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124B1 -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124B1
KR102051124B1 KR1020190038950A KR20190038950A KR102051124B1 KR 102051124 B1 KR102051124 B1 KR 102051124B1 KR 1020190038950 A KR1020190038950 A KR 1020190038950A KR 20190038950 A KR20190038950 A KR 20190038950A KR 102051124 B1 KR102051124 B1 KR 10205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nt
state
wall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Priority to KR102019003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124B1/ko
Priority to PCT/KR2020/004526 priority patent/WO2020204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05B12/34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movable relative to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도료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사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벽면과 이격된 상태인 제1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과 접촉된 제2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포 장치{Sp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포 장치에 대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를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벽면에 도료로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인쇄하려는 경우 또는 건축물의 벽면을 코팅제로 코팅하려는 경우, 종래에는 건물의 옥상에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이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직접 도포 작업, 이미지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옥상에 고정시킨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건물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바, 항상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부는 날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재해의 위험성 이외에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성상, 인건비가 불필요하게 가중되어 공사비의 상승 요인이 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건물의 외벽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포 또는 인쇄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도포 또는 인쇄 장치는 작동 중에 도료가 비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었다.
또한, 종래의 도포 또는 인쇄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이 약간이라도 경사지게 형성되면 벽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도포의 성능 면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도포 또는 인쇄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중 도포가 필요한 대상표면에 도포를 하는 도중 창문 등 도포가 필요하지 않는 부분을 지나가게 되는 경우 경계 부분을 정확하게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도포 또는 인쇄 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비산되는 도료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또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도중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고, 건축물의 벽면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도료 분사에 의한 도포의 균일성을 확보하며, 도포가 필요한 부분과 도포가 필요하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에 맞게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도포 성능을 향상시키고, 장치 내부에서 비산되는 도료의 처리를 간단하게 처리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도료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사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벽면과 이격된 상태인 제1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과 접촉된 제2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를 흡수하여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 방지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을 향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인출에 의해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부를 커버하여 상기 분사부를 보호하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비산방지부,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비산방지부,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좌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비산방지부 및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비산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인출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 시, 상기 벽면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상기 벽면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을 위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인출되는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경우 도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포 작업 시의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이 경사도를 가지는 경우라도 벽면에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되어, 도포의 균일성을 확보하여 도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포가 필요한 대상표면에 창문 등이 존재하는 경우 경계 부분을 정확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도포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계 부분에 대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어, 작업 공기 및 작업 비용 등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서 비산되는 도료의 처리를 간단하게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중 대상표면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가 건축물의 벽면의 경사도에 상관 없이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브라켓과 프레임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비산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에 의해 도포 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의 개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중 대상표면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100)는 건축물(ST)의 벽면(W)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SF)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도포 장치(100)는 대상표면(SF)을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표면(SF)에 잉크 또는 도료로 특정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표면(SF)은 건축물(ST)의 벽면(W)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도 1에서는 점선으로 표시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는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장치(100)는 건축물(ST)의 벽면(W)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제를 분사하는 장치 또는 상기 벽면(W)을 세척하기 위한 물 등의 세척제 등을 분사하는 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포 장치(100)가 건축물(ST)의 벽면(W)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SF)을 도료로 도포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포 장치(100)는 윈치드럼(DR)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WR)의 길이 변화에 따라 벽면(W)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을 따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부(120), 상기 프레임(110)을 따라 좌측 방향(D1) 또는 우측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고 상기 대상표면(SF)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130) 및 상기 와이어(WR)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상기 프레임(11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윈치드럼(DR)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WR)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하 방향(D3, D4)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대상표면(SF)의 좌우 방향(D1, D2)을 따른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일종의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도료를 상기 대상표면(SF)에 직접 분사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상표면(SF)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도포롤러에 상기 도료를 분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100)는 대상표면(SF)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해 상기 도료를 상기 대상표면(SF)에 직접 분사할 수도 있고, 도료를 도포롤러에 분사한 후 도포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SF)이 도포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와이어(WR)가 상기 브라켓(1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게 되면 상하 방향(D3, D4)을 따른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분사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좌우 방향(D1, D2)을 따른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표면(SF)에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분사가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WR)는 윈치드럼(DR)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변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110)은 바퀴부(120)가 상기 벽면(W)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D3, D4)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른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에는 분사부(130)에 의한 도료 분사가 진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상표면(SF)의 상하 방향(D3, D4)을 따른 일정 영역(R1)이 도포되면, 윈치드럼(DR)을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프레임(110)도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10)이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전술한 방식인 와이어(WR)의 길이 변화에 따른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D3, D4)으로의 이동, 분사부(130)의 프레임(110) 내에서의 좌우 방향(D1, D2)을 따른 이동 및 분사부(130)에 의한 도료 분사에 의해 대상표면(SF)의 도포가 완료하게 된다.
2.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는 프레임(110), 바퀴부(120), 분사부(130) 및 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윈치드럼(DR)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WR)의 길이 변화에 따라 건축물(ST)의 벽면(W)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구성요소로, 내부에는 분사부(130)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분사부(130)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부(130)를 커버하여 상기 분사부(130)를 보호하는 상측 프레임(112), 하측 프레임(114), 좌측 프레임(116) 및 우측 프레임(1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상측 프레임(112), 상기 하측 프레임(114), 상기 좌측 프레임(116) 및 상기 우측 프레임(118)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이 개방된 반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분사부(130)의 좌우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을 지지하고 구현하기 위한 좌우 방향 지지 레일(111) 및 전후 방향(D5, D6)으로의 이동을 지지하고 구현하기 위한 전후 방향 지지 레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방향 지지 레일(111) 및 상기 전후 방향 지지 레일은 상기 상측 프레임(112), 상기 하측 프레임(114), 상기 좌측 프레임(116) 및 상기 우측 프레임(118)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30)의 상기 좌우 방향 지지 레일(111)을 따른 이동 또는 상기 전후 방향 지지 레일(111)을 따른 이동은 미도시된 모터 등의 동력제공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각종 밸트, 각종 기어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130)의 상기 좌우 방향(D1, D2)으로의 이동 및 상기 전후 방향(D5, D6)으로의 이동은 전술한 레일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이동 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120)는 윈치드럼(DR)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WR)의 길이 변화에 따라 프레임(110)이 건축물(ST)의 벽면(W)을 따라 위치 이동이 되는 경우, 이동을 안내하는 공지의 수단으로, 상기 벽면(W)에 상기 프레임(110)이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바퀴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을 따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 즉, 상하 방향(D3, D4)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 내에서 좌우 방향 지지 레일(111)을 따라 좌우 방향(D1, D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와이어(WR)와 상기 프레임(110)의 연결을 매개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와이어(WR)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브라켓(140)은 서로에 대해 회전 운동을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와이어(WR)의 길이, 무게 중심 또는 상기 벽면(W)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부(120)가 상기 벽면(W)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분사부(13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가 정확한 방향으로 상기 대상표면(SF)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가 건축물의 벽면의 경사도에 상관 없이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40)은 프레임(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R)가 상기 브라켓(140)에 연결되는 부분은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110)이 상기 와이어(WR)에 의해 건축물(ST)의 벽면(W)에 매달려 있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바퀴부(122)가 벽면(W)에 접촉되는 반면, 하측 바퀴부(124)는 상기 벽면(W)에 비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상측 바퀴부(122)가 벽면(W)에 비접촉되고, 하측 바퀴부(124)가 상기 벽면(W)에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윈치드럼(DR)에 권취된 와이어(WR)가 브라켓(140)에 연결된 채로 프레임(110)이 건축물(ST)의 벽면(W)에 매달려 있는 경우, 와이어(WR)의 길이 또는 도포 장치(100)의 무게 중심에 의해 발생되거나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이 경사도를 가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유지된 채로, 분사부(13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게 되면 상기 도료가 정확한 방향으로 대상표면(SF)에 분사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포의 품질, 예를 들어, 도포량, 도포의 두께 및 도포의 균일성 등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어 결국 도포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프레임(110)과 브라켓(140)의 서로에 대한 위치 이동 없이 브라켓(140)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변경하여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의 번거로움 및 장치의 복잡화 등 면에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프레임(110)과 브라켓(140)의 서로에 대한 위치 이동에 의해 해결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회전 운동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벽면(W)이 경사도를 가지는 경우 또는 무게 중심에 의해 상측 바퀴부(122)가 상기 벽면(W)에 접촉되고 하측 바퀴부(124)가 상기 벽면(W)에 비접촉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브라켓(14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측 바퀴부(124)가 상기 벽면(W)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브라켓(140)을 기준으로 한 회전 방식은 특별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브라켓(140)을 기준으로 한 회전은 수동뿐 만이 아니라 자동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이 와이어(WR)에 의해 건축물(ST)의 벽면(W)에 매달려 있는 경우, 프레임(110)과 브라켓(140)의 서로에 대한 회전 이동에 의해 상측 바퀴부(122) 뿐 만아니라 하측 바퀴부(124) 모두를 상기 벽면(W)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사부(130)에 의한 도료 분사의 정확도는 극대화되게 되어 도포의 품질은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브라켓(140)을 기준으로 한 회전의 정도는 와이어(WR)의 길이, 무게 중심 및 상기 벽면(W)의 경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도록 하여, 도포 시에는 언제나 상측 바퀴부(122) 및 하측 바퀴부(124)가 상기 벽면(W)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브라켓과 프레임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WR)의 길이, 도포 장치(100)의 무게 중심 또는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의 경사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측 바퀴부(122) 및 하측 바퀴부(124)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W)에의 비접촉 문제는 상기 프레임(110) 상의 상기 브라켓(140)의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측 프레임(112) 상의 전후 방향(D5, D6)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프레임(11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브라켓(140)의 결합 위치 변경은 수동뿐 만 아니라 자동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면 상에서는 윈치드럼(DR)이 건축물(ST)의 옥상에 위치하고 와이어(WR)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ST)의 옥상에 위치하는 윈치드럼(DR)의 동력에 의해 와이어(WR)의 길이가 변하게 됨으로써 프레임(110)이 상하 방향(D3, D4)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140)이 동력을 제공하는 윈치드럼 등의 동력수단을 포함하고, 와이어(WR)는 건축물(ST)의 옥상에 배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장치(100)의 중량을 지지하는 미도시된 중량지지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변형됨으로써,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D3, D4)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
3.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의 비산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할 상기 도포 장치(2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200)는 프레임(210), 분사부(230) 및 비산방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10) 및 상기 분사부(2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에 제공되는 프레임(110) 및 분사부(13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비산방지부(250)는 상기 프레임(210)이 건축물(ST)의 벽면(W)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W)과 이격된 상태인 제1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1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23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W)과 접촉된 제2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도료의 외부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부(250)는 상기 분사부(23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를 흡수할 수 있는 일종의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도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산방지부(250)는 상기 벽면(W)과 대향하는 프레임(2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W)을 향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인출에 의해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산방지부(25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기위해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21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2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251)는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장과 수축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폐부(251)는 반드시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연성 등을 구비하여 신장과 수축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비산방지부(250)는 상기 벽면(W)과 대향하는 상측 프레임(212)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비산방지부(252), 상기 벽면(W)과 대향하는 하측 프레임(214)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비산방지부(254), 상기 벽면(W)과 대향하는 좌측 프레임(216)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비산방지부(256) 및 상기 벽면(W)과 대향하는 우측 프레임(218)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비산방지부(25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252),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254),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256)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258)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표면의 굴곡 정도, 돌출된 부분의 존재 여부 또는 경사도 등의 벽면(W)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252),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254),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256)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258)가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작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 정도가 상이하여 표면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252),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254),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256)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258)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 시, 상기 벽면(W)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상기 벽면(W)에 밀착되도록,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252),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254),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256)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258) 각각은 건축물(ST)의 벽면(W)에 밀착되는 밀착부(250a), 상기 밀착부(250a)의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을 위한 제1 인출부(250b) 및 제2 인출부(250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인출부(250b)와 상기 제2 인출부(250c)는 인출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250a)와 상기 제1 인출부(250b) 및 상기 제2 인출부(250c)와의 연결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등으로 구현되어 상기 밀착부(250a)가 상기 벽면(W)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상기 벽면(W)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이 경사진 경우, 우측 비산방지부(258)의 제1 인출부(250b)가 제2 인출부(250c) 보다 전방으로 더 많이 인출되는 동시에 밀착부(250a)가 상기 제1 인출부(250b) 및 상기 제2 인출부(250c)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벽면(W)의 경사도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산방지부(250)의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은 상기 프레임(210)의 상기 벽면(W) 상에서의 이동과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4.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에 의해 도포 영역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조절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할 상기 도포 장치(3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 및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2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는 프레임(310), 분사부(330) 및 조절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10) 및 상기 분사부(3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에 제공되는 프레임(110) 및 분사부(13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부(360)는 상기 분사부(330)를 통해 분사되는 도료에 의한 대상표면(SF)의 도포 영역(RX)이 조절되도록, 상기 분사부(330)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일종의 가림판일 수 있다.
상기 조절부(360)는 상측 프레임(312)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330)에 의한 도료의 분사 영역 중 상측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3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3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 중 일부(IN)가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도포 영역(RX)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360)는 판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도포 영역(RX)이 직선 구간(36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서리를 구비하는 다면체 형상의 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 구간(362)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표면(SF) 중 도포가 필요한 부분(SF1)과 도포가 필요하지 않은 부분(SF2)의 경계(BO)와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에 의해 건축물(ST)의 벽면(W)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SF)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조절부(360)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대상표면(SF)에 도포되는 도포 영역(RX')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원형(타원형)의 형태가 된다.
만약,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표면(SF) 중 창문 등에 의해 도포가 필요하지 않은 부분(SF2)이 존재 하는 경우에는 도포가 필요한 부분(SF1)과 도포가 필요하지 않는 부분(SF2) 사이에 경계(BO)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분사부(33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는 상기 경계(BO)에 맞게 정확하게 분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조절부(360)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도포 영역(RX)이 도 12(a)에 도시된 형태로 되는 경우, 상기 경계(BO)에 맞게 도료를 정확하게 분사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게 되며, 결국, 도포가 필요하지 않는 부분(SF2)에도 도포가 되거나 도포가 필요한 부분(SF1)의 도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종래에는 경계(BO) 부분의 도포를 진행하지 않은 채 도포 장치로 대상표면(SF)의 도포를 진행한 후, 수작업으로 상기 경계(BO) 부분의 도포를 추가로 진행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300)는 상기 조절부(360)에 의해 상기 분사부(330)를 통해 분사되는 도료 중 일부가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있다.
상기 분사부(330)를 통해 분사되는 도료 중 적어도 일부는 모서리를 구비하는 다면체 형상인 상기 조절부(360)에 의해 분사 경로가 차단되어 상기 대상표면(SF)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대상표면(SF)은 직선 구간(362)인 경계(BO)에 맞게 정확하고 균일한 도포가 구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360)의 형상은 상기 경계(BO)의 형상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경계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조절부(360)는 이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조절부(360)가 상측 프레임(312)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360)에 의한 도료의 분사 영역 중 상측 부분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조절부(360)는 상기 분사 영역 중 상측 부분이 조절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조절부(360)는 하측 프레임(314)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330)에 의한 상기 도료의 분사 영역 중 하측 부분을 조절할 수도 있고, 좌측 프레임(316)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330)에 의한 상기 도료의 분사 영역 중 좌측 부분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우측 프레임(318)에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330)에 의한 상기 도료의 분사 영역 중 우측 부분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360)는 상기 프레임(310) 또는 상기 분사부(330)에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도포 영역(RX)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 영역(RX)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조절부(360)를 작동시키고, 도포 영역(RX)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조절부(360)를 위치 변화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360)의 위치 변화의 정도, 즉, 회전의 정도를 조절하여 도포 영역(RX)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360)의 위치 변화를 위한 수단은 회전 방식의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360)의 위치 변화는 수동뿐 만 아니라 자동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조절부(3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10)의 전방 상측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310)의 전방 상측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360)는 상기 프레임(310)을 따라 상기 분사부(330)와 연동되어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360)와 상기 분사부(330)의 연동에 의해 도포 영역(RX)의 조절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360)는 상기 프레임(310) 또는 상기 분사부(33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포 영역(RX)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310) 또는 상기 분사부(330)에 장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5.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할 상기 도포 장치(4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 내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400)는 프레임(410), 분사부(430) 및 도료흡수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410) 및 상기 분사부(4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에 제공되는 프레임(110) 및 분사부(13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료흡수부(470)는 상기 분사부(430)를 통해 분사되는 도료가 대상표면(SF)에 도달하지 못하고 프레임(410)의 내부공간(S) 내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도료를 흡수하도록, 상기 프레임(410)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싱기 도료흡수부(470)는 상기 도료를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계열 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료 흡수 기능이 저하되면 상기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료흡수부(470)는 하측 프레임(414)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프레임(414)에는 상기 도료흡수부(47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측 프레임(414)의 상면에는 상기 도료흡수부(470)를 수용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료흡수부(470)의 위치 고정을 위한 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료흡수부(470)는 미도시되었으나 상측 프레임(412), 좌측 프레임(416), 우측 프레임(418)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의 도료로 인한 오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400)는 상기 도료흡수부(470)의 교체시기를 제공하도록, 상기 도료흡수부(470)에 의해 흡수된 도료의 양을 센싱할 수 있는 흡수도료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수도료센싱부는 상기 도료흡수부(470)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도료센싱부의 중량(무게)을 측정할 수 있는 하중 센서 또는 힘 센서의 일종인 로드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200, 300, 400: 도포 장치
110, 210, 310, 410: 프레임
130, 230, 330, 430: 분사부
140: 브라켓
250: 비산방지부
360: 조절부
470: 도료흡수부

Claims (8)

  1. 건축물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인 대상표면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도료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사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벽면과 이격된 상태인 제1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과 접촉된 제2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를 흡수하여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도료의 비산 방지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벽면을 향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인출에 의해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부를 커버하여 상기 분사부를 보호하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비산방지부,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 비산방지부,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좌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비산방지부 및 상기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면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비산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비산방지부, 상기 하측 비산방지부, 상기 좌측 비산방지부 및 상기 우측 비산방지부는,
    상기 벽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인출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화 시, 상기 벽면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상기 벽면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한 인출을 위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인출되는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KR1020190038950A 2019-04-03 2019-04-03 도포 장치 KR10205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50A KR102051124B1 (ko) 2019-04-03 2019-04-03 도포 장치
PCT/KR2020/004526 WO2020204634A1 (ko) 2019-04-03 2020-04-02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50A KR102051124B1 (ko) 2019-04-03 2019-04-03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124B1 true KR102051124B1 (ko) 2019-12-03

Family

ID=6883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50A KR102051124B1 (ko) 2019-04-03 2019-04-03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1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34A1 (ko) * 2019-04-03 2020-10-08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CN111946030A (zh) * 2020-08-19 2020-11-17 安徽伟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墙体粉刷装置
KR102205082B1 (ko) * 2020-04-21 2021-01-19 김대중 로봇 스프레이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공법
KR20210081174A (ko) * 2019-12-23 2021-07-01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20210081173A (ko) * 2019-12-23 2021-07-01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99U (ko) * 1998-09-08 2000-04-15 강영관 고층건물의 벽면 도장장치
KR101870435B1 (ko) * 2017-10-31 2018-06-25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액체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99U (ko) * 1998-09-08 2000-04-15 강영관 고층건물의 벽면 도장장치
KR101870435B1 (ko) * 2017-10-31 2018-06-25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액체 분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34A1 (ko) * 2019-04-03 2020-10-08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KR20210081174A (ko) * 2019-12-23 2021-07-01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20210081173A (ko) * 2019-12-23 2021-07-01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6B1 (ko) 2019-12-23 2021-07-16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5B1 (ko) * 2019-12-23 2021-07-16 박정규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05082B1 (ko) * 2020-04-21 2021-01-19 김대중 로봇 스프레이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도장 공법
CN111946030A (zh) * 2020-08-19 2020-11-17 安徽伟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墙体粉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124B1 (ko) 도포 장치
KR102088903B1 (ko) 도포 장치
KR101870435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2136379B1 (ko) 도포 장치
KR100964333B1 (ko) 선체블록 내부 론지용 자율이동 도장장치
KR102051127B1 (ko) 도포 장치
KR102252497B1 (ko) 도포 장치
KR20190087151A (ko) 도료 분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70434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0987200B1 (ko) 다기능 코팅장치
US20080251010A1 (en) Automatic Painting Device
KR102117554B1 (ko) 도포 장치
KR101271129B1 (ko) 선체도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8245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6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JPH06269709A (ja) 飛沫防止塗装の移動作業床装置及びその工法
KR102389864B1 (ko) 도포 장치
KR20190049400A (ko) 액체 분사 장치
KR20210081175A (ko)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KR102278244B1 (ko) 도포 장치
JP2005161282A (ja) 塗料飛散防止装置
JP2021042413A (ja) バッフルプレートユニット、およびバッフルプレートの位置調整方法
JP2002273281A (ja) ゴンドラ取付型外壁面塗装ロボットによる塗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9088363A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2462109B1 (ko) 고층빌딩 및 아파트 벽체 도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