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80Y1 - 샌딩 그라인더휠 - Google Patents

샌딩 그라인더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80Y1
KR200294680Y1 KR2020020019817U KR20020019817U KR200294680Y1 KR 200294680 Y1 KR200294680 Y1 KR 200294680Y1 KR 2020020019817 U KR2020020019817 U KR 2020020019817U KR 20020019817 U KR20020019817 U KR 20020019817U KR 200294680 Y1 KR200294680 Y1 KR 200294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ing
outward
sandpaper
inward
grind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행선
Original Assignee
황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행선 filed Critical 황행선
Priority to KR2020020019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80Y1/ko

Links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 두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측면가공이 용이하는 등 제품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원자재 및 제작공수를 현저히 절감,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샌드페이퍼 부재 48개 조각이 연속 접착되어 구성됨으로써 연마효율을 떨어뜨리고 그라인더휠을 강하게 누를 경우 흠집이 발생되는 등의 품질특성에 문제가 있으며, 원자재가 많이 소요되고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낭비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다수의 샌드페이퍼부재를 원판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있어서, 그라인더 스핀들에 결합되고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를 결착시키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원반상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외연에서 내향하는 내향 절개선과 내연에서 외향하는 외향 절개선을 각각 다수 개소에 형성한 다수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상기 각각의 내향 절개선과 외향 절개선을 이용하여 상호 엇갈려 끼워짐으로 결합 형성되는 샌딩 연마수단과, 상기 샌딩 연마수단 상에 부여되는 유리섬유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샌딩 그라인더휠{A SANDING GRINDERWHEEL}
본 고안은 그라인더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 두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측면가공이 용이하며 수명을 극대화 시켜 제품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원자재 및 제작공수를 현저히 절감,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텐인레스스틸 등의 금속제품의 용접부 등을 매끄럽게 다듬질하기 위하여 거친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핸드 그라인더에는 연마수단으로서 금강사 등의 연마입자가 형성된 샌드페이퍼를 이용한 샌딩 그라인더휠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샌딩 그라인더휠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샌딩 그라인더휠(10)은 그라인더 스핀들 헤드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에 샌드페이퍼 부재를 다중으로 접착하여 구성되어있다.
상기 샌드페이퍼 부재는 일반적으로 48개나 되는 사각형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지그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적층 부착하게 되는데, 소정의 경사각으로 조밀하게 연속부착하여 4겹으로 적층되며, 접착부는 에폭시로 몰딩처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샌드페이퍼 부재(12)가 48 개 조각이나 연속 접착되어 구성됨으로써 그라인더흴의 표면에는 48 개소의 단턱부(15)가 형성되고, 이 단턱부는 핸드 그라인더 작업시 요철부로 작용되어 손떨림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연삭 가공면이 매끈하게 되지 못하며 연마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시 그라인더휠을 강하게 누를 경우 완충기능이 없음으로 흠집이 발생되고, 그라인더휠을 세워서 측면으로 가공할 경우 그라인더휠의 주연부가 되는 끝날 부분이 찢겨져 나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며, 샌드페이퍼가 조밀 적층 부착됨으로써 그라인더휠 반경의 3분지 1 정도가 닳아지면 연마입자가 부착되었던 바닥면이 연마입자가 형성되지 않은 단면상태로 표면화된, 민면이 차지하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어 연마효율이 떨어짐으로써 사용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중에 몰딩 접착부로부터 샌드페이퍼 부재가 이탈되어 튕겨쳐 나와 작업자의 안면으로 날아드는 등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샌드페이퍼 부재를 4겹으로 적층되는 48조각이나 붙여 에폭시 몰딩처리해야 됨으로써 원자재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 조각씩 수작업으로 돌려 붙여주는 샌드페이퍼 부재 붙임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낭비되어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라인더휠에 있어서, 단 두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평면작업시 손떨림을 방지하여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측면가공이 용이하며 수명을 극대화 시켜 제품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원자재 및 제작공수를 현저히 절감,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샌딩 연마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패드부재의 일부 절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샌딩 그라인더휠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샌딩 연마수단 201: 샌드페이퍼부재 1
202: 샌드페이퍼부재 2 210: 중공
220: 내향 절개선 220': 걸침 내향 절개선
221: 직선부 222: 걸침부
230: 외향 절개선 300: 패드부재
310: 유리섬유 망사층 320: 유리섬유 부직포층
330: 종이층 10: 종래 기술의 샌딩 그라인더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샌딩 그라인더휠은,
다수의 샌드페이퍼부재를 원판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있어서,
그라인더 스핀들에 결합되고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를 결착시키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원반상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외연에서 내향하는 내향 절개선과 내연에서 외향하는 외향 절개선을 각각 다수 개소에 형성한 다수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상기 각각의 내향 절개선과 외향 절개선을 이용하여 상호 엇갈려 끼워짐으로 결합 형성되는 샌딩 연마수단과;
상기 샌딩 연마수단 상에 부여되는 유리섬유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샌딩 연마수단은 두 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한 장은 외향 절개선과, 내향 절개선이 각각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샌드페이퍼부재 1로 되고,
다른 한 장은 외향 절개선과, 상기 샌드페이퍼부재 1의 내향 절개선을 비집고 들어와 겹쳐지기 위하여 외연에서 내향하는 소정 길이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서 소정각으로 꺾여 소정 길이가 외향하는 걸침부로 이루어지는 걸침 내향 절개선이 형성된 샌드페이퍼부재 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패드부재는 유리섬유 망사층, 유리섬유 부직포층, 종이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패드부재는 두 장이 중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샌딩 그라인더휠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정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샌딩 그라인더휠(1)은,
다수의 샌드페이퍼부재를 원판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있어서,
그라인더 스핀들에 결합되고 샌딩 연마수단(200)과 패드부재(300)를 결착시키는 베이스 프레임(100) 과, 다수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201)(202)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200)과 패드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샌딩 연마수단(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결합되며, 중공(210)이 형성된 원반상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외연에서 내향하는 내향 절개선(220)과 내연에서 외향하는 외향 절개선(230)을 각각 다수 개소에 형성한 다수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201)(202)가 상기 각각의 내향 절개선(220)과 외향 절개선(230)을 이용하여 상호 엇갈려 끼워짐으로 결합 형성되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샌딩 연마수단(2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기 샌딩 연마수단(200)은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한 장은 외향 절개선(230)과, 내향 절개선(220)이 각각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샌드페이퍼부재 1(201)로 되고,
다른 한 장은 외향 절개선(220)과, 상기 샌드페이퍼부재 1(201)의 내향 절개선(220)을 비집고 들어와 겹쳐지기 위하여 외연에서 내향하는 소정 길이의 직선부(221)와 상기 직선부(221)의 단부에서 소정각으로 꺾여 소정 길이가 외향하는 걸침부(222)로 이루어지는 걸침 내향 절개선(220')이 형성된 샌드페이퍼부재 2(202)로 구성되었다.
상기 샌드페이퍼부재(201)(202)에 형성되는 외향 절개선(230)은 각각 상호 끼움 결합 작업시 유격을 형성하여 작업성을 좋게 한다
상기 내향 절개선(220)(220') 및 외향 절개선(230)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재(300)는 상기 샌딩 연마수단(200) 상에 부여되며 유리섬유재를 포함하여 형성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패드부재(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 망사층(310), 유리섬유 부직포층(320), 라벨이 인쇄되는 종이층(330)의 순서로 적층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패드부재(300)는 두 장이 중첩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샌딩 그라인더휠(1)은, 상기 금속재의 베이스 프레임(100) 부재 상에 샌딩 연마수단(200)과 패드부재(300)를 올려높고 프레스 가공으로 단번에 결착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샌딩 그라인더(1)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베이스 프레임(100)에 샌드페이퍼부재 두 겹으로 되는 샌딩 연마수단(200)과 유리섬유재 패드부재(300)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샌딩 연마수단(200)이 단 두장의 샌드페이퍼부재(201)(2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샌딩 연마수단(200)의 뒤에는 상기 샌딩 연마수단(200)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패드부재(3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이 결합이 베이스 프레임(100) 자체를 이용하여 된 것에 있다.
샌딩 연마수단(200)은 원반형의 샌드페이퍼부재 1(201) 및 샌드페이퍼부재 2(202)에 절개선(220)(220')(230)을 형성하여 이 절개선을 이용, 두 개 샌드페이퍼부재(201)(202)부재를 엇갈려 지그재그로 겹쳐 구성함으로서 두 겹으로 되고, 상기 내향 절개선(220)(220')이 결국 그라인더휠의 표면에 형성하게 되는 단턱부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약 4분지 1정도로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그라인더 작업시 단속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되어, 평면 연마작업시 손 떨림이 없으며 이에 따라 연마면이 깨끗하게 연마되어 가공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고, 그라인더휠이 닳아져도 연마입자가 없는 단면상태로 표면화된 민면 이 종래 기술의 4분지 1에 지나지 않아 반경의 3분지 2 정도가 닳아질 때 까지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것은 반경의 3분지 1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효용성 및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시 그라인더휠을 강하게 누를 경우에도 상기 탄력을 갖는 패드부재(300)의 유연성에 의하여 피가공면에 흠집이 발생되지 않는다.
피가공제품의 모서리 등, 그라인더휠의 주연부인 측면을 이용하는 연마가공시에도 상기 패드부재(300)가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특히 작업중 샌드페이퍼부재가 튕겨 나오는 등의 이탈 위험이 없음으로 안전성이 확보된다.
상기 패드부재(300)는 유리섬유의 탄력을 가짐으로써 그라인더휠의 진동을 흡수하여 연마효율을 향상시키며, 그 재질이 유리섬유 및 종이재로 형성됨으로 상기 샌딩 연마수단이 닳아질 때 같이 닳게 되어 그라인더휠의 가장자리를 이용한 측면가공시에도 전혀 간섭이 없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간단한 구성에 따른 제작의 용이함에 있다.
즉, 단 두장의 샌드페이퍼부재(202)(202)를 절개선(220)(220')을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결합하여 샌딩 연마부재를 형성하고 이를 패드부재(300)와 함께 프레스가공으로 일거에 결착시킴으로써 40 여조각의 낱장을 한장씩 돌려 붙이고 에폭시로 몰딩 처리하였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원자재와 공수를 획기적으로 절감,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샌딩 그라인더휠은, 단 두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손떨림을 방지하여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극대화 시켜 제품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원자재 및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샌딩 그라인더휠은,
단 두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로 이루어지는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됨으로써,
평면작업시 손떨림을 방지하여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측면가공이 용이하며 수명을 극대화 시켜 제품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키며, 안전성을 확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원자재 및 제작공수를 현저히 절감,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등 여러면으로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4)

  1. 다수의 샌드페이퍼부재를 원판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샌딩 그라인더휠에 있어서,
    그라인더 스핀들에 결합되고 샌딩 연마수단과 패드부재를 결착시키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원반상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외연에서 내향하는 내향 절개선과 내연에서 외향하는 외향 절개선을 각각 다수 개소에 형성한 다수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상기 각각의 내향 절개선과 외향 절개선을 이용하여 상호 엇갈려 끼워짐으로 결합 형성되는 샌딩 연마수단과;
    상기 샌딩 연마수단 상에 부여되는 유리섬유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샌딩 연마수단은 두 장의 원반형 샌드페이퍼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한 장은 외향 절개선과, 내향 절개선이 각각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샌드페이퍼부재 1로 되고,
    다른 한 장은 외향 절개선과, 상기 샌드페이퍼부재 1의 내향 절개선을 비집고 들어와 겹쳐지기 위하여 외연에서 내향하는 소정 길이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서 소정각으로 꺾여 소정 길이가 외향하는 걸침부로 이루어지는 걸침 내향 절개선이 형성된 샌드페이퍼부재 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유리섬유 망사층, 유리섬유 부직포층, 종이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두 장이 중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샌딩 그라인더휠.
KR2020020019817U 2002-07-02 2002-07-02 샌딩 그라인더휠 KR200294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17U KR200294680Y1 (ko) 2002-07-02 2002-07-02 샌딩 그라인더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17U KR200294680Y1 (ko) 2002-07-02 2002-07-02 샌딩 그라인더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894A Division KR20020072506A (ko) 2002-07-02 2002-07-02 샌딩 그라인더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680Y1 true KR200294680Y1 (ko) 2002-11-13

Family

ID=7312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17U KR200294680Y1 (ko) 2002-07-02 2002-07-02 샌딩 그라인더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1164B1 (en) Multiple abrasive assembly and method
US7922564B2 (en) Sanding element
EP1173309B1 (en) Abrasive flap disc
US5384988A (en) Lens surfacing assembly
US5542875A (en) Abrasive wheel
KR200294680Y1 (ko) 샌딩 그라인더휠
CN2403547Y (zh) 一种复合砂轮
JP2008213126A (ja) 研削ホイール
KR20020072506A (ko) 샌딩 그라인더휠
KR102052501B1 (ko) 복수의 사포층을 구비한 연마석
JPS60114470A (ja) 回転研削研磨具
CN211439612U (zh) 耐磨磨片
CN213054404U (zh) 一种具有可拆卸抛光组件的纱布打磨轮
CN216991473U (zh) 新型抛光磨具
CN219582604U (zh) 一种新型斜面砂布页轮
CN111195865A (zh) 交叠式层叠型研磨盘及其制作方法
JP2001038611A (ja) 研磨用被加工物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CN216940192U (zh) 一种高效节时的弧面砂页盘
JP2004338022A (ja) ディスク砥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20659359U (zh) 一种多样式芯切割片盘
JPH085020Y2 (ja) 研磨具
KR200193826Y1 (ko) 연삭기용 연삭휠
CN216179728U (zh) 一种抛光磨具
CN210849750U (zh) 一种新型的组成固结研磨盘工作面的砂轮块
US20230136260A1 (en) Polish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