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683B1 -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683B1
KR102049683B1 KR1020187016422A KR20187016422A KR102049683B1 KR 102049683 B1 KR102049683 B1 KR 102049683B1 KR 1020187016422 A KR1020187016422 A KR 1020187016422A KR 20187016422 A KR20187016422 A KR 20187016422A KR 102049683 B1 KR102049683 B1 KR 10204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cup
support member
groov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813A (ko
Inventor
알렉산더 젱거
Original Assignee
알렉산더 젱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211375.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211375B4/de
Application filed by 알렉산더 젱거 filed Critical 알렉산더 젱거
Publication of KR2018009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B08B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1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6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60T13/166Part of the system directly actuated by boost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3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lay-out
    • B60T8/344Hydraulic systems
    • B60T8/3473 Chann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18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73Brush for cleaning specific unusual places not otherwise covered, e.g. gutters, golf clubs, tops of tin cans, corners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포타필터 홈(66)의 세척을 위해 상기 홈 강모 지지 부재의 전면 또는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는 상기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의 부분 세그먼트가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가 오목하게 휘어져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7)가 상기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포타필터 에스프레소 기계(portafilter espresso machine)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판매량 또한 높다. 따라서 유럽의 연간 생산량은 약 190,000개로 추산된다. 도 1은 브루잉 그룹(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며, 부착되는 커피 잔류물(7)이 예로서 도시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피 잔류물(7)은 상기 브루잉 그룹의 소위 스프레이(9)의 바닥면 및 외측면뿐만 아니라 밀폐 장치(8)에도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되는 커피 잔류물(7)에 의한 이러한 오염은 이미 상대적으로 적은 횟수의 브루잉(brewing)작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젖은 상태의 따뜻한 분말에서 커피 잔류물(7)의 산화 및 생물적 분해 과정으로 인해 커피 맛이 현저히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잔류한 커피 분말은 포타필터(4)와 브루잉 그룹(1) 사이의 밀폐 장치(8)에 대한 연마재로 작용하고, 밀폐 장치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브루잉 그룹의 정기적인 세척, 특히 매일의 세척이 바람직하다. 흐르는 물에서 브루잉 그룹을 브러시로 솔질하는 해결책이 잘 알려져 있다. 브루잉 그룹의 번잡한 형태 및 경우에 따른 높은 수온으로 인해서 이런 작업은 사용자에게 위험한 과정일 수 있고, 따라서 불충분한 세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브루잉 그룹(1)은 포타필터를 고정하기 위해서 포타필터 캠(portafilter cam)을 위한 홈을 갖는다(포타필터 홈(66)). 포타필터 캠은 여기에서 아래로부터 이와 같은 포타필터 홈(66)으로 삽입될 수 있다. 포타필터 홈(66)은 여기에서 포타필터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커피 잔류물(7)이 역시 이와 같은 포타필터 홈(66)에 붙어있을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이런 포타필터 홈(66)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 유입 경로(6)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로를 통해서 8bar 내지 10bar의 압력으로 뜨거운 물이 브루잉 그룹(1)으로 유입된다.
US 7,594,292 B1호는 브러시 목에 배치된 브러시 헤드를 갖춘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를 공시하고 있다. 또한, 브러시 목은 조작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IT 1235949 B호는, 강모의 높이가 상이한 강모를 갖춘 전동 브러시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강모는 여기에서 회전 가능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WO 2014/053181 A1호는 커피 기계를 세척하기 위해서 필터지지의 관통경로를 밀폐 장치하기 위한 세척 박막을 공시한다. KR 20120003242호 및 KR 2012003172 U호에는 포타필터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강모를 구비하는 세척 장치를 공개한다. 상기 강모는 여기에서 계단식 표면의 상부 지향된 표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떨어져 있다.
철저하고 확실한 세척이 손쉽게 가능한, 보다 자세하게는 포타필터 캠을 위한 홈을 철저하고 확실하게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는 청구항 1 및 16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장치는 세척을 위해 포타필터와 같이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는 에스프레소 기계의 소위 말하는 스프레이의 하부면 및 외측면의 세척 및/또는 포타필터 홈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강모 지지 부재는 특히 컵 모양 부재일 수 있다. 환형 강모 부재는 폐쇄된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환형 강모 부재라는 개념은 또한, 다각형의, 예를 들어 팔각형의 환형 강모 부재 또는 타원형 강모 부재를 포함한다.
강모 지지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강모 지지 부재는 중심 종축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의 대칭 중심 축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의 강모 지지 부재는 한쪽 또는 양쪽의 전면에서 또는 전면 쪽을 향해서 개방될 수 있다. 강모 지지 부재의 직경은 세척하게 되는 에스프레소 기계 브루잉 그룹의 스프레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는데, 특히 5mm 내지 10mm 더 클 수 있다.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직경은, 예를 들어 60mm 내지 65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강모 지지 부재가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이라는 사실은 강모 지지 부재가 본질적으로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것은 강모 지지 부재가 정확하게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처럼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특히 외측면과(양쪽)전면의 영역에서 오목부 또는 돌출부로 인해서 그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프레소 기계의 포타필터 홈을 세척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는 강모 지지 부재의 하나의 전면에 또는 외측면에 배치되는데, 바람직한 방식으로 외부 외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포타필터 홈은 특히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에 배치된다. 상기의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것은 상기 홈 강모 부재가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가 상기 포타필터 홈의 세척에 사용된다 것은, 상기 홈 강모 부재에 의해서 에스프레소 기계의 다른 부재들이, 특히 에스프레소 기계의 스프레이 외부면 및 밀폐 장치의 표면이 세척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는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상기 반경 방향은 여기서 상기 강모 지지 부재와 관련될 수 있는데, 상기 반경 방향은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향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홈 강모 부재는 중심 종축의 축 방향에서 또는 이와 평행한 것을 포함해서 강모 지지 부재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향해 떨어져 있다. 상기의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의 추가적 부분 세그먼트는 축 방향으로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특히 상부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홈 강모 부재는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상부와 외부로 향해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위" 및 "아래"와 같은 방향 정보는 세척하게 되는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 스프레이의 중심 대칭축에 평행한 방향과 관련될 수 있으며, 포타필터 또는 강모 지지 부재는 아래에서 상단을 향해서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된다.
이로써 홈 강모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부분 세그먼트는 특히 구부러진 부분이거나 또는 휘어진 부분일 수 있다. 이것은 홈 강모 부재의 중심 중앙선의 배향의 방향벡터가 중심선의 적어도 한 지점 또는 한 부분에서 하나의 지분을 갖는데, 이 지분은 반경선을 향해서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어 있고, 이 선이 중심 종축으로부터 중심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지점/세그먼트를 통해서 연장되는데, 상기 방향벡터의 이런 지분은 추가적으로 중앙 종축선으로부터 멀리 방향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 세그먼트가 반경 방향으로 떨어지는 특징은 홈 강모 부재가 적어도 이런 부분 세그먼트에서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특히 외부로 멀리 연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체 강모 부재뿐만 아니라 강모 부재의 부분 세그먼트도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홈 강모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는 오목하게 휘어진다. 오목 곡률, 즉 안쪽으로의 곡률은 여기서 강모 지지 부재의 상기의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으로까지의 곡률을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부분 세그먼트는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으로까지 휘어진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형성될 수 있다. 브루잉 그룹 안으로 강모 지지 부재의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하게 휘어진 부분 세그먼트는 브루잉 그룹의 스프레이의 외측면으로까지 휘어져 있을 수 있다. 이로써 홈 강모 부재는 또한,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부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곡률은 특히 하나의 평면과 관련해서 결과할 수 있는데, 상기 평면에 홈 강모 부재의 가장 외각의 테두리 점 및 홈 강모 부재의 접촉 세그먼트(들)나 또는 접촉점(들)이 강모 지지 부재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를 갖는 홈 강모 부재는 추가적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부분 세그먼트를 갖거나 또는 형성하는 일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는 이런 방식으로 떨어져 있는데, 만약 홈 강모 부재와 강모 지지 부재가 모두 이런 투영 평면으로 투영되고, 상기 투영 평면은 중심 종축과 직교해서 방향 설정되어 있다면, 홈 강모 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은 강모 지지 부재의 외부에 2 차원의 투영면에 배치되어 있다.
홈 강모 부재의 제원은 포타필터 홈의 제원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홈 강모 부재가 기하학적인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즉 홈 강모 부재의 한 세그먼트의 최대 높이는 상기 전면 또는 외측면에 홈 강모 부재의 장착 세그먼트를 넘어서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10mm(이상) 내지 20mm 범위에 놓여있다. 상기 홈 강모 부재의 높이는 이로써 홈 강모 부재의 장착부에 대한 간격을, 예를 들어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하나의 전면에 대한 간격을 나타낼 수 있는데, 상기 간격은 중심 종축을 따라서 또는 이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상기 홈 강모 부재의 길이는 상기 홈 강모 부재의 중심 중앙선의 길이일 수 있는데, 특히 상기 홈 강모 부재의 자유로운 단부까지의 중심 중앙선일 수 있다. 홈 강모 부재의 폭은 여기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홈 강모 부재의 제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가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거나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가 오목하게 휘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홈 강모 부재의 형성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는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홈 강모 부재는 상기 브루잉 그룹 안으로 강모 지지 부재의 삽입에 있어서, 특히 아래에서 위로의 삽입에 있어서 경계벽에서, 특히 상부 경계벽에서 상부의 테두리 세그먼트와 함께 포타필터 홈에 부딪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런 경계벽은 여기서 밀폐 장치를 통해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타필터 홈은 하나 또는 복수의 경계벽(들)에 의해서 둘러싸이거나 또는 경계벽으로부터 에워싸여 있게 된다. 계속적인 삽입에서 강모 부재의 상부 테두리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접을 수 있는데, 상기 홈 강모 부재는 상기 포타필터 홈의 상부 경계벽을 따라서 삽입되고, 계속적인 삽입에 있어서 또한 계속적인 경계벽들을 따라서, 예를 들어 측면 경계벽들을 따라서 상기 포타필터 홈에서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 안으로 상기 장치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홈 강모 부재는 롤링(말아 넣기)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의 형성된 롤링 세그먼트는 반경반향에서 외부로 향해서 강모 지지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다.
만약 상기 강모 지지 부재가, 예를 들어 적합한 작동 부재와 함께, 예를 들어 손잡이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상기 홈 강모 부재는 포타필터 홈을 에워싸는 경계벽들을 칠하듯이 쓸고, 부착된 오물 입자들을, 특히 커피 잔류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홈 강모 부재는 탄성 합성물로, 특히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홈 강모 부재의 쇼어 A 경도는 40 내지 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어 A 경도는 DIN EN ISO 868:2003-10 및 DIN ISO 7619-1:2012-02에 명시되어 있다.
홈 강모 부재는 바아 모양, 혀 모양 또는 판 모양의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판 모양의 형상은 홈 강모 부재의 길이와 폭 또는 홈 강모 부재의 높이와 폭 비율이 5:1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포타필터 홈을 세척하기 위해서 종축으로 강모 지지 부재의 회전함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홈 강모 부재의 형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홈 강모 부재는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형성된다. 이것은 홈 강모 부재가 충분한 굴절경도 및/또는 회전경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가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강모 부재는 상기 브루잉 그룹의 스프레이의 외측면의 세척을 위한 강모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모 부재는 상기 내부 외측면의 한 세그먼트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강모 지지 부재가 컵 모양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강모 부재가 컵 모양 부재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강모 부재는 다른 강모 부재로서 또는 다른 스프레이 강모 부재로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강모 지지 부재는 컵 모양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의 다른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상기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서 또는 그 방향의 반대로 내부 용적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경 방향은 여기에서 중심 종축에 직교하도록 방향 잡을 수 있다.
하기에서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단순화해서 또한 강모 부재로 지칭될 수 있는데, 홈 강모 부재는 그러나 지속적으로 그 자체로써 계속해서 지칭된다. 홈 강모 부재(들) 및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강모 지지 부재, 특히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직경은 60mm 내지 65mm의 범위일 수 있다.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대응하는 표면으로부터 0.1mm 내지 5mm 범위에서 멀리 연장되거나 또는 표면 위로 돌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상이한 기계 유형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의 직경은 기계의 종류에 따라 54mm에서 59mm까지 다양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표면 위에서 강모 부재의 큰 돌출부는 작은 직경의 스프레이로 기계를 세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강모 지지 부재, 특히 컵 모양 부재는 이런 방식으로, 즉 브루잉 그룹의 스프레이가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세척하도록 브루잉 그룹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의 강모 부재는 스프레이의 하단 전면에 접촉할 수 있는 반면에, 내부 외측면의 강모 부재는 스프레이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스프레이 하단 전면은 하나 이상의 물 유출구를 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컵 모양 부재는 중심 종축으로 둘러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강모 부재는 스프레이의 대응 표면 위를 칠하듯이 쓸고, 그곳에 부착된 오물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물이 회전하는 동안에, 특히 뜨거운 물이 브루잉 그룹을 통해 압출(펌핑)됨으로 세척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물은 여기에서 스프레이를 통해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고 내부 용적으로부터 유출되는 동안 분리된 먼지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는 유리한 방식으로 스프레이의 외측면에 부착된 오물 입자의 향상된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를 통해서 에스프레소 기계의 향상된 세척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강모 지지 부재, 특히 컵 모양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손쉬운 취급을 보장하는데, 왜냐하면 세척을 위한 컵 모양 부재는 복잡한 움직임이 아니라, 중심 종축으로 단순하게 실행되는 회전을 실행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유리한 방식으로 스프레이 및/또는 포타필터 홈의 있고 가능한 완전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홈 강모 부재는 유리한 방식으로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가 철저하게 세척되도록 한다. 특히, 강모 지지 부재는 이런 방식으로, 즉 홈 강모 부재가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와 접촉하도록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강모 지지 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전면상의 홈 강모 부재는 밀폐 장치의 표면을 칠하듯이 쓸고, 이로써 또한 그곳에 부착된 오물 입자를 분리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의 폭이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원주 방향에 따른 홈 강모 부재의 높이보다 50% 더 크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홈 강모 부재의 폭이 원주 방향을 따른 홈 강모 부재의 높이의 80%보다 크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100%보다 큰 것이다.
이는 통해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홈 강모 부재가 중심 종축으로 강모 지지 부재의 회전에 의해서나 또한 포타필터 홈의 경계벽과 접촉에 있어서도 자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홈 강모 부재의 충분하게 딱딱한 형성이 발생된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있고 철저한 세척이 또한 결과로 나온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원호형 강모 부재 또는 적어도 그것의 일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강모 지지 부재의 상기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원호형 부재로 형성된 홈 강모 부재는 강모 지지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홈 강모 부재는 이런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원호형 또는 반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호형 강모 부재의 두 원호 단부는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상기 전면 또는 외측면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두 원호 단부와 함께 원호형 홈 강모 부재가 강모 지지 부재에 배치된다면, 홈 강모 부재는 하나의 관통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함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원호 외부 테두리 및 /또는 원호 내부테두리에 배치되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호 외부 테두리 및/또는 원호 내부 테두리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호형 부재로서의 형성을 통해서, 접선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한 딱딱함이 작은 반면에, 지지 부재에 접선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홈 강모 부재의 고도의 딱딱함이 유리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이것은 전술한 롤링(밀어 넣기) 이동 및 세척될 표면으로 가장 가능하게 근접한 창작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원호형 홈 강모 부재의 중심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중간바아 위로 강모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중간바아는 원호형 홈 강모 부재로부터 포함된 관통구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 바아는 여기에서 강모 부재의 일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바아가 오목하게 휘어져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오목한 휘어진, 특히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을 향해 휘어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한편으로는 홈 강모 부재의 향상된 딱딱함이 유리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앞에서 상술한 브루잉 그룹 안으로 상기 장치의 삽입에 의해서 포타필터 홈의 경계벽을 따라서 홈 강모 부재의 원하는 이동은 중간바아의 배치를 통해서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테두리 세그먼트의 일부분이, 특히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특히 외부로 향한 외부적 테두리 세그먼트가 휘어져 있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홈 강모 부재가 자유로운 단부 또는 첨단 단부를 갖는다면, 예를 들어, 강모형의 또는 평판 모양의 홈 강모 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자유로운 단부를 제시하는 세그먼트는, 특히 반경 방향으로, 휘어져 있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홈 강모 부재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홈 강모 부재의 원호 외부 테두리에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특히 반경 방향으로 휘어져 있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 안으로 장치를 삽입함에 있어서 포타필터 홈의 경계벽을 따라서 홈 강모 부재가 생성된다. 특히, 경계벽을 따라서 앞서 설명된 롤링 이동은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테두리 세그먼트를 통해서 전제되거나 또는 이것으로부터 이탈된 이동경로의 위험성이 최소화된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모 지지 부재는 컵 모양 부재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컵 모양 부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컵 모양 부재는 특히 하나 이상의 전면에 또는 전면으로 개방된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이런 전면은 컵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개방된 전면과 마주 놓인 한쪽 면에 상기 컵 모양 부재는 폐쇄되어 있을 수 있고,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휘어지지 않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컵 모양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컵 모양 부재는 컵 모양 부재의 중심 대칭축에 상응할 수 있는 중심 종축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바닥면의 한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바닥면은 중앙 종축에 직교하도록 방향 잡을 수 있다.
또한, 컵 모양 부재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가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의 스프레이의 하단면을 세척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런 강모 부재는 또한, 하기에서 제1 스프레이 강모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컵 모양의 부재의 내부 용적으로 확장된다. 상기 내부 용적은, 컵 모양 부재의 개방된 전면을 덮을 정도로는 존재하지 않는 덮개면뿐만 아니라 내부 외측면 및 바닥면으로부터 포함되는 용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모 부재는 중심 종축에 평행한 바닥면으로부터 내부 용적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의 세척을 위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강모 부재는 컵 모양 부재의 하나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전면은 컵 모양 부재의 개방 측면에 배치된 전면일 수 있고, 컵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모 부재는 여기에서 이런 전면으로부터, 특히 중심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전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는 앞에서 설명된 강모 부재일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강모 부재는 유리한 방식으로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가 철저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컵 모양 부재는 이런 방식으로, 즉 상기 전면이 상기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컵 모양 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전면에서 강모 부재는 밀폐 장치의 표면을 칠하듯이 바르고, 이로써 그곳에 부착된 오물 입자를 또한 분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또한 첫 번째 및/또는 다른 스프레이 강모 부재도 원호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강모 부재의 첫 번째 단부뿐만 아니라, 상기 강모 부재의 또 다른 단부도 내부 외측면이나 또는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대응 표면으로부터 내부 용적으로 떨어져 있는 강모 부재는 원호형의 진행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강모 부재가 해당 표면에서 내부 용적으로 둥글게 구부러져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바닥면에나 또는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가, 예를 들어 내부 용적에 배치되는 자유로운 단부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세척될 표면을 칠하듯이 쓸어감에 있어서 방향전환에 기인한 강모 부재의 원치 않은 강한 변형이나 또는 심지어 좌굴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컵 모양 부재의 회전의 방향변화에 의해서 그리고 그로부터 경우에 따라서 생기는 강모 부재의 재료변형에 의한 뒤집힘이 방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데, 이것은 상기 장치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 세척될 표면에 잘 갖다 댈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표면과의 기계적 접촉을 개선하는 강모구조가 결과로 나온다.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강모 부재의 형성은 특히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한 강모 부재의 단순한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강모 부재는 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 모양의 형상은 강모 부재의 높이와 넓이의 비율이 5:1 미만임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판 모양의 부재의 높이는 5mm 내지 20mm의 범위이고, 폭은 4.0mm 내지 30.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판 모양의 형성을 통해서 강모 부재와 세척될 표면 사이에서 가능한 가장 큰 접촉면이 생기는데, 이를 통해 세척이 유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강모 부재는 섬유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질 모양의 형성에 있어서 강모 부재의 폭과 높이의 비율은 5: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특히 섬유질 모양이 부재는 5mm에서 20mm까지 범위의 높이와 1,0mm에서 4.0mm까지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개별 섬유가 세척될 표면의 국부적으로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에 더 잘 적응할 수 있고, 섬유는 물에 의해서 더 잘 흐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온다. 대안적으로 강모 부재는, 특히 판 모양의 강모 부재는 와이퍼(wiper: 벗겨내기)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커피 잔류물을 긁거나 벗겨내기 위한 강모 부재를 지칭한다.
판 모양의 또는 섬유질 모양의 강모 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높이는 강모 부재의 길이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강모 부재가 컵 모양의 세그먼트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다면, 이와 같은 강모 부재는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 안으로 반경 반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강모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강모 부재가 컵 모양 세그먼트의 바닥 표면 상에 배치되면, 이와 같은 강모 부재는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 안으로 바닥면의 법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강모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강모 요소는 또한, 상기 다수의 세그먼트를, 예를 들어, 두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유로운 단부에 이런 세그먼트는 노즈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즈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상기 세그먼트의 자유로운 단부에 통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즈 세그먼트는 세척될 표면 위로 컵 모양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커피 잔류물을 벗기거나 긁을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탄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스프링 텅(spring tongue)으로서 또는 용수철 텅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는, 만약 스프레이가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에 배열된다면, 그러면 출발 위치에서 이동되고, 세척될 표면에 대한 탄성력으로 인해서 가압된다.
컵 모양 부재는 상기 강모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와 같은 강모 부재는 또한, 컵 모양 부재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모 지지 부재 또는 컵 모양 부재는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와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 부재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강모 부재를 갖거나 또는 이것을 형성한다. 또한, 삽입 부재는 지지 부재에 또는 안에 또는 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삽입 부재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예를 들어 형태 완결적으로 그리고/또는 위력적으로 삽입 부재가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삽입 부재가 지지 부재에 또는 안에 또는 위에 배치되면, 이렇게 적어도 바닥면 및/또는 내부 외측면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컵 모양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컵 모양의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삽입 부재는, 특히 이런 내부 용적으로 삽입되는 컵 모양 세그먼트의 내적 용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는 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컵 모양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부재는 상이한 상태로 변위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 부재는 컵 모양의 상태에서 지지 부재의 컵 모양 세그먼트의 내부 용적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투입된 상태에서 컵 모양의 상태를 갖는다.
삽입 부재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도 또한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서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재들은 단순히 상응하는 사출 형태로 모형을 뜨게 된다. 특히 언더컷(절하)를 만들지 않고도 상기 부재를 생성할 수 있다. 삽입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는 딱딱한, 즉 비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장치의 간단한 생산의 결과가 나온다. 또한, 기하학적으로 서로 다르게 형성된 강모 부재들 및/또는 홈 강모 부재 또는 상이한 기하학적 제원을 갖는 삽입 부재를 지지 부재에 또는 안에 또는 위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것은 유리한 방식으로 상이한 에스프레소 기계에 장치의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하나 이상의 바닥부 및 하나 이상의 외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부재가 다수의 외측부를, 예를 들어 8개의 외측부를 포함한다. 바닥부의 가장자리는 원형이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부재는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반경 방향을 따라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부분들은 바닥부로부터 8각형 대칭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바닥부는 바닥면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를 갖거나 또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외측부는 내부 외측면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를 가지거나 또는 그것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외측부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를 가지거나 또는 형성한다. 상기 삽입 부재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컵 모양의 상태에서 상기 삽입 부재의 외측부는 상기 컵 모양 부재의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의 바닥부는 컵 모양 부재의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외측부는 삽입 부재의 바닥부로 기울어지는데, 특히 90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 부재의 외측부가 삽입 부재의 바닥부로 기울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외측부는 예를 들어 반경 방향을 따라서 바닥부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는 펼쳐진 상태로부터 컵 모양의 상태로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컵 모양의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서 위로 접혀질 수 있다. 특히 외측부를 90°위로 접을 수 있다. 이로써 컵 모양의 상태는 접힌 상태로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외측부는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를 갖거나 또는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강모 부재는 컵 모양의 상태에서 컵 모양 부재의 상기 전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를 형성하며, 이 강모 부재는 특히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의 세척에 사용된다.
상기 삽입 부재는 특히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부재는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의 바닥부와 외측부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삽입 부재는, 특히 홈 강모 부재 및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충분한 탄성력과 충분히 높은 신장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부재는 뜨거운 물에 대해서 견고하고, 음식물과의 접촉에서 투입하기에 적합하다. 상기의 하나 이상의 외측부는 바닥부에서, 특히 바닥부의 테두리 세그먼트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또는 외측부는 지지 부재와 함께 삽입 부재의 기계적 연결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을 가지거나 그것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삽입 부재, 또한 바닥부 및/또는 외측부 및 지지 부재는 상응하는 연결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탭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삽입 부재는 이런 연결 탭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오목부 또는 개구를 갖는다. 상기 연결 수단은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삽입 부재 사이의 신뢰성 있는 기계적 연결, 특히 형태적 그리고/또는 위력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은 여기에서 이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삽입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상기 장치의 브루잉 그룹으로 삽입에 있어서 및 상기 삽입 부재에 대한 세척을 위한 장치의 회전에 있어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삽입 및 세척을 위한 신뢰성 있는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단순한 제조가 유리한 방식으로 발생된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2개 이상의 외측부를 포함한다. 이들 외측부는 여기에서 바닥부의 원주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의 테두리 세그먼트는, 특히 원주방향을 따라서 인접한 외측부의 테두리 세그먼트는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삽입 부재의 컵 모양의 상태에서 하나의 지지 부재측 오목부에서 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측 연결 탭 및/또는 지지 부재측 연결 탭에서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측 오목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접한 외측부의 각각은 연결 탭의 일부분을, 예를 들어 연결 탭의 절반을, 그리고/또는 오목부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외측부가 원호형의 홈 강모 부재를 갖거나 또는 이것을 형성한다면, 그러면 홈 강모 부재의 원호 단부들은 각각 외측부의 테두리 세그먼트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이런 테두리 세그먼트과 함께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런 테두리 세그먼트들은 컵 모양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 탭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 부재의 컵 모양 상태에서는 연결 탭이나 또는 연결블록은 컵 모양 삽입 부재의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확대된 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부재측 연결 탭은 부분적 피라미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인접한 외측부들은 부분적 피라미드형의 연결 탭의 각각의 일부분, 특히 절반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탭은 여기에서 컵 모양의 상태에서 외측부의 상부 테두리 세그먼트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탭의 아래에는 컵 모양의 상태에서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삽입 부재측 연결 탭에 부합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는데, 이 오목부 안에 연결 탭이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오목부는 지지 부재의 컵 모양 세그먼트의 상부 전면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전면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두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여기에서 지지 부재의 컵 모양 세그먼트의 컵 테두리에 상향 돌출된 세그먼트를 지칭할 수 있고, 이 세그먼트들은 또한 돌출부 세그먼트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또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연결 탭을 수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목부의 제원은 이런 방식으로, 즉 위력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의 제원은, 형태적인 그리고/또는 위력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미리 주어진 크기 또는 미리 주어진 비율에서 오목부 안에 배치될 연결 탭의 상응하는 치수보다 작게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부재의 상기 연결 탭이 지지 부재의 오목부 안에 배치되면, 이렇게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하향 방향으로 양의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위력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외측부에 의해서 형성된 연결 탭에 상응하는 오목부 안에 배치를 통해서 삽입 부재의 컵 모양 상태가 기계적으로 확보된다.
또한, 상기 삽입 부재의 바닥 부분은 인접한 외측부에 대한 연결 세그먼트 사이의 중간 영역에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중간 영역에서 바닥부의 테두리는 오목부, 특히 원호형 또는 원형의 오목부를 갖는다. 오목부는 여기에서 관통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오목부는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밑 부분에서 설명된 오목부를 통해서 외측부 사이의 오목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은 계단형일 수 있는데, 여기서 외측부에 의해 형성된 연결 탭의 하면은, 만약 이런 하면이 외측부 사이의 오목부에 배치된다면, 계단형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의 제1 표면에 놓인다. 또한, 외측부에 의해 형성된 연결 탭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내부에 놓이는 전면은 계단적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의 다른면에 놓일 수 있다.
삽입 부재측 오목부 안에서 지지 부재의 연결 탭의 적어도 한 세그먼트의 배치를 통해서, 특히 컵 모양의 상태 안에서 삽입 부재측 연결 탭 아래서 형태 완결적인 연결은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의 적어도 일부분을 원주 방향으로 그리고 하향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는 지지 부재측 연결 탭을 위한 관통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구는 바닥부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이들 관통구는 원주 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원주선의 반경은 바닥부의 테두리선의 반경보다 작다. 이런 경우에 상기 지지 부재는, 만약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또는 안에 또는 위에 배치된다면, 원통형 탭을 가질 수 있는데, 이 탭은 상기 관통 구멍 안으로 또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관통 구멍의 직경은 미리 정해진 크기 또는 소정 비율에서 이들 연결 탭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삽입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추가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런 연결은 관통구의 중심축에 대한 세로 방향으로 형태 완결적 연결이 제공되고, 상하 방향의 위력적 연결을 제공하게 된다. 설명된 연결유형을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삽입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신뢰성 있는 기계적 연결이 결과로 나오는데, 이런 연결은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에 또는 상기 브루잉 그룹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특히 장치를 브루잉 그룹의 연결은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고정 수단은 브루잉 그룹측 연결은 장착부에 장치를 장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루잉 그룹의 바요넷 장착 세그먼트는 여기에서 포타필터 홈을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컵 모양 부재, 특히 지지 부재는 체결 수단을 갖거나 또는 형성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장치와 브루잉 그룹의 형태 완결적 연결을 위해 추가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수단은 부착된 힌지 결합 상태에서 장치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고정 수단은 컵 모양 부재, 특히 지지 부재의 외부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캠 세그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포타필터 홈에서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리한 방식, 즉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의 편리한 취급이 결과로 나온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용적, 특히 컵 모양 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인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내 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이것을 형성한다. 안내 수단은 유출수의 표적화된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어되지 않은 물방울을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강모 지지 부재, 특히 컵 모양 부재는 외부 외측면 또는 그것의 일 세그먼트에서 하나의 배출 홈통을 갖거나 또는 그것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 홈통은 하나의 안내수단이 될 수 있다. 배출 홈통은, 예를 들어 외부 외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세그먼트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 홈통은 강모 지지 부재의, 특히 컵 모양 부재의, 특히 지지 부재의 일체형 세그먼트로서 또는 강모 지지 부재로부터, 특히 컵 모양 부재로부터 별도의 구성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홈통은 단면이 부분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홈통은 여기서 이런 방식으로 배치되거나/배치되고 형성될 수 있는데, 즉 물이, 예를 들어 상부 전면을 통해서 또는 상부 전면의 영역에서 내부 용적으로부터 나오고, 외부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흐르고, 배출 홈통에 의해 수집되고 안내된다. 이로써 배출 홈통은 흐르는 물의 유체 흐름을 위한 가이드 수단을 형성한다. 배출 홈통은 여기에서 외부 외측면의 미리 결정된 세그먼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배출 홈통은 여기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것이 뜻하는 것은,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방향 잡은 평면에 대해서 배출 홈통의 중심 대칭축이 또는 중심 중심축이 기울어지고, 그러한 평면에서 흐르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배출 홈통은 폐수를 원하는 위치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 홈통은 한쪽 단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또는 배수관을 형성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홈통을 제공함으로써 배출하는 폐수가 컵 모양 부재로부터 제어 불가능하게 떨어지는 것을 유리한 방식으로 방지하게 된다. 오히려, 이것은 표적화되고 이로써 통제된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깔때기 모양의 부재를 가지거나 그것을 형성한다. 깔때기 모양의 부재는 여기에서 가이드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및 배치/또는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유출 형성된 깔때기 모양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컵 모양 부재는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의 내부 용적 유입 폐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 수단을 배치하거나 장치가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될 때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의 토출구가 에스프레소 기계의 수집 용기에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 수단의 배출 개구의 중앙 중심선은 컵 모양 부재의 중심 종축에 평행하게, 바람직한 방식으로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 수단 및 강모 지지 부재, 특히 강모 지지 부재의 지지 부재는 일체형 구성 부재로서 또는 개별 구성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때기 모양의 부재는 부착 또는 고정 방식으로 강모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배출 홈통은 물을 깔때기 모양의 부재의 내부 용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황에 따라서 고온의 더러운 물이 제어되지 않고서 떨어지지 않고, 표적화해서 유도될 수 있게 유리한 방식으로 결과된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를 가지거나 또는 그것을 형성한다. 가이드 리브는 여기에서 안내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리브는 이런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형성될 수 있는데, 즉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는 강모 지지 부재 아래에서, 특히 컵 모양 부재 아래에 배치되고 강모 지지 부재로부터, 특히 외부 외측면으로부터 흐르는 물이 가이드 리브의 하부 모서리에서 접착력에 기인해서 졸졸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물은 표적화해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이런 실시예에 의해서 배출수는 설명된 배출 홈통을 통해서 가이드 리브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모서리는 여기에서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방향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과 중심 종축은 10°내지 80° 범위의 각도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20°내지 70° 범위에서 각도를 포함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크거나 동일한 각도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리브의 하단 모서리는 벽면에서 끝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런 벽면의 수직 표면은 중심 종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 잡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벽면으로 배출수가 흐르고 이어서 벽을 따라서 흐른다. 가이드 리브의 형성을 통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장비의 특별히 간단한 생산은 특히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서 결과로 나온다.
계속해서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여기서 하나의 장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 중 하나에 의거해서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 안으로 투입된다. 상기 장비는 여기에서 이런 방식으로, 즉 스프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은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용적에, 특히 컵 모양 부재의 형태로서 형성된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용적에 배치되는 방식에서 브루잉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홈 강모 부재는 브루잉 그룹의 포타필터 홈의 경계벽과 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장치의 스프레이 강모 부재는 스프레이 그리고 대안적으로 브루잉 그룹의 밀폐 장치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출발위치로부터 상기 장치의 강모 지지 부재의 중심 종축에서 회전된다. 이를 통해서 단순하게 실행되는 세척이 유리한 방식으로 결과로 나온다.
본 발명은 몇몇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커피 잔류물과 함께 브루잉 그룹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끼워진 장치와 함께 브루잉 그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a는 제1 상태의 스프레이 강모 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b는 다른 상태의 도 4a에 도시된 스프레이 강모 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c는 또 다른 상태의 도 4a에 도시된 스프레이 강모 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펼쳐진 상태의 삽입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홈 강모 부재가 없는 지지 부재 및 삽입 부재의 분해도이며,
도 8은 또 추가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삽입된 장치를 갖는 브루잉 그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1은 컵 모양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하기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10)는 컵 모양 부재(11)를 포함하며, 컵 모양 부재(11)는 바닥부분(12) 및 외측 부분(56)을 갖는다. 컵 모양 부재(11)는 내부 용적(13)을 포함한다. 또한, 컵 모양 부재(1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장치(10)가 브루잉 그룹(1) 안으로 삽입되는 상기 장치(10)의 삽입된 상태에서, 컵 모양 부재(11)가 브루잉 그룹을 향해서 개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브루잉 그룹(1)의 부분들은, 특히 스프레이(9)는 개구부로 인해 내부 용적(13) 안으로 돌출할 수 있다. 강모 부재(15)가 내부 용적으로 향한 바닥부(12)의 바닥면(14)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도시된다. 명료함을 위해서 단지 하나의 강모 부재(15)에는 도면 번호가 제공된다. 이들 강모 부재(15)들은 바닥면(14)으로부터 내부 용적(13) 안으로 연장된다.
계속해서 도시되는 것은, 추가적인 강모 부재(17)들은 내부 용적(13)으로 향한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외측면(16)에 배치되는 것이다. 명료함을 위해서 오직 하나의 추가적인 강모 부재(17)가 도면 부호로 제공된다. 추가적인 강모 부재(17)들은 내부 외측면(16)으로부터 멀리 내부 용적(13)으로 연장된다. 계속 도시되는 것은, 홈 강모 부재(18)들이 컵 테두리를 형성한 컵 모양의 부재(11)의 상부 전면에 배치되는 것인데, 이런 강모 부재(18)들은 상기의 상부 전면으로부터 내부 용적(13) 의 외부의 용적으로 연장된다. 상기의 상부 전면은 여기에서 컵 모양 부재(11)의 개방된 단부에서 하나의 전면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10)의 삽입 상태에서 바닥면(14)에 배치된 강모 부재(15)들은 스프레이(9)의 하부면과 함께 기계적 접촉을 하는데, 여기서 물-안내 유로(6)의 배출구들이 상기 바닥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다른 강모 부재(17)들도 스프레이(9)의 외부 외측면과 함께 기계적 접촉을 한다. 또한, 상부 전면에 배치된 다른 홈 강모 부재(18)들도 밀폐 장치(8)와 기계적 접촉을 하고, 경우에 따라서 스프레이(9)의 외부 외측면의 한 세그먼트 뿐만 아니라 포타필터 홈(66)의 경계벽의 다른 세그먼트들과 함께 접촉을 한다. 상기 밀폐 장치(8)는 여기에서 포타필터 홈(66)의 상부 경계벽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어서 컵 모양 부재(11)의 중심 대칭축(19)이 기술된다. 세척을 위해서 상기 컵 모양 부재(11)는 중심 대칭축(19) 주위로 비틀어지는데, 예를 들어 출발위치로부터 +/- 30°만큼 비틀어진다. 이런 비틀림에 의해서 바닥면(14)에 배치된 강모 부재(15)는 스프레이(9)의 하부를 쓸고, 내부 외측면(16)에 배치된 다른 강모 부재들은 스프레이(9)의 외부 외측면을 쓸고, 그리고 상부 전면에 배치된 홈 강모 부재(18)들은 밀폐 장치(8)와 경우에 따라서는 포타필터 홈(66)의 경계벽의 다른 세그먼트들을 쓸어간다. 이를 통해서 부착하는 커피 잔류물(7)은 스프레이(9)와 밀폐 장치(8)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것은, 만약 세척하는 동안에, 특히 회전 중에 물, 특히 뜨거운 물이 물-안내 유로(6)를 통해서 공급되는 경우에는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도 2 에서, 공급된 물의 흐름 패턴이 화살표(20)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브루잉 그룹(1)의 물-안내 유로(6)를 통해서 그리고 스프레이(9)의 하단부에 배치된 배출구를 통해서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용적(13) 안으로 유동한다. 이를 통해서 내부 용적(13)은 물로 채워진다. 내부 용적(13)이 채워지면, 물은 컵 모양 부재(11)의 상단면을 통과하여 컵 모양 부재(11)의 외측면(21)을 따라서 흐른다. 흐르는 물은 여기에서 분리된 커피 잔류물(7)을 운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분리된 커피 잔류물(7)은 내부 용적(13) 밖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2에는 장치(10)가 컵 모양의 부재(11) 아래에 배치된 깔때기 모양의 부재(22) 포함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깔때기 모양의 부재(22)는, 외부 외측면(21)을 따라서 흐르는 물이 상기 깔때기 모양의 부재(22)의 내부 용적 내로 흘러 상기 깔때기 모양의 부재(22)의 중앙 배출 개구(24)를 통해서 상기 깔때기 모양의 부재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흘러나오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며, 상기 컵 모양의 부재(11)의 일 부분이 깔때기 모양의 부재(22)의 내부 용적(23)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깔때기 모양의 부재 및 중앙 배출 개구(24)의 중심 대칭축들이 컵 모양의 부재(11)의 중심 대칭축(19)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난다. 중앙 배출 개구(24)로부터 유출되는 물은이 경우에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 기계 내에 존재하는 수집 용기 또는 배수 장치로 흐를 수 있다.
도 3a에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되어 있다. 장치(10)는 외측부(61)를 갖는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강모 지지 부재(60)는 이 경우에 위 아래로 개방 될 수 있다. 따라서 브루잉 그룹(1)의 부분들, 특히 스프레이(9)는 개구로 인해 강모 지지 부재(60) 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용적(13) 내로 (도 3b 참조) 내로 돌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강모 지지 부재(60) 상에 배치된 손잡이(39)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강모 지지 부재(60)의 중심 대칭축(19)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강모 지지 부재(60)에 배치된 손잡이(39)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강모 지지 부재(60)의 중심 대칭축(19)이 도시되어 있다.
홈 강모 부재(18)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홈 강모 부재(18)들은 강모 지지 부재(60)의 하나의 전면(62)에, 특히 상부 전면(6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는 것은, 홈 강모 부재(18)가 이런 전면(62)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홈 강모 부재(18)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분명한 것은, 중심 대칭축(19)과 관련해서 반경 방향으로 홈 강모 부재(18)가 외부로 향해서 강모 지지 부재(60)와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특히, 홈 강모 부재(18)의 적어도 일부분은 반경 방향 외부로 향해서 휘어져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세그먼트들이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의 외부 테두리에서 바깥쪽으로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다.
또한,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들의 단부들은 상기의 전면(62)에서 끝나고, 특히 그 곳에 부착되어 있다. 강모 지지 부재(60)와 홈 강모 부재(18)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 강모 부재의 폭은 상기 전면(62)에 걸친 홈 강모 부재의 높이(H)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H)는 중심 대칭축(19)을 따라서 또는 그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홈 강모 부재(18)의 폭(B)은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의 제1 단부로부터 추가 단부까지의 원주를 따른 치수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장치(10)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홈 강모 부재(18)는 그것의 전면(62)에 강모 지지 부재(60)의 전체 원주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일 홈 강모 부재(18)의 원호형 루트가 도시되고, 여기서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들은 각각 내부 용적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도 3b에서 분명한 것은, 적어도 홈 강모 부재(18)의 일부분 또는 한 부분 세그먼트가 중공 원통형 강모 지지 부재(60)와 관련해서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서 휘어져 있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다는 것이다.
도 4a는 또 추가 실시예에서의 강모 부재(15b)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강모 부재(15b)는 컵 모양 부재(11)의 바닥면(14)에 배치될 수 있는 강모 부재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강모 부재는 또한, 홈 강모 부재(18), 특히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일 수 있다. 상기 화살표(25)를 통해서 바닥면(14)과 세척할 표면, 예를 들어 스프레이(9)의 하부면 사이의 상대적 운동의 이동 방향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강모 부재(15b)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시되는 것은, 상기 강모 부재(15b)의 제1 단부뿐만 아니라, 강모 부재(15b)의 다른 단부도 모두 바닥면(14)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것은, 강모 부재(15b)가 자유로운 단부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해서 도시되는 것은, 상기 강모 부재(15b)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14)으로부터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13)(도 2 참조) 안으로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4a에 도시된 강모 부재(15b)는, 만약 바닥면(14)과 스프레이(9) 사이의 상대 운동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면, 발생되는 각각의 다른 상태들로 도시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강모 부재(15b)의 변형은 더 작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 5는 컵 모양 부재(11)의 지지 부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지지 부재(26)는 컵 모양 세그먼트(27)를 갖거나 또는 이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중심 대칭축은 컵 모양 부재(11)의 대칭 중심축(19)(도 2 참조)과 동심이 될 수 있다.
컵 모양 세그먼트(27)는 바닥부(28)와 외측부(29)를 포함한다.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내부 용적으로 향하는 바닥부(28)의 바닥면(30)에 원통형의 연결 탭(31)들이 배치되는데, 이 연결 탭들은 바닥면(30)으로부터 멀리 내부 용적 내로 연장된다. 명료함을 위해서 단지 하나의 연결 탭(31)만이 참조 번호로 제공된다. 이어서 도시되는 것은, 컵 모양 세그먼트(27)의(상부 전면은), 특히 외측부(29)의 상부 전면은 오목부(32,33)들을 갖는데, 여기서 상기 상부의 전면은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컵 테두리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런 오목부(32, 33)들은 서로 이격된 외측부(29)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로써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오목부들(32, 33) 사이에 돌출 세그먼트들이 상기 외측부(29)의 상단 전면에 형성된다. 오목부(32)들은 여기서 소위 연결 오목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은 삽입 부재측 연결 탭(34)을 수용하는데 쓰인다(도 7 참조). 이들 오목부(32)들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2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중심 대칭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반경 방향을 따라서, 연결 오목부(32)의 전방에 가이드 레일(35)이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35)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을 향해 배향된 측면 및 연결 오목부(32)에 인접한 돌출 세그먼트들의 측면들은 앞에서 설명된 삽입 부재측 연결 탭(34)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 용적을 제한한다. 상기 수용 용적은 특히 반경 방향을 따라서 폭이 증가하는 부분적 피라미드형일 수 있다.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다른 오목부(33)들은 유출 오목부(33)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은 화살표(20)를 통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 특히 폐수가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도 5는 연결 오목부(27)와 유출 오목부(33)가 서로 다른 치수, 특히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장치(10), 특히 지지 부재(26)는 2개의 배출 홈통(3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런 홈통(36)들은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 홈통(36)들은 여기에서 이것의 외부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외부 외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흡수 및 제거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유출홈통(36)들이 기울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경사로 인해서 배출 홈통(36)에 위치한 물은 배출 홈통(36)의 제1 단부 또는 다른 단부 중 어느 한쪽으로 안내되고, 각각의 단부에서 관통구(37)들이 배치되는데, 이 관통구를 통해서 물이 배수구(36)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도시되는 것은, 상기 장치(10) 의 지지가 브루잉 그룹(1) 에서 가능하게 하는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외부 외측면에 캠(38)이 배치된다. 특히, 캠(38)은 브루잉 그룹(1)의 바요넷 폐쇄 방향의 일부인 브루잉 그룹(1)의 안내 홈과 상호 작용한다. 여기에서 도시되는 것은, 캠(38)의 하부 영역에는 배출 홈통(36)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배출 홈통(36)은 캠(38)이 배치되지 않은 세그먼트에서만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장치(10)의 수동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 부재(26)의 손잡이(39)가 더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전개된 상태의 삽입 부재(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삽입 부재(40)는 삽입 부재(40)의 하나의 바닥부(41) 및 8개의 외측부(42)를 포함한다는 것이 도시된다. 삽입 부재(40)의 바닥부(41)는 원형 테두리를 갖는다. 또한, 바닥부(41)는 원호형으로 구성된 슬릿형 플레이트(43)을 갖거나 또는 이들을 형성한다. 원호형 플레이트(43)는 여기에서 바닥부(41)의 바닥면(44)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려진다. 바닥면(14)에 배치된 강모 부재(15)를 형성하는 바아는 원호형 플레이트(43)의 슬릿 사이에 형성된다(도 2 참조).
도 6에서 도시되는 것은, 상기 슬릿이 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진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이 평면은 각각의 원호형 플레이트 중앙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방향 설정되어 있다. 경사각은 이경우 0°(초과) 내지 45°(이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부(42)들은 삽입 부재(40)의 바닥부(4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반경 방향은 바닥부(41)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향된다. 상기 외측부(42)들은 각각 2개의 가장자리 바아(45)를 포함하며, 가장자리 바아(45) 사이에는 또 다른 원호형의 슬릿형 플레이트(46)가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46)의 슬릿 사이에는 상기 내부 외측면(16)에 배치된 다른 강모 부재(17)들을 삽입 부재(40)의 컵 모양의 상태로 형성하는 바아들이 배치된다(도 2 참조). 또한, 이런 슬릿들은 원호형의 슬릿형 플레이트(46) 중앙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42)는 삽입 부재(40)의 바닥부(44)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화살표(47)를 통해서 암시하는 것은, 상기 삽입 부재가 도 6에 도시되어 전개된 상태로부터 컵 모양의 상태로 변경되는 방식으로 외측부들이 피봇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여기서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된 컵 모양의 상태이다. 또한, 도시되는 것은, 외측부(42)들의 원호형의 갈라진 플레이트(46)의 외부 전면에 반경 방향으로 다른 바아(48)가 자유로운 단부와 함께 배열되는 것인데, 이 바아들은 삽입 부재 (40) 의 컵 모양의 상태에서 강모 부재(18)들을 형성하고, 이런 강모 부재들은 부채꼴 부재(11)의(도 2 참조) 상부 전면에 배치된다.
도 7에서는 지지 부재(26) 및 컵 모양의 삽입 부재(4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또한, 삽입 부재(40)가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내부 용적 내에 컵 모양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화살표(54)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또한 삽입 부재(40)와 지지 부재(26)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홈 강모 부재(18)들이 도시된다.
도 8에서는 또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6) 및 삽입 부재(4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지지 부재(26)에 관해서는 도 7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40)가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를 갖지 않는 삽입 부재(40)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구별해서, 도 8에 도시된 삽입 부재(40)는 즉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 여기서 삽입 부재(40)의 외측부(42)의 단면으로부터 홈 강모 부재(18)가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부재(40)는 일체형 부품으로서,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홈 강모 부재(18)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의 제1 원호 단부는 삽입 부재(40)의 외측부(42)의 연결 탭(51)(도 6 참조)의 일부분 또는 가장자리 바아(45)에 고정된다.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의 또 다른 원호 단부는 다른 가장자리 바아(45)에 또는 이런 외측부(42)의 연결 탭(51)의 일부분에 부착된다.
또한, 분명해지는 것은,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서 휘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외부 원호 테두리 세그먼트를 갖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목부(64)들은 내부의 원호 가장자리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명료함을 위해서 하나의 오목부(64)만 도면부호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는 것은, 원호형 홈 강모 부재(18)의 중심 세그먼트는 중간바아(65)를 통해서 삽입 부재(40)의 외측부(42)의 외부의 전면과 함께 연결된다. 여기에서, 삽입 부재(40)는, 특히 즉 또한 외측부(42)들은 강모 지지 부재(60)를 형성한다.
중간바아(65)는 여기에서 컵 모양 상태로 삽입 부재(40)의 중심 종축에 대하여 내측으로 휘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바아(65)는 오목 곡률을 갖거나 또는 이것을 형성한다.
도 9는 도 2에서 유사한 실시예로 도시된 브루잉 그룹(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10), 특히 컵 모양 부재(11)로 형성된 강모 지지 부재(60)가 아래에서부터 브루잉 그룹(1)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루잉 그룹의 포타필터 홈(66)이 도시되어 있다. 삽입 상태에서, 장치(10)의 삽입 부재(40)의 외측부(42)는 브루잉 그룹(1)의 스프레이(9)의 외부벽과 접촉한다.
상기 홈 강모 부재(18)에 기인해서, 특히 그것의 배치 및 형성에 기인해서, 아래에서 브루잉 그룹(1) 안으로 상기 장치(10)의 삽입에 있어서 홈 강모 부재(18)의 상부 및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서 휘어지거나 또는 꺾인 테두리 세그먼트가 포타필터 홈(66)의 상부 경계벽에서 기계적으로 접촉된다. 계속적인 투입에서 홈 강모 부재는 이런 상부 경계벽을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삽입 부재(40)의 중심 대칭축(19)에 관련하여 컵 모양 상태로) 외부로 향해서 미끄러진다. 이런 이동은 설명된 곡률 또는 좌굴뿐만 아니라 오목하게 휘어진 중간 바아(65)에 의해서 야기되거나 또는 적어도 지지된다. 계속적인 도입 시에, 즉 상부로 향한 강모 지지 부재(60)의 계속적인 이동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테두리 세그먼트는 포타필터 홈(66)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의 경계벽에 도달하고, 계속적인 도입시에 그곳에서 아래를 향해 미끄러진다. 이어서 상기의 상부 테두리 세그먼트는 계속적인 도입 시 포타필터 홈(66)의 하단 경계벽에 도달하고, 이런 경계벽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내부를 향해서 미끄러진다. 이로써 분명한 것은, 홈 강모 부재(18)가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향해서 말린다는는 것이다.
만약 상기 장치(10)가 브루잉 그룹(1)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홈 강모 부재(18) 또는 상기 외측부(42)는 포타필터 홈(66)의 모든 경계벽에 놓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장치(1)가, 손잡이(39)의 작동에 의해서, 예를 들어, rm 중심 대칭축(19)으로 회전한다면, 홈 강모 부재(18)와 외측부(42)는 포타필터 홈(66)의 경계벽을 따라서 쓸어가고, 이로써 부착된 오염입자는, 특히 커피 잔류물은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장치(10)의 지지 부재(2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가이드 리브(55)는 지지 부재(26)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안내 리브(55)는 배출 홈통(36) 밖으로 개구(37)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력으로 인해, 유출수는 안내 리브(55)의 안내 선단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의 하부 안내 선단은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외부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컵 모양의 세그먼트(27)의 중심 종축 방향으로 진행하고 그리고 이러한 중심 종축에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에 경사진다. 따라서 설명된 접착력에 의해서 그리고 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서 물은 모양 세그먼트(27) 아래 중앙 부분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그 위치로부터, 특히 물받이 용기 또는 에스프레소 기계의 배출 장치에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지지 부재(26)의 컵 모양 세그먼트(27) 안으로 삽입 부재(40)를 넣거나 또는 삽입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삽입 부재(40)는 컵 모양 세그먼트(27)에 펼쳐진 상태로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삽입 부재(40)의 바닥부(41)는 관통구(49)가(도 6 참조) 지지 부재측 연결 탭(31)을 거쳐 끼워지는 방식으로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바닥부를 향하여 정렬되어 압박된다. 이와 같은 삽입에서, 상기 외측부(42)는 삽입 부재(40)의 바닥부(41)에 대해 피봇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탭(34)과 컵 모양을 형성한다. 이들 연결 탭(34)은 컵 모양 세그먼트(27)의 연결 오목부(32)에 도입된다. 그 결과, 삽입 부재(40)는 한편으로는 컵 모양의 상태로 설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부재(26)에 고정된다. 상기 장치(10)는 이제 사용할 준비 상태에 있다. 사용자는 핸들(39)을 조작하고 장치(10), 특히 아래로부터 포타필터(4)와 같은 컵 모양 부재(11)를 에스프레소 기계의 브루잉 그룹(1)으로 도입함으로써 상기 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6)의 캠(38)은 에스프레소 기계를 수동 지원하지 않고도 장치(10)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브루잉 그룹(1)에서 바요넷 연결부의 나선형 홈에 매달려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의 캠(38)은 브루잉 그룹(1)의 연결 탭의 나선 홈(26)에 걸릴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35)은 브루잉 그룹(1)의 스프레이(9)에 대해 부채형 부재(11)를 중심으로 하여, 브루잉 그룹(1)에서 컵 모양 부재(11)의 비뚤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레일(35)은 스프레이(9)의 외부 외측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에스프레소 기계의 물 펌프를 켜고 핸들(39)을 그의 중심 대칭축으로 조작함으로써 회전시킬 수 있고, 특히 교대로 회전하며, 특히 약 30°교대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삽입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강모 부재(15, 17, 18)는 세척될 브루잉 그룹(1)의 표면 위로 문질러서 거기에 부착된 커피 잔류물(7)이 방출되고 씻겨 나간다.
사용자는 흘러나오는 폐수를 관찰함으로써 세척 과정의 성공을 조절할 수 있다. 커피 잔류물(7)로 인해 어두운 색이 명확하게 보이는 초기 단계 후에 약 20초 내지 30초 후에 흐르는 물이 분명하게 나온다. 그런 다음 펌프를 끌 수 있다.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장치(10)는 브루잉 그룹(1)의 상응하는 회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용적(13)에 세제, 예를 들어, 정제 형태로 제공된 세제를 넣고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컵 모양의 부재(11)를 브루잉 그룹(1)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에 물이 컵 모양 부재(11)의 가장자리를 통과할 때까지 물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그 후, 물 펌프를 끄고 물과 세제의 혼합물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할 수 있다. 확산에 의해, 세제는 브루잉 그룹(1)의 스프레이(9)로 분배되고, 그곳에서 지방, 예를 들어 커피 지방과 커피기름을 녹인다. 이들은 특히 스프레이(9)의 내부면 및 부분적으로 물-안내 유로(6)에 침착되고, 따라서 강모 부재(15, 17, 18)에 도달할 수 없다. 상기 장치(10)는 유리한 방식으로 이러한 세척에 있어서 다음을 가능하게 하는데, 즉 용해된 세제가 과압에 의해서가 아니라, 아주 멀리 물-안내 유로(6) 및 에스프레소 기계의 배수 유로와 상기 브루잉 그룹(1)의 상응하는 밸브에까지 도달함으로써 그러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거기에서 세제는 저 마찰 및 저 마모 작동에 필요할 수 있는 그리스를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의 오목부(33)로 인해서,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용적(13)으로 물이 흐를 때 과도한 압력이 축적될 수 없으므로 언급된 문제점이 방지된다.
도 11은 또 추가 실시예에서 컵 모양 부재(11)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외측면에 배치된 강모 부재(15)는 와이퍼 부재(57)로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와이퍼 부재(57)는 내부에 있는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용적(13)으로 반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각각 연장되는 두개의 레그(58)를 갖는다. 자유로운 단부들에서 레그(58)들은 각각 와이퍼 노즈(59)를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유로운 단부로 향한 레그(58)의 통통함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와이퍼 노즈의 첨두는 브루잉 그룹(1)의 내부 용적(13)에 배치된 스프레이(9)의 외측면(21)을 접촉할 수 있다. 와이퍼 부재(57), 특히 레그(58)는 탄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와이퍼 노즈(59)의 첨두가 내부 용적(13)에 배치된 스프레이(9)의 외측면(21)을 접촉한다면, 그러면 레그(58)는 레그(58)의 휘어짐에 의해 생성된 탄성력에 기인해서 외측면(21)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컵 모양 부재(11)의 회전에 의해서 레그(58)의 와이퍼 노즈(59)는 상기 외측면을 따라서 벗겨내고, 그렇게 커피 잔류물(7)을 분리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1에는 왼쪽 절반이 내부 용적(13) 안에 배치된 스프레이(9)를 배제한 단면을 도시하는데, 반면에 우측 절반은 내부 용적(13)에 배치된 스프레이(9)를 포함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에는 와이퍼 부재(57)가 컵 모양 부재(11)의 바닥면(14)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지 않는다(도 2 참조).

Claims (34)

  1.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10)로서,
    장치(10)가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컵 모양 부재(11)를 포함하며,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바닥면(14) 상에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가 배열되고,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내부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추가 강모 부재(17)가 배열되고,
    상기 컵 모양 부재(11)가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40) 및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26)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부재(40)는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를 갖거나 형성하며, 상기 삽입 부재(40)가 상기 지지 부재(26) 내에 또는 상기 지지 부재(26) 상에 또는 상기 지지 부재(26)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삽입 부재(40)가 하나 이상의 바닥부(41) 및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41)는 바닥면(14)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를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는 상기 내부 외측면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7)를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전면(front surface)에 하나 이상의 추가 강모 부재(18)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부재(15, 15b, 17)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모 부재(15, 15b, 17)의 제1 단부뿐만 아니라 상기 강모 부재(15b)의 추가 단부가 내부 외측면 또는 바닥면(14)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부재(15, 15b, 17)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또는 섬유 형상으로 또는 와이퍼 부재(57)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부재들이 슬롯이 형성된 플레이트(43, 46)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가 상기 바닥부(41)에 피봇팅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1) 및/또는 외측부(42)가 상기 지지 부재(26)와 삽입 부재(40)의 기계적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을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40)가 2개 이상의 외측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40)의 컵 모양의 상태에서 지지 부재 측 오목부(32) 내에 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 측 연결 탭(34) 및/또는 지지 부재 측 연결 탭(35)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 측 오목부(52, 53)가 형성되도록, 외측부(42)의 테두리 단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1)가 고정 부재 측 연결 탭(31)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49)를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전면이 컵 모양의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32, 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가 컵 모양 부재의 내부 용적(13)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이드 수단을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모양 부재(11)가 외부 외측면(21)에 하나 이상의 배수 홈통(36)을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 하나 이상의 깔때기 모양의 부재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55)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가 상기 장치를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에 또는 추출 그룹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18.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0)가 상기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장치(10)는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10)의 컵 모양 부재(11)의 중심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19.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10)가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환형의 또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강모 지지 부재 (60) 를 포함하며,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전면 또는 외측면에 포타필터 홈(66)을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가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강모 지지 부재가 컵 모양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바닥면(14) 상에 스프레이의 하부 전면을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내부 외측면에 스프레이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강모 부재(17)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강모 지지 부재(60) 또는 상기 컵 모양 부재(11)가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40) 및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26)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부재(40)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 및/또는 강모 부재(15, 17)를 갖거나 형성하며, 상기 삽입 부재(40)가 상기 지지 부재(26) 내에, 상기 지지 부재(26) 상에 또는 상기 지지 부재(26)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삽입 부재(40)가 하나 이상의 바닥부(41) 및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41)는 상기 바닥면(14)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는 내부 외측면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7)를 그리고/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를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0.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10)가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환형의 또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강모 지지 부재 (60) 를 포함하며, 상기 강모 지지 부재의 전면 또는 외측면에 포타필터 홈(66)을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가 전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이 오목하게 구부러져 있고,
    상기 강모 지지 부재(60) 가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40) 및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26)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부재(40)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 및/또는 강모 부재(15, 17)를 갖거나 형성하며, 상기 삽입 부재(40)가 상기 지지 부재(26) 내에, 상기 지지 부재(26) 상에 또는 상기 지지 부재(26)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삽입 부재(40)가 하나 이상의 바닥부(41) 및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41)는 상기 강모 지지 부재(60)의 바닥면(14)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는 상기 강모 지지 부재(60)의 내부 외측면의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7)를 그리고/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부(42)는 하나 이상의 홈 강모 부재(18)를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폭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높이의 50%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홈 강모 부재(18)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원호 형상의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중심 섹션이 하나 이상의 중앙 웹을 통해 강모 지지 부재(6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홈 강모 부재(18)의 에지 섹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거나 꺾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 지지 부재가 컵 모양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모양 부재(11)의 바닥면(14) 상에 스프레이의 하부 전면을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강모 부재(15)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6. 삭제
  27. 제19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강모 부재(15, 15b, 17)가 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강모 부재(15, 15b, 17)의 제1 단부뿐만 아니라 상기 강모 부재(15b)의 추가 단부까지도 내부 외측면과 연결되어 있거나 바닥면(14)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8.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강모 부재(15, 15b, 17, 18)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또는 섬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29. 삭제
  30. 삭제
  3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1) 및/또는 외측부(42)가 지지 부재(26)와 삽입 부재(40)를 기계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을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40)가 2개 이상의 외측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40)의 컵 모양의 상태에서 지지 부재 측 오목부(32) 내에 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 측 연결 탭(34) 및/또는 지지 부재 측 연결 탭(35)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부재 측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외측부(42)의 테두리 단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3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가 상기 장치를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에 또는 추출 그룹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34.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9항 또는 제20항에 따른 장치(10)가 상기 에스프레소 기계의 추출 그룹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장치(10)는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10)의 강모 지지 부재(60)의 중심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16422A 2015-12-10 2016-12-09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49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4861.5A DE102015224861B4 (de) 2015-12-10 2015-12-1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spressomaschinen
DE102015224861.5 2015-12-10
DE102016211375.5A DE102016211375B4 (de) 2015-12-10 2016-06-2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spressomaschinen
DE102016211375.5 2016-06-24
PCT/EP2016/080457 WO2017097988A1 (de) 2015-12-10 2016-12-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espresso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813A KR20180090813A (ko) 2018-08-13
KR102049683B1 true KR102049683B1 (ko) 2019-11-28

Family

ID=5877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422A KR102049683B1 (ko) 2015-12-10 2016-12-09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38875B2 (ko)
EP (1) EP3386356B1 (ko)
KR (1) KR102049683B1 (ko)
CN (1) CN209421736U (ko)
AU (1) AU2016368528B2 (ko)
DE (1) DE102015224861B4 (ko)
ES (1) ES2822935T3 (ko)
WO (1) WO2017097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167B1 (ko) * 2018-09-20 2020-06-08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세정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USD945778S1 (en) * 2018-10-31 2022-03-15 Alexander Senger Cleaning device for espresso machines
DE202021100645U1 (de) 2021-02-09 2022-05-11 Thomas Grote Abstreifelement und Gegenstand mit einem Abstreifelement, sowie Verwendung eines Abstreifel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416A (ja) 2000-11-13 2002-05-24 Matsushita Refrig Co Ltd カップ洗浄機能を有した飲料サーバ
US20050210611A1 (en) 2003-10-21 2005-09-29 Pelo Jeffrey M Espresso machine cleaning tool
JP2010512870A (ja) 2006-12-19 2010-04-30 サエコ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食器洗い機における洗浄に適したコーヒーを作る浸出ユニット
WO2014053181A1 (en) * 2012-10-04 2014-04-10 Ecolab Inc. A cleaning sheet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coffe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82A (en) * 1893-01-31 Apparatus for polishing the caps of bottles
US2671745A (en) * 1947-08-01 1954-03-09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Method of making looped glass fiber mats and laminates
US3824913A (en) * 1973-04-16 1974-07-23 Coffee Mat Corp Apparatus for cleaning brew head screen
US4301567A (en) * 1980-05-23 1981-11-24 Tucker Walter R Rotary terminal cleaner
US4733423A (en) * 1986-09-05 1988-03-29 Gregory Blatt Pop top can brush
US4813091A (en) * 1987-07-09 1989-03-21 Glasener Kenneth A Can cleaner device
US4763380A (en) * 1987-09-16 1988-08-16 Sandvick Warren J Can cleaning device
IT1235949B (it) 1989-12-06 1992-12-09 Marco Comellini Apparecchio elettrico per pulire la sede d'impostazione del mezzo portante la dose di caffe'nelle macchine espresso
FR2671745A1 (fr) * 1991-01-17 1992-07-24 Chainard Daniel Dispositif de desoxydation mecanique d'un plot du type d'une borne de batterie d'accumulateurs.
US5379474A (en) * 1991-12-16 1995-01-10 Gs Food Corporation Fingertip washer
JP2678734B2 (ja) * 1993-08-06 1997-11-17 株式会社ユニマット 洗浄機構を備えた飲料供給装置
US20040226576A1 (en) * 2003-05-12 2004-11-18 Martin Hambalek In-situ landing light cleaning apparatus
US8216385B2 (en) * 2004-04-16 2012-07-10 Urnex Brands, Inc.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grinding machine
DE102008029366A1 (de) * 2008-06-20 2009-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tränkeautomat
WO2011163124A1 (en) * 2010-06-23 2011-12-29 Medical Components, Inc. Cleaner for medical device
KR20120003172A (ko) 2010-07-02 2012-01-10 문근환 모듈 적층방식의 건축물 코어부 시공방법
KR101143470B1 (ko) 2010-07-02 2012-05-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정류 회로
KR200471007Y1 (ko) * 2012-03-23 2014-01-23 김정순 커피 머신기 청소용 솔
KR200469938Y1 (ko) 2012-03-23 2013-11-14 김정순 커피 머신기 청소용 솔
DE202013104522U1 (de) 2013-10-07 2013-10-25 Hach Lange Gmbh Manuelle Messsonden-Reinig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416A (ja) 2000-11-13 2002-05-24 Matsushita Refrig Co Ltd カップ洗浄機能を有した飲料サーバ
US20050210611A1 (en) 2003-10-21 2005-09-29 Pelo Jeffrey M Espresso machine cleaning tool
JP2010512870A (ja) 2006-12-19 2010-04-30 サエコ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食器洗い機における洗浄に適したコーヒーを作る浸出ユニット
WO2014053181A1 (en) * 2012-10-04 2014-04-10 Ecolab Inc. A cleaning sheet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22935T3 (es) 2021-05-05
DE102015224861B4 (de) 2018-09-13
CN209421736U (zh) 2019-09-24
AU2016368528B2 (en) 2021-10-21
KR20180090813A (ko) 2018-08-13
DE102015224861A1 (de) 2017-06-14
WO2017097988A1 (de) 2017-06-15
WO2017097988A8 (de) 2017-09-14
EP3386356B1 (de) 2020-07-08
EP3386356A1 (de) 2018-10-17
US10638875B2 (en) 2020-05-05
US20190335945A1 (en) 2019-11-07
AU2016368528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683B1 (ko) 에스프레소 기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84455B1 (ko) 용기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20150218786A1 (en) Sink insert with cleaning surface
RU2570775C2 (ru) Венчик для кухонного электро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JP2007502641A (ja) 調合槽及び水流出口を有する飲料作成装置
CN107850315B (zh) 烹饪室的清洁
EP2642909A2 (en) Dishwasher
JP2004516912A (ja) 手持形洗い具
KR101735449B1 (ko) 컵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세척조
RU24964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бивания молока,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купоривания препятствия потоку воздуха остатком молока
EP2775826B1 (en) Trough
WO2005016092A1 (en) A beverage making device having protrusions at the upper wall of the brewing chamber
JP2007530841A (ja) 水洗便所の清掃装置
US20130043360A1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AU2018454278A1 (en) Dishwasher with detergent dispenser
US20100005604A1 (en) Device for cleaning brushes
CN210748983U (zh) 一种可沥水的马桶刷座
US20120186610A1 (en) Cleaning Device for a Portioning Utensil
JP2011011133A (ja) 洗浄装置
EP2767198A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DE202015009028U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Espressomaschinen
JP4020823B2 (ja) 洗米機
KR200384958Y1 (ko) 디스크 형 구근 세척 탈피장치
EP3826860B1 (en) Scraping device for paint brush or roller
WO2006079344A1 (en) Drip-proof pour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