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074B1 -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074B1
KR102048074B1 KR1020180133456A KR20180133456A KR102048074B1 KR 102048074 B1 KR102048074 B1 KR 102048074B1 KR 1020180133456 A KR1020180133456 A KR 1020180133456A KR 20180133456 A KR20180133456 A KR 20180133456A KR 102048074 B1 KR102048074 B1 KR 10204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켐
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켐, 정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켐
Priority to KR102018013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3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terephthalic acid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원은,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POLYMER COMPOSITION FOR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RECYCLED PET}
본원은,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의 필수 성분인 폴리올은 통상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며, 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가장 보편화된 폴리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제조하고자 하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크고 관능기 수(functionality)가 낮은 폴리올은 연질(soft) 우레탄 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분자량이 작고 관능기 수가 높은 폴리올은 경질(rigid) 우레탄 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사용되는 폴리올의 분자량은 대략 1,000 보다 크다. 경질 폴리우레탄 폼에 사용되는 폴리올의 분자량은 대략 200 내지 4,000 수준이며, 강성율(modulus of elasticity)이 약 100,000 psi 이상(23℃), 2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 10%를 초과하지 않는 신장율 등의 특성을 갖는다.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특히 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해당 적용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물성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 중 건축 내·외장재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난연성, 치수안정성, 성형성, 단열성 및 친환경성 등이 요구된다.
한편, 석유자원 고갈의 가속화,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원료가격의 상승, 재생 가능한 원료에 대한 필요성 증가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우레탄 분야에서는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의 재생 또는 환경 친화적인 성분으로 폴리올을 대체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일 례로서, 천연오일로부터 제조된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폼이 석유계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에 필적하는 특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바이오 폴리올은 낮은 반응성 등으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 시 셀의 성장을 방해하는 미반응된 천연오일에 의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어 건축 내·외장재용 단열재 폼의 원료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바이오 폴리올은 천연오일의 특성상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성이 높고, 관능기 수가 충분히 높지 않으면서 점도가 높은 경우가 많아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 과정 중 반응성, 취급성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을 재생하거나 환경 친화적인 성분을 사용하는 종래의 폴리올을 대체하는 신규의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772523 B1 KR 1020170002955 A
본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시켜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시켜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산(acid) 화합물, 식물성 기름 및 알코올을 혼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은,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를 제공하므로, 버려진 페트병 또는 페트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단열재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단열재는, 종래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단열재에 비해 발포 밀도가 낮고 압축 강도가 높으며, 피착재와의 접착력이 향상된 효과 및 한국 난연 규격 기준으로 열방출 시험 및 가스 유해성 검사에서 난연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은, 특히 탄산 칼슘 등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발포 밀도, 압축 강도 , 피착재와의 접착력 및 난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폴리올"은 평균 1.0보다 큰 분자 당 히드록시기를 갖는 유기 분자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폴리우레탄 폼"은 디(di-) 또는 다가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수소-함유 화합물(폴리올, 아미노알코올 및/또는 폴리아민)과 발포제(blowing agent)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셀 구조의(cellular) 발포 생성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수산기 값(hydroxyl number)"은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반응성 히드록시기의 량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폴리올 1g으로부터 얻어진 아세틸 화합물에 결합된 초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mg 수를 의미한다 (단위: ㎎ KOH/g).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NCO%"는 이소시아네이트 샘플에 함유되어 있는 NCO의 중량%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산가(acid number)"는 폴리올 샘플 1g에 존재하는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 수를 의미한다(단위: ㎎ KOH/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시켜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은,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를 제공하므로, 버려진 페트병 또는 페트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단열재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단열재는, 종래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단열재에 비해 발포 밀도가 낮고 압축 강도가 높으며, 피착재와의 접착력이 향상된 효과 및 한국 난연 규격 기준으로 열방출 시험 및 가스 유해성 검사에서 난연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충진제(filler)로서 탄산칼슘, 황산바륨, 염화칼슘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은, 특히 상기 탄산 칼슘 등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발포 밀도, 압축 강도, 피착재와의 접착력 및 난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4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충진제는 입자 사이즈가 10 nm 이하의 미세 분말을 사용하여 최종 폴리올 제품에 분산성이 좋도록 하였으며, 최소 1년 이상 장기 보관시에도 층분리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의 입자 사이즈를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는 100 : 100 내지 100 :250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폴리올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압축 강도가 떨어지고 난연성에 있어서 불리하고,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너무 높으면 제품 성형 중 흐름성이 나쁘고 기공(Void)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 발생의 요인이 되며 표면 깨짐성(friability) 문제로 피착재와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KOH/g의 수산화기 값이 100 mg 내지 500 mg이며, 점도(25℃)가 50 cps 내지 50,000 cps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헥사하이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헥사하이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화 MDI, 또는 HMDI),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페닐-폴리메틸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crude MDI), 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m-이소시아네이토페닐 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p-이소시아네이토페닐 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과염소화 아릴폴리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알로파네이트-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뷰렛-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약 1.5 내지 3.5의 관능기 수, 약 15 내지 30의 NCO%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건축용 단열재로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약 2.6 내지 3.0, 구체적으로 약 2.7 정도의 관능기 수인 것일 수 있으며, 약 15 내지 30 범위의 NCO%값, 구체적으로 약 23 내지 27의 NCO% 값을 갖는 MDI, 폴리머릭 MDI 또는 crude MDI(p-MDI, 전형적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Mw): 약 350 내지 420)일 수 있다. 상기 p-MDI는 전형적으로 상온에서 갈색 액상을 띄며, 점도 범위(25℃)는 약 100 내지 3,000 cps, 구체적으로 약 100 내지 300 cps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은 경화 시간 등을 단축하기 위하여 우레탄 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2급 또는 3급 아민 화합물 등과 같은 아민계 촉매, 유기 금속과 같은 금속 촉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촉매로서, 트리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헥사데실디메틸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3-메톡시-N-디메틸-프로필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N-코코모르폴린, N,N-디에틸-3-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민, 트리스(3-디메틸아미노) 프로필헥사히드로트리아민, N-메틸몰포린, N-에틸몰포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N,N,N',N'-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N,N,N',N'-테트라에틸헥사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및 트리에틸렌디아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은 상품명 Polyact8,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는 상품명 Polyact5, 및 트리에틸렌디아민의 경우는 상품명 TEDA-33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촉매로, 포타슘옥테이트(potassium octoate), 포타슘아세테이트(potassium acetate), 비스무스계 겔 촉매(bismuth-based gel catalyst) 및 주석계 촉매(tin type catalys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촉매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약 0.1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상적으로, 촉매는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반응 속도가 증가되나,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에는 추후 단열재 공간을 채우기 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가 고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으므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발포제를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제는 우레탄 반응 중 기포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우레탄 반응에는 참여하지 않고 반응열에 의하여 기화(승화)되어 기포를 형성하는 물리적 발포제 및 화학적 발포제인 물(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킴)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상기 2가지 타입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반응열에 의해 발포제가 기화(승화)되며, 이로 인한 가스는 폼의 둘러싸인 셀에 의하여 쌓여짐으로써 제조되는 폼이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발포제는 폴리우레탄 폼의 요구 특성(밀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발포제로서, 탄화수소계인 C-pentane, 수소화염화불화탄소계인 HCFC-141b(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하이드로불화탄소(HFC)계인 HFC-245fa(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HFC-365mfc, 혼합 HFC-365mfc/227ea, 상품명이 COMATE 인 메틸포르메이트(Methylform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CFC계 발포제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친환경적 성분인 C-Pentane, HFC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리적 발포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5 내지 3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학적 발포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2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부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 내의 셀 구조에 영향을 주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반응 원료의 혼합 안정화, 균일한 기포 형성, 기포의 안정화 등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셀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표면 탄성을 증가시켜 셀 파괴가 일어나기 전에 임계적으로 확장하는 막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리고 셀 구조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표면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발포 폴리우레탄 내의 셀 구조를 고려하여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정포제가 있고, 예를 들면, Evonik 사의 제품명 B-8404, B-8462 등이 있다. 특히,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5.0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3.0 중량부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본원은 사슬 연장제, 난연제, 착색제, 필러, 내부 이형제, 대전 방지제, 항균제, 셀 조절제 및 반응억제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사슬 연장제로서, 저분자량의 다가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글리세린 등), 저분자량의 아민폴리올(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폴리아민(에틸렌디아민, 자일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최종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필요시 요구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계 난연제(TCPP, TCEP, Phosphorus ester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단열재는 한국 난연 기준으로 열방출시험 4 MJ/m2 이하이고, 가스유해성 시험의 행동 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산(acid) 화합물, 식물성 기름 및 알코올을 혼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의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의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공히 적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 내지 50 중량부, 상기 산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식물성 기름 2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알코올 1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 실시예 ]
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주입 장치가 포함된 4구 플라스크에 하기 표 1과 같이 PET 종류 및 양을 달리하여, 재활용 PET, 산 화합물, 재활용 식물성 기름, 알코올 및 촉매를 정확히 계량하여 넣고 서서히 승온하였다. 상기 산 화합물로서 무수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하였다. 질소 분위기에서 약 150 ℃ 내지 200 ℃ 범위에서 고체상의 원료들이 반응을 하며 서서히 액상 화합물로 변하였다. 이후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일부 반응 중 생성된 수분을 분별 증류관을 통하여 배출하였다.
온도 범위 약 200 ℃ 내지 250 ℃에서 약 10 시간 이상 반응시켜 더 이상 수분이 발생하지 않을 때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잔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산가(Acid Value, AV)을 분석하여 1.5 % 이하일 때 반응을 종결하고 온도를 낮추었으며, 이후 생성물을 여과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상기 반응에서 재활용 PET는 알코올과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부산물로서 메틸렌글리콜(Methyleneglycol, MEG)을 생성하며, 메틸렌글리콜은 알코올과 함께 무수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아디프산과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생성하고, 반응 중 생성된 소량은 물(H2O)은 배출된다. 따라서, 재활용 PET를 사용하는 본원은, 부산물인 메틸렌글리콜을 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폼 제조 원료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소량의 물(H2O)이 생성되므로, 물(폐수)로 인한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 환경 오염 및 원가 상승을 야기하는 종래 제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재활용 식물성 기름은 에스테르 글리세린 화합물로서, 알코올과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며, 이때 생성된 글리세린은 상기 재활용 PET와의 에스테르화 반응의 알코올로 참여 및 산 화합물과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거나 최종 생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잔류하여 우레탄 폼 형성 반응 시 가교 결합을 생성한다.
상기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수산기값(OHV), 점도 및 수분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을 종래의 난연급의 건축 단열재용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트 폴리올 (비교예 1)과 비교 분석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08808413-pat00001
상기 표 1을 살펴볼 ?, 재활용 PET 를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제조 수율이 높아 제조의 효율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기물 충진제가 포함된 재활용 Nuri PET은 무기물 충진제의 함량이 PET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인 것으로, 재활용 Nuri PET를 사용한 실시예 3은 Nuri PET에 포함된 무기 충진제가 아주 미세한 나노 입자로 구성되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비교예 1에 비해 외관이 불투명 하지만 장기간 보관에도 무기 충진제에 의한 층분리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점도 역시 비교예 1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폴리우레탄 폼 제조 사용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2.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이용하여 하기 표 2 및 표 3의 조건으로 발포 및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는 EVONIK 사의 B-8462을, 촉매는 K15/PC5/TRC을, 발포제로서 H2O/HCFC 141b을 사용하였으며, 난연제는 TCPP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하기 Resin은 폴리올을 포함하여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 주제를 의미한다.
Figure 112018108808413-pat00002
Figure 112018108808413-pat00003
상기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비교예 2 및 실시예 4 내지 7의 반응성, 자유밀도, 접착력, 압축 강도 및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반응성의 측정에서, CT(Cream Time)는 반응이 개시되어 육안 관찰로써 발포 폼이 시작하는 시점, GT(Gel Time)는 반응 중 가교반응이 개시되는 시점으로서, 나무 막대를 이용하여 발포 반응시 실(Fiber)이 이끌려 나오는 시간, 및 TFT(Tacky-free Time)은 발포 표면을 터치하였을 때 더 이상 발포 표면이 묻어 나오지 않는 시간을 측정한다. 접착력은 portable type의 Push-full 접착 테스터기를 사용하여 피착재와 우레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피착재는 0.3 mm 두께의 아연도 강판을 사용하였다. 난연성 측정 중 열방출 시험 및 가스 유해성 시험은 각각 한국 규격 KS F ISO 5660-1:2008, KS F7721:2006 규격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각 규격의 기준은 준불연급에 근거하여 열방출 시험은 4 MJ/m2, 가스유해성은 행정 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112018108808413-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와 같이, 재활용 PET 폴리올인 실시예 4 내지 7은 종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 제조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제품 성형시 발포 밀도가 낮고 압축 강도가 높으며 피착재와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uri PET를 사용한 실시예 6 및 7은 압축강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국 난연 규격 기준으로 열방출 시험 및 가스 유해성 시험을 통하여, 재활용 PET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7은 열방출 시험에서 4 MJ/m2 미만의 총방출열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스유해성 검사에서 행동 정지 시간 9분 이상을 기록하여 비교예 2에 비하여 난연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Nuri PET 을 사용한 실시예 6 및 7은 무기 충진제를 함유하여 비교예 2, 실시예 4 및 5에 비해 난연 효과가 탁월하였으므로 준불연급의 난연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재활용 PET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7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수율이 높으므로 제조 효율이 우수하고, 폐기물 처리에 따른 비용 감소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환경 오염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시켜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충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는 3 : 7 내지 7: 3이고,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충진제는 입자 사이즈가 10 nm 이하인 것인,
    단열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filler)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염화칼슘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단열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는 100 : 100 내지 100 : 250인 것인, 단열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KOH/g의 수산화기 값이 100 mg 내지 500 mg이며, 점도(25 ℃)가 50 cps내지 50,000 cps인 것인, 단열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부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헥사하이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헥사하이드로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화 MDI, 또는 HMDI), 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페닐-폴리메틸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crude MDI), 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m-이소시아네이토페닐 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p-이소시아네이토페닐 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 과염소화 아릴폴리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알로파네이트-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개질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뷰렛-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단열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한국 난연 규격에서 준불연급의 규격으로 열방출시험 4 MJ/m2 이하이고, 가스유해성 시험의 행동 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인 것인, 단열재.
  1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산(acid) 화합물, 식물성 기름 및 알코올을 혼합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충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재활용 페트병 또는 재활용 페트 필름으로부터 수득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는 3 : 7 내지 7: 3이고,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충진제는 입자 사이즈가 10 nm 이하인 것인,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염화칼슘 및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는 100 : 100 내지 100 : 250인 것인,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의 제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산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식물성 기름 2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알코올 1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1020180133456A 2018-11-02 2018-11-02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KR10204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56A KR102048074B1 (ko) 2018-11-02 2018-11-02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56A KR102048074B1 (ko) 2018-11-02 2018-11-02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074B1 true KR102048074B1 (ko) 2019-11-22

Family

ID=6873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456A KR102048074B1 (ko) 2018-11-02 2018-11-02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0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2251A (zh) * 2023-06-20 2023-08-22 福建技术师范学院 一种聚氨酯胶粘剂/废渣塑料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2620840B1 (ko) * 2023-03-17 2024-01-04 정대영 재활용 pet 및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38311B1 (ko) * 2022-11-23 2024-02-19 주식회사 에코인슈텍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766A (ja) * 1998-12-25 2000-07-1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テレフタル酸系ポリエステルポリオ―ルの製造方法
KR20060032121A (ko) * 2004-10-11 2006-04-14 김도균 폴리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폼
JP2008214623A (ja) * 2007-02-09 2008-09-18 Asahi Glass Co Ltd 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並びに該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断熱材
KR20170002955A (ko) 2015-06-30 2017-01-09 강남화성 (주) 단열재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2523B1 (ko) 2011-03-02 2017-08-31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바이오 폴리올을 함유하는 건축 단열재용 경질 폴리우레탄 폼
KR20170110625A (ko) * 2015-01-30 2017-10-11 레지네이트 머티리얼스 그룹, 아이엔씨. Pet 및 ptt의 재생 스트림 처리를 위한 통합 공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766A (ja) * 1998-12-25 2000-07-11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テレフタル酸系ポリエステルポリオ―ルの製造方法
KR20060032121A (ko) * 2004-10-11 2006-04-14 김도균 폴리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폼
KR101168766B1 (ko) * 2004-10-11 2012-07-26 김효성 폴리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폼
JP2008214623A (ja) * 2007-02-09 2008-09-18 Asahi Glass Co Ltd 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並びに該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ポリオール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断熱材
KR101772523B1 (ko) 2011-03-02 2017-08-31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바이오 폴리올을 함유하는 건축 단열재용 경질 폴리우레탄 폼
KR20170110625A (ko) * 2015-01-30 2017-10-11 레지네이트 머티리얼스 그룹, 아이엔씨. Pet 및 ptt의 재생 스트림 처리를 위한 통합 공정
KR20170002955A (ko) 2015-06-30 2017-01-09 강남화성 (주) 단열재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11B1 (ko) * 2022-11-23 2024-02-19 주식회사 에코인슈텍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KR102620840B1 (ko) * 2023-03-17 2024-01-04 정대영 재활용 pet 및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6622251A (zh) * 2023-06-20 2023-08-22 福建技术师范学院 一种聚氨酯胶粘剂/废渣塑料复合材料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9871C2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панелей из полиизоцианурата пеноматериала
CA2599090C (en) Rigid polyurethane foams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U2012230372B2 (en) PU rigid foam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good thermal stability
EP3470446A1 (en) Rigid polyurethane foam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048074B1 (ko) 재활용 pet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JP2002536516A (ja) 微細気泡の水発泡硬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2008517115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22523800A (ja) Hcfo含有イソシアネート反応性組成物、関連するフォーム形成組成物、及びpur-pirフォーム
JP2022531217A (ja) パネル断熱材としての使用に適し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WO2019209794A1 (en) Rigid polyurethane foams suitable for use as panel insulation
JP2022524030A (ja) ポリオールブレンド及びpur-pirフォーム形成組成物の製造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EP256100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tschaumstoffen
US11970565B2 (en) HCFO-containing isocyanate-reactive compositions, related foam-forming compositions and flame retardant PUR-PIR foams
WO2020146442A1 (en) Hcfo-containing isocyanate-reactive compositions, related foam-forming compositions and polyurethane foams
JP2004285319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保冷材
BR112014004325B1 (pt) Emulsões e sua utilização na produção de espumas com base em isocianatos
WO2019096763A1 (en) Polyurethane foam composite panel
KR102048077B1 (ko)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단열재용 고분자 조성물
JP2008239725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170002955A (ko) 단열재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US6617368B2 (en) Isotropic rigid foams
CN109422862B (zh) 聚氨酯硬质泡沫体系及其应用
KR101645117B1 (ko) 경질 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521331A1 (en) Polyurethane foam composite panel
JP5263645B2 (ja) 水発泡の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