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793B1 -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793B1
KR102045793B1 KR1020190097740A KR20190097740A KR102045793B1 KR 102045793 B1 KR102045793 B1 KR 102045793B1 KR 1020190097740 A KR1020190097740 A KR 1020190097740A KR 20190097740 A KR20190097740 A KR 20190097740A KR 102045793 B1 KR102045793 B1 KR 10204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reciprocating
slid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충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커스
Priority to KR102019009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793B1/ko
Priority to PCT/KR2019/010316 priority patent/WO20210294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쇠뭉치를 수용하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상기 쇠뭉치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의 왕복에 따라 상기 제1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쇠뭉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DOOR-LOCK STRIKE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에 설치되는 로크 장치는 고도의 보안성을 유지하도록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즉, 도어록은 여러 기계적인 키 조합에 의한 해정 구조를 갖거나 또는 전자화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암호화된 코드를 입력하면 해정하는 등 다양하게 개발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 의하여 안출된 여러 도어록은 원격에서 해정이 곤란하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면 먼저 순수한 기계식 도어록의 경우에는 래치 볼트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중의 로크를 위하여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 기계식 도어록의 경우에는 내부에서 해정을 시켜주거나 혹은 외부에서 키로써 해정하는 방식에 의하여 로크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록은 원격에서의 해정이 전혀 불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계식 도어록에 솔레노이드를 부가하여 전동으로 로크를 해정하고 도어를 개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로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전동 해정 도어록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 96-5229호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계식 로크에 전동식 해정기구를 부가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해정이 안되는 문제점은 해소 될 수는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반드시 필요한 도어록으로 전체 어셈블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록에는 회동되는 도어에 전원을 공급하여야만 하므로 써 설비가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중에 고장이 빈발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계적인 구조를 갖는 도어록에 좀더 정밀하게 제어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를 부가한 도어록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으로는 국내 특허 공고 93-9088호, 93-9091호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은 외부에서 로크를 해정 하려고 할 때 다양한 전자 암호화 기술에 의하여 향상된 보안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로크 장치 역시 매우 복잡한 구성을 갖는 단점이 있고, 가격적으로 상당히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모든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들은 도어에 형성되는 로크 장치에 해정을 위한 솔레노이드, 모터 등의 엑취에이터를 부가하여 전동으로 해정되거나 쇄정되도록 이루고 있어 기존에 설치된 여러 유형의 도어록을 교체하지 아니하고는 설치가 곤란하다.
실용신안 공고 제 20-1996-5229호 특허 공고 제10-1993-9088호 특허 공고 제10-1993-9091호
최근의 도어락 시스템에서 제어되는 스트라이크의 핵심은 기존 도어락의 래치(latch)나 데드볼트(dead bolt) 등과 같은 쇠뭉치를 어떻게 막고 어떻게 움직이도록 할 것인가에 촛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용이한 구조가 플립(flip) 방식에 의한 것인데, 이러한 플립 구조의 잠금구의 거동에 필요한 경로를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쇠뭉치를 수용하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상기 쇠뭉치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의 왕복에 따라 상기 제1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쇠뭉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유닛의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가능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로 연동하며, 상기 제2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바 형상의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걸림쇠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에 상기 제3 유닛의 모터 암이 수용되고, 상기 걸림 후크에 상기 모터 암의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며, 상기 모터 암의 말단부가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모터 암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문틀에 상기 도어가 닫혀져 작동준비 중이거나,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이 잠겨진 상태거나, 상기 제1 유닛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쇠뭉치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도어가 열린후 상기 제2 유닛이 밀려난 다음 다시 상기 작동준비 중인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쇠뭉치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림편을 가지는 플립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립 어셈블리는, 상기 밀림편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교되게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 각각의 말단부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닛의 걸림쇠의 양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왕복허용 홈과, 상기 걸림편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 및 상기 밀림편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쇠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이 상기 걸림편 각각의 왕복허용 홈 중 일측의 왕복허용 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걸림쇠의 과이동(過移動)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쇠뭉치를 수용하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쇠뭉치에 대하여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 유닛; 제1 유닛의 왕복에 따라 제1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쇠뭉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는 제2 유닛; 및 제1 유닛과 연결되어 제1 유닛에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도 가동되고 확실한 도어락 체결 및 해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제3 유닛의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가능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와 일체로 연동하며, 제2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바 형상의 걸림쇠와, 걸림쇠의 일측으로부터 걸림쇠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하우징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자를 포함함으로써, 플립(flip) 구조의 잠금 경로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하므로 설계 및 제작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원가 절감 또한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력화의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슬라이더의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와, 절개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하며, 절개부에 제3 유닛의 모터 암이 수용되고, 걸림 후크에 모터 암의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며, 모터 암의 말단부가 걸림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 모터 암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는 제2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터 암의 일정 각도만큼의 정, 역회전에 필요한 동력만 발생시키면 되므로, 저전력화에 따른 동력 및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문틀에 도어가 닫혀져 작동준비 중이거나, 제1 유닛에 의하여 제2 유닛이 잠겨진 상태거나, 제1 유닛의 이동에 의하여 제2 유닛이 제1 유닛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쇠뭉치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문틀에 대하여 도어가 열린후 제2 유닛이 밀려난 다음 다시 작동준비 중인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쇠뭉치의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림편을 가지는 플립 어셈블리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주는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립 어셈블리는, 밀림편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교되게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편과, 걸림편 각각의 말단부에 절개 형성되어 제1 유닛의 걸림쇠의 양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왕복허용 홈과, 걸림편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걸림편 및 밀림편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며, 걸림쇠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이 걸림편 각각의 왕복허용 홈 중 일측의 왕복허용 홈에 걸림으로써 걸림쇠의 과이동(過移動)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부품의 내부 이탈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와 플립 어셈블리의 구조를 통하여 본 출원인의 기등록 특허와 같이 기존 스트라이크의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제품으로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일체의 배선작업이 필요없고 DIY를 위하여 기존 스트라이크와 동일한 규격의 제품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철문이나 나무문에도 호환 가능한 범용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작동대기 상태를, 도 2(b)는 도 2(a)의 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상태로부터 도어 열림과 플립 어셈블리의 복귀와 슬라이더 복귀 및 도어 닫힘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작동대기 상태를, 도 2(b)는 도 2(a)의 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상태로부터 도어 열림과 플립 어셈블리(210)의 복귀와 슬라이더(110) 복귀 및 도어 닫힘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로 301은 조작 버튼을 나타내며, 화살표 1, 1 방향은 제1 방향을, 화살표 2, 2 방향을 제2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도 3 내지 도 7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에 제1, 2, 3 유닛(100, 200, 300)이 장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하우징(500)은 도어(이하 미도시)에 설치되는 잠금장치(400)의 쇠뭉치(410)를 수용하는 잠금홈(510)이 형성되며, 문틀(이하 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쇠뭉치(410)에 대하여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의 왕복에 따라 제1 유닛(100)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쇠뭉치(4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과 연결되어 제1 유닛(100)에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잠금홈(5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유닛(200)은 잠금홈(5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쇠뭉치(410)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도어가 문틀에 잠기거나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500)은, 잠금홈(510)의 일측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어 제3 유닛(300)에 동력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1)가 수용되는 배터리 챔버(520)와, 잠금홈(510)의 타측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어 제3 유닛(300)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동력 챔버(5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후술할 제3 유닛(300)의 모터 암(320)을 정, 역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에는 많은 동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서 시판되는 건전지로도 충분히 동력을 마련하는데 지장이 없으므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제3 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가능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더(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슬라이더(110)의 일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110)와 일체로 연동하며, 제2 유닛(200)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바 형상의 걸림쇠(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걸림쇠(120)의 일측으로부터 걸림쇠(120)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540)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자(13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일단부와, 이동자(1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 복원 스프링(1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 복원 스프링(140)은 걸림쇠(120)가 제2 유닛(200)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며 문틀에 도어가 닫혀진 작동대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슬라이더(110)의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11)와, 절개부(111)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후크(112)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절개부(111)에 도 2(b)와 같이 후술할 제3 유닛(300)의 모터 암(320)이 수용되고, 걸림 후크(112)에 모터 암(320)의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며, 모터 암(320)의 말단부가 걸림 후크(112)에 걸린 상태에서 모터 암(320)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110)는 도 2(b) 및 도 3(b)와 같이 제2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모터 암(320)의 말단부는 후술할 작용 돌편(322)의 단부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쇠뭉치(410)의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림편(211)을 가지는 플립 어셈블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밀림편(211)은 도 2(a)와 같이 문틀에 도어가 닫혀져 작동준비 중이거나, 도 3(a)와 같이 제1 유닛(100)에 의하여 제2 유닛(200)이 잠겨진 상태거나, 제1 유닛(100)의 이동에 의하여 제2 유닛(200)이 제1 유닛(100)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쇠뭉치(410)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는 상태(도 4 참조)가 되거나, 문틀에 대하여 도어가 열린후 도 5와 같이 제2 유닛(200)이 밀려난 다음 도 6 및 도 7과 같이 다시 작동준비 중인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쇠뭉치(410)의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플립 어셈블리(210)는, 밀림편(211)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교되게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편(212, 212)과, 걸림편(212, 212) 각각의 말단부에 절개 형성되어 제1 유닛(100)의 걸림쇠(120)의 양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왕복허용 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립 어셈블리(210)는, 걸림편(212, 212)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걸림편(212, 212) 및 밀림편(211)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나 도 6 및 도 7과 같이 걸림쇠(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이 걸림편(212, 212) 각각의 왕복허용 홈(213) 중 일측의 왕복허용 홈(213)에 걸림으로써 걸림쇠(120)의 과이동(過移動), 지나치게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플립 어셈블리(210)는, 회동봉에 장착되어 밀림편(211)이 쇠뭉치(410)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자세를 유지하게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쇠뭉치(410)가 제1 방향을 따라 밀림편(211)을 밀고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탄성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2 복원 스프링(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하우징(500)에 내장되어 정, 역회전하는 구동축(311)을 구비한 구동모터(310)와, 구동축(311)의 단부에 장착되어 구동축(311)과 연동하며 제1 유닛(100)과 맞물리는 모터 암(3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터 암(320)은, 구동축(311)에 고정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몸체(321)와, 회전몸체(321)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며, 제1 유닛(100)의 슬라이더(110)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된 절개부(111) 말단에 연장된 걸림 후크(112)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 돌편(3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암(320)은, 슬라이더(110)의 일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쇠(120)가 제2 유닛(200)의 플립 어셈블리(210)에 구비된 걸림편(212, 212) 말단부의 왕복허용 홈(213)으로부터 맞물림 해제가 되도록 다음과 같은 거동을 보일 수 있다.
즉, 모터 암(320)은, 회전몸체(321)의 회전에 따라 도 2(b) 및 도 3(b)와 같이 작용 돌편(322)이 걸림 후크(112)를 밀면서 슬라이더(110)를 이동시키면, 회전몸체(321)의 일측 외주면이 도 3(b)와 같이 슬라이더(110)의 절개부(111)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110)의 지나친 이동에 따른 레일(540)로부터 이동자(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상태로부터 도어 열림과 플립 어셈블리의 복귀와 슬라이더 복귀 및 도어 닫힘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쇠뭉치(410)는 플립 어셈블리(210)의 밀림편(211)에 걸려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문틀에 대하여 도어가 닫힌 작동대기 상태가 형성되는데, 이후 조작 버튼(301)을 누르거나 도어의 바깥에서 번호가 적힌 누름 버튼(이하 미도시)이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모터 암(320)이 도 3(b)와 같이 회전하면 슬라이더(110)는 제2 방향을 따라 도 3(b)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110)에 장착된 걸림쇠(120)는 플림 어셈블리(210)의 왕복허용 홈(213)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이므로, 도어의 열림이 가능한 상태가 형성된다.
이후, 쇠뭉치(410)가 제1 방향으로 플립 어셈블리(210)의 밀림편(211)을 밀고나감으로써, 플립 어셈블리(210)는 도 4와 같이 회동하여 밀려나게 되면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가 된다.
도어가 열린 후 플립 어셈블리(210)는 전술한 제2 복원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지만, 도어는 아직 열린 상태에 있다.
계속하여,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가거나 실외로 나가는 동작을 수행한 뒤 도어가 문틀에 다시 닫히게 되면 모터 암(320)은 구동모터(310)의 동작에 의하여 도 6(b)와 같이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제1 복원 스프링(140) 또한 슬라이더(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제1 복원 스프링(140)에 연결된 이동자(130)는 레일(540)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즉 도 6(b)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복귀하게 되면서 잠금 상태가 재개되며 도 2와 같은 작동대기 상태를 형성하게 되지만, 도어는 아직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10)가 먼저 리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쇠(120)의 일단부와 걸림편(212, 212) 중 한 걸림편(212)의 내측 단부에는 각각, 걸림쇠(120)와 걸림편(212)이 맞물려 서로 직교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제1 빗면(121)과 제2 빗면(214, 이하 도 4 참조)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리이더(110)가 먼저 리턴해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걸림쇠(120)와 걸림편(212)은 제1, 2 빗면(121, 214)의 상호 접촉에 따른 맞물림에 의하여 원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하도록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2 빗면(121, 214)의 구조는 쇠뭉치(410)중 래치(latch) 구조가 없을 경우에 슬라이더가 먼저 리턴되고 플립이 원위치로 돌아오지 못하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기구적인 구조를 통하여 미연에 방지코자 함이다.
또한, 이러한 제1, 2 빗면(121, 214) 구조는 기구적인 안정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센서를 통하여 그 안정성 확보를 대체해야 하지만, 고가에 정밀 부부품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고 안정적인 작동 구조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센서 사용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계속하여, 도어가 문틀에 닫혀지면 쇠뭉치(410)는 다시 도 7과 같이 플립 어셈블리(210)의 (밀림편(211)에 걸려서 도어가 닫혀서 열리지 않는 도어잠금 상태가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 버튼(301)이나 입력부 조작에 따른 직접적인 조작으로도 개폐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에 인스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구동모터(310)를 무선 통신 조작하는 방식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400)의 쇠뭉치(410)를 수용하는 잠금홈(510)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500);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쇠뭉치(410)에 대하여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 유닛(100); 제1 유닛(100)의 왕복에 따라 제1 유닛(100)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쇠뭉치(4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는 제2 유닛(200); 및 제1 유닛(100)과 연결되어 제1 유닛(100)에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도 가동되고 확실한 도어락 체결 및 해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제3 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가능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더(110)와, 슬라이더(110)의 일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110)와 일체로 연동하며, 제2 유닛(200)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바 형상의 걸림쇠(120)와, 걸림쇠(120)의 일측으로부터 걸림쇠(120)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하우징(500)의 내측면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540)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자(130)를 포함함으로써, 플립(flip) 구조의 잠금 경로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하므로 설계 및 제작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원가 절감 또한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력화의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슬라이더(110)의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11)와, 절개부(111)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후크(112)를 더 포함하며, 절개부(111)에 제3 유닛(300)의 모터 암(320)이 수용되고, 걸림 후크(112)에 모터 암(320)의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며, 모터 암(320)의 말단부가 걸림 후크(112)에 걸린 상태에서 모터 암(320)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110)는 제2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터 암(320)의 일정 각도만큼의 정, 역회전에 필요한 동력만 발생시키면 되므로, 저전력화에 따른 동력 및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문틀에 도어가 닫혀져 작동준비 중이거나, 제1 유닛(100)에 의하여 제2 유닛(200)이 잠겨진 상태거나, 제1 유닛(100)의 이동에 의하여 제2 유닛(200)이 제1 유닛(100)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쇠뭉치(410)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문틀에 대하여 도어가 열린후 제2 유닛(200)이 밀려난 다음 다시 작동준비 중인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쇠뭉치(410)의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림편(211)을 가지는 플립 어셈블리(210)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주는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립 어셈블리(210)는, 밀림편(211)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교되게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편(212, 212)과, 걸림편(212, 212) 각각의 말단부에 절개 형성되어 제1 유닛(100)의 걸림쇠(120)의 양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왕복허용 홈(213)과, 걸림편(212, 212)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걸림편(212, 212) 및 밀림편(211)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며, 걸림쇠(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122)이 걸림편(212, 212) 각각의 왕복허용 홈(213) 중 일측의 왕복허용 홈(213)에 걸림으로써 걸림쇠(120)의 과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부품의 내부 이탈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110)와 플립 어셈블리(210)의 구조를 통하여 본 출원인의 기등록 특허와 같이 기존 스트라이크의 가로 세로 길이가 동일한 제품으로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일체의 배선작업이 필요없고 DIY를 위하여 기존 스트라이크와 동일한 규격의 제품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철문이나 나무문에도 호환 가능한 범용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저전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슬라이더
111...절개부
112...걸림 후크
120...걸림쇠
121...제1 빗면
122...걸림돌편
130...이동자
140...제1 복원 스프링
200...제2 유닛
210...플립 어셈블리
211...밀림편
212, 212...걸림편
213...왕복허용 홈
214...제2 빗면
300...제3 유닛
301...조작 버튼
310...구동모터
311...구동축
320...모터 암
321...회전몸체
322...작용 돌편
400...잠금장치
410...쇠뭉치
500...하우징
510...잠금홈
520...배터리 챔버
521...배터리
530...동력 챔버
540...레일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쇠뭉치를 수용하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
    제1 방향으로 왕복하는 상기 쇠뭉치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의 왕복에 따라 상기 제1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쇠뭉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잠금 또는 열림 상태를 형성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유닛의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가능한 평판 형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로 연동하며, 상기 제2 유닛과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바 형상의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걸림쇠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자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부 가장자리의 일측으로부터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에 상기 제3 유닛의 모터 암이 수용되고, 상기 걸림 후크에 상기 모터 암의 말단부가 걸림 고정되며, 상기 모터 암의 말단부가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모터 암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문틀에 상기 도어가 닫혀져 작동준비 중이거나,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이 잠겨진 상태거나, 상기 제1 유닛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쇠뭉치에 의하여 밀려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도어가 열린후 상기 제2 유닛이 밀려난 다음 다시 상기 작동준비 중인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쇠뭉치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왕복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림편을 가지는 플립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립 어셈블리는,
    상기 밀림편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교되게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 각각의 말단부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닛의 걸림쇠의 양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왕복허용 홈과,
    상기 걸림편 각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 및 상기 밀림편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봉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쇠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걸림돌편이 상기 걸림편 각각의 왕복허용 홈 중 일측의 왕복허용 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걸림쇠의 과이동(過移動)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KR1020190097740A 2019-08-09 2019-08-09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KR10204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40A KR102045793B1 (ko) 2019-08-09 2019-08-09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PCT/KR2019/010316 WO2021029459A1 (ko) 2019-08-09 2019-08-13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740A KR102045793B1 (ko) 2019-08-09 2019-08-09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793B1 true KR102045793B1 (ko) 2019-11-18

Family

ID=6872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740A KR102045793B1 (ko) 2019-08-09 2019-08-09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5793B1 (ko)
WO (1) WO20210294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088A (ko) 1991-10-17 1993-05-22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및 커패시터 구조
KR930009091A (ko) 1991-10-14 1993-05-22 문정환 마스크 롬 제조방법
KR960005229U (ko) 1994-07-29 1996-02-16 문종순 폴리우레탄, 고무, 다공형 방충제
JP3075412U (ja) * 2000-08-04 2001-02-23 大永 朴 開閉扉の施錠装置
KR100825447B1 (ko) * 2006-09-06 2008-04-28 박영한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983A (en) * 1981-07-06 1984-09-18 Square D Company Compact electric door opener
KR20000061512A (ko) * 1999-03-26 2000-10-25 김상수 원격 해정이 가능한 도어록 시스템
KR100926467B1 (ko) * 2008-04-17 2009-11-13 주식회사 수퍼락 전기정 스트라이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091A (ko) 1991-10-14 1993-05-22 문정환 마스크 롬 제조방법
KR930009088A (ko) 1991-10-17 1993-05-22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및 커패시터 구조
KR960005229U (ko) 1994-07-29 1996-02-16 문종순 폴리우레탄, 고무, 다공형 방충제
JP3075412U (ja) * 2000-08-04 2001-02-23 大永 朴 開閉扉の施錠装置
KR100825447B1 (ko) * 2006-09-06 2008-04-28 박영한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459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650B (zh) 机电锁装置
JP3681638B2 (ja) 電磁ロック機構
US20200056403A1 (en) Lock with a lockable push-through latch
CN114450457B (zh) 锁定装置和系统
KR102045793B1 (ko)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CN216949910U (zh) 解锁机构以及耗材柜
KR20130080629A (ko) 도어락용 모티스 장치
CN216110135U (zh) 锁体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3035252B2 (ja) 引き出し回転型クレモンロック装置
EP2631399A2 (en) Latch assembly and latchbolt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213234577U (zh) 一种安全性能高的锁具及玻璃门
KR200478262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CN219344338U (zh) 保险机构、门配件及锁具
JP2018112041A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101336049B1 (ko) 도어록용 상자어셈블리의 허브잠금장치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2267632B1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