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420B1 -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420B1
KR102046420B1 KR1020180127905A KR20180127905A KR102046420B1 KR 102046420 B1 KR102046420 B1 KR 102046420B1 KR 1020180127905 A KR1020180127905 A KR 1020180127905A KR 20180127905 A KR20180127905 A KR 20180127905A KR 102046420 B1 KR102046420 B1 KR 10204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plate
wind
windproof
upp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민일규
Original Assignee
(주)대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도엔텍 filed Critical (주)대도엔텍
Priority to KR102018012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의 세기를 효율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면서 바람에 의한 구성요소들의 파손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H형강으로 제작된 지주 사이에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이 포함된 상측 결합판, 제1, 2 바람이동홀이 포함된 파형판 및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이 포함된 하측 결합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방풍유닛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방풍판과, 상기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지주에 고정결합할 수 있으면서 상측 결합판의 절곡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면서 바람이동홀을 통해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키면서 일부의 바람은 상측 결합판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유도시켜 효율적으로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제내지 또는 도로의 시설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Windproof wall and C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람의 세기를 효율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면서 바람에 의한 방풍판의 파손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방풍벽은 교량이나 도로, 해안가 등과 같이 바람의 저항이 심한 도로, 배가 정박해 있는 바닷가에 설치함으로써 강한 바람에 의한 시설물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특히, 산악지역이나 해안도로가 많은 우리나라의 도로사정상 터널이나 다리위에서의 국부적인 계곡돌풍현상이나 해안에서 불어오는 측면 바람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안정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가능성이 높아 도로구조를 개선한다거나 자동차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강한 바람에 의한 사고발생은 여전한 실정이고 이로인해 운행 안정성 미확보 및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등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감안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더욱이, 해안가의 경우 정박해 있는 선박들이 해풍에 의해 속수무책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잦아 이 또한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320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는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구조물 사이에 방풍판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하되 방풍판의 상부와 하부에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판을 형성하여 바람의 방향을 유도 및 분산시켜 바람의 세기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1627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곡률반경이 다른 한쌍의 유도판을 이용하여 바람의 속도를 다르게 유도함으로써 와류 형성에 의한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아울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4071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는 종단 지지대, 세로지지대들, 개구율이 20 내지 60%인 방풍 부재들, 횡단 지지대들, 앵커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방풍벽이 해풍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풍하중으로 인한 방풍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10-0863207 B1 방풍판을 구비하는 방풍벽
(특허문헌 2) KR10-1531627 B1 와류형성에 의한 방풍벽
(특허문헌 1) KR10-1024071 B1 방풍벽
우선, 상술한 특허문헌 1, 2의 경우 바람을 유도시켜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2의 경우 바람을 유도시키기 위한 판들이 바람에 의한 영향을 그대로 받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아무리 바람을 유도한다 할지라도 유도판들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에도 많은 풍하중이 작용하여 파손이 조기에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 방풍벽에 홀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특허문헌 1, 2와 같은 문제점은 해결하였지만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키기에는 특허문헌,1 2에 비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은 방풍판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에 형성된 다수의 바람이동홀을 통해 바람의 세기를 줄이면서 주변경관을 볼 수 있는 방풍벽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경관을 잘 볼 수 있는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 파형 결합판의 수직판 및 하측 결합판의 바람이동홀의 크기를 파형 결합판의 제1, 2 절곡판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바람의 세기가 약해진 채로 바람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주변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바람이동홀의 크기가 크더라도 바람의 이동량이 작으면서 주변경관을 자세히 볼 수 없는 제1, 2 절곡판의 바람이동홀의 크기를 작게하여 방풍유닛의 구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이 바람이동홀이 형성된 채로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로 절곡되어 있어 풍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바람이동홀에 의해 힘을 덜 받으면서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시켜 제내지 및 도로 내의 시설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방풍판의 파손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풍판 중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바람이 상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하측 결합판 및 파형판에 의해 다시 한번 유도되어 바람의 세기를 더욱 약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바람이 하측판 및 파형판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람도 상측 방향으로 유도시켜 제내지 또는 도로 내의 시설물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통해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을 통해 이동하는 바람의 세기에 의해 상측 결합판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각각의 방풍유닛 및 이들 방풍유닛들을 지주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제1, 2 절곡판 및 수직판의 각도를 120°로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방풍판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에 형성된 다수의 바람이동홀을 통해 바람의 세기를 줄이면서 주변경관을 볼 수 있다.
또한, 주변 경관을 잘 볼 수 있는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 파형 결합판의 수직판 및 하측 결합판의 바람이동홀의 크기를 파형 결합판의 제1, 2 절곡판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바람의 세기가 약해진 채로 바람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주변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바람이동홀의 크기가 크더라도 바람의 이동량이 작으면서 주변경관을 자세히 볼 수 없는 제1, 2 절곡판의 바람이동홀의 크기를 작게하여 방풍유닛의 구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이 바람이동홀이 형성된 채로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로 절곡되어 있어 풍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바람이동홀에 의해 힘을 덜 받으면서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시켜 제내지 및 도로 내의 시설물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방풍판의 파손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풍판 중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바람이 상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하측 결합판 및 파형판에 의해 다시 한번 유도되어 바람의 세기를 더욱 약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바람이 하측판 및 파형판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람도 상측 방향으로 유도시켜 제내지 또는 도로 내의 시설물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통해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을 통해 이동하는 바람의 세기에 의해 상측 결합판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각각의 방풍유닛 및 이들 방풍유닛들을 지주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제1, 2 절곡판 및 수직판의 각도를 120°로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방풍벽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지주(100)와 방풍판(200) 및 간격유지부재(300)로 이루어져 있다.
- 지주
우선, 지주(1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양 단부에는 안착홈(110)을 포함하는 H형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지주(100)는 통상의 콘크리트 구조물(C)의 상측에 앵커볼트(AB)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지주(100)의 전,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결합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 방풍판
본 발명에서의 방풍판(200)은 지주(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지주(100)에 결합하되 다수의 방풍유닛(A)이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풍유닛(A)은 철판을 절곡시켜 상측 결합판(210)과 파형판(220) 및 하측 결합판(2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 단부는 지주(1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0)에 배치되어 볼트(B)/너트(N)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우선, 상측 결합판(210)은 양 측면은 앞서 설명한 지주(100)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다수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은 다수가 상측 결합판(210)에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 중 어느 하나는 지주(100)의 결합홈(110)에 배치되는 상측 결합판(210)의 양 측면 중 지주(100)의 결합홀(120)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상측 결합판(210)은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파형판(220)은 상술한 상측 결합판(210)의 하측에 절곡되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진 형태로 절곡된 제1, 2 절곡판(221, 22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223)이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절곡판(221, 222) 및 수직판(223)에는 다수의 제1, 2, 3 바람이동홀(221a, 222a, 223a)이 형성되어 바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 절곡판(221)과 수직판(223)이 이루고 있는 각도와 제2 절곡판(222)과 수직판(223)이 이루는 각도는 120°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하측 결합판(230)은 상술한 파형판(220)을 구성하는 제2 절곡판(22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 결합판(230)은 파형판(220)을 구성하는 수직판(223)과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잇으며, 내측으로는 다수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 중 어느 하나는 지주(100)의 결합홈(110)에 배치되는 상측 결합판(210)의 양 측면 중 지주(100)의 결합홀(120)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방풍유닛(A)을 구성하는 상, 하측 결합판(210, 230))의 상,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 231) 및 파형판(220)의 수직판(223)에 형성도니 제3 바람이동홀(223a)은 파형판(220)를 구성하는 제1, 2 절곡판(221, 222)의 제1, 2 바람이동홀(221a, 222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 간격유지부재
본 발명에서의 간격유지부재(300)는 방풍판(200)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A)들을 지주(10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방풍유닛(A)에서 바람을 상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상측 결합판(210)의 절곡된 상태를 유지시켜 바람을 원활히 유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300)는 방풍유닛(200)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A)을 지주(100)에 결합하는 볼트(B)에 결합하여 방풍유닛(A)들의 결합과 더불어 방풍유닛(A)을 구성하고 있느 상측 결합판(210)의 절곡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지주(1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20)과 방풍판(200)을 구성하는 방풍유닛(A) 중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A)의 상측 결합판(210)에 형성되는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과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A)에 연결 결합하기 위해 그 상단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방풍유닛(A)의 하측 결합판(230)에 형성되는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에 체결되는 볼트(B) 중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A)의 상측 결합판(210)과 상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A)의 하측 결합판(230) 사이의 볼트(B)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1 스페이서(310)가 구성된다.
또한, 볼트(B)에 체결된 너트(N)와 하단에 배치된 방풍판(A)의 상측 결합판(210) 사이의 볼트(B)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2 스페이서(320)가 구성된다.
특히, 상술한 볼트(B)/너트(N) 및 간격유지부재(300)는 지주(100) 사이의 각각의 방풍유닛(A)을 결합하기 위해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스페이서(310, 3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볼트(B)에 결합할 수 잇는 제1, 2 홀(311, 321)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으로 상측 결합판(210)과 맞닿는 면은 상측 결합판(210)이 바람 유도를 위해 절곡되어 있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제1, 2 경사면(312, 322)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시공공법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500)의 시공공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5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C)의 수평레벨링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평 레벨링 작업이 완료되면, 일정 간격으로 H형강으로 제작된 다수의 지주(100)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C)에 앵커볼트(AB)를 이용해 고정 결합한다.(지주 설치단계)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지주(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방풍판(200)를 설치하여 시공을 완료한다.(방풍판 설치단계)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방풍유닛(A)을 지주(100) 사이에 배치하도록 하여 방풍유닛(A)을 지주(100)와 결합하되, 다수의 방풍유닛(A)을 볼트(B)/너트(N) 및 간격유지부재(300)를 이용하여 상측방향으로 연결하여 시공한다.
즉,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A)을 구성하고 있는 상측 결합판(210)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과 상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A)의 하단 결합판(231)의 하단 결합판 바람이동홀(231) 및 지주(100)의 결합홀(120)에 볼트(B) 및 너트(N)를 결합하되,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A)의 상측 결합판(210)과 상단에 배치된 방풍유닛(A)의 하측 결합판(230) 사이의 볼트(B)의 외주면에는 제1 스페이서(310)를 결합하고,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A)의 상측 결합판(210)과 너트(N) 사이의 볼트(B)외주면에는 제2 스페이서(320)를 결합하여 각각의 방풍유닛(A)을 연결함과 동시에 다수의 방풍유닛(A)으로 이루어진 방풍판(200)을 지주(100)에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방풍벽(500)은 지주(100) 사이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방풍판(200)을 구성하는 방풍유닛(A)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해안가나 강가 및 산악 지역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줄여주면서 바람의 세기에 의해 본 발명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방풍유닛(A)은 상측 결합판(210), 파형판(220) 및 하측 결합판(230)의 내측에 각각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 제1, 2, 3 바람이동홀(221a, 222a, 223a) 및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이 형성되어 있어 모든 바람을 통과시키는 것이 아니라 홀을 통해 일부의 바람만 통과하기 때문에 바람의 세기를 줄여줄 수 있게 되며, 더욱이, 상기 홀들에 의해 주변경관을 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판(220)의 수직판(223)에 형성된 제3 바람이동홀(223a)과 하측 결합판(230)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과 상측 결합판(210)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의 크기를 파형판(220)의 제1, 2 절곡판(221, 222)의 제1, 2 바람이동홀(221a, 222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주변경관을 더욱 잘 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홀의 크기를 크게 하더라도 바람의 이동량이 작으면서 절곡되어 주변 경관을 잘 볼 수 없는 파형판(220)의 제1, 2 절곡판(221, 222)의 제1, 2 바람이동홀(221a, 222a)의 크기를 작게함으로써 방풍유닛(A)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방풍판(200)을 구성하는 방풍유닛(A)에는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측 결합판(210)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안가나 강가 또는 산악지역에서의 강한 바람이 제내지 또는 도로 등으로 불때에 상기 상측 결합판(210)에 의해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어 제내지 또는 도로 등의 위치에 있는 시설물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방풍유닛(A)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210)에 의해 유도되는 바람은 파형판(220)의 제1, 2, 3 바람이동홀(221a, 222a, 223a) 및 하측 결합판(230)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31)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도 상측 방향으로 유도시키기 때문에 더욱 제내지 또는 도로 등의 시설물이나 인명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측 결합판(210)을 통해 바람이 상측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상측 결합판(210)에 형성된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211)을 통해 바람이 약해진 상태로 통과하기 때문에 방풍유닛(A)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감소되어 파손 발생 없이 바람의 세기를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결합판(210)을 통해 이동하는 바람은 그 위에 결합되어 있는 다른 방풍유닛(A)의 하측 결합판(230) 및 파형판(220)의 제2 절곡판(222)에 의해 유도되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람의 세기가 더욱 약화된 채로 이동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방풍유닛(A)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210)은 파형판(220)에서 절곡되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바람의 세기가 강할 경우 휘어지게 되어 바람 유도를 위한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방풍유닛(A)의 결합시 절곡된 상측 결합판(210)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결합판(230)의 결합시 절곡된 상측 결합판(210)에 의해 방풍유닛(A)의 원활한 고정 결합이 어렵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2 스페이서(310, 320)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300)가 형성되어 방풍유닛(A)을 구성하는 절곡된 상태의 상측 결합판(210)의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바람을 상측 방향으로 원활히 유도함으로써 방풍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제1, 2 스페이서(310, 320) 중 상측 결합판(210)과 맞닿는 면에는 상측 결합판(210)의 절곡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제1, 2 경사면(312, 3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B)/너트(N)를 통해 다수의 방풍유닛(A) 끼리 및 이들 방풍유닛(A)을 지주(10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파형판(220)은 제1, 2 절곡판(221, 222) 사이에 수직판(223)이 절곡된 구조로서 제1 절곡판(221)과 수직판(223) 및 수직판(223)과 제2 절곡판(222)이 120°의 각을 이룬 상태에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인 안정에 의해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방풍벽(200)를 구성하는 방풍유닛(A) 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00 : 지주
110 : 안착홈 120 : 결합홀
200 : 방풍판
A : 방풍유닛
210 : 상측 결합판
211 :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
220 : 파형판
221 : 제1 절곡판 221a : 제1 바람이동홀
222 : 제2 절곡판 222a : 제 바람이동홀
223 : 수직판 223a : 제3 바람이동홀
230 : 하측 결합판
231 :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
300 : 간격유지부재
310 : 제1 스페이서
311 : 제1 홀 312 : 제1 경사면
320 : 제2 스페이서
321 : 제2 홀 322 : 제2 경사면
500 : 방풍벽

Claims (7)

  1.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하되 H형강으로 제작되어 양 측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 후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에 사이에 배치되되 지주의 안착홈에 양 측면이 배치되며 다수의 바람이동홀이 포함되되 일부는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상측 결합판을 포함하는 방풍유닛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지주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방풍판;
    상기 방풍판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주에 고정 결합하되 상측 결합판의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볼트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풍판은,
    다수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을 형성하되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측 결합판과,
    상기 상측 결합판에서 절곡되어 연결되되 내측으로 제1, 2, 3 바람이동홀을 포함하고 있는 제1, 2 절곡판 및 수직판에 의해 돌출 형성되는 파형판과,
    상기 파형판에서 절곡되되 다수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측 결합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방풍유닛이 볼트, 너트 및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지주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결합판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과 상기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결합판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에 체결되는 볼트 중 하단에 배치된 상측 결합판과 상단에 배치된 하측 결합판 사이에 배치되는 볼트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볼트에 결합된 너트와 하단에 배치된 방풍판에 형성된 상측 결합판 사이의 볼트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방풍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파형판의 제1 절곡판과 수직판 및 수직판과 제2 절곡판은 120°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풍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 하측 결합판의 상,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과 파형판을 구성하는 수직판에 형성된 제3 바람이동홀은 파형판에 형성된 제1, 2 절곡판의 제1, 2 바람이동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풍벽.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 중 제1, 2 스페이서는 볼트에 결합할 수 있는 제1, 2 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방풍판의 방풍유닛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과 맞닿는 면은 상측 결합판이 절곡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제1, 2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풍벽.
  7. 제1항의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하되 H형강으로 제작되어 양 측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 후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에 사이에 배치되되 지주의 안착홈에 양 측면이 배치되며 다수의 바람이동홀이 포함되되 일부는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되는 상측 결합판을 포함하는 방풍유닛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지주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방풍판, 상기 방풍판을 구성하는 다수의 방풍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주에 고정 결합하되 상측 결합판의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볼트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풍판은, 다수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을 형성하되 바람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는 상측 결합판과, 상기 상측 결합판에서 절곡되어 연결되되 내측으로 제1, 2, 3 바람이동홀을 포함하고 있는 제1, 2 절곡판 및 수직판에 의해 돌출 형성되는 파형판과, 상기 파형판에서 절곡되되 다수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측 결합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방풍유닛이 볼트, 너트 및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지주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결합판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과 상기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결합판의 하측 결합판 바람이동홀에 체결되는 볼트 중 하단에 배치된 상측 결합판과 상단에 배치된 하측 결합판 사이에 배치되는 볼트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볼트에 결합된 너트와 하단에 배치된 방풍판에 형성된 상측 결합판 사이의 볼트 외주면에 결합하는 제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풍벽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공법에 있어서,
    H형강으로 제작되어 양 측면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전, 후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지주 설치단계;
    상기 지주 설치단계에서의 지주 사이 공간에 다수의 방풍판을 구성하는 상측 결합판을 포함하는 방풍유닛을 볼트, 너트 및 제1, 2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이용하여 상측 결합판의 절곡된 상태의 각도를 유지 상태로 다수의 방풍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주에 고정결합해 방풍판의 설치를 완료하는 방풍판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풍판 설치단계는,
    하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상측 결합판의 상측 결합판 바람이동홀과 상단에 배치되는 방풍유닛의 하단 결합판의 하단 결합판 바람이동홀 및 지주의 결합홀에 볼트 및 너트를 결합하되,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상측 결합판과 상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하측 결합판 사이의 볼트의 외주면에는 제1 스페이서를 결합하고, 하단에 배치된 방풍유닛의 상측 결합판과 너트 사이의 볼트 외주면에는 제2 스페이서를 결합하여 각각의 방풍유닛을 연결함과 동시에 다수의 방풍유닛으로 이루어진 방풍판을 지주에 고정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풍벽의 시공공법.
KR1020180127905A 2018-10-25 2018-10-25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KR10204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05A KR102046420B1 (ko) 2018-10-25 2018-10-25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05A KR102046420B1 (ko) 2018-10-25 2018-10-25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420B1 true KR102046420B1 (ko) 2019-11-19

Family

ID=6877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05A KR102046420B1 (ko) 2018-10-25 2018-10-25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6586A (zh) * 2021-03-16 2021-06-25 厦门中平公路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桥梁挡风障的设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43Y1 (ko) * 2004-09-20 2004-12-13 남희태 방풍 및 방진 조절판
JP2006090116A (ja) * 2004-08-26 2006-04-06 Wonder Giken Kk 目隠しパネル及び防風パネル
JP2007315135A (ja) * 2006-05-29 2007-12-06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防風・防雪柵用の山形状孔あき金属板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防風・防雪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116A (ja) * 2004-08-26 2006-04-06 Wonder Giken Kk 目隠しパネル及び防風パネル
KR200370243Y1 (ko) * 2004-09-20 2004-12-13 남희태 방풍 및 방진 조절판
JP2007315135A (ja) * 2006-05-29 2007-12-06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防風・防雪柵用の山形状孔あき金属板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防風・防雪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6586A (zh) * 2021-03-16 2021-06-25 厦门中平公路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桥梁挡风障的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71815B (zh) 一种梁体波形钢组合防护棚架及其制作方法
KR102216347B1 (ko)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CN209412990U (zh) 一种房建工程用的防风防震临时住房
JP2020012249A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KR102046420B1 (ko) 방풍벽 및 이의 시공공법
KR20130084431A (ko) 방음터널용 트러스 아치형 골조
US5127609A (en) Jet blast deflector fence
KR102230453B1 (ko)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단일의 윈드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WO2015092829A1 (ja) 防護柵
US20220316165A1 (en) Structure to prevent soil loss in slope of river and coas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814532B1 (ko)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CN106192783B (zh) 一种风沙地区铁路棚洞结构
CN112695775B (zh) 一种高速公路的路堑施工用辅助设备
CN209619838U (zh) 一种应用于城市慢行系统的景观桥梁
KR20140041186A (ko) 와류형성에 의한 방풍벽
KR100223442B1 (ko) 가설교
KR20180118414A (ko) 강관 연결부를 구비한 터널식 방음벽
JP6476367B1 (ja) 五角形ラーメン構造物
CN213868297U (zh) 一种可增强侧向稳定性的充气式膜结构
KR200287831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 로프 결합구조
CN211113240U (zh) 一种可产生塑性变形的耗能棚洞
KR102585187B1 (ko)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KR102544456B1 (ko) 유목차단기능을 갖는 홍수 방어벽
KR200461365Y1 (ko) 보도 현수교의 핸드레일 설치구조
CN112112278A (zh) 一种可增强侧向稳定性的充气式膜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