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28B1 -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28B1
KR102046528B1 KR1020160042078A KR20160042078A KR102046528B1 KR 102046528 B1 KR102046528 B1 KR 102046528B1 KR 1020160042078 A KR1020160042078 A KR 1020160042078A KR 20160042078 A KR20160042078 A KR 20160042078A KR 102046528 B1 KR102046528 B1 KR 10204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laser marking
acrylate oligomer
marking film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689A (ko
Inventor
조홍관
홍주희
조명현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4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점착층;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 및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며, 상기 유색 코팅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 코팅층은 표면에 요철 무늬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MULTILAYER LASER MARK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성이 우수하며, 이와 함께 높은 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품은 고유의 식별 기능을 위하여 라벨을 갖는다. 이러한 라벨은 물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고유 식별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이용되는 라벨은 예컨대, 타이어 압력 또는 연료 유형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예를 들어, 차대 번호 및 차량 식별 번호 등의 고유 보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도난 또는 사고의 경우, 이러한 라벨은 차량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종류로서, 레이저로 정보를 기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레이저는 고출력 광원으로서 기계 가공에 이용되기 용이하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7501호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바코드를 빠른 시간 내에 마킹할 수 있는 접착성 라벨 시트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0-120042호에는 내열성 베이스층 위에 레이저 광선에 의해 식각 패턴이 형성된 피마킹층을 갖는 내열성 표시 소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라벨은 레이저에 의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물성을 가져야 하고, 피착체에 대한 부착성도 뛰어나야 하며, 용도 및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물성들을 동시에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라벨의 물성을 제어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표면의 요철 무늬를 통해 그 자체로 미세하고 다양한 문자, 도안 등을 포함하고, 레이저 마팅을 통한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 평가 시에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실제 제품에 적용 시에는 위조 및 변조 시도에 대한 파쇄성을 나타내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를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층;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 및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며, 상기 유색 코팅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 코팅층은 표면에 요철 무늬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의 이형 필름 상부에 기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다른 하나의 이형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재 조성물을 경화하여 두 이형 필름 사이에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이 배치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일면에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 도포 및 건조된 상기 코팅 조성물에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무늬가 형성된 코팅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표면의 요철 무늬를 통해 그 자체로 미세하고 다양한 문자, 도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마팅을 통한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고, 물성 평가 시에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실제 제품에 적용 시에는 위조 및 변조 시도에 대한 파쇄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보안 성능을 구현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전술한 물성들을 동시에 나타내는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 마킹이 실시된 경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층;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 및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며, 상기 유색 코팅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 코팅층은 표면에 요철 무늬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은 점착층(10), 유색 기재층(20) 및 유색 코팅층(30)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10)의 바로 위에 유색 기재층(20)이 형성되고, 상기 유색 기재층(20)의 바로 위에 상기 유색 코팅층(30)이 형성된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은 상기 유색 코팅층(30)의 표면에 요철 무늬(X)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요철 무늬'란 레이저 마킹에 의해 생성된 식각 무늬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레이저 마킹 이전에 상기 유색 코팅층의 표면에 본질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은 상기 요철 무늬(X)를 통하여 다양한 문양의 배경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유색 코팅층(30) 표면에 요철 무늬(X)의 형태로 도안, 문자 및 로고를 기입하여 디자인 및 상품성 측면에서 다양한 가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레이저에 의해 식각되어 다양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필름이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저 마킹(laser marking)'이란 레이저에 의한 식각으로 필름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에 있어서, 레이저 마킹은 상기 유색 코팅층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레이저 마킹성을 갖는 것이고, 상기 '레이저 마킹성'이란 상기 유색 코팅층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식각되고, 식각된 부분이 제거되는 물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색 코팅층의 레이저 조사된 부분이 식각 및 제거됨으로써 상기 유색 기재층과 상호 작용하여 다양한 글자, 도안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상기 유색 기재층(20) 및 상기 유색 코팅층(30)은 모두 색상을 갖는 층으로서, '유색'의 의미는 상기 기재층 또는 코팅층이 투명하지 않고 흰색, 검은색, 파란색 등의 색상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 기재층(20)은 제1 색상을 갖고, 상기 유색 코팅층(30)은 제2 색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다.
이와 같이, 상기 유색 기재층 및 상기 유색 코팅층이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레이저 마킹에 의해 유색 코팅층을 식각하는 경우, 식각된 부분이 식각 깊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에 대하여 레이저 마킹이 실시된 경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를 참조할 때, 레이저 마킹을 통해 유색 코팅층(30)의 두께만큼 모두 식각한 경우에는 상기 유색 기재층(20)의 제1 색상만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할 때, 상기 유색 코팅층(30)의 두께 일부를 식각한 경우에는 상기 유색 기재층(20)의 제1 색상과 식각되지 않고 남아있는 유색 코팅층(30)의 제2 색상이 겹쳐서 나타나는 색상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이와 같이 레이저 마킹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문자 또는 도안을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자동차에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 압력 또는 연료 유형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차대 번호 및 차량 식별 번호 등의 고유 보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중요한 정보가 기입된 경우, 이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자기 파쇄성'을 가질 수 있다. '자기 파쇄성'이란,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피착체에 부착된 후에 이를 탈착 또는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 본래의 형체가 파쇄되어 재활용 될 수 없는 물성을 의미한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자기 파쇄성을 가짐으로써, 이에 기입된 고유 정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고,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최종 물품에 적용된 후에는 우수한 자기 파쇄성을 가지면서도, 최종 물품에 적용되기 이전에 부착력 등의 물성을 평가하거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제조되는 공정 중; 또는 제조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는 물성, 즉, 자기 파쇄에 대한 저항성 및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 파쇄성을 갖는 필름은 부착력 등의 물성을 평가할 때 자기 파쇄성에 기인하여 필름이 찢어지거나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부착력이 높은 점착층을 갖는 필름의 경우에는 부착력의 측정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부착력이 높은 점착층을 포함하면서도 부착력 등의 물성 평가 시에 찢어지거나 부서지지 않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최종 물품에 적용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향상된 자기 파쇄성을 나타내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전술한 이점 및 물성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색 기재층, 유색 코팅층 및 점착층의 구체적인 조성 및 적층 구조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 코팅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모두 광경화성 올리고머로서, 상기 유색 코팅층이 광경화물로 형성됨으로써 그 표면의 요철 무늬를 정밀하게 제조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각각 2관능 내지 6관능의 다관능 올리고머이다. 즉,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각각 한 분자 내에 광경화성 관능기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내지 6개 갖는다. 이로써, 상기 코팅 조성물이 경화 과정에서 요철 무늬의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고, 요철 무늬의 형성에 적합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500g/mol 내지 약 3000g/mol이고, 예를 들어, 약 500g/mol 내지 약 2000g/mol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코팅 조성물이 경화 과정에서 요철 무늬의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고, 요철 무늬 형성에 적합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한 분자 내에 에폭시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비스페놀 A계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비스페놀 F계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놀 노볼락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지방족 알킬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개질(Modified)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한 분자 내에 우레탄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카프로락톤 변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활용 6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 조성물이 혼합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대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약 50:50 내지 약 10:90일 수 있다. 광경화성 올리고머를 이와 같이 2종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적절한 경화도를 유지하여 표면 경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요철 형성 시 요철 무늬가 무너지는 현상을 줄여서 무늬의 형상이 뚜렷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안료는 상기 유색 기재층 및 상기 유색 코팅층이 서로 상이한 색상을 구현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 카본 블랙, 이산화규소(SiO2), 산화아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를 약 80중량% 내지 약 98중량% 포함하고, 상기 안료를 약 2중량% 내지 약 2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각 성분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상기 유색 기재층과 상기 유색 코팅층의 높은 밀착력을 확보하기 용이하며, 레이저 마킹을 통해 정밀한 형상이 정확하게 식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코팅층 표면의 요철 무늬를 형성할 때 우수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광경화성을 갖는 것으로서, 광경화를 위해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광개시제를 안료를 제외한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 중에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경화 이후 잔류하여 장기 사용시 변색 또는 표면의 광택을 저하시킬 일으킬 우려가 있고, 전술한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레이저 마킹을 위한 적절한 경도를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용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기 유리하며, 상기 요철 무늬가 목적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이소프로필알콜(IPA),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PGME), 디메틸포름알데히드(DMF),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메틸알콜(Me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 코팅층의 요철 무늬는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코팅 조성물의 도포 후, 최종 경화 전에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 무늬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도포 및 건조 후, 최종 경화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요철 무늬의 형상이 뚜렷하며, 요철의 단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요철 무늬는 양각 무늬 또는 음각 무늬를 포함하며, 도 1은 음각 무늬를 갖는 경우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유색 코팅층(30)은 그 두께(d)가 약 1㎛ 내지 약 5㎛일 수 있고, 상기 요철 무늬의 높이(h)는 약 0.1㎛ 내지 약 1㎛일 수 있다. 상기 유색 코팅층(30)의 두께 및 상기 요철 무늬의 높이(h)가 각각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레이저 마킹에 의해 기입된 정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요철 무늬가 규칙적인 형상으로 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무늬의 높이와 상기 유색 코팅 층의 두께는 상기 요철 무늬가 양각인 경우에도 전술한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은 상기 유색 코팅층(30) 하부에 유색 기재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유색 기재층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재 조성물의 전자빔(electron beam)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 기재층이 전자빔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열경화 또는 광경화와 같이 다른 경화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절한 자기 파쇄성 및 내구성을 구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한 분자 내에 관능기로서 1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올리고머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30,000 내지 약 50,000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유색 기재층 형성 시 모듈러스를 감소시켜, 유연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으며, 경화 후의 수축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한 분자 내에 2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우레탄계 올리고머로서, 예를 들어, 3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6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3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6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유색 기재층의 강성 및 표면 경화도를 강화시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유색 기재층의 장력을 강화하여 공정, 유통 및 물성 데이터 평가 중에는 자기 파쇄에 대한 저항 능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면서, 동시에 최종 물품에 적용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우수한 자기 파쇄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aliphatic)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고, 이러한 화학 구조를 통해 상기 유색 기재층의 강성 및 장력을 강화시켜 공정, 유통 및 물성 데이터 평가 중에 자기 파쇄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도 지방족(aliphatic)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고, 이로써 빠른 경화 특성을 확보하여 상기 유색 기재층의 표면 경화도를 증가시켜 자기 파쇄 기능을 부여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2,000 내지 약 5,000일 수 있고, 이 경우 최종적으로 필요한 자기 파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요구되는 시간 동안에는 자기 파쇄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한 분자 내에 2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에폭시계 올리고머로서, 예를 들어, 2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2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기재의 유연성을 부여하면서 기재의 경도를 상승시켜 경화 후 수축에 의한 말림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보하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bisphenol A)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경화 후 기재 강도의 상승 및 기재 수축 저하 효과를 동시에 부여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500 내지 약 1,500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재 유연성 효과를 확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조성물은 이에 포함되는 성분들을 적절한 함량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색 기재층의 모듈러스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부착력을 측정하는 동안에 파손 또는 찢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최종 물품에 적용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 향상된 자기 파쇄성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조성물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약 5중량% 내지 약 20중량% 포함하고, 상기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약 10중량% 내지 약 35중량% 포함하고,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하며, 상기 안료를 약 45중량% 내지 약 5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조성물은 각 성분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자기 파쇄성을 확보하여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이로부터 제조된 유색 기재층을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부착력 등의 물성 평가 시에 찢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조성물은 안료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명확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의 함량이 높아지면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거나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상기 기재 조성물은 비교적 많은 함량의 안료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류 및 함량의 올리고머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요구되는 수준의 자기 파쇄성 및 가공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레이저 마킹을 통하여 함유된 정보와 관련한 물품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물품에 부착되기 위하여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상기 점착층을 통하여 최종 적용되는 물품에 대한 높은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유색 기재층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높은 부착성을 갖는 필름의 부착력 측정 시에도 파손 및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착층을 통하여 최종 물품에 적용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향상된 자기 파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피착체에 대한 부착력이 약 1400gf/cm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400gf/cm 내지 약 4000gf/cm일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상기 범위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점착층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유색 기재층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부착력의 물성 측정 시에 파손 또는 찢어짐 없이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상기 범위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점착층을 통해 최종 물품에 적용될 때 장기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다양한 용도를 가지며, 예를 들어, 자동차에 부착되는 라벨로서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피착체는 금속 재질의 자동차용 도장판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점착층을 통하여 이에 대한 장기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는 전술한 범위의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메틸아크릴레이트(MA) 및 아크릴산(AA)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점착층은 상기 유색 기재층에 대한 밀착력 및 내열성 향상의 효과를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10만 내지 약 1,000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0만 내지 약 500만일 수 있다.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착층이 높은 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유색 기재층과 밀착력을 확보하기 용이하며, 내열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와 함께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이 적절한 겔 함량을 갖도록 하여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에 향상된 부착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요구되는 수준의 자기 파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지리딘계 경화제, 퍼옥사이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아지리딘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와 상호 작용하여 우수한 경화 효율에 의한 내열성, 내화학성, 부착 시간에 따른 부착성능의 증가속도 조절 등을 구현하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약 90중량% 내지 약 99.999중량%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를 약 0.001중량% 내지 약 1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및 경화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점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이 적절한 겔 함량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유색 기재층에 대한 밀착력 및 최종 제품에 대한 높은 부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에 향상된 장기 부착 유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100')은 최외각의 일면에 이형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이형층(40)은 상기 점착층(10)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점착층(10)의 일면과 상기 유색 코팅층(30)의 일면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형층(40)은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최종 물품에 적용 시에 제거되는 층으로서, 상기 유색 코팅층(30)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층(40)은 레이저 마킹 전에 제거될 수도 있고, 레이저 마킹 이후에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이형층(40)이 레이저 마킹 이후에 제거되는 경우에는 레이저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층의 두께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정밀한 레이저 마킹이 용이한 특성을 확보하고, 자기 파쇄성을 구현하며, 높은 부착성에도 불구하고 부착력 측정 시에는 파손 또는 찢김 현상 없는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색 기재층의 두께는 약 60㎛ 내지 약 150㎛일 수 있다. 상기 유색 기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자기 파쇄성을 확보하면서도 부착력 측정 또는 제조 과정에서 파손 또는 찢김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파손 또는 찢김 현상 없이 부착력의 측정이 가능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부착성을 구현할 수 있고, 최종 물품에 적용되어 우수한 장기 부착 유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상기 유색 기재층, 유색 코팅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고, 각 층의 성분 및 두께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파손 또는 찢김 현상 없이 부착력의 측정이 가능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최종 물품에 적용된 이후에는 향상된 자기 파쇄성 및 부착 유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하나의 이형 필름 상부에 기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재 조성물을 경화하여 두 이형 필름 사이에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이 배치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일면에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 도포 및 건조된 상기 코팅 조성물에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무늬가 형성된 코팅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표면의 요철 무늬를 통해 그 자체로 미세하고 다양한 문자, 도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마팅을 통한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고, 물성 평가 시에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실제 제품에 적용 시에는 위조 및 변조 시도에 대한 파쇄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보안 성능을 구현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은 하나의 이형 필름(50) 상부에 기재 조성물(A)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50)을 적층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조성물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하나의 이형 필름(50) 상부에 상기 기재 조성물(A)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스핀 코팅 방법, 바(bar) 코팅 방법, 콤마 코팅 방법, 슬롯 다이 코팅 방법, 그라비어 코팅 방법, 롤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 조성물(A)을 경화하여 두 이형 필름(50) 사이에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20)이 배치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조성물(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빔(electron beam) 경화의 방법으로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은 두 이형 필름 사이에 유색 기재층이 개재된 구조의 적층체를 우선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속하여 유색 코팅층 및 점착층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 층간 계면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정상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자기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이형 필름(50)을 제거한 후, 상기 이형 필름(50)을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게 된 유색 기재층(20)의 일면에 코팅 조성물(B)을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B)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며, 이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코팅 조성물(B)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스핀 코팅 방법, 바(bar) 코팅 방법, 콤마 코팅 방법, 슬롯 다이 코팅 방법, 그라비어 코팅 방법,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방법, 롤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B)의 점도는 약 20℃ 내지 약 30℃의 상온에서 약 5cps 내지 약 50cps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B)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후속하여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할 때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B) 도포 후 건조되며, 이때 상기 코팅 조성물은 약 70℃ 내지 약 90℃에서 열풍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B)을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풍 건조시킴으로써 후속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점도를 확보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요철 무늬의 형상을 원하는 두께 및 균일성을 갖도록 제어하기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B)은 약 70℃ 내지 약 90℃에서 점도가 약 10만 cps 내지 약 25만 cps일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풍 건조되어 이러한 점도를 갖게 되며, 이후 후속하여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해 원하는 형상 및 두께의 요철 무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은 도포 및 건조된 상기 코팅 조성물(B)에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엠보롤(Embo roll)은 그 표면에 실리콘 수지 또는 이형제가 도포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코팅 조성물(B)이 엘보롤(Embo roll)에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원하는 형상의 요철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철 무늬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도포 및 건조 후, 최종 경화 전에 형성되며, 이로써 무늬의 형상이 뚜렷하며, 요철의 단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요철 무늬가 형성된 코팅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퓨전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약 200mJ 내지 약 300mJ의 광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경화 조건에 의해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미리 형성된 상기 요철 무늬의 구조 및 형상이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이후 정밀한 레이저 마킹성 확보를 위한 경화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어서, 상기 적층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50)을 제거한 후 이로써 드러나게 된 상기 유색 기재층의 다른 일면 즉, 이면에 점착층(10)을 형성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10)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층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은 최외각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층(4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형층(4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 필름의 일면에 1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중량%; 3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중량%;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2중량%; 2관능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중량%; 및 이산화티탄(TiO2) 안료 48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동일한 PET 이형 필름을 적층하였다. 이어서, 전자빔(electron beam) 경화를 통해 상기 기재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두 이형 필름 사이에 100㎛ 두께의 유색 기재층이 개재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용제(MEK 및 MIBK)에 희석하여 30cps 이하의 점도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의 하나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이형 필름이 박리된 유색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어서, 도포된 상기 코팅 조성물을 80℃에서 열풍 건조하여, 점도 20만cps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표면에 실리콘 수지가 처리된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상기 코팅 조성물에 높이가 1㎛인 요철 무늬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요철 무늬가 형성된 상기 코팅 조성물에 퓨전 UV 수은 램프로 300mJ의 광에너지를 조사하여 광경화함으로써 5㎛ 두께의 유색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의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이로써 드러나게 된 상기 유색 코팅층의 이면에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만 g/mol 내지 500만 g/mol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99중량% 및 아지리딘 경화제 1중량%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20℃에서 3분 동안 열경화하여 25㎛ 두께의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로써, 유색 코팅층, 유색 기재층 및 점착층이 적층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팅 조성물로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2관능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중량%;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성 올리고머 30중량%; 및 카본 블랙 10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요철 무늬가 형성된 상기 코팅 조성물을 틴(Tin) 촉매, 120℃ 온도 및 10분 조건 하에서 열경화함으로써 5㎛ 두께의 유색 코팅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코팅 조성물로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3관능 지방족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81중량%;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TMPTA) 9중량%; 및 카본 블랙 10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이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코팅 조성물로서, 실시예 1-3과 동일한 2관능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중량%; 지방족 무수화물 경화제 30중량%; 및 카본 블랙 10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이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
EAO UAO 안료


1 2관능 비스페놀 A계 EAO 45중량% 3관능 지방족계 UAO 45중량% 카본블랙 10중량%
2 2관능 비스페놀 A계 EAO 9 중량% 3관능 지방족계 UAO 81중량% 카본블랙 10중량%
3 2관능 비스페놀 A계 EAO 15 중량% 3관능 지방족계 UAO 75중량% 카본블랙 10중량%


1 2관능 비스페놀 A계 EAO 60중량%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성 올리고머 30중량%
카본블랙 10중량%
2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TMPTA) 9중량%
3관능 지방족계 UAO 81중량%
카본블랙 10중량%
3 2관능 비스페놀 A계 EAO 60중량%
지방족 무수화물 경화제 30중량%
카본블랙 10중량%
* UA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EAO: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평가>
실험예 1: 내화학성의 평가
상기 실시에 1-3 및 상기 비교예 1-3의 다층 레이저 필름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점착층을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자동차 도장판에 접하도록 부착한 후에 상기 유색 코팅층의 표면을 가솔린, 브레이크 오일, 엔진 오일, 부동액에 각각 2시간 동안 침지 후 헝겊으로 5회 문지른 후 육안으로 표면을 관찰하여 내화학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모든 용액에 대하여 2시간 침지 후에도 코팅층의 변색, 탈락, 또는 부푸는 현상이 없는 경우를 'OK'로 기재하였고, 상기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의 용액에 대해서 변색, 탈락 또는 부푸는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NG'로 기재하였다.
실험예 2: 시간 경과에 다른 부착력 변화의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상기 비교예 1-3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점착층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자동차 도장판에 접하도록 부착한 후에 하기 표 3과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부착력은 ASTM D3330에 기초한 방법을 기준으로 인장시험기를 활용하여, 실온에서 300mm/min 속도로 90도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이 부착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자기 파쇄성을 갖는지 여부를 관측하였다.
실험예 3: 레이저 식각성의 평가
EO technics社의 SF211 장비를 이용하여 유색 코팅층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면에 정보를 식각하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식각 속도는 1500mm/s로 진행하였다. 식각 후 식각된 문자의 시인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식각 과정에서 그을음 발생 등으로 인한 이물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변색이 없는 경우를 'OK'로 기재하였고, 그을음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생기거나, 변색이 있는 경우를 'NG'로 기재하였다.
내화학성 시간 경과에 따른 부착력[gf/cm] 레이저
식각성
1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3일 후
실시예 1 OK 1200 2520 3100 파쇄 OK
실시예 2 OK 1280 2610 3080 파쇄 OK
실시예 3 OK 1190 2550 3090 파쇄 OK
비교예 1 NG 1100 2170 2950 파쇄 NG
비교예 2 NG 1080 1980 2700 파쇄 OK
비교예 3 NG 1320 2500 3040 파쇄 OK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은 비교예 1 내지 3의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과 달리 우수한 내화학성, 파쇄성 및 레이저 식각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0: 점착층
20: 유색 기재층
30: 유색 코팅층
40: 이형층
50: 이형 필름
A: 기재 조성물
B: 코팅 조성물
X: 요철 무늬

Claims (19)

  1. 점착층;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 및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은 서로 상이한 색상이며,
    상기 유색 코팅층은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색 코팅층은 표면에 요철 무늬를 포함하며,
    상기 유색 기재층은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재 조성물의 전자빔(electron beam)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코팅층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식각되고, 식각된 부분이 제거되는 레이저 마킹성을 갖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각각 2관능 내지 6관능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g/mol 내지 3000g/mol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계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비스페놀 F계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놀 노볼락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지방족 알킬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개질(Modified)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카프로락톤 변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활용 6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50:50 내지 10:9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5㎛이고,
    상기 요철 무늬의 높이는 0.1㎛ 내지 1㎛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3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6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2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조성물은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중량% 내지 20중량%; 상기 다관능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중량% 내지 35중량%; 상기 다관능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중량% 내지 30중량%; 및 상기 안료 45중량% 내지 55중량%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금속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1400gf/cm 이상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만 내지 1,000만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지리딘계 경화제, 퍼옥사이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90중량% 내지 99.999중량%; 및 상기 경화제 0.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18. 하나의 이형 필름 상부에 기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다른 하나의 이형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재 조성물을 경화하여 두 이형 필름 사이에 제1 색상을 갖는 유색 기재층이 배치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로부터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일면에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및 안료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
    도포 및 건조된 상기 코팅 조성물에 엠보롤(Embo roll)을 이용하여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무늬가 형성된 코팅 조성물을 광경화하여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을 갖는 유색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유색 기재층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도포 후 70℃ 내지 90℃에서 열풍 건조되는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60042078A 2016-04-06 2016-04-06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78A KR102046528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78A KR102046528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89A KR20170114689A (ko) 2017-10-16
KR102046528B1 true KR102046528B1 (ko) 2019-11-19

Family

ID=6029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78A KR102046528B1 (ko) 2016-04-06 2016-04-06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319A (ja) * 2001-10-19 2003-05-09 Oji Paper Co Ltd Icカード、その製造方法およびicカード用の紫外線硬化型インキ
JP2011020374A (ja) * 2009-07-16 2011-02-03 Lintec Corp 改ざん防止用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54A (ja) * 1993-03-10 1994-09-13 Nippon Kayaku Co Ltd マーキング組成物
DE102011080883A1 (de) * 2011-08-12 2013-02-14 Tesa Se Temperaturbeständige laserbeschriftbare Foli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319A (ja) * 2001-10-19 2003-05-09 Oji Paper Co Ltd Icカード、その製造方法およびicカード用の紫外線硬化型インキ
JP2011020374A (ja) * 2009-07-16 2011-02-03 Lintec Corp 改ざん防止用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689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888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528364B1 (ko)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4162600B2 (ja) コンポーネント上に耐久性の書き込みを施すための多層レーザー転写フィルム
KR102165099B1 (ko) 다층 마킹 필름
JP4164032B2 (ja) 永久刻印パーツ用の多層レーザー転写フィルム
KR102046528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530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216B1 (ko) 다층 마킹 필름 및 다층 마킹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63543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487694B2 (ja) 化粧シート
KR102046529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525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3538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532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06709A (ja) 転写箔
KR102155493B1 (ko) 다층 마킹 필름
KR102153287B1 (ko) 다층 마킹 필름
KR102060804B1 (ko) 다층 레이저 마킹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82657A (ja) 離型フィルム
JP2021155624A (ja) 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4671942B2 (ja) レーザー印字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