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174A -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174A
KR20210081174A KR1020190173449A KR20190173449A KR20210081174A KR 20210081174 A KR20210081174 A KR 20210081174A KR 1020190173449 A KR1020190173449 A KR 1020190173449A KR 20190173449 A KR20190173449 A KR 20190173449A KR 20210081174 A KR20210081174 A KR 20210081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re
building
frame
movem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246B1 (ko
Inventor
박정규
김정백
Original Assignee
박정규
주식회사 알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주식회사 알피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9017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2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의 통과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입구 및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벽면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지상에서 고정됨 - ; 및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상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사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Spreading apparatus capable of spreading structure wall edges}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벽면에 도료로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인쇄하려는 경우 또는 건축물의 벽면을 코팅제로 코팅하려는 경우, 종래에는 건물의 옥상에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이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직접 도포 작업, 이미지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옥상에 고정시킨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건물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바, 항상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부는 날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재해의 위험성 이외에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성상, 인건비가 불필요하게 가중되어 공사비의 상승 요인이 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포 또는 인쇄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개발되고 있는 도포 장치의 경우, 자동으로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할 수 있기는 하나, 도포 장치의 구조적인 특성 등으로 인하여 벽면의 모서리 부분은 도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반드시 작업자의 수작업이 동반되어야만 벽면에 대한 완전한 도포가 구현된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수작업이 동반되어야만 벽면에 대한 도포가 가능한 종래의 도포 장치는 도포 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가 상승된다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을 수작업 없이 정교하게 도포하여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는데 있어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동시에 이웃하는 벽면으로의 도료의 분사를 방지하여 도포 품질이 보장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의 통과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입구 및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벽면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지상에서 고정됨 - ; 및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상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사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좌측단을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우측단을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 부분 또는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상기 벽면의 전방 상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는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의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의 우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의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좌측단 또는 상기 우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의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의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후방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는데 있어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을 수작업 없이 정교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의 모서리 부분을 도포하는 경우, 이웃하는 벽면으로의 도료의 분사를 방지하여 도포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도포차단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의 B에 대한 확대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100, 이하 "도포 장치"라 함)는 건축물(ST)의 벽면(W1)을 도료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벽면(W1)에 잉크 또는 도료로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을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장치(100)는 건축물(ST)의 벽면(W1)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제를 분사하는 장치 또는 상기 벽면(W1)을 세척하기 위한 물 등의 세척제 등을 분사하는 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포 장치(100)가 건축물(ST)의 벽면(W1)을 도료로 도포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포 장치(100)는 프레임(110), 분사부(120) 및 브라켓(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소정의 내부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1)을 따라 상하 방향(D1, D2)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좌측 방향(D3) 또는 우측 방향(D4)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벽면(W1)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일종의 노즐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건축물(ST)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140)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WR)의 통과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은 일종의 엔드리스 와인더(Endless winder)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R)가 유입되는 입구(132) 및 배출되는 출구(13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구(134)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WR)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벽면(W1)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지상까지 내려오게 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좌우 방향(D3, D4)으로의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120)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은 제2 길이(L2)의 상기 내부공간(S) 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좌측 방향(D3) 또는 상기 우측 방향(D4)으로 이동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이는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상기 분사부(130)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의 존재(미도시) 등의 구조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좌측 끝단 또는 우측 끝단에 위치한 경우, 상기 분사부(120)와 좌측커버프레임(112) 또는 상기 분사부(120)와 우측커버프레임(114)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거리(L3)가 존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ST)의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을 우측단을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킬 수 밖에 없게 된다.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부분에 대한 도포는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에 대한 도포와 동일한 원리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130)이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위치는 건축물(ST)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140)로부터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1)의 전방 상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WR)가 통과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0)이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와 같은 위치인 이유는 건축물(ST)의 구조상의 특성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통 건축물의 옥상은 아무런 구조물도 존재하지 않고 평평하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미적인 감각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이 건축물의 옥상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옥상에 제공되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물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와이어 설치부재의 위치 상의 제한을 가져올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도 도포가 필요한 건축물의 벽면의 전방 외측에서 내려오도록 하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30)은, 건축물(ST)의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10)을 우측단을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키는 경우, 와이어 설치부재(140)로부터 도포가 필요한 건축물(ST)의 벽면(W1)의 전방 상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WR)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110) 상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와이어 설치부재(140)로부터 도포가 필요한 건축물(ST)의 벽면(W1)의 전방 상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WR)는 브라켓(130)의 입구(132) 및 출구(134)를 통과한 후, 프레임(11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지상에서 고정되게 되며, 상기 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와이어(WR)는 지상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분사부(120)와의 간섭이 발생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10)의 내부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와이어(WR)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경로 변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150)는 일종의 도르레일 수 있으며, 상기 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WR)를 상기 프레임(110)의 좌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110)의 우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150)는 상기 출구(134)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WR)를 상기 좌측단 또는 상기 우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152),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152)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WR)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경로 변경부(134)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는 좌측커버프레임(112) 또는 우측커버프레임(114)의 외측에서 지상을 향하여 내려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100)는 브라켓(130)과 프레임(110)의 연결 위치, 건축물(ST)의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또는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프레임(110)의 벽면(W1) 상에서의 위치, 및 와이어(WR)의 이동 경로 변경 등을 통해, 건축물(ST)의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부분 또는 우측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100)와 비교할 때, 도포차단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차단부(260)는 프레임(210)의 좌측단을 벽면(W1)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부분이 분사부(220)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는 경우, 또는 상기 프레임(210)의 우측단을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220)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220)에 분사되는 상기 도료가 상기 벽면(W1)과 이웃하는 벽면(W2)에 분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우선, 상기 도포차단부(260)의 효과적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과 다르게 상기 도포차단부(260)가 없는 상태에서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부분 또는 우측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경우를 설명하되, 좌측 모서리 부분에 대해서는 우측 모서리 부분에 대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을 도포하기 위해, 프레임(210)의 우측단을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킨 후, 프레임(210)의 내부공간(S) 내에서의 분사부(220)의 위치 이동과 동시에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부분의 도포를 위해 상기 분사부(220)는 상기 내부공간(S) 내의 우측단에서 도료를 분사되며, 이때, 상기 분사부(220)의 위치를 아무리 정밀하게 제어를 하더라도, 분사되는 도료의 특성 상 분사된 도료의 일부는 상기 벽면(W1)의 이웃하는 벽면(W2)에 도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상기 벽면(W1)에 이웃하는 벽면(W2)에 도달하는 도료는 관리자가 원하지 않았던 영역을 도포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되며, 이는 결국, 도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도포차단부(260)는 분사부(22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가 상기 벽면(W1)과 이웃하는 벽면(W2)에 도달하는 것을 원천봉쇄하여 도포의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포차단부(260)는 상기 프레임(220)의 상기 벽면(W1)의 우측 모서리 또는 상기 벽면(W1)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의 방식은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착탈의 방식은 홈과 돌기 등을 이용한 결합 방식, 자력을 이용한 결합 방식,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결합 방식,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는 방식 등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착탈성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포차단부(260)는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벽면(W1)과 이웃하는 벽면(W2)에 접촉되어 상기 이웃하는 벽면(W1)에 도료가 도달하는 것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포차단부(260)의 적어도 일부는 분사부(22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도료흡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흡수부는 스펀지 계열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벽면(W1)과 이웃하는 벽면(W2)에 비접촉되도록 하여, 도료를 흡수하되, 상기 이웃하는 벽면(W2)에는 전혀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제공되는 도포차단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포차단부(260')는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도포가 필요한 벽면(W1)과 이웃하는 벽면(W2)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포차단부(260)의 회전 방식은 힌지 등의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회전된 이후의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과의 결합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포차단부는 전술한 회전 방식 이외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판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프레임(210) 중 벽면(W1) 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벽면(W2)을 향하여 슬라이딩이 되어 상기 이웃하는 벽면(W2)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차단부는 플랙서블한 판의 형태 또는 복수의 작은 판이 굴곡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분에 은닉되어 있다가 이웃하는 벽면(W2)을 향하여 인출됨으로서 상기 이웃하는 벽면(W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에 의해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의 B에 대한 확대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100)와 비교할 때, 이동 경로 변경부(35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35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3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도포차단부(260, 26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350)는 브라켓(330)의 출구(334)로부터 배출되는 와이어(WR)를 프레임(310)의 후방측단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350)는 상기 출구(351)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WR)를 상기 후방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352),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352)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WR)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300)는 브라켓(330)과 프레임(310)의 연결 위치, 건축물(ST)의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또는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프레임(310)의 벽면(W1) 상에서의 위치, 및 와이어(WR)의 이동 경로 변경 등을 통해, 건축물(ST)의 벽면(W1)의 좌측 모서리 부분 또는 우측 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200, 300: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110, 210, 310: 프레임
120, 220: 분사부
130, 330: 브라켓
140: 와이어 설치부재
150, 350: 이동 경로 변경부
WR: 와이어

Claims (6)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의 통과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가 유입되는 입구 및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벽면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해 지상에서 고정됨 - ; 및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상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사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좌측단을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우측단을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게 위치시켜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도포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벽면의 좌측 모서리 부분 또는 상기 벽면의 우측 모서리 부분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로부터 상기 벽면의 전방 상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하는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의 우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좌측단 또는 상기 우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단을 통해 상기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변경부는,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후방측단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1 이동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1 이동 경로 변경부에 의해 이동 경로가 변경된 와이어를 상기 지상을 향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제2 이동 경로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0190173449A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49A KR102278246B1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49A KR102278246B1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74A true KR20210081174A (ko) 2021-07-01
KR102278246B1 KR102278246B1 (ko) 2021-07-16

Family

ID=7686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49A KR102278246B1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929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알피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26B1 (ko) * 2007-08-20 2009-01-22 풍림산업 주식회사 무인로봇 도장장치
KR20120033603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20130084438A (ko) * 2012-01-17 2013-07-25 주식회사 스카이프로코리아 건물 외벽 청소장치
KR102051124B1 (ko) * 2019-04-03 2019-12-03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26B1 (ko) * 2007-08-20 2009-01-22 풍림산업 주식회사 무인로봇 도장장치
KR20120033603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KR20130084438A (ko) * 2012-01-17 2013-07-25 주식회사 스카이프로코리아 건물 외벽 청소장치
KR102051124B1 (ko) * 2019-04-03 2019-12-03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929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알피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246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124B1 (ko) 도포 장치
KR102278246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5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1870435B1 (ko) 액체 분사 장치
US20090077901A1 (en) Paint Protection Method and Cover
KR100733606B1 (ko) 표면도장방법
KR102136379B1 (ko) 도포 장치
JPS59272B2 (ja) 吹付け塗装方法
US8084098B2 (en) Coating method of building board
KR102117554B1 (ko) 도포 장치
KR101440337B1 (ko) 건물외벽 도장장치
KR101870434B1 (ko) 액체 분사 장치
KR20210081175A (ko)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JP2023169850A (ja) 路面標示の施工方法およびマスキングシート
KR20120050276A (ko) 점착액 도포용 지그
KR102051127B1 (ko) 도포 장치
KR20200080595A (ko) 도포 장치
KR20210032116A (ko) 도포 장치
KR101528056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자기세정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9104B1 (ko) 박공지붕용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US20220080444A1 (en) Coating device
CN114481799A (zh) 喷涂划线装置及喷涂划线设备
KR20190049400A (ko) 액체 분사 장치
KR20200080594A (ko) 도포 장치
JP2010184206A (ja) 塗装ミストの飛散防止用フー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