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684B1 -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 Google Patents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684B1
KR102045684B1 KR1020180108635A KR20180108635A KR102045684B1 KR 102045684 B1 KR102045684 B1 KR 102045684B1 KR 1020180108635 A KR1020180108635 A KR 1020180108635A KR 20180108635 A KR20180108635 A KR 20180108635A KR 102045684 B1 KR102045684 B1 KR 10204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plate
shear
thick plat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0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21C51/005Mar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판재 마킹장치는, 이송되는 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제공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연계되고 상기 판재의 폭에 대응하면서, 선택적으로 판재에 접촉하는 마킹 롤수단을 매개로 판재에 마킹선을 마킹토록 제공되는 판재 마킹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후판 등) 상에 마킹선(전단 유도선 등)의 마킹이 온라인 상태로 구현되고, 이를 기반으로 예컨대 후판 상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한후 이를 이용하여 후판의 측면 전단이 이루어져, 후판의 측면 전단시의 정밀성을 높이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APPARATUS FOR MARKING PALTE AND METHOD FOR SHEARING DOUBLE SIDE OF HEAVY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판재(후판 등) 상에 마킹선(전단 유도선 등)의 마킹을 가능하게 한 판재 마킹장치 및, 이와 같은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후판 상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고 이를 기반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을 구현하여, 궁극적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시 미절단(No Trimming) 발생을 방지하게 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연주공정을 거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 강판등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후판 제품은 수요가의 크기에 맞추어 폭과 길이 등을 절단하는 전단 공정을 거치는데, 예를 들어 후판 제품의 양 측면 전단(폭 전단)은 측면 전단기((Double Side Shear)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후판 제품의 측면 전단시에는 먼저 후판 제품의 판 정렬을 수행하는데, 작업자(운전자) 마다 전단선의 정렬이 다른 정렬 오차가 발생되고, 특히 이와 같은 정렬 오차가 심한 경우 후판 제품의 측면 전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절단(No Trimming)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판 제품의 판 정렬 불량에 따른 미절단 발생을 방지하는 관련 기술 예를 들어, 후판 제품의 양 측면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고 이를 이용하면서 후판 제품의 측면 전단을 구현하는 관련 기술은 알려진 바는 없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JP 10-2001-113313 A (2001.04.24), 일본 공개특허 JP 10-2009-248182 A (2009.10.29) 등에서는 강대나 후판의 마킹 기술을 개시하나, 상기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JP 10-2001-113313 A (2001.04.24) JP 10-2009-248182 A (2009.10.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판재(후판 등) 상에 마킹선(전단 유도선 등)의 마킹을 (온라인 상태로) 가능하게 한 판재 마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후판 상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고 이를 기반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이 구현되어, 궁극적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시 미절단 발생을 방지 가능하게 한 판재 마킹장치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판재 마킹장치는, 이송되는 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제공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연계되고 상기 판재의 폭에 대응하면서, 선택적으로 판재에 접촉하는 마킹 롤수단을 매개로 판재에 마킹선을 마킹토록 제공되는 판재 마킹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치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판재의 폭에 대응하여 수평 이동토록 제공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마킹유닛은,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이동블록의 하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판재와 접촉하여 판재의 양측에 마킹선을 마킹하는 상기 마킹 롤수단; 및, 상기 마킹 롤수단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제공되는 마킹액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 롤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판재에 접촉하면서 판재의 양측에 마킹선을 마킹하는 마킹롤; 및, 상기 이동블록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대에 구동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상기 마킹롤이 장착되어 상기 마깅롤이 판재에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제공되는 롤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킹액 공급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이동블록에 탑재되는 마킹액 공급통; 및, 상기 마킹액 공급통과 연계되고 밸브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마킹 롤수단에 구비된 마킹롤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제공되는 마킹액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킹롤은, 상기 마킹액 공급관이 인접 배치되는 마킹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바디는 크롭 전단기에 연계되고 상기 판재는 후판으로 제공되어 상기 마킹선은 측면 전단되는 후판의 전단 유도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판재 마킹장치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은, 상기 판재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후판의 양측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후판에 조사되는 기준 전단선과 상기 전단 유도선을 맞추면서 상기 후판을 판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판 정렬된 후판의 양 측면을 전단하는 후판의 측면 전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전단선은 상기 측면 전단기의 전방측에 배치된 레이져 조사장치를 통하여, 상기 후판의 폭에 대응하면서 조사되는 레이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져 조사장치는, 상기 측면 전단기의 전방에 설치된 수직대 상의 볼스크류 양측에 체결된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레이져 조사기를 포함하여 상기 후판의 양측에 레이져의 기준 전단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이나 목재 등의 판재 또는 수지 시트 상에 원하는 마킹선(전단선이나 절단선 등)을 선택적으로 마킹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후판의 측면 전단시 마킹선인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고, 여기에 레이져의 기준 전단선(절단선)을 조사하여 정밀한 판 정렬후 후판의 측면 전단이 이루어 지게 하여, 예컨대 판 정렬 오류에 의한 기존의 미 절단(No Trimming)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의 정밀성을 높이는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판의 측면 전단시 불량 요인을 제거함에 따라, 전단 불량에 따른 후속 작업이 제거되고, 후판 제품의 고객사 납기 지연 등도 방지되어, 최종적으로 제품 생산성을 높이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후판의 전단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후판) 마킹장치를 포함하는 후판의 크롭 및 측면 전단 라인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마킹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마킹장치를 도시한 도 3의 요부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마킹장치를 도시한 도 3의 요부 정면 구성도
도 6은 전단 유도선이 마킹된 후판 상에 기준 전단선(CLI)인 레이져를 조사하는 레이져 조사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측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판재를 후판(10)으로 설명하고, 판재 양측에 마킹되는 마킹선을 후판의 측면 전단시의 전단 유도선(12)으로 설명하며, 이에 판재 마킹장치(100)는 후판의 측면 전단전에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하는 후판 마킹장치(100)로 설명한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일뿐, 본 발명의 마킹장치(100)가 반드시 후판의 전단 환경에만 한정되어 적용되어햐 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롤러 테이블이나 컨베이어 등을 통하여 이송되는 금속판재, 목재판재 또는, 수지 시트 등에도 본 발명의 마킹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판재나 시트 형태의 대상물에, 그 폭에 대응하면서 양측 상면에 마킹선을 마킹하는 것이 필요한 환경에서 본 발명의 마킹장치를 적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다음,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후판 전단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판(날판)을 제품 크기로 전단하는 전단라인은, 날판(후판)(10)의 선단부와 미단부의 크롭을 전단하기 위한 크롭 전단기(Crop Shear)(20)와, 분할판을 제품의 폭에 따라 양 측면을 전단하는 측면 전단기(Double Side Shear)(30)와, 제품의 길이에 따라 전단하여 분할하기 위한 분할 전단기(Dividing Shear)(50)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측면 전단기와 분할 전단기 사이에 후판(10)을 길이방향으로 전단하기 위한 슬리팅 전단기(Slitting Shear)(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연이 완료된 날판을 냉각대에서 냉각하여 크롭 전단기(20)에서 분할 전단(절단)을 실시하고, 분할판은 측면 전단기(30)에서는 수요가가 요구하는 제품 폭 사이즈로 측면 전단을 실시하며, 분할 전단기(50)에서 수요가가 요구하는 제품 길이로 전단되어 전단공정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후판 마킹장치(100)를 포함하는 크롭 및 측면 전단 라인을 평면 구성도도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날판이 크롭 전단기(20)를 거치면 분할판이라고도 한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날판, 분할판이나 후판 제품 등을 '후판'(10)으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는 후판(10)의 선,후단부를 직각으로 전단하는 크롭 전단기(20)(CS)와 후판(10)의 양측면을 전단하여 제품의 폭을 맞추는 측면 전단기(30)(DSS)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의 하류측(후방측)으로 측면 전단기(30) 사이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기준 전단선을 조사하는 레이져 조사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에 대하여는 다음에 도 2,6,7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판 마킹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와 더불어,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후판 마킹장치(100)를 평면, 측면 및 정면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는 크롭 전단기(20)와 연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는, 테이블의 이송롤(16)들로 이송되는 후판(10)의 이동 경로상에 제공되는 장치바디(110)와, 상기 장치바디(110)사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수단(130) 및, 상기 이동수단(130)에 연계되면서 상기 판재의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마킹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판재 마킹유닛(150)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바디(110)는, 바람직하게는 크롭 전단기(20)의 장치 케이싱(미부호)의 전면 양측에 마주하도록 조립되되, 후판(10)의 최대 폭 보다는 외곽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는 크롭 전단기(20)와 연계되어 그 후방(하류)측에 후판의 측면 전단기(30)가 배치되고, 이에 후판에 마킹되는 마킹선일 수 있는 전단 유도선(12)은 후판의 측면 전단시 적어도 판 정렬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에서 상기 이동수단(13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롭 전단기(20)의 장치 케이싱의 전면 양측에 마주하도록 제공된 상기 장치바디(110) 사이에 일측에 연결된 모터(138)로서 구동되도록 제공되는 볼 스크류(132)와, 상기 볼 스크류(132)의 양측에서 체결되면서 후판(10)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바디(110) 사이에서 수평 이동토록 제공된 한쌍의 이동블록(1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4와 같이, 상기 볼 스크류(132)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134)들을 관통하여 상기 장치 바디 사이(110)에 제공되는 가이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볼 스크류(132)는 중앙으로 크롭 전단기(20)의 장치 케이싱 전면으로 장치 바디 사이의 중앙측에 고정된 중앙대(140)를 기점으로 서로 스크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측 모터(138)가 구동되면 중앙대(140)를 기점으로 볼 스크류(132)에 각각 체결된 이동블록(134)은 후판의 폭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하면서 모터 구동에 따라 서로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수평 방향의 이동을 하고, 가이드(136)는 이와 같은 이동블록(134)의 안정적인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6)는 이동블록의 이동시 떨림이나 진동을 억제하여 연계된 후판 마킹유닛(150)의 작동도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게 할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양측 이동블록(134)이 체결되는 서로 스크류 방향이 반대인 볼 스크류(132)를 장치바디와 중앙대 및 중앙대와 장치바디의 분할 구조로 하고, 각각에 모터(138)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대(140)는 후판(10)의 이동 중심라인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고, 이에 폭이 변화하는 후판(10)의 폭에 대응하여 이동수단(130)의 이동블록(134)들은 이동이 조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8)는 제어부(C)와 연계되어 제어부에 사전에 입력된 후판의 폭 정보 등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는 크롭 전단기(20)와 연계되어 후판 마킹장치(100)의 작동 제어에 크롭 전단 환경을 연계할 수도 있다.
다음, 도 2 내지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의 상기 후판 마킹유닛(15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수단(130)에 구비된 이동블록(134)들의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후판(10)의 양측에 측면 전단시의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토록 구성된 마킹 롤수단(160) 및, 상기 이동블록(134)상에 상기 마킹 롤수단(160)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제공된 마킹액 공급수단(1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킹 롤수단(160)은, 상기 이동블록(134)의 하측에 제공된 구동원인 수평 구동실린더(162)를 매개로 상기 이동블록(134)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전단 유도선(12)을 이동하는 후판의 양측 상면에 마킹하는 마킹롤(1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킹롤(164)은 상기 이동블록(134)의 하측으로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와 연계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하측에 제공된 지지대(166)에 힌지(17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롤 브라켓(168)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는 이동블록(134)의 후방 하측에 수직한 고정대(162a)와 상기 롤 브라켓(168)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판(172)사이에 각각 힌지(170)구조를 기반으로 연결되고, 상기 롤 브라켓(168)와 지지대(166)의 힌지(170)는 수평 구동실린더(162)의 고정판 연결부위(힌지(170))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대와 고정판 및 지지대의 힌지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가 후진하면 롤 브라켓(168)은 지지대 측 힌지(170)를 축으로 하여 측면에서 볼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상승하고), 이때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와 고정대 및 고정판 사이의 힌지(170) 연결 구조는 상기 롤 브라켓의 힌지를 축으로하는 상승 운동(원 운동)시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의 운동을 보상하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는 장홈을 기반으로 하여 원 운동을 보상할 수도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 (162)가 후진하면 롤 브라켓(168)은 지지대(166)의 힌지(170)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고(들리고), 동시에 롤 브라켓(168)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마킹롤(164)도 일체로 상승하면서 후판(10)과 이격된다.
반대로,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가 전진하면, 지지대(166)와 롤 브라켓(168)의 힌지(170)를 축으로 롤 브라켓(168)과 여기에 장착된 상기 마킹롤(164)은 하강하면서 후판(10)의 상면에 접촉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마킹 롤(164)은 구동원인 수평 구동실린더(162)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후판 상에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도 도 4와 같이, 제어부(C)와 연계되고, 제어부(C)는 이송 테이블의 이송롤(16)들과 연계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크롭 전단기(20)와 연계된다.
따라서, 후판이 마킹장치(100)의 마킹롤(164)의 위치로 진입하는 그 이송환경에 맞추어 수평 구동실린더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결국 후판의 마킹이 필요한 경우에만 마킹롤은 하강하여 후판과 접촉하고, 이때 마킹롤은 후판 접촉력으로 공회전하면서 공급된 마킹액을 후판의 전단 유도선으로 마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킹장치(100)는 크롭 전단기 전방에 바로 위치되므로, 크롭 전단을 위한 후판의 정렬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단 유도선(12)이 마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마킹롤(164)의 중앙에는 오목한 마킹홈(164a)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마킹액이 공급되면 상기 마킹홈(164a)에 공급되면서 마킹롤(164)과 접촉하는 후판 상면 상에 라인 형태의 마킹선 즉, 전단 유도선(12)이 마킹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킹롤(164)은 후판 접촉력이 안정적인 수지 재질의 롤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에는 크롭 전단기(20)에서 배출되는 후판의 상면(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마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에어노즐들이 더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의 상기 마킹액 공급수단(180)은, 상기 이동블록(134)상에 제공되는 박스(182b)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는 마킹액 주입구(182a)가 구비되는 마킹액 공급통(182) 및, 상기 마킹액 공급통(182)과 연계되고 밸브(184)를 포함하여 상기 마킹롤(164)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구성된 마킹액 공급관(18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액 공급관(186)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박스(182b)를 관통하여 마킹액 공급통(182)과 연결된 동관 등의 상측 마킹액 공급관(186)과, 상기 상측 마킹액 공급관(186)과 연결되어 마킹롤(164)의 상승이나 하강시 운동을 보상하는 플렉시블 공급관(186a) 및, 상기 플레시블 공급관(186a)과 연결되고 롤 브라켓 (168)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마킹롤(164)의 마킹홈(164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동관 등의 하측 마킹액 공급관(186)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와 연계되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전기 작동 방식의 솔레노이드 밸브(184)가 온(ON)되면 마킹액(미부호)은 관들을 통하여 마킹롤(164)의 마킹홈(164a)에 공급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84)가 오프(OFF)되면 마킹액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킹롤(164)이 장착된 롤 브라켓(168)과 연결되어 마킹롤의 상승이나 하강을 구현하는 상기 수평 구동실린더(162)도 제어부(C)와 연계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84)는 마킹롤(164)이 하강하여 후판(10) 상면과 접촉하는 순간 온(ON)되어 마킹액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킹액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상기 마킹액 공급통(182)에는 소형 펌프(미도시)를 연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마킹액 공급통(182)의 주입구(182a)에는 공급호스가 연계되어 자동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마킹액은 알려진 페인트 등의 도료 일 수 있다. 물론, 후판의 철판 상에 마킹하므로 철판에 마킹이 잘되는 적절한 점성을 갖는 도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마킹액의 색상도 검게 보이는 철판인 후판을 고려하여 밝은 계통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에서 후판의 폭에 대응하여 수평 이동하는 이동블록(134)이 체결되는 볼 스크류(132)를 구동하는 모터(138)와, 마킹롤(164)과 롤 브라켓(168)의 상승과 하강을 위한 수평 구동실린더(162)와 마킹액의 공급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84)는 각각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후판을 이송하는 이송롤(16)과 크롭 전단기(20)와 측면 전단기(30)와 연계되어, 후판의 이송을 제어하면서 그 후판의 폭이나 이송 정보를 토대로 상기 마킹장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적절한 시점에 선택적으로 후판 상에 마킹선인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를 기반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도 2 및 도 6,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후판 마킹장치(100)를 이용하여, 후판의 측면 전단전에 후판(10)의 양측에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후판에 조사된 기준 전단(절단선)(14)(예컨대, 레이져 절단선(Cutting Line Indicator)일 수 있음)과 상기 전단 유도선(12)을 맞추면서 후판의 측면 전단전 판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판 정렬된 후판의 양 측면을 측면 전단기(30)를 통하여 전단하는 측면 전단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전단선(14)은 후판의 측면 전단기(30)(DSS)의 전방에 배치되는 레이져 조사장치(200)를 통하여 조사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져 조사장치(200)는 후판의 폭에 대응하여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더불어,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레이져 조사장치(200)는, 상기 후판(10)의 측면 전단기(30) 전방으로 크롭 전단기(20)와 연계된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대(210)상에 설치된 고정대(212)사이에서 모터(250)로서 구동되는 볼스크류(220)에 체결되는 이동블록(230)에 구비되는 레이져 조사기(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스크류(220)도 수직대(210)상의 중앙측 중앙대(222)를 기점으로 스크류 방향이 반대이고, 볼 스크류의 양측에 체결된 이동블록(230)은 모터(250)가 구동되면 중앙대를 기점으로 서로 마주하거나 멀어지게 이동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동블록을 가이드(260)가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250)는 장치의 제어부(C)와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를 통하여 후판(10)의 폭 정보는 상기 모터(250)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 구동에 따라 볼 스크류(220)에 체결된 양측의 이동블록(230)의 이동이 제어되고, 이에 일체로 이동블록(230)에 제공된 알려진 레이져 조사기(240)의 위치가 후판의 폭에 대응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근접센서 등이 제어부(C)와 연계되어 전단 유도선(12)이 마킹된 후판(10)의 레이져 조사장치(200)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와 연계된 레이져 조사기(24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도 2(도 6,7 참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롭 전단기(20)의 장치 케이싱 전면에 연계된 지금까지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후판 마킹장치(100)를 통하여 크롭 전단된 후판(10)의 양측 상면에는 마킹선인 전단 유도선(12)이 마킹되고, 전단 유도선(12)이 마킹된 후판(10)은 측면 전단기(30)의 진입전에, 판 정렬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마킹장치(100)를 통과하여 이송롤(16)로서 이송되는 후판(10)이 측면 전단기(30)에 진입되기 전에, 작업자는 도 7과 같이 이송테이블 하측의 자석 시프터(Magnet Shifter)(18)를 이용하여 후판의 판 정렬을 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먼저 전단 유도선(12)을 후판(10)의 양측에 마킹하고, 레이져 조사장치(200)에서 조사되는 기준 전단선(14)(레이져)에 상기 전단 유도선(12)을 ?추면서 작업자는 자석시프터(18)로 후판의 판 정렬 예컨대, 측면 전단을 위한 판 정렬을 정밀하게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후판의 측면 전단시에는 미리 마킹장치(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로 크롭 전단된 후판을 이송시키면서 그 상면 양측에 전단 유도선(12)을 마킹하고, 이와 조사된 기준 전단선(14)의 레이져를 맞추어 정밀한 판 정렬을 한후, 최종적으로 후판의 측면 전단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작업자의 판 정렬 오류 등에 의한 미 절단(No Trimming)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후판의 측면 전단의 정밀성도 높이게 할 것이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마킹장치(100)가 반드시 후판 전단 공정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후판(판재) 12.... 전단 유도선(마킹선)
20.... 크롭 전단기(CS) 30.... 측면 전단기(DSS)
110.... 장치바디 130.... 이동수단
132,210.... 볼 스크류 134,230.... 이동블록
136.... 가이드 150.... 판재 마킹유닛
160.... 마킹 롤수단 162.... 구동원(실린더)
164.... 마킹롤 166.... 지지대
168.... 롤 브라켓 180.... 마킹액 공급수단
182.... 마킹액 공급통 186....마킹액 공급관
200.... 레이져 조사장치 240.... 레이져 조사기

Claims (9)

  1. 이송되는 판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제공되는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연계되고 상기 판재의 폭에 대응하면서, 선택적으로 판재에 접촉하는 마킹 롤수단을 매개로 판재에 마킹선을 마킹토록 제공되는 판재 마킹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재 마킹유닛은,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이동블록의 하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판재와 접촉하여 판재의 양측에 마킹선을 마킹하는 상기 마킹 롤수단; 및, 상기 마킹 롤수단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제공되는 마킹액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킹액 공급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된 이동블록에 탑재되는 마킹액 공급통; 및, 상기 마킹액 공급통과 연계되고 밸브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마킹 롤수단에 구비된 마킹롤에 마킹액을 공급토록 제공되는 마킹액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롤은, 상기 마킹액 공급관이 인접 배치되는 마킹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킹액 공급관의 수직 하부에 배치된 상기 마킹홈에 마킹액이 공급되면서 상기 마킹롤과 접촉하는 후판 상면 상에 라인 형태의 마킹선이 마킹되는,
    판재 마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치바디 사이에 제공되는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의 양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판재의 폭에 대응하여 수평 이동토록 제공되는 이동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마킹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롤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판재에 접촉하면서 판재의 양측에 마킹선을 마킹하는 마킹롤; 및,
    상기 이동블록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대에 구동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상기 마킹롤이 장착되어 상기 마킹롤이 판재에 선택적으로 접촉토록 제공되는 롤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마킹장치.
  5. 삭제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는 크롭 전단기에 연계되고 상기 판재는 후판으로 제공되어 상기 마킹선은 측면 전단되는 후판의 전단 유도선으로 이루어지는 판재 마킹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판재 마킹장치를 이용하여 후판의 양측에 전단 유도선을 마킹하는 단계;
    상기 후판에 조사되는 기준 전단선과 상기 전단 유도선을 맞추면서 상기 후판을 판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판 정렬된 후판의 양 측면을 전단하는 후판의 측면 전단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마킹장치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단선은, 측면 전단기의 전방측에 배치된 레이져 조사장치를 통하여, 상기 후판의 폭에 대응하면서 조사되는 레이져로 이루어 지는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져 조사장치는, 상기 측면 전단기의 전방에 설치된 수직대 상의 볼스크류 양측에 체결된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레이져 조사기를 포함하여 상기 후판의 양측에 레이져의 기준 전단선을 조사하는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KR1020180108635A 2018-09-12 2018-09-12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KR10204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35A KR102045684B1 (ko) 2018-09-12 2018-09-12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35A KR102045684B1 (ko) 2018-09-12 2018-09-12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684B1 true KR102045684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35A KR102045684B1 (ko) 2018-09-12 2018-09-12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629A (ko) *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화물창 레벨패드의 마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664A (ja) * 1998-01-22 1999-08-03 Koike Sanso Kogyo Co Ltd マーキング装置
KR20020070206A (ko) * 2002-07-26 2002-09-05 이은정 점선용 필기구
KR20050077398A (ko) * 2004-01-27 2005-08-02 (주)포씨스 무한길이를 갖는 웹 제품에 적용되는 마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664A (ja) * 1998-01-22 1999-08-03 Koike Sanso Kogyo Co Ltd マーキング装置
KR20020070206A (ko) * 2002-07-26 2002-09-05 이은정 점선용 필기구
KR20050077398A (ko) * 2004-01-27 2005-08-02 (주)포씨스 무한길이를 갖는 웹 제품에 적용되는 마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629A (ko) *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화물창 레벨패드의 마킹장치
KR102477538B1 (ko) 2018-10-23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화물창 레벨패드의 마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107B1 (ko) 금속가공물의 측부 및 단부에 형성된 산화 생성물의 제거방법 및 그장치
US831280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djust the lateral clearance between cutting blades of shearing machines
KR100381613B1 (ko) 버어제거방법 및 장치
US3779437A (en) Apparatus for cutting the edges of sheet glass
KR102045684B1 (ko) 판재 마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측면 전단방법
JPWO2015083530A1 (ja)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方法
WO2019237994A1 (zh) 整平装置、输料设备及加工系统
US4721241A (en) Welding apparatus assembled together with grinding device
US4638701A (en) Shears, especially circular knife shears
CN114289607B (zh) 一种冷弯成型中的在线连续冲孔装置
KR100588346B1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150075278A (ko) 소재 정렬장치
KR860000746B1 (ko) 슬러브의 하면에 부착한 절단 바리(burr)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1197213A (ja) 棒状の形鋼を支持する方法
KR20210001788U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US3476000A (en) Strip shearing apparatus
CN112643114A (zh) 一种分条机交换方法
US5887325A (en)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KR100391444B1 (ko)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CN110238524A (zh) 一种自动调整高度的激光拼板工作台
KR20020043269A (ko) 측면전단에 의한 강판의 캠버 방지장치
SU1097475A1 (ru) Стыкосварочна машина
KR20200020499A (ko) 개선절단 장치
KR101504105B1 (ko) 날판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570581B1 (ko) 오일 와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