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79B1 -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79B1
KR102045479B1 KR1020197016723A KR20197016723A KR102045479B1 KR 102045479 B1 KR102045479 B1 KR 102045479B1 KR 1020197016723 A KR1020197016723 A KR 1020197016723A KR 20197016723 A KR20197016723 A KR 20197016723A KR 102045479 B1 KR102045479 B1 KR 10204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vehicle
driver
rsa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900A (ko
Inventor
조원기
Original Assignee
조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기 filed Critical 조원기
Priority to KR1020197033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6Inter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의 RSS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1차 범위(25m) 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인지 가능한 2 내지 24000Hz의 음파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에서 송신한 음파가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 도달한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가 소정의 2차 범위(1m) 내에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또는 트렁크를 개방한 이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차량 내 소정의 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을 도어락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증된 모바일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일정 거리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도어락이 열리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블루투스 신호와 음파를 사용하여 운전자 또는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여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차량의 시동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을 제어함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현대 사회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다른 장치없이 하나의 모바일 장치로 음악도 듣고 인터넷도 하고 카드 결제도 하고 대중교통도 이용한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기존의 자동차 키 없이도 운전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 도어 및 트렁크를 여닫고,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 운전자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Honda Motor Co., Ltd 의 공개특허공보 US20120092129A1 에는 기존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Key Fob 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전파 신호를 서로 송수신하여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값을 바탕으로 Key Fob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의 공개특허공보 WO 2015/070064에 따르면 음파를 이용한 전기 장치의 위치 추적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블루투스 등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 기술 표준을 통해 모바일 장치를 모바일 장치에 독립적인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연결하고, 모바일 장치가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 내부의 출력장치에서 음파/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에서 차량의 운전자 영역에 운전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의 KR 10-13814531에 따르면, 전파신호 수신시각 및 신호음 수신시각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차량의 응답을 받는 송수신 시스템이 구성하여 전파신호로 차량을 개폐하되 신호음이 이를 검증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전파 신호와 음성 신호를 활용하여 리모트 키를 포함한 기존 차량의 스마트 키의 시스템의 보안 문제점인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함으로써 차량 도난 사고 및 원격 해킹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 도난 및 해킹 등의 현재 존재하고 있는 보안 문제점을 해결함이 요구된다.
US 2012-0092129 A1(2012.04.19.) WO 2015/070064 (2015.05.14.) KR 10-1381453 B1 (2014.04.0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로부터 안전한 스마트 키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1차범위(25m) 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인지 가능한 2 내지 24000Hz의 음파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에서 송신한 음파가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 도달한 시간(time of arrival)을 계산하여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가 소정의 2차범위(1m) 내에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또는 트렁크를 개방한 이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차량 내 소정의 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차량의 스마트키의 LF(Low Frequency)를 전파 신호의 전달 방식을 음파로 대체하여 기존 차량의 스마트키 없이도 모바일 장치만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RSA를 방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SA로부터 안전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임시로 사용 가능한 임시키를 발렛 파킹을 하고자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여 차량을 일시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시로 사용 가능한 임시키를 트렁크 오픈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위임하여, 인증된 택배 기사가 차량에 접근하였을 때 트렁크만 오픈하여 물건을 트렁크에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예, 가족 또는 법인 차량을 운행하는 특정인 집단)가 차량에 접근 권한을 공유하여 차량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카쉐어링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을 도어락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증된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별도의 입력 없이 도어락이 열리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기존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key fob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차량을 개폐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차량 내부에서 음파를 이용하여 모바일디바이스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존 기술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RSA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따라서 차량과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간의 블루투스 또는 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음파와 블루투스 신호를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내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을 설명하는 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1차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인지 가능한 2~24000Hz의 음파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에서 송신한 음파가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 도달한 시간(time of arrival)을 계산하여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가 소정의 2차 범위 내에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명령을 수행한 이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차량 내 소정의 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방어하고자 하는 중계 공격(Relay Station Attack : RSA)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를 가방이나 주머니 안에 넣은 상태에서 차의 문 손잡이를 잡기만 해도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패시브 방식의 스마트 키는 열쇠 구멍에 키를 꽂지 않아도 차량을 개폐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패시브 방식의 스마트 키가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절도범2(attacker 2)이 패시브 방식의 스마트 키를 소유한 운전자(Car owner)와의 거리를 5~7미터 정도로 유지한 상황에서 스마트 키가 발신하는 자동차가 사용하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기를 이용해 증폭시키면, 차량 근처에 머물고 있던 절도범1(attacker 1)은 증폭된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여 보안 장치 또는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때, 절도범1이 차량에 전달하는 신호는 운전자의 스마트 키에서 직접 발생한 유효한 명령이 포함된 신호이기 때문에, 차량과 운전자가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제3 자가 중계 공격(RSA)을 통해 차량의 잠금을 해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절도범2가 사용하는 증폭기는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일 수 있으며, 최대 30미터 떨어진 곳까지도 스마트 키의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와 차량 간의 거리는 100미터 이상에서도 차의 문을 열고 시동을 켤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에서 송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 값(RSS, Received Signal Strength)과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에서 송신하는 음파(2~24,000Hz 주파수)의 TOA(Time of Arrival)값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3차원 위치(또는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차원 위치)를 파악함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블루투스 신호로 설명하지만 와이파이(WIFI) 신호와 같은 스마트 폰이 사용가능한 전파 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차량이라고 표현함은 스마트 키 시스템이 구성된 차량을 말하며, 이 스마트 키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 그리고 스피커 및 블루투스/와이파이 신호를 제어하고,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키에 관한 신호 및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RSA를 방어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와 차량 간의 거리를 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차량을 개폐한다. 음파를 사용하면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신호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측위할 수 있다. 왜냐하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는 수 GHz의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반면, 음파는 그 1/1,000,000 수준인 수 KHz의 주파수를 이용하므로, 거리를 훨씬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 3개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파 신호가 모바일 장치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 (ToA, 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와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스피커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를 향하여 음파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는 보안 정보 및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절대 시간 값을 차량과 모바일 장치가 공유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블루투스 신호는 자동차 식별번호, 현재시각, 랜덤하게 생성된 음파 신호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파 신호는 거리 측정을 위해 전송되는 것으로 식별번호가 인코딩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사람이 듣기 어려운 대역의 주파수로 송출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1차 특정 코드가 차량으로부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 1차 특정 코드는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서 방출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도록 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먼저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에서 스마트 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한다(S610). 이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해도 무관하며 차량과 블루투스 연결을 위하여 핑(ping)과 같은 통신 행위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과 차량(650) 간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예, 25m)가 되면,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에서 전달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S6x)을 차량(650)이 수신하고, 차량이 이에 대한 응답(S620)을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는 스마트 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마이크(mic)를 켜는 동작을 수행한다(S620). 차량(650)은 적어도 3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음파 신호를 송신한다(S625). 이때,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파 신호는 4.1채널과 같은 스테레오 신호일 수 있으며, 2~24,000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할 수 있다. 주파수 분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에서 송출된 음파를 기초로 코드 분할 다중화 방법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특정 코드가 차량에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달된 후 1차 특정 코드를 기초로 스피커 각각이 송출하는 음파가 각각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이 변동에 관한 코드, 즉, 상기 1차 특정 코드에 대응되는 2차 특정 코드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서 차량으로 전달한다. 차량이 수신한 상기 2차 특정 코드가 상기 1차 특정 코드로부터 생성되는 3차 특정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는 미리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와 적어도 3개의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파 신호에 타임 싱크를 걸어서, 또는 적어도 4개의 스피커에서 송출하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와 차량(650) 간의 거리를 산정(calculation)한다(S630).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차량 간의 거리를 산정하여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ToA(Time of Arrival) 또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가 산정한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예, 1m)가 되면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는 차량(650)으로 제어 허락 신호(permission signal)를 전달한다(S635). 차량(650)에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의 위치를 판단하지 않으므로 중계 스테이션에 의해서 신호가 증폭되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고,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에서 직접 제어 허락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제어 허락 신호를 해킹하지 않는 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600)의 위치를 위조할 수 없으므로 모바일 장치(600)를 통해서 RSA를 방어할 수 있다. 제어 허락 신호는 해킹을 방어할 수 있도록 암호화되어 전달된다.
제어 허락 신호가 해킹되거나 위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캐처에 운전자가 직접 입력(예, 터치)을 가하여야 차량이 개폐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S637).
차량(650)은 제어 허락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준비한다(S640). 일 예로, 차량의 도어(또는 트렁크)를 개방한 이후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 내 정해진 구역에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제어된다. 이를 통해서 원격 증폭을 이용한 RSA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음파와 블루투스 신호를 동시에 이용하여 차량 내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활용하여 원거리 (25m 이상)에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를 인지한다(S710). 이때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Receiver)의 역할을 수행하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역할을 수행한다.
차량에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차량의 통신 네트워크가 개설된다(S720).
차량과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 간의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달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으로 기초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미리 설정한 1차 범위(예, 차량과의 거리 25m 이하) 내로 판단되면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의 작동을 시작한다(S730).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뛰어가서 문을 열었을 때 계속 인지해야 하는 최소 거리를 20m 정도라고 볼 때, 실제 블루투스 통신 거리는 25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피커에서는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서 인지 가능한 음파 (2~24,000Hz) 를 송신한다. 운전자 또는 주변사람이 불편하지 않도록 비가청주파수 이며 더 좋을 것이다.
차량은 TOA 방식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상세 3D 위치(예, 거리 분해능 10cm 이하)를 파악한다(S740).
상기 파악한 상세 3D 위치를 기초로 차량과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미리 설정한 2차 범위(약 2m) 이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로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 등을 수신할 준비를 한다(S750). 이를 통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거나, 트렁크를 개방하거나, 시동을 건다. 이때, 도어 캐처에 붙어있는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르는 경우 또는 도어 캐처를 잡기만 해도 열리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가 개폐될 수 있으며, 트렁크 개폐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에는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의 도어(또는 트렁크)를 개방한 이후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 내 정해진 구역에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제어된다(S760). 이를 통해서 원격 증폭을 이용한 RSA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외부에서의 대략적인 위치는 차량 내에서 발생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여 RSS(Received Signal Strength) 방식을 활용하여 위치를 계산하고 정밀 위치의 경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차량에서 송신된 3개 이상의 음파를 기반으로 ToA (Time of Arrival) 식을 활용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차량과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 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 네트워크가 개설 설정된 후 차량과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는 시간 정보를 동기화(Synchronize)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MCU(Micro control unit) 또는 명령 (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 (processing element) 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 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차량의 스마트키의 LF(Low Frequency)를 전파 신호의 전달 방식을 음파로 대체하여 기존 차량의 스마트키 없이도 모바일 장치만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RSA를 방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SA로부터 안전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임시로 사용 가능한 임시키를 발렛 파킹을 하고자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여 차량을 일시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시로 사용 가능한 임시키를 트렁크 오픈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위임하여, 인증된 택배 기사가 차량에 접근하였을 때 트렁크만 오픈하여 물건을 트렁크에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예, 가족 또는 법인 차량을 운행하는 특정인 집단)가 차량에 접근 권한을 공유하여 차량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카쉐어링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을 도어락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증된 모바일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별도의 입력 없이 도어락이 열리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개설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신호의 RSS(Received Signal Strength) 값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1차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인지 가능한 2~24000Hz의 음파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에서 송신한 음파가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에 도달한 시간(time of arrival)을 계산하여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가 소정의 2차 범위 내에 접근하였을 경우,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또는 트렁크의 개폐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명령을 수행한 이후,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차량 내 소정의 구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고,
    상기 차량에 장착된 3개 이상의 스피커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며,
    상기 스피커 각각에서 방출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부터 수신된 1차 특정 코드에 따라서 각각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단계;
    상기 1차 특정 코드에 대응되는 2차 특정 코드를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특정 코드가 상기 1차 특정 코드로부터 생성되는 3차 특정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을 이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Relay Station Attack)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1차 범위는 25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2차 범위는 1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캐처가 입력을 받아야 상기 차량의 도어 또는 트렁크가 개폐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8. 삭제
KR1020197016723A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4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33325A KR102312887B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1201 WO2019074135A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325A Division KR102312887B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900A KR20190111900A (ko) 2019-10-02
KR102045479B1 true KR102045479B1 (ko) 2019-11-15

Family

ID=6610070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174A KR102312891B1 (ko) 2017-10-11 2017-10-11 전파 및 음파를 활용한 차량의 해킹 방지 시스템의 스마트 제어 방법
KR1020197035175A KR102314203B1 (ko) 2017-10-11 2017-10-11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가 차량 접근 권한을 공유하는 스마트 제어 방법
KR1020197035173A KR102310312B1 (ko) 2017-10-11 2017-10-11 블루투스와 비가청주파수 음파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계산하여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97033325A KR102312887B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97016723A KR102045479B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174A KR102312891B1 (ko) 2017-10-11 2017-10-11 전파 및 음파를 활용한 차량의 해킹 방지 시스템의 스마트 제어 방법
KR1020197035175A KR102314203B1 (ko) 2017-10-11 2017-10-11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가 차량 접근 권한을 공유하는 스마트 제어 방법
KR1020197035173A KR102310312B1 (ko) 2017-10-11 2017-10-11 블루투스와 비가청주파수 음파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모바일 장치의 3d 위치를 계산하여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97033325A KR102312887B1 (ko) 2017-10-11 2017-10-11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27158B2 (ko)
EP (1) EP3696031A4 (ko)
JP (1) JP7152491B2 (ko)
KR (5) KR102312891B1 (ko)
CN (1) CN111201165B (ko)
WO (1) WO2019074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5788B2 (en) 2017-01-06 2019-07-16 Ube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 proximity service
EP3696031A4 (en) * 2017-10-11 2021-05-26 Wonki Cho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CONTROL OF A VEHICLE DURING THE DEFENSE AGAINST RSA BY THE USE OF A MOBILE DEVICE
JP7230590B2 (ja) * 2019-03-05 2023-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KR20210004305A (ko) * 2019-07-04 2021-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3015161B (zh) * 2019-12-20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认证方法及其介质和电子设备
KR102395390B1 (ko) * 2020-01-09 2022-05-09 주식회사 아이카 클라우드에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법인 차량 카셰어링 관리시스템
US11830302B2 (en) 2020-03-24 2023-11-28 Uatc, Llc Computer system for utilizing ultrasonic signals to implement oper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CN111818497A (zh) * 2020-06-27 2020-10-23 同济大学 一种电动尾门自动开启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667265B2 (en) 2020-07-14 2023-06-06 Micron Technology, Inc. Activating a security mode for a vehicle based on driver identification
US11436864B2 (en) * 2020-07-14 2022-09-06 Micron Technology, Inc. Driver recognition to control vehicle systems
CN112721831A (zh) * 2020-12-30 2021-04-30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和装置
WO2022186492A1 (ko) * 2021-03-04 2022-09-09 주식회사 센스톤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411797B1 (ko) 2021-12-24 2022-06-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드웨어 기반의 차량 사이버보안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4247A (ja) * 2011-11-15 2013-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ーレス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1904A1 (de) * 2004-01-14 2005-08-04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KR20070059378A (ko) * 2005-12-06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캔 통신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20092129A1 (en) 2010-10-19 2012-04-19 Honda Motor Co., Ltd. Method to track vehicle key near vehicle for smart entry
US20130336094A1 (en) * 2012-06-08 2013-12-19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river phone use leveraging car speakers
KR101381453B1 (ko) 2012-09-17 2014-04-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를 이용한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스마트키의 중계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52099A (ko) 2012-10-08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rsa 방어 방법
JP2015081415A (ja) * 2013-10-21 2015-04-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不正行為判別方法
JP2015085899A (ja) *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TW201531729A (zh) 2013-11-07 2015-08-16 Driving Man Systems Inc 駕駛端位置偵測
KR101710317B1 (ko) * 2013-11-22 2017-02-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 내의 다수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된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차량의 내면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004341B (zh) * 2014-04-18 2019-12-20 金泰克斯公司 可训练收发器和云计算系统架构系统及方法
JP6484412B2 (ja) * 2014-08-05 2019-03-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通信システム
KR101667990B1 (ko) 2015-06-10 2016-10-21 (주) 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522239A (ja) * 2015-07-14 2018-08-09 ドライビング マネージメン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Rf無線信号および超音波信号を使用した電話の位置の検出
CN105227743B (zh) * 2015-08-25 2016-12-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录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749738B1 (en) * 2016-06-20 2017-08-29 Gopro, Inc. Synthesizing audio corresponding to a virtual microphone location
EP3696031A4 (en) * 2017-10-11 2021-05-26 Wonki Cho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CONTROL OF A VEHICLE DURING THE DEFENSE AGAINST RSA BY THE USE OF A MOBILE DEVICE
US11906642B2 (en) * 2018-09-28 2024-02-20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information of audio data based on one or more radio frequency (RF) signal reception and/o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4247A (ja) * 2011-11-15 2013-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ーレ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312B1 (ko) 2021-10-06
EP3696031A1 (en) 2020-08-19
KR20190134850A (ko) 2019-12-04
KR102314203B1 (ko) 2021-10-15
US20200276959A1 (en) 2020-09-03
KR20190111900A (ko) 2019-10-02
JP2021505801A (ja) 2021-02-18
KR102312887B1 (ko) 2021-10-13
EP3696031A4 (en) 2021-05-26
KR20190134849A (ko) 2019-12-04
CN111201165A (zh) 2020-05-26
KR102312891B1 (ko) 2021-10-13
KR20190134851A (ko) 2019-12-04
WO2019074135A1 (ko) 2019-04-18
CN111201165B (zh) 2022-09-16
JP7152491B2 (ja) 2022-10-12
US11427158B2 (en) 2022-08-30
KR20200054912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479B1 (ko)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78931B2 (en) Method for utilizing a wireless connection to unlock an opening
KR102604328B1 (ko) 릴레이 공격에 대해 시스템을 방어하기 위한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수동 차량 액세스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US107555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10236873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hoi et al. Sound-proximity: 2-factor authentication against relay attack on passive keyless entry and start system
US20180186332A1 (en) Bluetooth Low Energy (BLE) Passive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for Defending the System Against Relay Attacks and Method Thereof
KR20190128364A (ko)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rsa를 방어하는 차량의 스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6491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46889B1 (ko) 음파의 도달 시간과 삼각 측위를 이용하여 차량과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 또는 각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1453B1 (ko) 소리를 이용한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스마트키의 중계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4552A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차량, 차량 제어방법,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6288B1 (ko) 운전석 주변에 모듈 형태로 장착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차량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