구동축 상에 삽입되도록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의 주변을 따라 결속축부가 돌출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적층 형태로 안착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통과홀이 상기 결속축부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사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포층은 적층된 상단부터 제거 후 재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상에 사포층이 다수 적층되어 사포가 닳아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된 사포를 뜯으면서 제거하여 후속 사포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GRINDING STONE HAVING PLURALITY OF SANDPAPER LAYERS}
본 발명은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판 형태의 사포를 교환 가능하게 다수 적층된 연마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내경 또는 금속 표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그라인더는 샌드 페이퍼가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연마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마휠은 통상적으로 디스크(disk)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황섬유(vulcanized fiber)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상면에 접착 수지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연마재를 살포하고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기재의 상면에 샌드페이퍼(사포)를 접착 수지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연마휠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401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871923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는 샌드페이퍼 또는 사포가 닿아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연마 디스크 또는 연마휠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 증가와 교체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4016호(2006.03.15) 한국등록특허 제1871923호(2018.06.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본체 상에 사포층이 다수 적층되어 사포가 닳아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된 사포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부에 공구의 구동축 상에 삽입되도록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의 주변을 따라 결속축부가 돌출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적층 형태로 안착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통과홀이 상기 결속축부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사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포층은 적층된 상단부터 제거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포층은 각각의 이웃한 층마다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결속축부는 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속축부는 대향된 양측에 탄성 지지된 가압부재가 상기 사포층의 관통홀의 대향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상에 사포층이 다수 적층되어 사포가 닳아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된 사포를 뜯으면서 제거하여 후속 사포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의 결속축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사포층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에 사포층이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의 결속축부에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의 결속축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사포층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에 사포층이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에서 본체의 결속축부에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100)은 본체(110) 및 사포층(12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부에 그라인더 등과 같은 공구(10)의 구동축(12) 상에 삽입되도록 결속홀(114)이 형성되며, 결속홀(114)의 주변을 따라 결속축부(11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는 종이,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등의 재질로 제조된다.
결속축부(112)는 본체(1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포층(120)의 지지 및 쏠림 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더욱이, 결속축부(112)는 지관 구조로 적용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합성수지관 및 금속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a)를 참조하면, 결속축부(112)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절취선(113)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포층(120)이 처음에는 다량으로 적층되어 있지만, 사용 후 제거하여 사포층(120) 두께가 얇아지면 절취선(113)을 기점으로 상측을 제거하여 결속축부(1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속축부(112)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도 결속축부(112)를 상하로 분할시킨 상태에서 이웃면을 요철(凹凸) 결합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3(b)를 참조하면, 결속축부(112)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경우 결속축부(112)를 다단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결속축부(112)는 상하로 분할 형성된 상태에서, 하측 결속축부(112a)의 내주면에 나선홈이나 나선돌기를 형성하고, 상측 결속축부(112b)의 하단 외주면에 나선돌기나 나선홈을 형성하여 나선 체결에 의해 상측 결속축부(112b)를 하측 결속축부(112a)에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측 결속축부(112b)의 상단 내주면에 나선홈이나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또 다른 결속축부와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포층(120)의 두께가 얇아지면 상측 결속축부(112b)를 하측 결속축부(112a)에서 분리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사포층(120)은 본체(110) 상에 복수개가 적층 형태로 안착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통과홀(122)이 결속축부(112)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사포층(120)은 사포가 닳아서 교체가 요구되면 맨 윗 층만 뜯어서 후속 사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포층(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웃한 층마다 접착제(124)로 접착하여 각각의 층을 결속시킨다. 일 예로, 접착제(124)는 사포층(120)의 사포 상에 "+"자 형상으로 일부 도포하여 이웃한 사포층(120)을 4지점마다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4지점 이상으로도 접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100)은 사용시 그라인더 등과 같은 공구(10)의 구동축(12) 상에 사포층(120)이 적층된 본체(110)를 삽입하여 본체(110)에 형성된 결속축부(112)의 결속홀(114)과, 사포층(120)에 형성된 통과홀(122)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구동축(12) 단부에 너트(14)를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공구(10)를 작동시켜 회전되는 사포층(120)에 의해 가공 대상물을 연마 등과 같이 가공하게 되며, 사포층(120)이 닳은 경우 맨 위의 사포를 찢고 너트(14)를 좀 더 조여 사용하거나, 너트(14)를 분리한 상태에서 맨 위쪽의 사포를 떼어내고 다시 너트(14)로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200)은 본체(210) 및 사포층(220)을 포함하며, 본체(210)의 결속축부(212)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 및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속축부(212)는 외축(212a)과 내축(212b)을 포함한 이중관 형태로 구비된다. 내축(212b)은 내부에 형성된 결속홀(214)이 공구(10)의 구동축(12) 상에 삽입되어 연마석(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외축(212a)은 외주면에 사포층(220)의 통과홀(222)이 삽입되면서 내축(212b)과의 틈 사이에 가압부재(220)가 출몰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외축(212a)은 대향된 외주면에 슬릿(slit) 형태의 출몰홀(216)이 형성되어 대향된 가압부재(220)가 출몰하게 된다.
가압부재(220)는 사포층(220)의 통과홀(222) 내주면을 가압하는 기능을 하며, 통과홀(222)의 내주면에 맞닿는 외면에 가압돌기(222)가 다수 형성되고, 상하단에 출몰홀(216)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22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가압부재(220)는 대칭된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후좌우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압돌기(222)는 도 5 기준 각각이 상광하협(上狹下廣) 형상의 직삼각형 형태로 연속 배열되어 경사면을 통해 사포층(220)의 통과홀(222)을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돌기(222)는 각각의 정점들이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되지 않고, 정점들이 아래로 갈수록 점차 안쪽으로 배치되어 정점들을 연결하면 경사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포층(220)을 떼어내면 맨 위쪽의 사포층(220)의 통과홀(222)을 그와 수평 위치상에 형성된 가압돌기(222)의 경사면만이 가압하게 됨으로써 사용중에 맨 위층의 사포가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압부재(220)는 그 후방에 탄성부재(230)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통해 항시 사포층(220)의 통과홀(222) 쪽인 외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30)는 가압부재(220)의 내벽면과 이와 대향된 내축(212b)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부재(220)를 항시 전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200)은 공구(10)의 구동축(12) 상에 설치할 때 본체(210)의 결속홈부(212) 내에 대향 설치된 가압부재(220)의 가압돌기(222)가 상측에 위치된 사포층(220)의 통과홀(222)을 아래쪽인 본체(210)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사포층(220)의 통과홀(222) 내주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사포층(22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공구 12: 구동축
14: 너트 100, 200: 연마석
110, 210: 본체 112, 212: 결속축부
120: 사포층 122: 통과홀

Claims (4)

  1.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심부에 공구의 구동축 상에 삽입되도록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의 주변을 따라 결속축부가 돌출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적층 형태로 안착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통과홀이 상기 결속축부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사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포층은 적층된 상단부터 제거 후 재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결속축부는 대향된 양측에 탄성 지지된 가압부재가 상기 사포층의 통과홀의 대향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층은 각각의 이웃한 층마다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0978A 2019-02-22 2019-02-22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KR10205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78A KR102052501B1 (ko) 2019-02-22 2019-02-22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978A KR102052501B1 (ko) 2019-02-22 2019-02-22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501B1 true KR102052501B1 (ko) 2020-01-08

Family

ID=6915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978A KR102052501B1 (ko) 2019-02-22 2019-02-22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51Y1 (ko) * 2020-01-29 2020-07-08 이경보 원형 샌드위치 사포
CN117226707A (zh) * 2023-11-10 2023-12-15 西安奕斯伟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环、承载装置及双面研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974A1 (fr) * 1996-02-01 1997-08-07 Yanase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polissage rotatif
JP2004050355A (ja) * 2002-07-19 2004-02-19 Niyuurejisuton Kk 積層型回転研磨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60024016A (ko) 2006-02-27 2006-03-15 김은녀 연마 디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1923B1 (ko) 2016-08-16 2018-06-27 (주)유영기업 연마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974A1 (fr) * 1996-02-01 1997-08-07 Yanase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polissage rotatif
JP2004050355A (ja) * 2002-07-19 2004-02-19 Niyuurejisuton Kk 積層型回転研磨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60024016A (ko) 2006-02-27 2006-03-15 김은녀 연마 디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1923B1 (ko) 2016-08-16 2018-06-27 (주)유영기업 연마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51Y1 (ko) * 2020-01-29 2020-07-08 이경보 원형 샌드위치 사포
CN117226707A (zh) * 2023-11-10 2023-12-15 西安奕斯伟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环、承载装置及双面研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822B (zh) 在磨料物品与支撑工具之间使用的界面垫
KR102052501B1 (ko)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EP1173309B1 (en) Abrasive flap disc
EP1934017A1 (en) Polishing platen and polishing apparatus
JP2007158201A (ja) Cmp装置のリテーナリング
CN111565890B (zh) 具有多层加强件的抛光或磨削垫片
JP2008213126A (ja) 研削ホイール
RU2671226C1 (ru) Абразивный инструмент на основе вулк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волокна
TW200804039A (en) Rotary tool for surface machining
JP6494866B2 (ja) 砥石ディスク
US2082916A (en) Surfacing apparatus
KR102384837B1 (ko) 그라인더의 환경친화형 휠페이퍼
JPS60114470A (ja) 回転研削研磨具
CA2214602C (en) Flap wheel
KR102485810B1 (ko) 화학적 기계적 연마 장치의 리테이너 링
KR101948677B1 (ko) 엮음식 적층형 연마 디스크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31741B1 (ko) 연삭 휠
JP7380509B2 (ja) 研磨具及び研磨方法
US20220080555A1 (en) Bilateral abrasive disc pad
JP7013027B2 (ja) 電着工具の製造方法
KR200193826Y1 (ko) 연삭기용 연삭휠
KR200294680Y1 (ko) 샌딩 그라인더휠
JP4128413B2 (ja) 研磨ホイールの製作方法
JPH0683263U (ja) 研磨ディスク
JP2002036127A (ja) 研磨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