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335B1 -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335B1
KR102045335B1 KR1020180088515A KR20180088515A KR102045335B1 KR 102045335 B1 KR102045335 B1 KR 102045335B1 KR 1020180088515 A KR1020180088515 A KR 1020180088515A KR 20180088515 A KR20180088515 A KR 20180088515A KR 102045335 B1 KR102045335 B1 KR 10204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inside handle
vehicle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08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 래치와 핸들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도어 래치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제어하도록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를 연결하는 상기 핸들로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는 액추에이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DOOR INSIDE HANDLE ASSEMBLY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도어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이 있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은 인사이드 핸들레버, 상기 인사이드 핸들레버에 연결된 핸들로드, 상기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일측에 위치한 세이프티 핸들레버, 상기 세이프티 핸들레버에 연결되는 세이프티 핸들로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핸들로드 및 세이프티 핸들로드는 도어 내측면에 형성되어 차량 도어를 구속하는 도어 래치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어 래치는 차체 일측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통해 락킹 작동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사이드 핸들레버를 통해 래치를 언락킹 시킨 상태로, 팔꿈치 등을 이용하여 암레스트를 밀면서 도어를 열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의 열림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주, 정차 시, 옆차와의 간격이 가까울 때, 문콕을 야기시키거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 등과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암레스트에 제어 스위치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 스위치 하나로 도어의 록킹과 언록킹을 조절한 후, 상기 도어의 개문작동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사용자의 제어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 래치와 핸들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도어 래치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제어하도록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를 연결하는 상기 핸들로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는 액추에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를 언록킹 제어하고,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가 언록킹 상태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 래치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의 구동모터를 회전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 상측에 절곡되어 하향하는 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도어 래치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핸들로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중심이 고정되어 회전 제어되며, 상기 제1, 제2 핸들로드의 각 선단을 양측에 제1, 제2 핀으로 연결하는 원형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고리는 일측에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제1 핸들로드의 제1 핀이 장착되는 제1홈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홈과 연결된 슬롯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도어 래치와 연결된 제2 핸들로드의 제2 핀이 고정되는 제2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은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가 언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에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원형고리가 상기 도어 래치와 함께 제2 핸들로드가 상기 인사이드 핸들 측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2 핀이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도어 래치를 차체의 스트라이커로부터 언록킹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암레스트에 제어 스위치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 스위치 하나로 도어의 록킹과 언록킹을 조절한 후, 상기 도어의 개문작동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사용자의 제어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손으로 도어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적용된 도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팅 유닛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적용된 도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팅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팅 유닛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상기 도어의 록(lock) 또는 언록(unlock) 작동을 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인사이드 핸들(10), 세이프티 노브(115), 도어락 스위치(19), 제어 스위치(20), 및 액추에이팅 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은 도어 인너 패널(1)의 내측에 형성된 장착부(17)를 통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17)는 상기 도어 인너 패널(1) 상에서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홈이다.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은 도어 래치(5)와 핸들로드(1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5)를 언락킹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은 탑승자가 직접적으로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 노브(15)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10)과 함께, 상기 장착부(17)를 통해 장착된다.
상기 세이프티 노브(15)는 상기 도어 래치(5)와 노브로드(13)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노브(15)는 상기 도어 래치(5)의 락킹 및 언락킹 상태를 제어하도록 제어기(40)와도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15)가 차실 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을 잡아당김에 따라 열릴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세이프티 노브(15)가 눌러져 있으면, 상기 인사이드 핸들(10)을 잡아당겨도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스위치(19)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15)와 함께, 상기 도어 래치(5)의 락킹 및 언락킹 상태를 제어하도록 제어기(40)와 연결된다.
상기 도어락 스위치(19)는 암레스트(3)의 일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19)는 암레스트(3)에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차량의 종류에 따라 대시보드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차실 내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디든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 스위치(19)는 사용자가 상기 세이프티 노브(15) 대신에 작동하여 상기 도어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어 스위치(2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인너 패널(1)의 내측에 구성된 암레스트(3)의 일측에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제어 스위치(20)는 상기 암레스트(3)의 내측 상부에 절곡되어 하향하는 면에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스위치(2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미사용 시, 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레스트(3)의 절곡된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 스위치(20)는 상기 제어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 스위치(20)는 안전상 차량의 주행 중에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30)은 원형고리(31),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고리(31)는 내부가 중공인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형고리(31)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10)과 도어 래치(5)를 연결하는 핸들로드(11)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로드(11)는 상기 원형고리(31)에 의해 상기 도어 래치(5)와 연결되는 제1 핸들로드(11a), 상기 인사이드 핸들(10)과 연결되는 제2 핸들로드(11b)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원형고리(31)는 일측에 제1 홈(37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37a)과 연결되는 슬롯(39)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 홈(27a)에 대응하여 제2 홈(37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형고리(31)의 제1 홈(37a)에는 상기 제1 핸들로드(11a)의 선단에 구성된 제1 핀(35a)이 끼워지고, 상기 제2 홈(37b)에는 상기 제2 핸들로드(11b)의 선단에 구성된 제2 핀(35b)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2 핀(35b)은 상기 원형고리(31)에 끼워져 빠지지 않고, 상기 슬롯(39)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 고정단(36)이 형성된다.
이러한 원형고리(31)는 도어 인너 패널(1)에 장착된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3)에 회전 작동한다.
상기 구동모터(33)는 제어기(40)와 연결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3)는 제어기(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원형고리(3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제어 스위치(20)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즉,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세이프티 노브(15) 및 도어락 스위치(19)를 언록킹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15) 및 도어락 스위치(19)가 언록킹 상태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20)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즉,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20)를 누르면, 상기 도어 래치(5)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30)의 구동모터(33)를 회전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인사이들 핸들 조립체는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20)를 1회 터치하면 상기 제어기(40)에 입력신호가 수신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세이프티 노브(15) 및 도어락 스위치(18)를 언록킹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이프티 노브(15) 및 도어락 스위치(19)가 언록킹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20)를 또다시 1회 터치하면, 상기 제어기(40)에 입력신호가 수신되고, 이에 따라, 도어 래치(5)가 언락킹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30)의 구동모터(33)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3)에 연결된 원형고리(31)는 도어 래치(5)와 연결된 제2 핸들로드(11b)를 인사이드 핸들(10) 측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원형고리(3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핀(35a)은 원형고리(31) 상의 슬롯(39)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되고, 제2 핀(35b)은 원형고리(31) 상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2 핸들로드(11b)를 당기면서 도어 래치(5)를 스트라이커(미도시)로부터 언록킹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암레스트(3)에 구성된 제어 스위치(19) 하나로 도어의 록킹과 언록킹을 조절한 후, 상기 도어의 개문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사용자의 제어에서 벗어나 상기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조립체는 한손으로 도어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도어 인너 패널 3: 암레스트
5: 도어 래치 10: 인사이드 핸들
11: 핸들로드 13: 노브로드
15: 세이프티 노브 17: 장착부
19: 도어락 스위치 20: 제어 스위치
30: 액추에이팅 유닛 31: 원형고리
33: 구동모터 35a: 제1 핀
35b: 제2 핀 37a: 제1 홈
37b: 제2 홈 39: 슬롯
40: 제어기

Claims (6)

  1. 차량의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 래치와 핸들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도어 래치의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제어하도록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구성된 암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를 각각 연결하는 제1 핸들로드와 제2 핸들로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 래치를 언록킹 조작하는 액추에이팅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중심이 고정되어 회전 제어되며, 일측에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제1 핸들로드의 제1 핀이 장착되는 제1홈이 형성되고, 회전방향을 따라 제1 핀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홈과 연결된 슬롯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도어 래치와 연결된 제2 핸들로드의 제2 핀이 고정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핸들로드의 각 선단을 양측에 제1, 제2 핀으로 연결하는 원형고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를 언록킹 제어하고,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가 언록킹 상태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 래치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의 구동모터를 회전 제어하는 제어로직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 상측에 절곡되어 하향하는 면에 구성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팅 유닛은
    상기 세이프티 노브 및 도어락 스위치가 언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에 제어 스위치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원형고리가 상기 도어 래치와 함께 제2 핸들로드가 상기 인사이드 핸들 측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2 핀이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도어 래치를 차체의 스트라이커로부터 언록킹 되도록 작동하는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20180088515A 2018-07-30 2018-07-30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204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15A KR102045335B1 (ko) 2018-07-30 2018-07-30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15A KR102045335B1 (ko) 2018-07-30 2018-07-30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335B1 true KR102045335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15A KR102045335B1 (ko) 2018-07-30 2018-07-30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171A (zh) * 2021-12-29 2022-04-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解锁功能的门板拉手盒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2473B2 (ja) * 2003-12-26 2009-12-1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JP6019763B2 (ja) * 2012-05-30 2016-11-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2473B2 (ja) * 2003-12-26 2009-12-1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JP6019763B2 (ja) * 2012-05-30 2016-11-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171A (zh) * 2021-12-29 2022-04-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解锁功能的门板拉手盒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749B (zh) 用于动力车门的防夹控制系统
US5054300A (en) Vehicle door lock system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EP1288410B1 (en) Door latch arrangement
EP2281987A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6716827B2 (ja) 自動車ドアラッチ
US20150204118A1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201706660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015516522A (ja) 自動車ドアの閉鎖装置
JP6483353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3359767A (en) Vehicle body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KR20200016334A (ko) 자동차용 조작 장치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2045335B1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060113901A (ko) 중앙 록킹 장치를 구비한 차량
US20230045645A1 (en) Motor vehicle, in particular motor vehicle door lock
JP7284200B2 (ja) 操作装置
JPH09303001A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3769641B2 (ja) ドアロック制御機構
JP62521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070008237A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JP2020063584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US11879280B2 (en) Luggage compartment locking mechanism providing remote control
JP6232616B2 (ja) 車両用ドアの操作装置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