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175A -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175A
KR20210081175A KR1020190173450A KR20190173450A KR20210081175A KR 20210081175 A KR20210081175 A KR 20210081175A KR 1020190173450 A KR1020190173450 A KR 1020190173450A KR 20190173450 A KR20190173450 A KR 20190173450A KR 20210081175 A KR20210081175 A KR 2021008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rame
width
reference wid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9017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175A/ko
Publication of KR2021008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 상기 분사부는, 상기 좌측 방향 또는 상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벽면에 분사되는 상기 도료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폭이 제1 기준폭이 되도록 설정됨 - ; 및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제1 영역이 도포되면, 상기 프레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2 기준폭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 영역의 차회 영역인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기준폭보다 작은 폭의 비도포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큰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Structure wall spreading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벽면에 도료로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인쇄하려는 경우 또는 건축물의 벽면을 코팅제로 코팅하려는 경우, 종래에는 건물의 옥상에서 곤도라 등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업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이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로 직접 도포 작업, 이미지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옥상에 고정시킨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건물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바, 항상 낙상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부는 날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도포 작업 또는 이미지 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재해의 위험성 이외에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성상, 인건비가 불필요하게 가중되어 공사비의 상승 요인이 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건축물의 벽면을 도료로 도포하거나 건축물의 이미지 등을 위하여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 각종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포 또는 인쇄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포 또는 인쇄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포 영역 사이에 비도포 영역이 발생되는 경우 도포 영역과 비도포 영역의 경계 부분을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반드시 수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결국, 수작업이 동반되어야만 벽면에 대한 도포가 가능한 종래의 장치는 도포 작업이 더디어져 작업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가 상승된다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 상에 도포 영역과 비도포 영역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도포 영역과 비도포 영역의 경계 부분에 대한 도포 작업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 상기 분사부는, 상기 좌측 방향 또는 상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벽면에 분사되는 상기 도료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폭이 제1 기준폭이 되도록 설정됨 - ; 및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벽면에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제1 영역이 도포되면, 상기 프레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2 기준폭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 영역의 차회 영역인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기준폭보다 작은 폭의 비도포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큰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의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1 영역이 도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재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도포가 초벌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이 도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된 경우, 또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부터 도포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2 기준폭과 무관한 폭으로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된 경우, 또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부터의 도포와 무관하게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2 기준폭 단위로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 상에 도포 영역과 비도포 영역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도포 영역과 비도포 영역의 경계 부분에 대한 도포 작업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 도포 시,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및 분사부에 의한 도료 분사의 도포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작은 폭 이동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이 도포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및 분사부에 의한 도료 분사의 도포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100, 이하 "도포 시스템"이라 함)은 건축물(ST)의 벽면(W) 중 적어도 일부를 도포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벽면(W)에 잉크 또는 도료로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을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시스템(100)은 건축물(ST)의 벽면(W)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제를 분사하는 장치 또는 상기 벽면(W)을 세척하기 위한 물 등의 세척제 등을 분사하는 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포 시스템(100)이 건축물(ST)의 벽면(W)을 도료로 도포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포 시스템(100)은 프레임(110), 분사부(120) 및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소정의 내부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ST)의 벽면(W)을 따라 상하 방향(D1, D2)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 좌측 방향(D3) 또는 우측 방향(D4)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벽면(W)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일종의 노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 상에는 일종의 엔드리스 와인더(Endless winder)로 제공되는 브라켓(13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벽면(W) 상에서의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브라켓(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ST)의 옥상에 설치된 와이어 설치부재(140)로부터 내려오는 와이어(WR)의 통과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벽면(W) 상에서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은 상기 브라켓(130)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물(ST)의 옥상에 설치되는 윈치드럼의 구동에 의한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벽면(W) 상에서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은 사다리차, 스카이차 등의 고소작업차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벽면(W) 상에서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이동이 브라켓(130)에 의해 구현되는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분사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공간(S) 내에서 상기 좌측 방향(D3) 또는 상기 우측 방향(D4)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벽면(W)에 도료를 분사하게 되며, 도료의 분사에 의한 상기 벽면(W)의 도포 영역은 일반적으로 원형인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면(W)에 분사되는 상기 도료의 상기 상하 방향(D1, D2)으로의 폭은 제1 기준폭(WD1)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준폭(WD1)은 원형의 도포 영역의 상하 방향(D1, D2)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폭(WD1)은 도료의 성분, 도료의 분사압, 도료의 분사각도 또는 분사부(120)와 벽면(W) 사이의 거리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제1 기준폭(WD1)에 해당되는 상기 벽면(W)의 특정 영역(R0)이 도포되면, 상기 프레임(110)은 상측 방향(D1) 또는 하측 방향(D2)으로 제2 기준폭(WD2) 만큼 이동되어 상기 특정 영역(R0)의 차회 영역인 상기 제1 기준폭(WD1)에 해당되는 제1 영역(R1)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벽면(W)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특정 영역(R0)이 도포되면,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하측 방향(D2)으로 제2 기준폭(WD2) 만큼 이동되도록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상기 하측 방향(D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영역(R1)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시스템(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일종의 콘트롤러로, 분사부(120)의 위치 이동,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의 분사, 프레임(110)의 위치 이동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폭(WD2)은 상기 제1 기준폭(WD1)과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포 영역의 일부 중첩 등의 허용 여부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작업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영역(R1)의 차회 영역인 도포가 필요한 제2 영역(R2)에 비도포 영역(RX)이 존재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시스템(100)의 동작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 영역(R1)의 차회 영역인 제2 영역(R2) 내에 제1 기준폭(WD1)보다 작은 폭의 비도포 영역(RX)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프레임(110)을 상측 방향(D1) 또는 하측 방향(D2)으로 제2 기준폭(WD2)보다 작은 폭(WD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을 상기 제2 기준폭(WD2)보다 작은 폭(WD3)으로 상기 하측 방향(D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프레임(11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비도포 영역(RX)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R2)의 도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폭(WD2)보다 작은 폭(WD3)은 상기 제2 영역(R2) 내의 도포가 필요한 영역(RZ)과 비도포 영역(RX)의 경계, 및 제1 기준폭(WD1)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기준폭(WD2)보다 작은 폭(WD3)으로 상기 프레임(110)이 하측 방향(D2)으로 이동된 후,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의 분사가 시작되면, 상기 제1 기준폭(WD1)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영역(R1)의 일부(R1')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재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제1 영역(R1)이 도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이 상기 상측 방향(D1) 또는 상기 하측 방향(D2)으로 상기 제2 기준폭(WD2)보다 작은 폭(WD3)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폭(WD1)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영역(R1)의 하측 부분(R1')은 제2 영역(R2)의 도포 시 다시 한번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영역(R1)의 일부(R1')가 재도포 되어도 무방한 상황은 상기 제1 영역(R1)의 도포가 초벌인 경우일 수 있으며, 재벌인 경우에는 도포 품질의 문제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영역(R1)의 일부(R1')가 재도포 되어도 무방한 상황은 반드시 제1 영역(R1)의 도포가 초벌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료의 성분, 도료의 분사압, 도료의 분사각도 또는 분사부(120)와 벽면(W)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20)에 의해 제2 영역(R2)의 도포가 완료되면, 프레임(110)은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RX)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R2)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B)부터 도포되도록, 제2 기준폭(WD2)과 무관한 폭으로 상측 방향(D1) 또는 하측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RX)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R2)이 도포된 경우,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제2 영역(R2)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B)부터 도포되도록,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하측 방향(D2)으로 상기 제2 기준폭(WD2)과 무관한 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100)은 건축물(ST)의 벽면(W)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을 누락 없이 전 영역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 영역(R1)의 차회 영역인 제2 영역(R2) 내에 제1 기준폭(WD1)보다 작은 폭의 비도포 영역(RX)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프레임(110)을 상측 방향(D1) 또는 하측 방향(D2)으로 제2 기준폭(WD2)보다 큰 폭으로 이동시켜 분사부(120)에 의한 제2 영역(R2)의 도포가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을 상기 제2 기준폭(WD2)보다 큰 폭(WD4)으로 상기 하측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상기 제2 영역(R2)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제2 영역(R2)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B)부터 도포되도록,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10)을 하측 방향(D2)으로 상기 제2 기준폭(WD2)과 무관한 폭(WD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20)에 의해 비도포 영역(RX)을 제외한 제2 영역(R2)이 도포된 경우,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제2 영역(R2)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프레임(110)은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RX)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R2)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B)부터의 도포와 무관하게 제2 기준폭(WD2) 단위로 상측 방향(D1) 또는 하측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R2)의 도포 여부와 무관하게 브라켓(130)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10)이 제2 기준폭(WD2) 단위로 상기 하측 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건축물(ST)의 벽면(W)의 도포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는 제2 영역(R2) 내에 비도포 영역(RX)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영역(R2)의 도포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R2)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B)부터의 도포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ST)의 벽면(W) 중 비도포 영역에 대한 데이터는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전에 미리 진행되거나 도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110: 프레임
120: 분사부
130: 브라켓
WD1: 제1 기준폭
WD2: 제2 기준폭

Claims (5)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벽면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 상기 분사부는, 상기 좌측 방향 또는 상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벽면에 분사되는 상기 도료의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폭이 제1 기준폭이 되도록 설정됨 - ; 및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상기 벽면의 제1 영역이 도포되면, 상기 프레임을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2 기준폭 만큼 이동시켜 상기 제1 영역의 차회 영역인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1 기준폭보다 작은 폭의 비도포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프레임을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큰 폭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1 영역이 도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재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도포가 초벌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이 도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기준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분사부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된 경우, 또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부터 도포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2 기준폭과 무관한 폭으로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된 경우, 또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상기 제2 영역의 도포가 생략된 경우, 상기 분사부에 의해 상기 비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 이후의 영역 중 도포가 필요한 영역의 경계부터의 도포와 무관하게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2 기준폭 단위로 상기 상측 방향 또는 상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KR1020190173450A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KR20210081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50A KR20210081175A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50A KR20210081175A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75A true KR20210081175A (ko) 2021-07-01

Family

ID=7686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50A KR20210081175A (ko) 2019-12-23 2019-12-23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929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알피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929A (ko) *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알피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124B1 (ko) 도포 장치
KR20210081175A (ko) 건축물 벽면 도포 시스템
CN109838073A (zh) 用于喷涂建筑物的墙壁的自动化系统
KR101870435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2088903B1 (ko) 도포 장치
CN104307667A (zh) 一种公交候车厅内的设施喷涂设备
ITTO20110994A1 (it) Metodo per il controllo di almeno due robot aventi rispettivi spazi di lavoro includenti almeno una regione in comune
KR101206256B1 (ko) 선행 도장 시스템용 도장모듈
KR101322270B1 (ko) 건물 외벽 도장장치
JP2020504065A5 (ko)
CA2255644C (en) Process for forming protective film on coated surface of automobile
KR100733606B1 (ko) 표면도장방법
KR102278246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278245B1 (ko) 건축물 벽면의 모서리 부분 도포가 가능한 도포 장치
KR20150026461A (ko) 케이블 로봇 시스템
KR102136379B1 (ko) 도포 장치
KR101870434B1 (ko) 액체 분사 장치
KR101440337B1 (ko) 건물외벽 도장장치
KR101284866B1 (ko) 도장 장치의 도장 방법
KR102412572B1 (ko) 모양 출력 로봇
EP1775028B1 (en) Coloring nozzle
KR102554605B1 (ko)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CN109814566B (zh) 自动化码头agv作业场地检修装置及系统
KR102051127B1 (ko) 도포 장치
KR20190049400A (ko) 액체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