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870B1 -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870B1
KR102049870B1 KR1020170135448A KR20170135448A KR102049870B1 KR 102049870 B1 KR102049870 B1 KR 102049870B1 KR 1020170135448 A KR1020170135448 A KR 1020170135448A KR 20170135448 A KR20170135448 A KR 20170135448A KR 102049870 B1 KR102049870 B1 KR 102049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weight
parts
blac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15A (ko
Inventor
이병철
안영민
안세영
류봉하
최혁재
김은진
오현아
정원용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8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으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HERBAL MIXTURE}
본 발명은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지방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한다. 음식으로 섭취한 열량이 신체활동으로 소비하는 열량보다 많을 때 체지방으로 축적되는데,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일 때,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를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의 원인은 시상하부의 기능 및 에너지 대사의 이상과 같은 질환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나, 대부분의 비만은 과도한 영양섭취와 신체 활동량의 감소로 인한 생활습관으로 발생한다. 최근에는 서구적인 식생활 패턴과 생활의 편리화로 인하여 즉석 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운동부족을 야기하여 비만의 발병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비만의 최대 문제는 단순 비만 그 자체의 문제 보다는, 비만 상태가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발생되는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만은 불임 및 월경불순, 퇴행성 관절염, 일부 암, 수면 무호흡, 호흡기 장애, 담석증, 우울증 등 여러 가지 질병의 위험도를 증가시켜 성인병 발생의 위험요소이자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제약 회사에서 비만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방 흡수 저해제인 제니칼(Xenical TM,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만 치료제 중 하나이다. 제니칼의 성분이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소화된 지방과 결합해 장내에서의 흡수를 억제해 식사 중 지방 성분의 일부를 그대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밖에 개발된 약물로는 포만감을 증진시키는 리덕틸(Reductil TM, 애보트사, 미국)이나, 엑소리제(Exolise TM, 아토파마, 프랑스)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상업화된 약물들은 간손상, 위장 출혈, 취장염, 신장 결석을 비롯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심장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을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현재 상업화된 비만 치료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으면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으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은 170 내지 190℃에서 0.5 내지 1.5 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분말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은 의이인 2 내지 10 중량부, 갱미 2 내지 10 중량부, 흑미자 4 내지 20 중량부, 흑두 4 내지 20 중량부, 맥문동 1 내지 5 중량부, 산약 3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과 같은 비만 관련 대상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고열량의 식이에 의한 체중 증량을 억제해주었으며, 혈중 트리글리세롤 및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고열량의 식이에 의한 내장지방의 증량을 억제해주었으며, 간 조직 내의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발현 향상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체중 감소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식이 섭취 감소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칼로리 섭취 감소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 무게 감소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포도당 불내성 개선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 독성 개선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 지질 감소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9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 지질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간 조직 사진이다. 상태바는 100 μm이다.
도 10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염증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발현 향상 효과를 실험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전이 잘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 또는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원의 실행 또는 시험에 사용되는 것으로 발견되나, 몇몇 방법 및 물질이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방법학, 프로토콜 및 시약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으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항비만은 비만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상기 비만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인 경우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이며, 신체비만지수(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한다.
상기 체지방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조직을 의미하며 피하조직, 유선, 및 신장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저장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이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기능을 한다. 저장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하며 비만에서는 합병증 예방 관점에서 체중보다 체지방의 양이 중요시 된다.
상기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만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간 및 혈장의 트리글리세롤 및 콜레스테롤 수준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비만 상태에 이르면 비만 관련 대사성 질환이 동반되는데, 상기 비만 관련 대사성 질환은 뇌졸중,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 인슐린 항상성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등이 있다. 따라서 간 및 혈장의 트리글리세롤 및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개선되면 상기 대사성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비만을 유발하는 중성지방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혈중 지질 농도 개선, 체중 증량 억제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의이인(Coix lacryma)”은 율무의 종피를 제거한 씨를 말린 것이다. 의이인은 넓은 난형이며 양 끝은 다소 오목하고 길이 약 0.6cm, 너비 약 0.5cm이다. 등쪽은 둥글게 부풀에 있고 아래쪽 중앙에는 세로로 깊은 홈이 있다.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약간 달며 이 사이에 붙는다. 상기 의이인의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한의학적으로 부종, 배뇨 장애, 각기(脚氣), 비허(脾虛)에 의한 설사, 폐농양(pulmonary ab-scess), 급성 충수염, 대하증 등에 쓴다. 또한 만성 위염, 위암, 만성 간염, 신염, 영양 실조증 등에도 쓴다. 또한, 약리 실험에서 소염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항암 작용, 항지간 작용, 진정 · 진통 작용 등이 밝혀졌다.
상기 “갱미(Oryza sativa)”는 벼의 외과피를 벗긴 씨로, 경미(硬米)라고도 한다. 갱미는 납작한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0.4~0.5cm, 지름 0.2~0.3cm이다. 바깥 면과 절단면은 흰색이다. 갱미는 비장과 위장의 기능을 보하고 오장의 기운을 북돋우며 갈증을 없애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 쌀뜨물을 갱미감이라 하며 열을 내리고 피를 차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 쓴다. 약리작용으로 해열, 지혈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흑지마(Sesamum indicum)”는 참깨의 검은 색의 씨로, 흑호마(黑胡麻) 또는 호마(胡麻)라고도 한다. 흑지마는 편평한 난원형이며 한쪽은 둥글고 다른 쪽은 뾰족하며 길이 0.2~0.4cm, 너비 약 0.2cm, 두께 약 0.1cm이다. 바깥 면은 흑색이고 그물모양의 주름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상기 흑지마는 간경(肝經) 및 신경(腎經)에 작용하고, 간과 신을 강화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영양 작용, 약한 설사 작용, 지혈 작용,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흑지마는 한의학에서 몸이 허약하고 여위는 데,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간음(肝陰)과 신음(腎陰)이 부족하여 다리가 아픈 데, 변비,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는 데 등에 쓴다.
상기 “흑두 (Glycine max)”는 콩의 검은 씨로, 오두(烏豆)라고도 한다. 흑두는 난원형 또는 구형이고 지름 0.5~0.8cm이다. 바깥 면은 검거나 얼룩이가 있고 광택이 난다. 쪼개면 2개의 떡잎으로 나누어지고 그 가운데에는 배아가 있다. 한의학에서 상기 흑두는 혈을 잘 흐르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풍을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백합과에 속하는 맥문동 또는 소엽맥문동의 뿌리로, 식용으로는 여랑(餘粮)이라고 한다. 맥문동은 방추형으로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쪽은 조금 둥글며 바깥면은 엷은 황색이고 크고 작은 세로주름이 있으며 피층은 부드럽고 무르고 약간 반투명하며 점착성이 있다. 중심주는 꺾기 어려울 정도로 딱딱하며 심을 제거하고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맥문동은 진액을 보하는 대표적인 약으로 폐음손상으로 인한 마른기침, 각혈, 가래, 해수에 쓰며, 위음부족으로 인한 갈증, 소갈 및 변비에도 사용한다. 음혈 소상으로 가슴답답하고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불면증에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항산화작용, 혈류량촉진, 심장수축력증가, 진정,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작용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산약(Dioscorea batatas)”은 마과에 속하는 마의 덩이 뿌리로, 산우(山遇)라고도 한다. 산약의 생김새는 원주형 또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을 이루며 간혹 세로나 가로로 자른 것도 있다. 바깥면은 유백색 또는 황색을 띤 흰색이며 꺾은 면은 평탄하고 분질 또는 각질이며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꺾어지기 쉽다. 가을 상강(霜降) 후부터 동지(冬至) 사이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외면은 흰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내부는 분질(粉質) 또는 호화(糊化)된 각질(角質)로 단단하다. 성분은 전분, 점액질, 단백질, 지방, 아르지닌콜린 등과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산약의 효능으로 식욕이 감퇴하며 원기가 부족할 때는 백출(白朮)·연밥·인삼 등과 함께 달여 복용하며, 정액이 새거나(遺精) 잠잘 때 식은 땀을 흘릴 경우(盜汗) 숙지황·산수유 등과 달여 복용한다. 산약은 비기능을 높여 권태감, 무력감, 음식감소, 설사 등을 다스리며 폐음을 보해 해수, 천식, 가래를 없애고, 소갈증, 허리와 무릎 시린 증상, 유정, 조루증, 소변 자주 보는 증상, 신체허약과 빈혈, 사지마비동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장관활동자극, 혈당강하, 항노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항비만 조성물의 생약 혼합물은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을 각각 170 내지 190℃에서 0.5 내지 1.5 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분말화할 수 있으며, 상기 생약 혼합물을 열처리함으로써 각 생약 원료들의 유용 성분 함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170 내지 190℃가 바람직하며, 170℃ 미만이면 생약재로부터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분말화하는 단계에서 수분에 의해 덩어리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고, 190℃ 초과이면 생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변질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시간이 0.5 시간 미만이면 생약재로부터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이후 극세말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에서 수분에 의해 덩어리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고, 1.5 시간 초과이면 생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변질되거나 비효율적이므로 열처리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의이인 2 내지 10 중량부, 갱미 2 내지 10 중량부, 흑미자 4 내지 20 중량부, 흑두 4 내지 20 중량부, 맥문동 1 내지 5 중량부, 산약 3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생약재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항비만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항비만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 된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방”은 병리학적 현상의 발생 빈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체 내의 탈모 증상이 상기 조성물을 사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투여될 수 있으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며, 적합한 총 1 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및 인간 등 어느 개체에나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 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 안정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은 예컨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화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상기 화합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상기 화합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화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상기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화합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재내용에 기초하여 각 구성의 종류, 도입 비율 등을 변화시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변형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가 구현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괄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 항비만 조성물의 제조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을 수세하여 180℃에서 1 시간 동안 팬(pan)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열처리한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을 2 : 2 : 4 : 4 : 1 : 3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극세말하여 분말화하였다.
실험 방법
항비만 조성물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 분석
제조예의 항비만 조성물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 분석은 한국식품연구소(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KFRI)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총 지방, 나트륨, 당,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섬유, 철분 및 칼슘을 포함한 총 12 가지 성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정
수득한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고자 동물 실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사람과 비만 형태가 유사한 6 주령 C57BL/6 마우스를 분양받아 1 주간 본 연구실 동물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 사육조건으로는 온도 23±1℃, 형광등 조명 12 시간으로 하였으며, 실험동물은 1 군에 6 마리씩 사육상자에 넣고 사육하였다.
실시예 1(SYE)은 9 주간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를 급여하고, 이후 7 주간 제조예의 항비만 조성물을 급여하였다. 실시예 2(HFD+SYE)는 군은 9 주간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를 급여하고, 이후 7 주간 고지방식이와 제조예의 항비만 조성물을 1 : 1 비율의 조성으로 급여하였다.
비교예(HFD)는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를 16 주간 급여하였고, 대조군(NC)은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정상식이를 16 주간 급여하였다.
구분 실험 기간(총 16주)
9주(비만 유도 기간) 7주(실험 기간)
실시예 1 고지방식이 항비만 조성물
실시예 2 고지방식이 항비만 조성물 + 고지방식이
비교예 고지방식이 고지방식이
대조군 일반식이 일반식이
체중 및 사료섭취량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의 체중은 16 주간의 실험시작 시와 종료 시에 측정되었고 사료섭취량은 실험 기간 동안 매일 측정되었다. 마리당 사료섭취량은 각 케이지의 1 일 사료섭취량에서 각 케이지당 마리 수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실험 기간이 끝난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였고 간 무게, 부고환의 지방 무게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실험동물의 관리와 유지, 그리고 모든 실험은 경희의료원 실험동물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실시되었다.
경구 당 부하 검사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은 실험 14 주차에 경구당부하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의 실험동물들을 14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당을 2 g/kg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혈액은 꼬리정맥을 통해 0, 30, 60 그리고 120분째에 채취하여 혈당측정기 (ACCU-CHEK Performa,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혈청 분석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은 실험 14주차에 꼬리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청 인슐린은 ELISA kit(Crystal Chem,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공복 혈당과 인슐린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알 수 있는 HOMA-IR을 산출하였다. HOMA-IR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 계산하였다.
HOMA-IR= 공복혈당(mg/dl) x 공복 인슐린(ng/ml) x 0.0717225161669606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실험 기간 이후에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의 생쥐를 희생한 후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간 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비알콜성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실험 기간 이후에 실시예, 비교예 및 대조군의 생쥐를 희생한 후 간을 적출하여 간 조직을 수득하였다.
각 군의 간 조직은 10% 포르말린으로 고정되었고 분석을 위해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1 마리당 2 개의 절편을 5 μm 두께로 잘라 periodic acid-Schiff (PAS) 염색을 실시하였다. 절편의 사진은 광학현미경(Olympus BX-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RNA 추출, 정량 및 real time PCR 분석
비만은 인슐린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지방 조직의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를 변화시킨다.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도되면,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생성되고, 지방조직은 인슐린 저항성 등을 유도하는 염증성 cytokine 및 chemokine을 분비한다. 염증성 cytokine으로는 TNF-α, IFN-γ, IL-6 등이 있으며 chemokine으로는 MCP-1 및 Cxcl3 등이 있다.
이러한 cytokine 및 chemokine의 RNA 발현량을 측정하면, cytokine 및 chemokine이 얼마나 분비되었는지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간조직의 IR, IRS-1, IRS-2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면, 염증성 cytokine이 간 조직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평가할 수 있다. 상기 cytokine 및 chemokine의 분비와 간 조직의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항비만 조성물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RNA는 Mini RNA Isolation IITM(ZYMO RESEARCH, CA, U.S.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간 조직으로부터 RNA 추출은 Trizol 용액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quantitative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을 실시하였다. cDNA는 PCR 키트를 사용하여 Advantage RT로 합성하였다.
Threshold cycle(Ct)는 SDS Software 2.4(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상대정량(RQ)은 GAPDH gene으로 계산되었다.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서열(5'-3')
TNF-α F TTCTGTCTACTGAACTTCGGGGTGATCGGTCC
R GTATGAGATAGCAAATCGGCTGACGGTGTGGG
IFN-γ F ACTGGCAAAAGGATGGTGAC
R TGAGCTCATTGAATGCTTGG
IL-6 F AACGATGATGCACTTGCAGA
R GAGCATTGGAAATTGGGGTA
MCP-1 F CCCACTCACCTGCTGCTACT
R TCTGGACCCATTCCTTCTTG
Cxcl3 F AGGCTACAGGGGCTGTTGT
R GGGTTGAGGCAAACTTCTTG
IR F GAGATGGTCCACCTGAAGGA
R GGACAGACATCCCCACATTC
IRS-1 F AAGCACCTGGTGGCTCTCTA
R TCAGGATAACCTGCCAGACC
IRS-2 F ATACCGCCTATGCCTGTCTG
R TGGTCTCATGGATGTTCTGC
GAPDH F AGTCCATGCCATCACTGCCACC
R CCAGTGAGCTTCCCGTTCAGC
통계적 검증
상기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평균(mean)±표준오차(SE)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One-way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사후 검증으로 Tuckey's post-hoc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유의 수준은 p <0.05로 하였다.
그래프로 표기된 실험 결과에서 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 수준이 p<0.05, p<0.01, p<0.001인 경우 *, **, ***으로 표기하였고, 비교예 대비 통계적 유의 수준이 p<0.05, p<0.01, p<0.001인 경우 #, ##, ###으로 표기하였다.
실험 결과
항비만 조성물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 분석
항비만 조성물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은 하기 표 3과 같다.
항비만 조성물의 영양성분은 열량은 398.3 kcal/100 g이고, 100 g당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은 각각 61.7 g, 19.3 g 및 2.7 g이었으며 나트륨 17.3 mg, 당 4.6 g, 포화지방 2.2 g, 트랜스지방 0.4 g, 콜레스테롤 1.6 mg, 식이섬유 20.0 g, 철분 10.7 mg, 칼슘 481.0 mg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영양성분 (100g 당) 함량
열량 (kcal) 398.3
탄수화물 (g) 61.7
단백질 (g) 19.3
지방 (g) 12.7
나트륨 (mg) 17.3
당 (g) 4.6
포화지방 (g) 2.2
트랜스지방 (g) 0.4
콜레스테롤 (mg) 1.6
식이섬유 (g) 20.0
철분 (mg) 10.7
칼슘 (mg) 481.0
항비만 조성물의 체중감소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체중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만이 유도된 실시예 및 비교예 생쥐의 16 주 후의 체중을 측정하였다(도 1).
도 1을 참고하면, 비교예 생쥐의 체중(52.48±0.56 g)은 대조군 생쥐의 체중(31.71±0.90 g)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실시예 1(143.67±1.64 g, p<0.001)과 실시예 2(43.72±7.59 g, p<0.01)에서 비교예 대비 각각 43.8%, 16.7%정도 체중이 감소하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식이 및 열량 섭취 감소 효과
상기 체중 감소가 섭취량 감소로 인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이와 열량 섭취량을 조사하였다(도 2, 3). 비교예와 비교했을 때, 식이와 열량 섭취량 모두 실시예 1에서 유의하게 감소했지만(p <0.001), 실시예 2에서는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항비만 조성물의 부고환 지방 무게 감소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내장지방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고환 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도 4).
부고환 지방은 사람의 내장 지방으로 볼 수 있으며, 지방 대사 및 인슐린 감수성과 관련된 adipokine과 cytokine을 분비하기 때문에 대사 증후군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비교예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실시예 1에서 65.9%(p<0.001), 실시예 2에서 37.0%(p<0.00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간 무게 감소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도 4).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되면, 간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축적시켜 간의 무게 증가한다. 따라서 간의 무게의 증감에 따라 항비만 조성물의 비만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간의 무게는 비교예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실시예 1 및 2의 간 무게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포도당 불내성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공복 혈당(FBG), 경구당부하시험을 하였다(도 5).
공복혈당 검사 결과, 비교예에서 0, 30, 60 및 120분에 혈당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1에서 64.3%(p<0.001), 실시예 2에서 51.0%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경구당부하시험 결과, 실시예 1 및 2 모두에서 0, 30, 60 및 120분의 혈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공복 인슐린 수치 및 인슐린 저항성 수치(HOMA-IR)을 측정하였다.
공복 인슐린 수치 및 인슐린 저항성 수치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는 비교예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실시예 1 및 2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6).
항비만 조성물의 혈청 간독성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간 독성 유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간 발생의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를 측정하였다(도 7).
혈중 AST는 대조군(52.33±2.79 IU/L)과 비교하여 비교예(119.33±13.01 IU/L)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01), 실시예 1 및 2에서 비교예에 비해 혈청 AST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혈중 ALT는 대조군(28.83±2.14 IU/L)과 비교하여 비교예(185.83±19.41 IU/L)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01), 실시예 1 및 2에서 비교예에 비해 혈청 ALT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간 지질 감소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지방간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총 콜레스테롤 수치, HDL-콜레스테롤 수치 및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고 간 조직을 관찰하였다(도 8, 9).
비교예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교예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01), 중성지방 수치 또한 감소하였다. 실시예 2의 중성지방 수치는 비교예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PAS 염색결과, 비교예에서 과다한 지질의 축적이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1 및 2에서는 지질의 축적이 완화된 경향을 보였다.
항비만 조성물의 염증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성 cytokine 및 chemokine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지방 조직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는 염증성 cytokine을 분비하며 이를 부고환 지방의 염증성 cytokine 유전자 발현을 통해 분석하였다. 염증성 cytokine으로는 TNF-α, IFN-γ 및 IL-6를, chemokine으로는 MCP-1 및 Cxcl3를 분석하였다.
비교예의 TNF-α와 IFN-γ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실시예 1 및 2에서 TNF-α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실시예 1에서 IFN-γ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비교예는 대조군에 비해 MCP-1과 Cxcl3 발현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실시예 1 및 2에서 MCP-1과 Cxcl3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MCP; p <0.05, Cxcl3; p <0.001).
항비만 조성물의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발현 향상 효과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성 cytokine의 영향으로 인한 간 조직의 IR, IRS-1, IRS-2 인슐린 신호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도 11).
비교예는 대조군에 비해 IR와 IRS-2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에 비해 IR와 IRS-2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모델에서 체중이 감소되고, 내장지방 및 간의 무게가 감소되고, 포도당 불내성 및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었고, 간 독성과 간 지질 축적이 감소되었다. 또한, 염증성 cytokine 및 cytokine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의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의 증상을 개선시키며 항비만 목적의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으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은 의이인 2 내지 10 중량부, 갱미 2 내지 10 중량부, 흑미자 4 내지 20 중량부, 흑두 4 내지 20 중량부, 맥문동 1 내지 5 중량부, 산약 3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된,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의이인, 갱미, 흑지마, 흑두, 맥문동 및 산약으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혼합물은 의이인 2 내지 10 중량부, 갱미 2 내지 10 중량부, 흑미자 4 내지 20 중량부, 흑두 4 내지 20 중량부, 맥문동 1 내지 5 중량부, 산약 3 내지 15 중량부로 구성된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KR1020170135448A 2017-10-18 2017-10-18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4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48A KR102049870B1 (ko) 2017-10-18 2017-10-18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48A KR102049870B1 (ko) 2017-10-18 2017-10-18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15A KR20190043415A (ko) 2019-04-26
KR102049870B1 true KR102049870B1 (ko) 2019-11-28

Family

ID=6628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48A KR102049870B1 (ko) 2017-10-18 2017-10-18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062B1 (ko) * 2021-07-02 2022-02-15 김진철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9740B2 (ja) * 1993-08-24 2006-05-31 株式会社創研 米からの肥満予防・治療剤
KR19980083052A (ko) * 1997-05-08 1998-12-05 서정식 생식(生食) 다이어트 식품의 제조방법
KR100572621B1 (ko) * 2003-03-19 2006-04-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KR20120124137A (ko) * 2011-05-03 2012-11-13 김성우 곡물 다이어트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15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02B1 (ko)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366510B (zh) 茶叶茶氨酸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13698A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纳豆山楂胶囊及其制备方法
KR102121153B1 (ko)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26479B (zh) 一种增强免疫力、降血糖功能的保健药物
CN102526478B (zh) 一种增强免疫力、降血糖功能的保健药物配方
CN106177183A (zh) 一种包含青钱柳叶、绿茶和桑叶的降血糖保健组合物
KR102049870B1 (ko)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16370527A (zh) 用于预防、减轻或治疗恶病质和肌肉损失的组合物
CN106176952A (zh) 一种包含青钱柳叶和苦丁茶的保健组合物
CN106177432A (zh) 一种包含青钱柳叶、桑叶、绿茶和玉竹的保健组合物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23603B1 (ko)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6668811A (zh) 黑枸杞抗癌救生片
KR101032685B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605352A (zh) 用于促进人体血液循环、温补肾阳的玛卡和刺梨营养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616357B (zh) 基于药食同源的gaba补脾安神组合物、制剂及其应用
KR102173009B1 (ko) 한방약재를 이용한 고양이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229329A (zh) 化积片及其生产工艺方法
CN112023010A (zh) 一种瘦身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口服药剂和应用
KR20190111726A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74877B1 (ko)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